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원군은 조선 중종과 귀인 홍씨의 서 3남으로, 1520년 금원군에 책봉되었다. 그는 종을 시켜 사헌부 서리를 끌어내려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고, 승려들과 내통하여 불사를 올린 일로 명종에게 추고를 받기도 했다. 1562년에 사망했으며, 묘는 경기도 양주 불광산 기슭에 안장되었다가 서울특별시 갈현동을 거쳐 포천군 신북면 심곡리로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2년 사망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 1562년 사망 - 앙투안 드 방돔 공작
앙투안 드 방돔 공작은 부르봉 가문 출신으로 방돔 공작 샤를 4세의 아들이자 앙리 4세의 아버지이며, 나바라 여왕 잔 3세의 남편으로서 나바라 왕국의 공동 통치자였고, 프랑스 종교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프랑스 왕국의 총사령관으로 활동 중 사망했다. - 1513년 출생 - 사나다 유키타카
사나다 유키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시나노 평정을 돕고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만년에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 1513년 출생 - 오만도코로
오만도코로는 센고쿠 시대 인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어머니이며, 히데요시가 간파쿠가 된 후 오만도코로의 호를 받았고 1592년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금원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중종의 왕자 |
휘 | 영(齡, 岭, 岺) |
아버지 | 중종 |
어머니 | 희빈 홍씨 |
능묘 | 금원군 묘 -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심곡리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파징군부인 해주 정씨 |
자녀 | 1녀(+ 양자 1남) - 딸 이견복, 양자 하릉군 |
2. 생애
1513년 (음력 6월 9일) (7월 11일) 중종과 귀인 홍씨(훗날의 희빈 홍씨)의 서3남으로 태어났다.[4] 1520년(중종 15년) 8살 때 금원군(錦原君)에 책봉되었다.[5]
1535년(중종 30년) 금원군은 자신의 종을 시켜 사헌부에 들어가 서리를 끌어내는 일을 저질러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9] 1552년(명종 7년) 문소전과 연은전의 도제조를 겸하였고, 1553년(명종 8년) 사옹원 도제조, 1555년(명종 10년) 종부시 도제조, 1557년(명종 12년) 종친부 일을 맡았다.[4] 그러나 1559년(명종 14년) 유교 국가인 조선에서 승려들과 내통하고 불사를 올리는 바람에 탄핵을 받았다.[2]
1562년(명종 17년) 음력 4월 7일(5월 9일) 50세로 사망하였다. 장지는 거북점의 조짐이 좋지 못해 두 번이나 바꾼 후 이듬해인 1563년(명종 18년) 경기도 양주의 불광산 기슭에 안장되었다.[4] 묘는 1970년 서울특별시의 택지 개발 확장 사업으로 인해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심곡리로 이장되었다.[11]
송인은 묘갈명에 금원군에 대해 사람이 순하고 소박하며 꾸밈이 없었다고 기록하였다. 또 주색잡기에는 관심이 없었고, 다른 사람들과 내통하지 않고 깊은 곳에서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였다고 하였다.[4]
2. 1. 가계
1513년 (음력 6월 9일) (7월 11일)[4] 중종과 귀인 홍씨(훗날의 희빈 홍씨)의 서3남으로 태어났다. 봉성군의 친형이며, 인종과 명종, 덕흥대원군의 이복형이다.2. 2. 왕자 시절
1520년(중종 15년) 음력 12월 27일, 8살 때 정식으로 금원군(錦原君)에 책봉되었다[5]. 이후 중종은 자신의 자식들을 위해 집을 짓는 역사를 지속했는데, 일부에서 이러한 역사가 사치스럽다는 지적을 하였다[6]. 이에 중종은 감역관을 통해 법제를 위반하는지 조사케 하고[7], 금원군의 집에 있는 서청을 철거시켰다[8].1535년(중종 30년) 음력 1월 4일, 금원군이 자신의 종을 시켜 사헌부에 들어가 서리를 끌어내는 일을 저질러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9]. 당시 대신들은 금원군에 대한 파출을 요청하였으나, 중종은 윤허하지 않았다[10].
1552년(명종 7년) 문소전과 연은전의 도제조를 겸하게 되었고, 1553년(명종 8년) 사옹원 도제조, 1555년(명종 10년) 종부시 도제조, 1557년(명종 12년) 종친부 일을 관장하게 되었다[4]. 그러나 1559년(명종 14년) 음력 11월, 금원군은 유교 국가인 조선에서 승려들과 내통하고 불사를 올리는 바람에 또 탄핵을 받았다. 이때 명종은 이복형인 금원군에 대해 추고하는 선에서 마무리를 짓고, 여러 차례에 걸쳐 대신들이 올린 금원군 파직 상소는 모두 윤허하지 않았다[2].
