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포드 강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포드 강연은 1888년부터 스코틀랜드의 애버딘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매년 개최되는 강연이다. 이 강연은 애덤 기포드 경의 유언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종교,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학자들이 참여하여 깊이 있는 주제들을 다룬다. 윌리엄 제임스,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카를 바르트, 한나 아렌트, 칼 세이건 등 역사적으로 영향력 있는 학자들이 강연자로 참여했으며, 주요 강연 내용은 번역 및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 교리
교리는 종교의 핵심 가르침을 의미하며, 신앙과 실천의 기초를 형성하고 종교와 교파에 따라 의미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 종교 - 다신교
다신교는 여러 신을 숭배하는 신앙 체계로, 신들의 본질과 역할,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포함하며 고대 종교와 현대 종교에서 나타나고, 일신교 내에서도 다신교적 해석이 가능하다. - 신학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신학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기포드 강연 | |
---|---|
개요 | |
유형 | 연례 강연 시리즈 |
주제 | 자연 신학 |
설립자 | 아담 기포드 경 |
창립 연도 | 1887년 |
첫 강연 | 1888년 |
장소 | 스코틀랜드 4개 대학 |
상세 정보 | |
목적 | 자연 신학 발전 |
특징 | 종교적 제한 없는 자유로운 강연 |
강연료 | 소액 (강연 운영 및 가치 유지를 위함) |
청강 대상 | 대학생 및 일반 대중 |
강의 방식 | 공개 강연 및 특별 학생반 운영 (시험 및 논문 지도) |
첫 여성 강사 | 해나 아렌트 |
기타 | |
관련 링크 | 기포드 강연 공식 웹사이트 |
2. 기포드 강연의 역사
기포드 강연은 1885년 애덤 기포드 경의 유언에 따라 설립되었다. 기포드 경은 "자연 신학"을 "널리 대중에게 알리고", "스코틀랜드의 모든 계층의 사람들 사이에서" 학문적으로 토론할 수 있도록 강연을 설립하고자 했다. 그의 유언에 따라 스코틀랜드의 주요 대학들(애버딘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에서 강연이 개최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주로 신학과 철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들이 강연을 맡았다. 윌리엄 제임스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1900-1902)을, 앙리 베르그송은 ''인격의 문제''(1913-1914)를 강연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자연 종교 등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1888-1892)
20세기 중반 이후, 강연 주제는 과학, 종교, 철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해졌다. 닐스 보어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인과성과 상호 보완성''(1949-1950)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철학''(1955-1956)을 강연했다. 칼 세이건은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과학적 경험의 다양성''(1985)을 주제로 강연했다.
2. 1. 강연의 구성
기포드 강연은 스코틀랜드의 주요 대학에서 개최되며, 각 대학은 자체적인 강연 시리즈를 주관한다.
스코틀랜드의 애버딘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에서 진행된 기포드 강연의 주요 강연자와 주제는 다음과 같다.
3. 주요 강연자 및 주제 (대학별)
