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과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훈은 서울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 후, 사업가, 공학자, 벨 연구소 사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유리에 시스템즈를 설립하여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에 매각하여 큰 재산을 얻었다. 이후 루슨트와 벨 연구소에서 주요 직책을 수행했으며,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자진 사퇴했다. 김종훈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상을 받았으며, 현재 여러 기업 및 단체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릴랜드 대학교 동문 - 문정인 (정치학자)
문정인은 제주 출신으로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정치학자로서, 미국 대학 교수와 연세대 교수를 역임하며 활발한 학문 활동을 펼쳤고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안보 정책 자문과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으로 활동했으며, 햇볕정책 지지자로서 대북 정책 및 한미 동맹 관련 발언으로 논쟁을 일으켰다. - 메릴랜드 대학교 동문 - 제이슨 블레어
제이슨 블레어는 뉴욕 타임스 기자로, 2003년 기사 표절 및 날조 스캔들로 사임하여 뉴욕 타임스 역사상 최악의 사건으로 기록되었고, 이후 저널리즘계를 떠나 라이프 코치로 활동하며 저널리즘 윤리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미국의 공학자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공학자 - 찰스 케터링
찰스 케터링은 전기식 계산대, 자동차용 전기 시동 장치, 점화 및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하고 GM 연구소 부사장을 역임한 미국의 발명가, 엔지니어, 사업가이다. - 미국 해군의 장교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미국 해군의 장교 - 안수산
안수산은 안창호와 이혜련의 장녀이자 미국 해군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장교 및 여성 포술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군에서 복무하고 종전 후 해군 정보국, 미국 의회도서관, 국가안보국 등에서 근무하며 인종 및 성차별을 극복하고 활약한 인물이다.
| 김종훈 (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60년 8월 13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 로마자 표기 | Gim Jonghun |
| 직업 | 과학자, 기업인 |
| 소속 | 알카텔-루슨트 |
| 학력 | |
| 학사 및 석사 | 존스 홉킨스 대학교 |
| 박사 | 메릴랜드 대학교 |
| 군사 경력 | |
| 복무 기간 | 1982년–1989년 |
| 계급 | 해군 중령 |
| 훈장 | [[파일:Defense_Meritorious_Service_ribbon.svg|23px|border]] 국방 공로 훈장 [[파일:Navy and Marine Corps Achievement Medal ribbon.svg|23px|border]] 해군 공적 메달 |
| 사업 경력 | |
| 현재 직책 | 키스위 모바일 회장 모뉴멘탈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 파트너 |
2. 생애
김종훈은 서울에서 태어나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냈다. 5세 무렵 부모의 이혼과 아버지의 재혼으로 의붓어머니와 함께 살았으며, 숭덕국민학교와 고려중학교를 졸업했다.[59] 1975년, 14세의 나이로 미국 메릴랜드주로 이민을 갔으나, 영어에 서툴러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웠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을 겪어 점심값을 내지 못해 굶는 날도 많았다.[59]
고등학교 시절, 학교 감사관은 김종훈의 어눌한 영어 실력 때문에 지능 검사를 받게 했지만, 검사 결과 분석력과 이해력이 뛰어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는 이 경험을 통해 물리학자나 공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59]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신문 배달, 식당 주방 보조 등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17세에는 아버지에 의해 집에서 쫓겨나기도 했지만, 고등학교 교사 댄 브레든(Dan Bredon)의 도움으로 그의 집 지하실에서 월세를 내고 살 수 있었다.[59]
