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익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익렬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 예비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육군 보병학교, 국방대학교를 졸업한 군인이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소위로 복무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광주 4연대 작전과장, 제주 9연대장 등을 역임했다. 제주 4·3 사건 당시 김달삼과 회담을 진행했으나, 이후 9연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제14연대장으로 보직되었으나 박진경 대령 암살 사건으로 해임되었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임진강 전투에서 활약했다. 그는 제1군단장, 제2군단장, 전투병과 교육사령관, 국방대학원장 등을 역임하고 1969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으며, 1988년 사망하여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하동군 출신 - 정홍원
    정홍원은 '특별 수사통'으로 불렸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서, 새누리당 공직후보추천위원장을 거쳐 박근혜 정부 초대 국무총리를 지냈으며,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으나 유임 후 퇴임, 이후 봉사 및 저술 활동과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을 맡았고,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과 위장전입 논란이 있었다.
  • 하동군 출신 - 태완선
    태완선은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관료, 정치인, 기업인으로, 국회의원, 부흥부 장관, 상공부 장관, 경제기획원 장관, 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개발에 참여했고, 대한석탄공사 사장, 한국종합제철 사장, 대한중석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군사영어학교 동문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군사영어학교 동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김익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김익렬
한자 표기金益烈
로마자 표기Gim Ik-ryeol
출생1921년
출생지경상남도하동군
사망1988년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장군 묘역
김익렬 중장
김익렬 중장
군 경력
소속대일본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최종 계급소위 (일본 육군)
중장 (한국 육군)
복무 기간1943년 ~ 1945년(일본제국 육군)
1946년 ~ 1969년(대한민국 육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한국 전쟁
지휘 경력육군 7여단 제9연대장
육군 제 5여단 14연대장
육군제1보병여단 제13연대
육군 제6보병사단 제19연대장
육군 제8보병사단장
육군 제7보병사단장
육군 제1관구사령관
육군 제1군단장
육군 제2군단장
국방대학원장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국장
근무육군 제2군단
육군본부
훈장을지무공훈장
기타 이력
기타 이력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이사장

2. 학력


  • 1943년 일본육군예비사관학교 졸업
  • 1946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졸업
  • 1951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7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3. 생애 및 군 경력

김익렬은 해방 후 귀국하여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4.3사건 당시 제9연대장, 여수 14연대장, 온양 13연대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당시에는 임진강 전투에서 용전했으며, 미국 공군의 오폭으로 중상을 입기도 했다. 이후 제6사단 19연대장, 제11사단 부사단장, 제5사단 35연대장 및 부사단장, 제8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1954년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에 유학했으며, 1955년 제7사단장이 되었다. 1957년부터 국방대학원에 재학, 졸업 후 육군본부 수송감을 역임했다. 1960년 제1관구 사령관, 1961년 전라북도 지구 계엄사무소장을 역임했다. 1962년 제1군단장제2군단장을 역임하고 1963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1965년 전투병과 교육사령관, 1967년 국방대학원 원장 겸 합동참모대학 총장을 역임하고 1969년 예비역으로 편입했다.

3. 1. 초기 생애 및 일본군 복무

김익렬은 1919년 6월 5일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태어났다.[7] 고베 상업학교를 수료한 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후쿠지야마(복지산) 육군예비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소위로 임관되어 복무하다가 8.15 해방 후 귀국하였다.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를 1기로 수료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8] 임관 후 광주 4연대 작전과장을 했으며, 장교 보수 교육을 받은 후 1947년 9월 초 제주도의 제9연대 1대대장으로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연대가 창설 중이어서 1대대의 참모는 없고, 2개 중대 뿐인 병력은 연대장이 직접 장악하고 있어서 부연대장으로 행세하였다. 이후 연대장인 이치업 중령이 1948년 2월에 다른 곳으로 전출되자 1948년 2월 1일부로 제9연대장이 되었다.[9] (1948년 3월 15일 중령 진급)