=== 애버딘 대학교 ===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1901-02) 강연은 종교적 경험의 심리학적 측면을 탐구했다.[8]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1927-28) 강연은 형이상학적 체계를 제시하며 과정 철학의 기초를 다졌다.[8] 카를 바르트는 ''종교개혁의 가르침에 따른 신의 지식과 신의 봉사''(1936-38) 강연을 통해 신학적 관점에서 신과 인간의 관계를 논했다.[8] 한나 아렌트는 ''정신의 삶''(1973) 강연에서 인간 정신의 활동과 그 의미를 철학적으로 고찰했다.[8] 앨리스터 맥그래스는 ''미세 조정된 우주: 과학과 신학에서의 신에 대한 탐구''(2009) 강연을 통해 현대 과학과 신학의 대화를 모색했다.[8]연도 강사 강연 1901-02 윌리엄 제임스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1927-28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 1936–38 카를 바르트 The Knowledge of God and the Service of God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Reformation 1973 한나 아렌트 Life of the Mind 2009 앨리스터 맥그래스 A Fine-Tuned Universe: The Quest for God in Science and Theology
=== 에든버러 대학교 ===
1889년부터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기포드 강연이 개최되었다.연도 강사 강연 1891 조지 스토크스 자연 신학 1900-02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1909-10 윌리엄 웨이드 파울러 로마인의 종교적 경험 1911-12 버나드 보전켓 개성의 원리와 가치 1913-14 앙리 베르그송 개성의 문제[22] 1915-16 윌리엄 미첼 램지 그리스 문명 속의 아시아 요소 1919-21 조지 스타우트 정신과 물질 (1931년 출판) 1921-23 앤드루 세스 프링글패티슨 종교 철학 연구 1923-25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자연 숭배 1926-27 아서 에딩턴 물리적 세계의 본질 1927-28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 우주론에 대한 에세이 1928-29 존 듀이 확실성을 위한 탐구: 지식과 행동의 관계 연구 1934-35 알베르트 슈바이처 자연 신학 및 자연 윤리의 문제 (미출판)[22] 1937-38 찰스 셰링턴 그의 본성에 따른 인간 1938-40 라인홀드 니버 인간의 본성과 운명: 기독교적 해석[22] 1947-49 크리스토퍼 도슨 제1권: 종교와 문화, 제2권: 종교와 서양 문화의 부상 (1950) 1949-50 닐스 보어 인과관계와 상보성: 원자 물리학 연구의 인식론적 교훈 1952-53 아널드 J. 토인비 종교에 대한 역사가의 접근 1954-55 루돌프 불트만 역사와 종말론: 영원의 현존 1973-74 오언 채드윅 19세기의 유럽 정신의 세속화 1974-76 스탠리 자키 과학의 길과 하나님께 이르는 길 1978-79 존 에클스 경 인간의 신비, 인간 정신 1979-80 니니안 스마트 종교적 정체성의 다양성, 이데올로기를 넘어: 서구 문명의 종교와 미래로 출판 1980-81 세예드 호세인 나스르 지식과 성스러운 것 1981-82 아이리스 머독 도덕의 지침으로서의 형이상학 1983-84 데이비드 데이체스 하나님과 시인 1984-85 위르겐 몰트만 창조 속의 하나님: 창조와 하나님의 영에 대한 새로운 신학[22] 1985-86 폴 리쾨르 자신을 다른 사람으로 1986-87 존 힉 종교의 해석 1987-88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도덕 탐구의 세 가지 경쟁적 버전 1988-89 라이몬 파니카르 삼위일체와 유신론 1989-90 메리 더글러스 하나님에 대한 주장 (광야에서로 출판) 1993-94 존 폴킹혼 과학과 기독교 신앙: 밑바닥 사고가의 신학적 성찰 1995-96 G. A. 코헨 만약 당신이 평등주의자라면, 왜 그렇게 부자입니까? 1996-97 리처드 소라비 감정과 그것을 대처하는 방법 (스토아적 동요에서 기독교적 유혹까지: 감정과 마음의 평화로 출판) 1997-98 홈즈 롤스턴 3세 유전자, 창세기, 하나님 1998-99 찰스 테일러 세속 시대에 살기 (세속 시대로 출판) 1999-2000 데이비드 트레이시 하나님의 이 편 2000-01 오노라 오닐 생명 윤리학의 자율성과 신뢰 2001-02 모하메드 아르쿤 이슬람적 이성의 비판 시작 2002-03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작은 악: 테러 시대의 정치 윤리 2003-04 J. 벤젤 반 휴이스텐 세상에 홀로? 과학과 신학에서의 인간의 고유성 2004-05 마가렛 앤스티, 스티븐 툴민, 노엄 촘스키 에드워드 사이드를 기리기 위해 2004-05 시리즈를 헌정 2005-06 진 베스케 엘슈테인 주권적 하나님, 주권적 국가, 주권적 자아 2006-07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 다윈의 나침반: 진화가 어떻게 창조의 노래를 발견하는가 및 조나단 라일리-스미스 십자군과 기독교 2007-08 알렉산더 네하마스 "그가 그랬으니까, 내가 그랬으니까": 삶에서 우정의 자리 2008 로버트 M. 