맨위로가기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목표로 2010년 대한민국 대통령의 비전에 따라 서울에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2012년 국제 조약 기반 기구로 전환되었으며, 총회, 이사회, 자문위원회를 통해 운영된다. GGGI는 녹색 성장 목표에 동의하는 국제 연합 회원국에 회원 자격을 개방하고 있으며, 녹색 기후 기금(GCF) 및 녹색기술센터(GTC)와 함께 '그린 트라이앵글'을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환경 단체 -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은 199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시민환경단체로서, 생명, 평화, 생태, 참여의 가치를 추구하며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지구의 벗 회원으로서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환경법률센터 등 전문기관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며 한국 사회의 환경 의식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 외교부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은 국무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행정부의 장관으로서, 외교 정책을 총괄하고 외교, 경제 외교, 국제 관계 업무 조정, 조약 체결, 재외국민 보호 및 지원, 국제 정세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역대 장관들은 국익과 국제적 위상 제고에 노력해왔다.
  • 대한민국 외교부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외교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과 세계 각국의 교류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되어 해외 한국학 연구 지원, 문화 교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한다.
  • 기후 변화 정책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기후 변화 정책 - 그린뉴딜
    그린뉴딜은 기후 변화 대응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으로, 1930년대 뉴딜 정책에서 유래되었으며,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와 탄소 중립 목표 설정을 포함하지만, 목표 달성 및 비용, 사회적 갈등과 관련하여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글로벌녹색성장기구
기본 정보
명칭글로벌녹색성장기구
영어 명칭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약칭GGGI
설립일2010년
유형정부간 기구
목적개발도상국 및 신흥국의 지속 가능한 개발 지원
본부서울, 대한민국
좌표37.567459, 126.971078
분야지속 가능한 개발
회원국30개국
회원국 기준 연도2019년
사무총장프랭크 리즈버만
예산미화 5688만 달러
예산 기준 연도2017년
웹사이트글로벌녹색성장기구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는 2010년 6월 대한민국 이명박 대통령의 국가 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을 위해 서울에 비영리 재단으로 설립되었다. 2011년 해외지부를 설치하였으며, 2012년 10월 23일 브라질 리우+20 정상회의에서 국제기구로 전환되었다.[6]

2. 1. 설립 초기 (2010-2012)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는 2010년 6월, 대한민국 이명박 대통령의 국가 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을 위해 서울에 비영리 재단으로 설립되었다. 2011년에는 해외지부를 설치하였다.

2012년 10월 23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국제기구 출범 및 창립 총회가 개최되었다.[6] 이전까지는 대한민국 정부의 예산을 사용하였고, 이후부터 국제기구의 공여금을 사용하였다. 야당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대한민국 정부가 투입한 3000만달러의 기금 사용 내역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국회 비준을 거부한 바 있다.[7]

당초 GGGI는 서울 홍릉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전하는 자리에 입주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해당 부지는 글로벌지식협력단지가 되었고, GGGI는 서대문역 정동빌딩에 남게 되었다.

GGGI는 2010년 이명박 대통령에 의해 시작된 싱크탱크에서 출발했다. 2012년, GGGI는 브라질에서 열린 리우+20 정상회의에서 공식화된 변화를 통해 국제 조약 기반 기구로 전환되었다.[3][4]

GGGI는 2012년에 설립된 회원국 간의 협약에 따라 운영된다. 거버넌스 구조는 모든 회원국을 포함하는 총회와 전략, 예산 및 회원 자격을 담당하는 이사회로 구성된다. 또한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가 전략적 지침을 제공한다. GGGI의 회원 자격은 녹색 성장 목표에 동의하는 모든 국제 연합 회원국에 열려 있다.[3]

2. 2. 국제기구 전환 (2012)

2010년 6월, 대한민국 대통령의 국가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을 위해 서울에 비영리 재단으로 설립되었다.[6] 2011년에는 해외지부를 설치하였다. 2012년 10월 23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국제기구 출범 및 창립 총회가 개최되었다. 이전까지는 대한민국 정부의 예산을 사용하였고, 이후부터 국제기구의 공여금을 사용한다. 야당은 2009~2012 3년동안 대한민국 정부가 투입한 3000만달러의 기금 사용 내역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국회 비준을 거부한 바 있다.[7]

서울 홍릉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전하는 자리에 입주할 것이 예측되었으나, 해당 부지는 글로벌지식협력단지가 되었고, GGGI는 서대문역 정동빌딩에 남게 되었다.