3. 2. 국군 임관 및 제주 9연대장 시절

김익렬은 1946년 1월 15일 소위로 임관되었으며,[8] 군사영어학교를 1기로 수료하였다. 임관 후 광주 4연대 작전과장을 했으며, 장교 보수 교육을 받은 후 1947년 9월 초에 제주도의 제9연대 1대대장으로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연대가 창설 중이어서 1대대의 참모는 없고, 2개 중대 뿐인 병력은 연대장이 직접 장악하고 있어서 부연대장으로 행세하였다. 1948년 2월에 연대장인 이치업 중령이 다른 곳으로 전출되자, 김익렬은 2월 1일부로 제9연대장이 되었다.[9] (1948년 3월 15일 중령 진급)

김익렬 연대장은 취임 2개월 만에 4.3 사건을 맞이했는데, 처음에는 경찰과 남로당 간의 사건, 즉 치안사건으로 판단하여 경비대는 수수방관하였다. 그러다가 4월 16일이 되어서야 미 군정으로부터 경비대에 출동 명령이 떨어졌고, 제9연대에게도 17일자로 출동 명령이 내려왔다.[10]

김익렬 연대장은 4.3사건 진압을 위한 병력출동을 하지는 않았으나, 딘 군정장관의 지침에 따라 4월 28일 남로당 제주도당 군사부장 겸 유격대 사령관 김달삼과 항복을 전제로 단독회담을 가졌다. 5월 5일에는 딘 군정장관이 주재한 4.3사건 대책회의에서 조병옥 경무부장이 인신공격을 하자 멱살잡이를 하는 등 몸싸움을 벌였다. 그리고 다음날 제9연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김익렬과 김달삼의 회담에서 합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20]

합의 내용



김익렬은 이 합의에 대해 “폭도 전원에 대한 무죄사면이나 다름없다”[21] 고 평가하였으며, 이 회담을 평화회담이라고 명명하였다.

5월 3일, 입산자 200~300명이 귀순하겠다고 연락하여 미 고문관 드르스 대위와 미군 및 한국군 9명이 호송하여 하산하던 중 오라리 부근에서 50여 명의 괴한으로부터 기습사격을 받았다. 하산 중이던 주민들은 산으로 도망쳤고, 호송 병사들은 반격하여 5명을 사살하고 부상자 몇 명을 생포하여 조사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제주경찰서 소속 특공대라고 했는데, 경찰 측에 확인하니 “폭도들이 경찰로 위장하고 경찰과 경비대를 이간시키기 위해 저지른 소행”[22]이라는 답변이 왔다. 이 사건은 경비대와 유격대 간의 신뢰가 깨지는 사건이 되었다.

딘 군정장관은 김익렬-김달삼 간 협상안이 탐탁지 않은 데다가 귀순자 총격사건이 발생하자 4.3사건 대책회의의 필요성을 느끼고 5월 5일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조병옥 경무부장이 김익렬 중령과 그의 부친이 공산주의자라고 인신공격을 하자, 격분한 김익렬이 조병옥의 멱살을 잡고 육박전을 벌였다. 이를 말리는 통역관에게 발길질을 하자 급소를 맞았는지 비명을 질렀고, 회의장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회의장을 경계하던 헌병들이 개입하여 겨우 두 사람을 떼어 놓았으나 회의는 이걸로 끝이었다. 그리고 김익렬은 다음날 9연대장직에서 보직해임되었다.

3. 3. 제주 4.3 사건

김익렬은 4.3사건 발발 당시 제9연대장으로 취임한 지 2개월 만에 사건을 맞았다. 초기에는 경찰과 남로당 간의 치안 사건으로 판단하여 경비대는 수수방관했다. 그러나 4월 16일 미 군정의 출동 명령이 떨어졌고, 제9연대에도 4월 17일자로 출동 명령이 내려왔다.[10]