비치 히포크라테스적, 종교적, 세속적 의학 윤리: 갈등의 요점 2008-09 다이애나 엑 다원주의 시대 2009-10 마이클 가자니가 정신적 삶 및 테리 이글턴 하나님 논쟁 2010-11 피터 해리슨 과학, 종교 및 현대 세계 및 고든 브라운 일자리와 정의의 미래 2011-12 디어미드 맥컬로크 홈즈의 개: 교회사 침묵 및 짐 알-할릴리 앨런 튜링: 암호 해독가의 유산 2012-13 브루노 라투르 "자연에서 벗어나" - 플레오나즘으로서의 자연 종교 및 스티븐 핑커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 폭력과 인류의 역사[22] 2013-14 오노라 오닐 관용에서 표현의 자유로, 로완 윌리엄스 표현 만들기: 종교적 신념과 언어 습관, 캐서린 오레간 "카이사르의 것은 무엇인가?" 현대 헌법 민주주의에서의 신앙 판결 2014-15 제레미 월드론 서로의 동등자: 인간 평등의 기초
=== 글래스고 대학교 ===연도 강사 강연 제목 1888-92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 자연 종교 (1888), 물리 종교 (1890), 인류학적 종교 (1891), 신지학 또는 심리학적 종교 (1892) 1892-96 존 케어드 기독교의 근본 사상 1896-98 알렉산더 발메인 브루스 세계의 도덕 질서, 세계의 섭리 질서 1914 아서 밸푸어 유신론과 휴머니즘 1916-18 새뮤얼 알렉산더 공간, 시간, 그리고 신 1922 아서 밸푸어 유신론과 사상 1927-28 J. B. S. 홀데인 과학과 철학 1932-34 윌리엄 템플 자연, 인간, 그리고 신 1952-54 존 맥머리 개인의 형식: 행위자로서의 자아, 관계 속의 사람들 1959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과학의 타당성 1965 허버트 버터필드 역사적 글쓰기와 기독교 신념, 인간의 신념과 역사적 글쓰기의 발전[23] 1970 리처드 윌리엄 서던 중세 종교 사상의 흥망성쇠 1974-76 바실 미첼 도덕, 종교 및 세속 1985 칼 세이건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한 탐구 1986 도널드 M. 매케이 눈 뒤에서[24] 1988 돈 쿠핏 자연과 문화 리처드 도킨스 소우주 속의 세계 1992 메리 워녹 상상력과 이해 (상상력과 시간으로 출판) 1993-94 키스 워드 종교와 계시 1995-96 제프리 캔터, 존 헤들리 브룩 자연 재구성 1997-98 R. J. 베리 신, 유전자, 녹색과 모든 것 1999-00 랄프 맥이너니 저자를 찾는 등장인물 2001 린 베이커, 브라이언 헤블스웨이트, 필립 존슨-레어드, 조지 레이코프, 마이클 루스 인간 이해의 본질과 한계 2003-04 사이먼 블랙번 이성의 제국 2007-08 데이비드 퍼거슨 종교와 최근의 비평가들 (신앙과 그 비평가들: 대화로 출판) 2008-09 찰스 테일러 세속주의 정권의 필요성 2009-10 잔니 바티모 현실의 종말 2012 빌라야누르 S. 라마찬드란 몸과 마음: 신경과학의 통찰 2014 장뤽 마리옹 주어짐과 계시 2015 페리 슈미트-로이켈 종교 간 신학: 신학의 미래 모습 2016 션 M. 캐럴 빅 픽처: 생명의 기원, 의미, 그리고 우주 자체에 관하여
===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물리학과 철학: 현대 과학의 혁명''(1955-56)은 양자역학과 철학의 관계를 탐구했다.[1] 힐러리 퍼트넘의 ''철학 갱신''(1990-91)은 현대 철학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했다.[2] 앨빈 플랜팅가의 ''과학과 종교: 갈등인가 조화인가''(2004-05)는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다루었다.[3] 로저 스크루턴의 ''신의 얼굴''(2010)은 종교적 경험과 신앙의 의미를 탐색했다.[4]
3. 1. 애버딘 대학교
William James영어의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1901-02) 강연은 종교적 경험의 심리학적 측면을 탐구했다.[8]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1927-28) 강연은 형이상학적 체계를 제시하며 과정 철학의 기초를 다졌다.[8] 카를 바르트는 ''종교개혁의 가르침에 따른 신의 지식과 신의 봉사''(1936-38) 강연을 통해 신학적 관점에서 신과 인간의 관계를 논했다.[8] 한나 아렌트는 ''정신의 삶''(1973) 강연에서 인간 정신의 활동과 그 의미를 철학적으로 고찰했다.[8] 앨리스터 맥그래스는 ''미세 조정된 우주: 과학과 신학에서의 신에 대한 탐구''(2009) 강연을 통해 현대 과학과 신학의 대화를 모색했다.[8]
