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성군은 조선 중종과 희빈 홍씨의 차남으로, 을사사화와 정미사화에 연루되어 20세의 나이로 자진한 인물이다. 1528년에 태어나 금원군의 동생이며 인종의 이복동생이다. 1545년 윤임 일파의 역모에 연루되어 투옥되었으며, 명종은 봉성군을 보호하려 했으나, 결국 1547년 정미사화로 인해 자진하게 된다. 1567년에 신원되었으며, 영조 때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8년 출생 - 아케치 미쓰히데
아케치 미쓰히데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으나 혼노지의 변을 일으켜 그를 살해했으며, 전략과 행정에 능하고 문화적 교양도 뛰어났지만 야마자키 전투에서 패배 후 살해당해 그의 삶과 죽음은 역사적 논쟁과 창작물의 소재가 되고 있다. - 1528년 출생 - 후안 데 가라이
후안 데 가라이는 16세기 스페인 제국의 군인, 탐험가, 정치가로서, 아순시온 총독을 거쳐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재건설하고 파라나 강 탐험을 통해 산타페 데 라 베라크루스 시를 건설했으며, 1583년 사망했다. - 1547년 사망 - 에르난 코르테스
에르난 코르테스는 16세기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로, 멕시코 원정을 통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했지만, 정복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아즈텍 문명 파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547년 사망 - 윤원로
윤원로는 조선 중기 문정왕후의 친척이자 윤원형의 형으로, 급변하는 정치 상황 속에서 부침을 겪으며 윤임 등과의 갈등, 을사사화 연루, 동생 윤원형과의 정쟁 끝에 사사된 인물이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봉성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중종의 왕자 |
시호 | 의민(懿愍) |
휘 | 완(岏) |
출생일 | (음력)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별궁 |
사망일 | (음력) |
사망지 | 조선 강원도 평창군 |
능묘 | 봉성군묘(鳳城君墓)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중종 |
어머니 | 희빈 홍씨 |
배우자 | 군부인 동래 정씨 |
자녀 | 1녀 |
딸 | 이개 |
양자 | 문성군 이건 |
2. 생애
1528년 중종과 희빈 홍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금원군의 친동생이며, 인종의 이복동생이자, 명종과 덕흥대원군(선조의 아버지)의 이복 형이다.[1]
중종실록에는 봉성군의 집을 짓는 문제와 봉성군이 부리던 종과 관련된 사건만이 기록되어 있어, 봉성군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찾기 어렵다.[4][5] 봉성군은 정랑을 지낸 동래 정씨 정유인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그 시기는 정확히 기록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1545년(인종 원년)으로 추정된다.[6]
1545년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경기도 관찰사 김명윤이 역모를 고변하였다. 이 고변은 윤임이 경원대군(명종) 대신 봉성군을 왕위에 앉히려 했다는 내용이었다.[8] 김명윤은 봉성군의 이모부였는데, 명종 즉위 후 권력을 잡은 문정왕후와 그 누이 윤원형 및 이기 등에게 아부하기 위해 이같은 일을 꾸민 것이다.[2]
명종은 봉성군이 어리다는 이유로 처음에는 신문하지 말라고 했으나,[8] 관련자들의 공초에서 봉성군의 이름이 계속 거론되면서 탄핵을 받았다.[10][11][12] 명종은 봉성군을 보호하려 했으나,[13][14] 결국 1546년(명종 원년) 강원도 울진으로 귀양을 갔다.[17][18] 유배 도중 평창에서 병에 걸려 평창으로 유배지가 옮겨졌고, 명종은 약과 의원을 보내 치료를 지원했다.[19][20][21]
1547년(명종 2년) 양재역 벽서 사건(정미사화)이 발생하여 윤원형 일파는 윤임 일파와 봉성군을 모두 죽일 것을 주장했다.[23][24] 명종은 계림군에 대해서만 사사를 명했으나, 봉성군을 죽이라는 상소는 계속되었다.[27] 당시 홍문관에 재직 중이던 이황도 봉성군을 죽이라는 차자를 올렸다고 전해진다.[30]
2. 1. 가계
봉성군은 성은 이(李), 이름은 완(岏) 또는 항(𡵻)이며[1], 본관은 전주, 자는 자첨(子瞻)이다[2]. 1528년 중종과 희빈 홍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금원군의 친동생이며, 인종의 이복동생이자, 명종과 덕흥대원군(선조의 아버지)의 이복 형이다.어머니 희빈 홍씨는 정국공신 남양 홍씨 홍경주의 딸로, 정국공신들에 의해 정략적으로 후궁이 되었다. 희빈 홍씨는 사림파와 조광조 일파 제거에 앞장섰으며, 금원군과 봉성군 두 아들을 두었다[3].