김익렬은 4.3사건 진압을 위한 병력출동을 하지는 않았으나, 딘 군정장관의 지침에 따라 4월 28일 남로당 제주도당 군사부장 겸 유격대 사령관 김달삼과 항복을 전제로 단독회담을 가졌다. 5월 5일에는 딘 군정장관 주재 4.3사건 대책회의에서 조병옥 경무부장의 인신공격에 멱살잡이를 하는 등 몸싸움을 벌였고, 다음날 제9연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김익렬은 4.3사건을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불법행위에 저항한 민중폭동으로 보았다. 그는 제주도 출신 병사들과 지인들로부터 남로당 측의 선전성 정보만 믿고, “대일무역업자들과 그 가족들이 불법밀수혐의로 구속된 가족과 친척들을 구출하기 위해 감행된 실력행사인 동시에 원한에 대한 보복”이라고 판단했다.[15] 또한 “경비대 군인들 중에는 공산주의 사상이나 이념을 가지고 군에 자원입대한 사람은 거의 없다”, “제주도에는 공산주의자가 거의 전무하였다”고 기록하였다.[16]

그러나 김익렬은 자신의 측근인 정보참모 이윤락 중위와 제3중대장 문상길 중위가 남로당 프락치였고, 부하인 고승옥 상사가 남로당 측에 “연대 병력 800명 중 절반인 400명은 동원 확실성이 있다”[17]고 보고할 정도로 부대가 붉게 물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몰랐다. 또한 제주사회도 4.3사건 발발 당시 남로당 당원이 5,000~6,000명이었고, 초여름까지는 30,000명[18]으로 급증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익렬은 딘 군정장관의 “경비대의 공격에 앞서 소요집단 지도자와 접촉해서 항복할 기회를 주라”[19]는 지침에 따라 김달삼과의 회담을 추진했다. 4월 28일 단독회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합의를 이끌어냈다.

번호내용
172시간 내 전투 행위 금지
2단계적 무장해제 (무기 자진 반납)
3친일관리 및 경찰 해직/추방, 범죄 서북청년단원 추방
4경찰 인원 감축 및 개편
5폭동 참가자 불문에 부침, 살인/방화 범법자는 명단 제출하되 자수/도망은 자유.(이면합의: 김달삼 등 두령급은 일본 탈출 배려, 배 한척 제공)
6다음날 정오까지 모슬포 9연대 영내와 제주읍 비행장에 귀순자 수용소 설치, 추후 서귀포/성산포에도 설치 및 경비대 관리



김익렬은 이 합의를 “폭도 전원에 대한 무죄사면이나 다름없다”[21]고 평가하며, 평화회담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5월 3일, 귀순자들이 오라리 부근에서 괴한의 기습사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호송 병사들이 반격하여 5명을 사살하고 부상자를 생포하여 조사한 결과 제주경찰서 소속 특공대로 밝혀졌으나, 경찰은 “폭도들이 경찰로 위장하여 이간질을 한 것”[22]이라고 주장했다. 이 사건으로 경비대와 유격대 간의 신뢰는 깨졌다.

딘 군정장관은 김익렬-김달삼 간 협상안에 불만을 품고, 귀순자 총격사건까지 발생하자 5월 5일 4.3사건 대책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경비대 사령관 송호성 준장, 경무부장 조병옥, 민정장관 안재홍, 제주도 민정관 맨스필드 중령, 제주도지사 유해진, 김익렬 중령, 제주도 경찰감찰청장 최천 등이 참석했다. 조병옥 경무부장이 김익렬과 그의 부친을 공산주의자라고 인신공격하자, 격분한 김익렬이 조병옥의 멱살을 잡고 육박전을 벌였다. 회의는 아수라장이 되었고, 김익렬은 다음날 9연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3. 4. 4.3 사건 이후의 군 경력

김익렬은 1948년 4.3사건 당시 제9연대장으로, 처음에는 이 사건을 경찰과 남로당 간의 치안 사건으로 판단하여 경비대는 수수방관하였다.[10] 그러나 4월 16일 미 군정으로부터 경비대 출동 명령을 받고, 4월 28일 남로당 제주도당 군사부장 겸 유격대 사령관 김달삼과 항복을 전제로 단독 회담을 가졌다.[10] 5월 5일에는 딘 군정장관이 주재한 4.3사건 대책회의에 참석했으나, 조병옥 경무부장과의 갈등으로 몸싸움을 벌였고, 다음 날 제9연대장직에서 해임되었다.[10]