연도 | 강사 | 강연 |
---|---|---|
1901-02 | 윌리엄 제임스 |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
1927-28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 과정과 실재 |
1936–38 | 카를 바르트 | The Knowledge of God and the Service of God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Reformation |
1973 | 한나 아렌트 | Life of the Mind |
2009 | 앨리스터 맥그래스 | A Fine-Tuned Universe: The Quest for God in Science and Theology |
3. 2. 에든버러 대학교
1889년부터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기포드 강연이 개최되었다.연도 | 강사 | 강연 |
---|---|---|
1891 | 조지 스토크스 | 자연 신학 |
1900-02 | 윌리엄 제임스 |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
1909-10 | 윌리엄 웨이드 파울러 | 로마인의 종교적 경험 |
1911-12 | 버나드 보전켓 | 개성의 원리와 가치 |
1913-14 | 앙리 베르그송 | 개성의 문제[22] |
1915-16 | 윌리엄 미첼 램지 | 그리스 문명 속의 아시아 요소 |
1919-21 | 조지 스타우트 | 정신과 물질 (1931년 출판) |
1921-23 | 앤드루 세스 프링글패티슨 | 종교 철학 연구 |
1923-25 |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 자연 숭배 |
1926-27 | 아서 에딩턴 | 물리적 세계의 본질 |
1927-28 |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 | 과정과 실재: 우주론에 대한 에세이 |
1928-29 | 존 듀이 | 확실성을 위한 탐구: 지식과 행동의 관계 연구 |
1934-35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자연 신학 및 자연 윤리의 문제 (미출판)[22] |
1937-38 | 찰스 셰링턴 | 그의 본성에 따른 인간 |
1938-40 | 라인홀드 니버 | 인간의 본성과 운명: 기독교적 해석[22] |
1947-49 | 크리스토퍼 도슨 | 제1권: 종교와 문화, 제2권: 종교와 서양 문화의 부상 (1950) |
1949-50 | 닐스 보어 | 인과관계와 상보성: 원자 물리학 연구의 인식론적 교훈 |
1952-53 | 아널드 J. 토인비 | 종교에 대한 역사가의 접근 |
1954-55 | 루돌프 불트만 | 역사와 종말론: 영원의 현존 |
1973-74 | 오언 채드윅 | 19세기의 유럽 정신의 세속화 |
1974-76 | 스탠리 자키 | 과학의 길과 하나님께 이르는 길 |
1978-79 | 존 에클스 경 | 인간의 신비, 인간 정신 |
1979-80 | 니니안 스마트 | 종교적 정체성의 다양성, 이데올로기를 넘어: 서구 문명의 종교와 미래로 출판 |
1980-81 | 세예드 호세인 나스르 | 지식과 성스러운 것 |
1981-82 | 아이리스 머독 | 도덕의 지침으로서의 형이상학 |
1983-84 | 데이비드 데이체스 | 하나님과 시인 |
1984-85 | 위르겐 몰트만 | 창조 속의 하나님: 창조와 하나님의 영에 대한 새로운 신학[22] |
1985-86 | 폴 리쾨르 | 자신을 다른 사람으로 |
1986-87 | 존 힉 | 종교의 해석 |
1987-88 |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 도덕 탐구의 세 가지 경쟁적 버전 |
1988-89 | 라이몬 파니카르 | 삼위일체와 유신론 |
1989-90 | 메리 더글러스 | 하나님에 대한 주장 (광야에서로 출판) |
1993-94 | 존 폴킹혼 | 과학과 기독교 신앙: 밑바닥 사고가의 신학적 성찰 |
1995-96 | G. A. 코헨 | 만약 당신이 평등주의자라면, 왜 그렇게 부자입니까? |
1996-97 | 리처드 소라비 | 감정과 그것을 대처하는 방법 (스토아적 동요에서 기독교적 유혹까지: 감정과 마음의 평화로 출판) |
1997-98 | 홈즈 롤스턴 3세 | 유전자, 창세기, 하나님 |
1998-99 | 찰스 테일러 | 세속 시대에 살기 (세속 시대로 출판) |
1999-2000 | 데이비드 트레이시 | 하나님의 이 편 |
2000-01 | 오노라 오닐 | 생명 윤리학의 자율성과 신뢰 |
2001-02 | 모하메드 아르쿤 | 이슬람적 이성의 비판 시작 |
2002-03 |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 작은 악: 테러 시대의 정치 윤리 |
2003-04 | J. 벤젤 반 휴이스텐 | 세상에 홀로? 과학과 신학에서의 인간의 고유성 |