2. 2. 왕자 시절
중종실록의 기록에는 봉성군의 집을 짓는 일로 인해 대간들이 상소를 올려 그 공사가 중지된 내용과[4], 봉성군이 부리던 종이 다른 집의 종과 싸운 일 등만 기록되어 있고 봉성군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5]. 한편 봉성군은 정랑을 지낸 동래 정씨 정유인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그 혼인 시기는 정확히 기록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1545년(인종 원년)으로 추정된다[6].2. 3. 을사사화 연루
1545년(인종 원년, 명종 즉위년) 인종이 즉위 8개월 만에 요절하고 명종이 즉위하였다. 이 해 음력 9월 1일 당시 경기도 관찰사이던 김명윤이 역모를 고변하였는데, 그 내용은 인종의 외숙부 윤임이 경원대군(명종) 대신 계림군[7]이나 나이가 어린 봉성군을 왕위에 앉히려 했다는 것이다. 당시 명종은 계림군에 대해서는 잡아들일 것을 지시했으나, 봉성군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특별히 가담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하여 우선 신문하지 말라고 하였다.[8] 당시 이 역모를 고변한 김명윤은 봉성군의 이모부였는데, 명종 즉위 후 권력을 잡은 명종의 모후 문정왕후와 그 누이 윤원형 및 이기 등에게 아부하기 위해 이같은 일을 꾸민 것이다.[2] 이른바 을사사화의 시작이다.[9]그러나 고변 5일 후인 음력 9월 6일부터 시작된 관련자들에 대한 공초에서 지속적으로 봉성군의 이름이 나오기 시작했다. 윤임이 인종이 죽으면 질병이 있는 경원대군 대신 계림군 혹은 봉성군을 왕위에 세우려 했다는 것이었다. 이유는 경원대군이 왕위에 오르면 그 외숙 윤원로 등이 득세하여 반드시 자신의 집안은 멸문을 당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며, 계림군 혹은 봉성군을 세우면 명종을 축출할 수 있다는 말도 나왔다.[10][11][12] 결국 이러한 이유로 봉성군은 수 차례에 걸쳐 대간으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명종은 계속해서 봉성군에 대해 나이가 어려 보호해주고자 하였다.[13][14] 한편 봉성군의 생모 희빈 홍씨는 일련의 일들이 벌어지면서 마음이 불편해져 결국 대궐에서 나와 사가로 돌아갔다.[15] 그러나 이후에도 대간들의 봉성군 탄핵은 계속되었고,[16] 결국 이듬해인 1546년(명종 원년) 음력 9월 12일 강원도 울진[17]으로 귀양을 갔다.[18]
그러나 봉성군이 유배를 가던 도중 평창에서 병에 걸려 그곳에 머물러 있음을[19] 알게 된 명종은 그 유배지를 평창[20]으로 옮겼고, 약과 의원을 보내어 이를 치료하게 하였다.[21]
2. 4. 정미사화와 죽음
1547년(명종 2년) 음력 9월 18일, 부제학 정언각이 한강 이남의 양재역[22]에서 한 장의 익명서를 발견하고 이를 명종에게 고하였다. 당시 익명서에는 "여주가 위에서 정권을 잡고 간신 이기 등이 아래에서 권세를 농간하고 있으니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서서 기다릴 수 있게 되었다. 어찌 한심하지 않은가. 중추월 그믐날."이라는 내용이 붉은 글씨로 쓰여 있었다. 이른바 양재역 벽서 사건이며, 을사사화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로 정미사화라고도 한다[23][24]. 당시 이 사건은 문정왕후와 윤원형 일파가 사림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한 사건이었다[25][26].윤원형 일파는 애초에 윤임 등의 역모를 다스릴 때에 그 처벌을 가벼이 했기 때문이라고 간하고, 이어 윤임 일파는 물론이고 봉성군에 대해서도 모조리 죽일 것을 간하였다. 이때 명종은 계림군에 대해서만 사사를 명하였는데, 당시 이 사건을 《실록》에 기록한 사관은 이기 일파가 윤임 일파를 역적으로 몰아버리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봉성군마저 죽일 것을 간한 것은 너무 심한 처사라며 비판하였다[27]. 그러나 이후에도 봉성군을 죽이라는 상소는 계속되었으나, 명종은 전혀 윤허하지 않았다[28][29].