1978년, 수학 교사의 소개로 애플의 PC를 접하고 큰 영감을 받은 김종훈은 스티브 잡스처럼 세상을 바꿀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꿈을 키웠다. 교장의 배려로 고등학교를 조기 졸업하고,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기 공학 및 컴퓨터 과학 학사 학위를 3년 만에 우등으로 졸업했다.[1] 대학교 재학 시절, 강의 내용을 따라가기 어려울 때는 책을 통해 보충하며 학업에 매진했다. 그의 집중력은 대학 친구들 사이에서도 유명했는데, 도서관에서 논문을 쓰다가 배가 고파 시계를 보니 오후 2시였지만 실제로는 새벽 2시였다는 일화도 있다.[1]
존스 홉킨스 대학교 졸업 후, 김종훈은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7년간 복무했다. 원자력 잠수함 승선 장교 및 국방부 핵무기 연구소 원자 에너지 계획·정책 장교로 근무하며,[2] 군 복무 중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기술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제대 후에는 AlliedSignal에서 수석 프로젝트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59] 1991년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최초로 수여하는 신뢰성 공학 박사 학위를 2년 만에 취득했다.[60] [3]
1992년, 김종훈은 타 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전자 통신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인터그레이티드 시스템스 테크놀로지'를 창업했다.[59] 1996년, 딸의 이름을 따 유리시스템즈(Yurie Systems)로 사명을 변경하고, 군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강력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자택을 담보로 40만달러를 빌리고 신용카드를 최대한도로 사용하는 등 기업가적 위험을 감수하며 회사를 이끌었다.[59] 곧 무선 장치를 위한 비동기 전송 방식 스위치 개발을 이끌었고, 전 미국 국방장관 윌리엄 페리를 이사로 영입하는 등 회사를 빠르게 성장시켰다.[59] 1998년, 루슨트 테크놀로지 (Lucent Technologies)에 11억달러에 회사를 매각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59]
회사 매각 후, 김종훈은 임직원들에게 주식의 40%를 나눠주었고, 20명 이상의 직원이 백만장자가 되었다. 그는 "아무리 잘나고 똑똑하다 해도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훌륭한 팀워크만이 성공의 길이다"라는 경영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59]
이후 루슨트의 광대역 캐리어 네트워크 부문 사장을 거쳐, 2001년까지 메릴랜드 대학교의 신뢰성 공학 및 전자공학 교수로 재직하였다.[61] 37세에 유리에사를 매각한 후,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에서 캐리어 네트워크 사장(1998-1999) 및 광 네트워크 그룹 사장(2000-2001)을 역임하며,[7] 루슨트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광 통신 분야에서 4위에서 4분기 만에 1위로 끌어올렸다.[8]
2005년, 알카텔 (이후 알카텔-루슨트를 거쳐 노키아에 인수됨)에 재합류하여 벨 연구소(Bell Labs)의 사장으로 근무했다. 벨 연구소 역사 80년 만에 외부에서 영입된 최초의 사장이자 11대 사장이었다. 벨 연구소장(2005-2013)으로 8년간 재임하는 동안, 마지막 2년은 알카텔-루슨트의 최고 전략 책임자도 겸임했다.[12]
1998년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우호적인 한미관계 발전에 세운 공을 기리기 위해 밴 플리트상을 수여했다.[61] 메릴랜드 대학교는 Innovation Hall of Fame Award를 수여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공대 건물인 〈Jeong H. Kim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Building〉을 설립하였다.[61] 나스닥 상장 청문 재심위원회(NASDAQ Listing and Hearing Review Council), 존스 홉킨스 대학교 등 여러 기업 및 비영리 기구의 이사직을 역임했다.[62] 2000년대 초반 한국에 유리자산운용을 설립했다.
2002년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에서 잠시 휴직하고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전기 컴퓨터 공학과와 기계 공학과에서 겸임 교수로 재직했다.[10] 이후 투자자들을 모아 이동통신 과금 교환 서비스 제공업체인 시버넷을 인수하고, 2003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회장으로 재임했다.[11] 2013년 알카텔-루슨트를 떠나 키스웨 모바일 주식회사의 공동 설립자이자 회장이 되었다.[13][14]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의 이름을 따 스탠퍼드대에 한국학 석좌교수직을 만들었으며, 2007년에는 페리 전 장관과 함께 개성공단을 방문했다. 메릴랜드 대학교에 큰 기부를 하여, 메릴랜드 대학교는 그의 기여를 인정해 정 H. 김 공학 및 응용 과학 빌딩을 건설하고 명명했다.[27][28] 그는 워싱턴 시민을 위한 스포츠 팀을 만들기 위해 농구팀과 하키팀인 워싱턴 위저드와 워싱턴 캐피털스의 공동 구단주로 활동하고 있다.