2004-05 | 마가렛 앤스티, 스티븐 툴민,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사이드를 기리기 위해 2004-05 시리즈를 헌정 |
2005-06 | 진 베스케 엘슈테인 | 주권적 하나님, 주권적 국가, 주권적 자아 |
2006-07 |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 | 다윈의 나침반: 진화가 어떻게 창조의 노래를 발견하는가 및 조나단 라일리-스미스 십자군과 기독교 |
2007-08 | 알렉산더 네하마스 | "그가 그랬으니까, 내가 그랬으니까": 삶에서 우정의 자리 |
2008 | 로버트 M. 비치 | 히포크라테스적, 종교적, 세속적 의학 윤리: 갈등의 요점 |
2008-09 | 다이애나 엑 | 다원주의 시대 |
2009-10 | 마이클 가자니가 정신적 삶 및 테리 이글턴 하나님 논쟁 | |
2010-11 | 피터 해리슨 과학, 종교 및 현대 세계 및 고든 브라운 일자리와 정의의 미래 | |
2011-12 | 디어미드 맥컬로크 홈즈의 개: 교회사 침묵 및 짐 알-할릴리 앨런 튜링: 암호 해독가의 유산 | |
2012-13 | 브루노 라투르 "자연에서 벗어나" - 플레오나즘으로서의 자연 종교 및 스티븐 핑커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 폭력과 인류의 역사[22] | |
2013-14 | 오노라 오닐 관용에서 표현의 자유로, 로완 윌리엄스 표현 만들기: 종교적 신념과 언어 습관, 캐서린 오레간 "카이사르의 것은 무엇인가?" 현대 헌법 민주주의에서의 신앙 판결 | |
2014-15 | 제레미 월드론 | 서로의 동등자: 인간 평등의 기초 |
3. 3. 글래스고 대학교
연도 | 강사 | 강연 제목 |
---|---|---|
1888-92 |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 | 자연 종교 (1888), 물리 종교 (1890), 인류학적 종교 (1891), 신지학 또는 심리학적 종교 (1892) |
1892-96 | 존 케어드 | 기독교의 근본 사상 |
1896-98 | 알렉산더 발메인 브루스 | 세계의 도덕 질서, 세계의 섭리 질서 |
1914 | 아서 밸푸어 | 유신론과 휴머니즘 |
1916-18 | 새뮤얼 알렉산더 | 공간, 시간, 그리고 신 |
1922 | 아서 밸푸어 | 유신론과 사상 |
1927-28 | J. B. S. 홀데인 | 과학과 철학 |
1932-34 | 윌리엄 템플 | 자연, 인간, 그리고 신 |
1952-54 | 존 맥머리 | 개인의 형식: 행위자로서의 자아, 관계 속의 사람들 |
1959 |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과학의 타당성 |
1965 | 허버트 버터필드 | 역사적 글쓰기와 기독교 신념, 인간의 신념과 역사적 글쓰기의 발전[23] |
1970 | 리처드 윌리엄 서던 | 중세 종교 사상의 흥망성쇠 |
1974-76 | 바실 미첼 | 도덕, 종교 및 세속 |
1985 | 칼 세이건 |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한 탐구 |
1986 | 도널드 M. 매케이 | 눈 뒤에서[24] |
1988 | 돈 쿠핏 | 자연과 문화 |
리처드 도킨스 | 소우주 속의 세계 | |
1992 | 메리 워녹 | 상상력과 이해 (상상력과 시간으로 출판) |
1993-94 | 키스 워드 | 종교와 계시 |
1995-96 | 제프리 캔터, 존 헤들리 브룩 | 자연 재구성 |
1997-98 | R. J. 베리 | 신, 유전자, 녹색과 모든 것 |
1999-00 | 랄프 맥이너니 | 저자를 찾는 등장인물 |
2001 | 린 베이커, 브라이언 헤블스웨이트, 필립 존슨-레어드, 조지 레이코프, 마이클 루스 | 인간 이해의 본질과 한계 |
2003-04 | 사이먼 블랙번 | 이성의 제국 |
2007-08 | 데이비드 퍼거슨 | 종교와 최근의 비평가들 (신앙과 그 비평가들: 대화로 출판) |
2008-09 | 찰스 테일러 | 세속주의 정권의 필요성 |
2009-10 | 잔니 바티모 | 현실의 종말 |
2012 | 빌라야누르 S. 라마찬드란 | 몸과 마음: 신경과학의 통찰 |
2014 | 장뤽 마리옹 | 주어짐과 계시 |
2015 | 페리 슈미트-로이켈 | 종교 간 신학: 신학의 미래 모습 |
2016 | 션 M. 캐럴 | 빅 픽처: 생명의 기원, 의미, 그리고 우주 자체에 관하여 |
3. 4.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물리학과 철학: 현대 과학의 혁명''(1955-56)은 양자역학과 철학의 관계를 탐구했다.[1] 힐러리 퍼트넘의 ''철학 갱신''(1990-91)은 현대 철학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했다.[2] 앨빈 플랜팅가의 ''과학과 종교: 갈등인가 조화인가''(2004-05)는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다루었다.[3] 로저 스크루턴의 ''신의 얼굴''(2010)은 종교적 경험과 신앙의 의미를 탐색했다.[4]4. 기포드 강연과 한국 사회