한편 당시 홍문관에 재직 중이던 이황도 봉성군을 죽이라는 차자를 올렸다고 그 제자가 증언하였다[30].
3. 평가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봉성군에 대해 "총명하고 중종의 왕자들 중 가장 현명했던 탓에, 을사년에 가장 참혹한 화를 만났다. 역도들이 봉성군을 내세우기는 하였으나 정작 봉성군이 직접 한 일은 아무것도 없고, 아무것도 몰랐다. 봉성군은 왕의 지친이므로 모든 사람들이 죽이라고 해도 보호했어야 하는데, 이때 자진하라고 하였으니 사실은 죽인 것이다. 춘추필법(春秋筆法)이라면 '공자 완(岏)을 죽였다.'고 썼을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31]
4. 기타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태봉산은 산 정상에 봉성군의 태실을 묻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현재는 그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일부 기록상에서만 그 태실이 묻혔음을 확인할 수 있다.[33]
참조
[1]
문서
《국조인물고》〈이건〉
https://terms.naver.[...]
[2]
웹인용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봉성군 약사
https://web.archive.[...]
2012-08-12
[3]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희빈홍씨〉
https://web.archive.[...]
2012-08-12
[4]
실록
《조선왕조실록》중종 91권, 34년(1539 기해 / 명 가정 18년) 6월 22일(무오) 2번째기사
[5]
실록
《조선왕조실록》중종 94권, 35년(1540 경자 / 명 가정 19년) 10월 24일(임오) 2번째기사
[6]
실록
《조선왕조실록》인종 1권, 1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1월 24일(무오) 3번째기사
[7]
두산백과
두산백과 〈계림군〉
https://terms.naver.[...]
[8]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9월 1일(신유) 3번째기사
[9]
두산백과
두산백과 〈계림군〉
https://terms.naver.[...]
[10]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9월 6일(병인) 3번째기사
[11]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9월 6일(병인) 9번째기사
[12]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9월 6일(병인) 13번째기사
[13]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9월 11일(신미) 6번째기사
[14]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9월 18일(무인) 1번째기사
[15]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9월 21일(신사) 5번째기사
[16]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2권, 즉위년(1545 을사 / 명 가정 24년) 10월 9일(무술) 2번째기사
[17]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울진군〉
https://terms.naver.[...]
[18]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4권, 1년(1546 병오 / 명 가정 25년) 9월 12일(병인) 3번째기사
[19]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4권, 1년(1546 병오 / 명 가정 25년) 9월 27일(신사) 2번째기사
[20]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평창군〉
https://terms.naver.[...]
[21]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4권, 1년(1546 병오 / 명 가정 25년) 9월 28일(임오) 5번째기사
[22]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양재역〉
https://terms.naver.[...]
[23]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6권, 2년(1547 정미 / 명 가정(嘉靖) 26년) 9월 18일(병인) 3번째기사
[24]
두산백과
두산백과 〈정미사화〉
https://terms.naver.[...]
[25]
서적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해냄
2008-05-15
[26]
뉴스
조선 왕실의 측천무후 50여 년간 국정 쥐락펴락 -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 태릉
http://weekly.donga.[...]
주간동아
2010-08-02
[27]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6권, 2년(1547 정미 / 명 가정 26년) 9월 18일(병인) 3번째기사
[28]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6권, 2년(1547 정미 / 명 가정 26년) 윤9월 4일(임오) 3번째기사
[29]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6권, 2년(1547 정미 / 명 가정 26년) 윤9월 14일(임진) 4번째기사
[30]
뉴스
2003년 古書 한권이 발견됐다… 그러나 아무도 연구하지 않았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2-09
[31]
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6권, 2년(1547 정미 / 명 가정 26년) 윤9월 16일(갑오) 4번째기사
[32]
실록
《조선왕조실록》선조 1권, 즉위년(1567 정묘 / 명 융경 1년) 10월 15일(병신) 1번째기사
[33]
디지털칠곡문화대전
디지털칠곡문화대전 〈태봉산 태실〉
http://chilgok.grand[...]
[34]
선원록
선원록 참고
[35]
문서
《국조인물고》〈이세준〉
https://terms.naver.[...]
[36]
문서
심강의 아들, 인순왕후의 남동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