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규 (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광규는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독문학자이다.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뮌헨 대학교에서 유학했다. 1975년 《문학과 지성》을 통해 등단하여, 시집 『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 『아니다 그렇지 않다』 등을 출간했다. 그는 독일 문학 작품 번역에도 기여했으며, 김수영 문학상, 이산문학상, 편운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수영 문학상 수상자 - 김용택
김용택은 섬진강을 배경으로 농촌의 삶과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를 주로 발표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교육자이며, 농민의 일상과 현실 비판을 담은 초기 시와 직관적이고 감성적인 1990년대 이후의 서정시를 창작했고, 김수영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윤동주문학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교사와 영화배우로도 활동했다. - 김수영 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이산문학상 수상자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이산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김광규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정보 | |
![]() | |
출생 | 1941년 1월 7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
직업 | 시인, 독문학자 |
언어 | 한국어, 영어, 독일어 |
국적 | 대한민국 |
2. 생애
1975년 《문학과 지성》을 통해 등단했다. 서울고등학교,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녹원문학상, 오늘의 작가상, 김수영 문학상, 이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2]
1979년 첫 시집 『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을 출간했다. 1981년 시선집 「반달곰에게」로 제5회 오늘의 작가상을, 1984년 『아니다 그렇지 않다』로 제4회 김수영 문학상을, 1994년 시집 『아니리』로 제4회 편운 문학상을 수상했다.[2]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1941년 1월 7일 경성부 종로구(현재의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한국 전쟁 당시 피난을 갔다가 1954년 서울로 돌아와 서울중학교,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중·고등학교 재학 시절 시인 조병화, 소설가 김광식에게 사사했다.[2] 1960년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 입학하여 4·19 혁명 당시 학생 시위에 참여했다.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에 유학했다. 1983년 서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2. 대학원 시절 및 교수 생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독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독문과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 2년간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유학했다. 1983년 서울대학교에서 독일 현대시문학을 세부전공으로 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2]1974년부터 1980년까지 부산대학교에서 전임강사, 조교수를 역임하고, 1980년부터 한양대학교 독문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2]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시 번역(1985), 귄터 아이히의 라디오 드라마 번역(1986), 귄터 아이히의 시 번역(1987) 등 독일 문학 작품 번역에도 힘쓰며, 독일과 한국의 문학 교류에 많은 기여를 했다.[2]
3. 작품 세계
김광규는 일상 경험 뒤에 잊혀진 진실을 포착하기 위해 단순하면서도 매우 효과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동료 시인 최연홍은 "김광규 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읽기 쉽다는 것이다"라고 평가했다.[3] 김광규는 섬뜩할 정도로 차분한 태도로 불의한 세상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독자들이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도록 한다.[1]
3. 1. 시 〈나뭇잎 하나〉
이 〈나뭇잎 하나〉라는 시는 존재의 소멸에서 오는 상실감과 안타까움을 주제로 한다. 이 시는 겨울에 마지막으로 떨어지는 나뭇잎 하나를 보면서 소멸의 슬픔을 노래한다. 저마다 생성되었다가 끝내 소멸해 버리는 나뭇잎을 보면서 존재의 소멸에서 오는 상실감과 함께, 자신도 언젠가는 소멸할 수밖에 없다는 화자의 인식이 내재되어 있다.[5]3. 2. 번역
Die Tiefe der Muschel|조개의 깊이deThe Depth of a Clam|조개의 깊이영어
رحلة إلى سيول|서울로의 여정ar
Faint Shadows of Love|희미한 사랑의 그림자영어
Země mlh|안개의 땅cs
4. 작품 목록
김광규는 시집, 시선집, 산문집, 번역서를 출간했다. 시집으로는 《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 《아니다 그렇지 않다》, 《크낙산의 마음》, 《좀팽이처럼》, 《물길》, 《가진 것이 하나도 없지만》, 《처음 만나던 때》 등이 있다. 시선집으로는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민음사, 1988)가 있으며, 산문집으로는 《육성과 가성》(문학과 지성사, 1996)이 있다. 번역서로는 Die Tiefe der Muschel|조개의 깊이de, The Depth of a Clam|조개의 깊이영어, رحلة إلى سيول|서울로의 여정ar, Faint Shadows of Love|희미한 사랑의 그림자영어, Země mlh|안개의 땅cs[2] 등이 있다.
4. 1. 시집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The Last Dream Drenching Us영어 | 1979 | |
No It Is Not So영어 | 1983 | |
The Heart of Mt. Keunak영어 | 문학과지성사 | 1986 |
『크낙산의 마음』 | 문학과지성사 | 1986 |
Like a Petty Mind영어 | 문학과지성사 | 1988 |
『좀팽이처럼』 | 문학과지성사 | 1988 |
Water Way영어 | 문학과지성사 | 1994 |
『물길』 | 문학과지성사 | 1994 |
Though I Have Nothing영어 | 문학과지성사 | 1997 |
『가진 것 하나도 없지만』 | 문학과지성사 | 1998 |
When We First Met영어 | 2003 |
4. 2. 시선집
- The Last Dream Drenching Us영어, 1979
- 아니다 그렇지 않다, 1983
- 큰악산의 마음, 1986
- 좁팽이처럼, 1988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민음사, 1988
- 물길, 1994
- 가진 것 하나도 없지만, 1997
- 처음 만나던 때, 2003
4. 3. 산문집
- 『육성과 가성』 (문학과 지성사, 1996)
4. 4. 번역서
5. 수상 경력
수상 연도 | 상 이름 |
---|---|
1981년 | 제5회 오늘의 작가상[4] |
1981년 | 녹원문학상[4] |
1984년 | 제4회 김수영문학상[4] |
1994년 | 제4회 편운 문학상[4] |
2003년 | 대산문학상[4] |
2007년 | 이산문학상[4] |
참조
[1]
웹사이트
김광규
http://klti.or.kr/ke[...]
[2]
웹사이트
Kim Kwang-kyu – by Brother Anthony
http://hompi.sogang.[...]
[3]
뉴스
Kim Kwang-kyu's poems gracefully embrace mortality
The Korea Times
2013-12-28
[4]
웹사이트
이산문학상 19회 | 문학상 시즌 |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aw[...]
2021-12-09
[5]
서적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한국교육방송공사
2009-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