김종훈은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 및 청소년의 삶을 개선하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자금, 전문 지식 및 개인적 인맥을 제공하는 투자 기관인 벤처 자선 파트너스(Venture Philanthropy Partners)의 창립 파트너 중 한 명이었다.[32] 또한 2024년 하계 올림픽을 워싱턴 D.C.로 유치하려던 단체인 DC2024의 이사회에도 합류했다.[33]
2. 1. 유년 시절과 이민
김종훈은 서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가난을 겪으며 성장했다. 5세 무렵 부모님의 이혼과 아버지의 재혼으로 의붓 어머니와 살게 되었다. 숭덕국민학교 및 고려중학교를 나왔다.[59]1975년, 14살의 나이로 미국 메릴랜드주로 이민을 갔으나 힘든 생활은 계속되었다. 이민 전까지 영어를 한 마디도 못했던 수줍음이 많아 학교에 적응이 쉽지 않았다. 미국 아이들은 중국인, 혹은 일본인이 아니냐며 놀려대기 일쑤였고, 점심값 50cents가 없어서 정부에서 빈민들에게 나눠주는 식권으로 끼니를 때워야 했지만 창피한 마음에 점심을 거르는 날이 더 많았다. "그 나이에는 그게 왜 그렇게 싫었는지 모르겠어요. 내가 돈이 없어서 공짜 밥 먹는다는 게. 그래서 이제 밥 안 먹는 이유를 대요. 밥 안 먹기도 힘들어요. 모르는 사람들이 있으면 살짝 보여줘서 먹고. 사실 아무 것도 아닌 일인데..."라고 당시 일을 회고하였다. 당시 스트레스가 심하여 집에 올 때면 항상 코피가 났다고 후에 회고하기도 하였다. 어눌한 영어 실력 탓에 고교 시절 학교 감사관은 지능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며 별도로 IQ 검사를 받게 했다. 하지만 분석력과 이해력이 뛰어나고, 기억력은 그것만 못하다는 결과가 나왔고 이로 인해 "외울 게 많은 의사는 안 되겠군. 말도 못하니 변호사도 어림없지. 천상 물리학자나 공학자가 되어야겠다"고 진로를 결정하였다. 그는 생계 유지를 위해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했다. 신문 배달, 식당 주방보조, 잔디 제거, 슈퍼 계산대 점원 등으로 일했다. 가정 생활 역시 악화되고 17세에 아버지에 의해 집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그의 고등학교 선생이었던 댄 브레든(Dan Bredon)은 그의 처지를 알고는 자신의 집 지하실에 월세를 내고 살게 해주었다. 수 년 후 벤처 사업가로 큰 성공을 거둔 그는 이 선생의 이름을 기념하여 고등학교에 기부를 하게 된다. 1978년, 수학선생은 그에게 애플의 PC를 보여주었다. 그는 즉시 여기에 빠져들었고 "스티브 잡스가 했는데 내가 못하란 법은 없지"하며 꿈을 키웠다. 그의 가난과 재능을 안쓰럽게 여긴 교장은 조기 졸업을 허락했다.