이후 6월 16일 여수의 제14연대장에 보직되었으나,[11] 후임이었던 박진경 대령이 6월 18일 암살되자 암살 배후로 의심받아 7월 15일 제14연대장 직에서 해임되고 서울 특무부대로 불려가 조사를 받았다.[12] 그러나 혐의점이 없어 풀려났고, 8월 8일 온양의 제13연대장이 되었다.[13] 특무부대 조사를 받은 것은 김익렬에게 전화위복이 되었는데, 만약 제14연대장직에 그대로 있었다면 여·순 사건의 반란부대장이 되어 파면되었을 것이다.[14]

김익렬은 제1여단 13연대장이 되면서 여단이 사단으로 승격되자 백선엽 대령의 제1사단 예하부대가 되었으며, 6.25 전쟁 초전에는 고전했으나 결국 승리 부대가 되었다.

4. 4.3 사건 이후의 활동

김익렬은 한국 전쟁에 참전하는 등 군 복무를 하였다. 1967년에는 대한민국 국방대학원 원장을 역임했다.[1] 군에서 물러난 후, 1979년 5월부터 1981년 2월까지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을 지냈다. 1988년에 사망했으며, 같은 해 12월에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1]

5. 일화

박정인 전 3사단장에 따르면 김익렬 19연대장은 유머 감각이 풍부하고 과장을 잘 해서 당시 육군의 '3대포' 중 한 명으로 불렸다.[23]

6. 대중 매체

MBC 주말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1991년)에서 배우 이효정이 김익렬을 연기했다.

참조

[1] 논문 김익렬 https://ko.wikipedia[...]
[2] 논문 The Cheju-do Rebellion 1980
[3] 서적 Massacres at Mt. Halla : Sixty Years of Truth Seeking in South Korea Cornell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洛東江戦 防御作戦 http://chppm.chilgok[...] 漆谷護国平和祈念館 2016-08-17
[5] 웹사이트 韓國戰爭史第6巻 制限戰線의 激動期(1951.5.1~1951.8.31) http://www.imhc.mil.[...] 韓国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8-09-22
[6] 뉴스 (276)적의 춘계공세(5) http://news.joins.co[...] 2018-07-11
[7] 문서 육군본부, 「장교 임관순 대장」
[8] 문서 육군본부, 「장교 임관순 대장」
[9] 문서 총사령부특명 10호
[10] 문서 미육군명령, 「제주도 작전」. 1948. 4. 18. ; 육군본부, 「육군 역사일지」. 1948. 4. 17.
[11] 문서 특명 72호
[12] 문서 특명 88호
[13] 문서 특명 112호
[14] 문서 여순반란시 14연대의 3개 대대장과 연대의 정보, 작전과장을 포함하여 장교 20여명이 당일 밤에 반란군으로 변한 부하들에게 죽었다. 그리고 간신히 살아남은 제14연대장 박승훈 중령은 파면되었고, 상급부대장인 제5여단장 김상겸 대령은 해임되었다.
[15] 간행물 4.3을 말한다 제2권 부록, 김익렬 유고 제민일보 4.3취재팀
[16] 간행물 앞의 책 제민일보 4.3취재팀
[17] 서적 한라산은 알고 있다 문창송 1995-08-15
[18] 간행물 4.3은 말한다 제1권 제민일보 4.3취재반
[19] 문서 「제주도 작전」 (미 육군 지휘기록, 1948. 4. 18.)
[20] 간행물 4.3은 알고 있다. 제2권(김익렬 유고) 제민일보 4.3사건 취재반
[21] 간행물 앞의 책 제민일보 4.3사건 취재반
[22] 간행물 제주경찰사 제주경찰국
[23] 회고록 풍운의 별 홍익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