GGGI는 2010년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이명박에 의해 시작된 싱크탱크에서 출발했다. 2012년, GGGI는 브라질에서 열린 리우+20 정상회의에서 공식화된 변화를 통해 국제 조약 기반 기구로 전환되었다.[3][4]

GGGI는 2012년에 설립된 회원국 간의 협약에 따라 운영된다. 거버넌스 구조는 모든 회원국을 포함하는 총회와 전략, 예산 및 회원 자격을 담당하는 이사회로 구성된다. 또한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가 전략적 지침을 제공한다. GGGI의 회원 자격은 녹색 성장 목표에 동의하는 모든 국제 연합 회원국에 열려 있다.[3]

2. 3. 국제기구 전환 이후

2012년 10월 23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국제기구 출범 및 창립 총회가 개최되었다.[6] 이전까지는 대한민국 정부의 예산을 사용하였고, 이후부터 국제기구의 공여금을 사용한다. 야당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대한민국 정부가 투입한 3000만달러의 기금 사용 내역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국회 비준을 거부한 바 있다.[7]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전하는 자리에 입주할 것이 예측되었으나, 해당 부지는 글로벌지식협력단지가 되었고, GGGI는 서대문역 정동빌딩에 남게 되었다.

3. 설립 근거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는 2012년에 설립된 회원국 간의 협정인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설립에 관한 협정"에 따라 운영된다.[5] 2010년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이명박에 의해 시작된 싱크탱크에서 출발하여, 2012년 브라질에서 열린 리우+20 정상회의에서 국제 조약 기반 기구로 전환되었다.[3][4]

4. 거버넌스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는 2012년에 설립된 회원국 간의 협약에 따라 운영된다. 의사결정기구는 기관장(President-Chair), 사무총장(Direct-General), 총회, 이사회 등으로 이루어진다.[3] GGGI의 회원 자격은 녹색 성장 목표에 동의하는 모든 국제 연합 회원국에 열려있다.[3] 조직은 투자 및 정책 솔루션 부서(ISPD), 녹색성장 계획 및 실행 부서 (GGPI), 운영 지원 부서로 이루어지며, 각 부서는 사무차장(Assistant Direct-General)이 맡는다.

4. 1. 총회 (Assembly)

총회는 이사회 위원과 사무총장을 선출한다. 회의의 장은 기관장이 맡으며, 부의장은 임기 2년으로 공여국 1국, 참여국 1국이 맡는다.[1]

4. 2. 이사회 (Council)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의 이사회는 전략, 예산, 신입 회원 가입, 프로그램 승인 등 실질적인 집행 기구 역할을 한다. 이사회는 사무총장, 대한민국(사무국 소재국으로서 영구적 투표권), 공여국 5개국, 참여국 5개국, 민간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되어 투표권을 행사한다.[1]

이사회를 보조하는 소위원회(MPSC, The Management and Program Sub-Committee of the Council)는 공여국 1개국, 참여국 1개국, 민간 전문가 1인으로 구성된다.[1]

4. 3. 소위원회 (MPSC)

소위원회(MPSC, The Management and Program Sub-Committee of the Council)는 이사회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공여국 1국, 참여국 1국, 민간전문가 1인으로 구성된다.[1]

4. 4. 자문위원회

GGGI는 회원국 간의 협약에 따라 운영되며, 거버넌스 구조는 모든 회원국을 포함하는 총회와 전략, 예산 및 회원 자격을 담당하는 이사회로 구성된다. 또한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가 전략적 지침을 제공한다.[3]

5. 회원 자격

GGGI의 회원 자격은 녹색 성장 목표에 동의하는 모든 국제 연합 회원국에 열려 있다.[3]

6. 관련 기구

녹색성장 전략은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가, 재원은 녹색 기후 기금 (GCF)가, 기술은 녹색기술센터(GTC)가 각각 맡는다. 대한민국 내의 세 녹색 관련 기관들을 '그린 트라이앵글'이라고 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artners http://gggi.org/part[...]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2019-02-23
[2]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7 http://gggi.org/sit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2019-02-23
[3] 웹사이트 About GGGI: Organizational Overview http://gggi.org/abou[...]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2014-07-16
[4] 웹사이트 Green Growth for All: Converting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http://www.uncsd2012[...]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2014-07-16
[5] 문서 제1조 (설립)
1.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이하 "GGGI"라 한다)는 이에 의하여 국제기구로 설립된다.
2. GGGI 본부는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

[6] 뉴스 GGGI 공식출범..국제기구로 활동 본격화(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10-23
[7] 뉴스 GGGI 공식 출범 '그린 트라이앵글' 본격화 http://www.e2news.co[...] 이투뉴스 2012-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