기포드 강연은 스코틀랜드의 자연신학 강좌로, 한국 사회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참조
[1]
논문
Lord Gifford and his Lectures: The First Year (1888-1889)
https://scholarcommo[...]
1988
[2]
논문
Gifford Lectures
2013
[3]
뉴스
HDS Dean Hempton to Deliver Prestigious Gifford Lectures
https://hds.harvard.[...]
2021-09-29
[4]
웹사이트
100 Years of Lectures on Natural Theology - Lord Adam Gifford's Will TRUST DISPOSITION and SETTLEMENT of the late Adam Gifford, sometime one of the Senators of the College of Justice, Scotland, dated 21st August 1885.
https://www.giffordl[...]
The Gifford Lectures
2022-04-16
[5]
서적
The St. Andrews University Calendar for the Year 192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t Andrews
1922
[6]
서적
25 Years At St Andrews
https://books.google[...]
2022-02-14
[7]
웹사이트
Home :: Lecturers & Authors :: Hannah Arendt
https://www.giffordl[...]
n.d.
[8]
웹사이트
The Gifford Lectures
https://www.abdn.ac.[...]
University of Aberdeen
[9]
웹사이트
Gifford Lectures
https://www.ed.ac.uk[...]
University of Edinburgh
[10]
웹사이트
2012-13 Gifford Lecture
http://www.ed.ac.uk/[...]
University of Edinburgh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website
2013-08-04
[11]
웹사이트
The Glasgow Gifford Lectures
https://www.gla.ac.u[...]
University of Glasgow
[12]
웹사이트
Herbert Butterfield
https://www.giffordl[...]
2019-06-15
[13]
웹사이트
Gifford Lectures website entry
http://www.giffordle[...]
2013-08-04
[14]
웹사이트
The St Andrews Gifford Lectures
https://gifford.wp.s[...]
University of St Andrews
[15]
웹사이트
The Gifford Lectures
https://www.giffordl[...]
The Gifford Lectures
2022-01-31
[16]
웹사이트
Norm and Action
https://www.giffordl[...]
2019-06-15
[17]
웹사이트
Gifford Lecture Series - Books
http://www.giffordle[...]
2019-06-15
[18]
웹사이트
Gifford lectures 2021
https://gifford.wp.s[...]
2021-09-16
[19]
웹사이트
2012-13 Gifford Lecture
http://www.ed.ac.uk/[...]
University of Edinburgh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website
2013-08-04
[20]
웹사이트
http://www.giffordle[...]
[21]
웹사이트
Gifford Lectures website entry
http://www.giffordle[...]
2013-08-04
[22]
웹인용
2012-13 Gifford Lecture
http://www.ed.ac.uk/[...]
University of Edinburgh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website
2013-08-04
[2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iffordle[...]
2017-11-04
[24]
웹사이트
Gifford Lectures website entry
http://www.giffordle[...]
2013-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