2. 3. 사망
금원군은 1562년(명종 17년) 음력 4월 7일(5월 9일) 향년 50세로 사망하였다. 장지는 거북점의 조짐이 좋지 못해 두 번이나 바꾼 후 이듬해인 1563년(명종 18년) 음력 3월 7일 경기도 양주의 불광산 기슭에 안장되었다[4]. 금원군의 묘가 있던 지역은 훗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갈현동에 편입되었는데, 1970년 서울특별시의 택지 개발 확장 사업으로 인해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심곡리로 묘를 이장하였다. 인근에는 생모인 희빈 홍씨, 양자 하릉군, 하릉군의 양자 영제군의 묘소가 함께 있다[11].2. 4. 평가
송인은 묘갈명에 금원군에 대해 사람이 순하고 소박하며 꾸밈이 없었다고 기록하였다. 또 주색잡기에는 관심이 없었고, 다른 사람들과 내통하지 않고 깊은 곳에서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였다고도 하였다. 금원군이 병이 들자 명종은 내의원을 보내어 치료케 하였으며, 금원군이 세상을 뜨자 매우 슬퍼하였다고 한다.[4]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성종 | 조선 제9대 왕 |
조모 | 정현왕후 | |
부왕 | 중종 | 조선 제11대 왕 |
외조부 | 홍경주 | |
외조모 | 안동 권씨 | 권금성(權金成)의 딸 |
생모 | 희빈 홍씨 | |
남동생 | 봉성군 | |
장인 | 정승휴 | 좌찬성 행충훈부도사에 추증[12] |
부인 | 파징군부인 | 해주 정씨[13] |
딸 | 이견복(李堅福) | |
사위 | 남관 | |
외손자 | 남이성(南以聖) | |
외손녀 | 남란(南蘭) | |
외손자 | 남이현(南以賢) | |
양자 | 하릉군 | 덕흥대원군의 차남[4] |
며느리 | 평산군부인 신씨 | 신여종(申汝悰)의 딸 |
양손자 | 영제군 | 하원군의 3남 |
며느리(측실) | 억금(億今) | 양민 출신 |
서손자 | 교성도정 이선(李善) | |
서손자 | 이현(李賢) | |
며느리(측실) | 순화(順花) | 노비 출신 |
서손녀 | 이팔옥(李八玉) |
금원군은 해주 정씨 정승휴[12]의 딸과 결혼하였으며, 부인 정씨는 파징군부인의 작위를 받았다. 정씨는 딸만 하나 낳았으며, 딸은 남관에게 시집을 가 2남 1녀를 두었다. 훗날 금원군의 후사는 이복 남동생 덕흥군 (창빈 안씨의 차남)의 차남 하릉군이 이었다[4].
참조
[1]
조선왕조실록
인종 1권, 1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1월 24일(무오) 3번째기사
[2]
조선왕조실록
명종 25권, 14년(1559 기미 / 명 가정 38년) 11월 9일(병자) 1번째기사
[3]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금원군〉
https://web.archive.[...]
2012-07-15
[4]
웹사이트
국조인물고 - 이영의 묘갈명
https://terms.naver.[...]
[5]
조선왕조실록
중종 41권, 15년(1520 경진 / 명 정덕 15년) 12월 27일(신해) 2번째기사
[6]
조선왕조실록
중종 52권, 19년(1524 갑신 / 명 가정 3년) 12월 21일(신해) 4번째기사
[7]
조선왕조실록
중종 54권, 20년(1525 을유 / 명 가정 4년) 4월 24일(계축) 2번째기사
[8]
조선왕조실록
중종 54권, 20년(1525 을유 / 명 가정 4년) 4월 29일(무오) 3번째기사
[9]
조선왕조실록
중종 79권, 30년(1535 을미 / 명 가정 14년) 1월 5일(병인) 2번째기사
[10]
조선왕조실록
중종 79권, 30년(1535 을미 / 명 가정 14년) 1월 8일(기사) 1번째기사
[11]
웹인용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금원군 약사
https://web.archive.[...]
2012-07-16
[12]
서적
조선의 왕실과 외척
김영사
2003-04-30
[13]
웹사이트
http://visualjose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