2. 2. 교육 및 군 복무
김종훈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기 공학 및 컴퓨터 과학 학사 학위를 3년 만에 우등으로 졸업했으며, 고등학교는 전교 2등으로 졸업했다. 대학교 재학 시절, 강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책을 통해 보충해야 했다.[1] 그의 부지런함과 집중력은 대학 친구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었다. 논문을 쓰다가 배가 고파 시계를 보니 오후 2시였기에 점심을 먹으러 도서관을 나섰는데, 실제로는 새벽 2시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밝을 줄 알고 나갔는데 깜깜했다"며 "12시간 동안 도서관에 앉아 집중하다 보니 시간이 그렇게 흘렀는지 몰랐다"고 회고했다. 이 시기에 첨단 분야에 대한 관심을 키웠으며, 후일 인터뷰에서 "대학 시절 컴퓨터에 푹 빠져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초기 PC를 개발했을 때, 세상을 바꿀 기술이라 느끼고 나만의 컴퓨터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존스 홉킨스 대학교 졸업 후,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7년간 복무했다. 원자력 잠수함 승선 장교 및 국방부 핵무기 연구소 원자 에너지 계획·정책 장교로 근무했다.[2] 군 복무 중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기술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제대 후에는 AlliedSignal에서 수석 프로젝트 엔지니어로 1991년부터 1993년까지 근무했으며,[59] 1991년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최초로 수여하는 신뢰성 공학 박사 학위를 2년 만에 취득했다.[60] [3]
2. 3. 유리시스템즈 창업과 성공
1992년, 김종훈은 타 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전자 통신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인터그레이티드 시스템스 테크놀로지'를 창업했다.[59] 1996년 본인 딸의 이름을 따 유리시스템즈(Yurie Systems)로 사명을 변경했다. 그는 군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강력한 야전 시스템에 걸쳐 음성, 자료, 영상의 전송을 허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그 기간은 김종훈의 기업가적 위험 감수의 절정을 보여주었는데, 자택을 담보로 40만달러를 빌렸고, 그의 신용카드를 최대 한도로 쓰기도 했다. 곧 무선 장치를 위한 비동기 전송 방식 스위치 개발을 이끌었다. 김종훈은 그의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을 회사에 모시기도 하였으며, 전 미국 국방장관 윌리엄 페리를 이사로 영입하였다. 이내 방위 계약에서 상용에 비동기 전송 모드(ATM)의 표준을 지렛대로 삼는 것에 대한 잠재성을 인정 받으면서, 1997년까지 그는 기술 기업가들 사이에서 가장 인정받는 인물이 되었다.한국의 모 대기업은 한국인이 대표로 있는 작은 미국 기업을 어떻게 믿겠느냐며 유리시스템즈를 무시한 일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회사는 매우 성공했으며, 1997년 기업 공개 이후,[59] 1998년, 루슨트 테크놀로지 (Lucent Technologies)에 11억달러에 매각한다. 1998년, 포브스지는 미국 400대 갑부에 김종훈을 선정하였으며, 당시 그의 재산은 5.6억달러, 한화 약 6600억원이었다. 1999년 포춘이 발표한 "미국 40세 이하 부자" 랭킹 선정 당시 재산은 약 4.3억달러, 한화 약 5200억원이었다. 그는 회사 매각 당시 임직원들에게 주식의 40%를 나눠주었고, 이에 20명 이상의 직원이 백만장자 반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아무리 잘나고 똑똑하다 해도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훌륭한 팀워크만이 성공의 길이다"라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대학 재학 중 그는 디지터스(Digitus, 1980-1982)라는 신생 기술 회사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회사의 파트너가 되었고, 이 회사의 지분으로 상당한 재정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졸업 후 그는 자신에게 기회를 준 입양된 국가에 보답할 때라고 판단하여 디지터스를 떠나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핵잠수함 장교로 복무했다(1982-1989).[3]
디지터스가 컴퓨터 산업의 가속화된 통합의 희생양이 되자, 김종훈은 해군을 떠난 후 자신의 사업을 시작하여 디지터스가 저지른 실수를 피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창업 자금을 확보할 수 없었기에 해군 연구소에서 AlliedSignal의 계약 엔지니어로 입사하여(1990-1993) 다양한 형태의 전자 통신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비동기 전송 기술을 접하게 되었다. 그는 미래의 통합 기술과 오늘날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간의 격차를 해소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예를 들어, 군대는 음성, 비디오, 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시스템을 특히 통신 기반 시설이 부족한 원격 지역에서 연결해야 했다.[3] 1992년, 김종훈은 자택과 신용카드를 담보로 하여 유리에 시스템즈(Yurie Systems Inc.)를 설립했다.[3] 5년 안에 유리에 시스템즈는 1997년 2월에 기업 공개를 했고, 이후 1997년 5월 BusinessWeek지에 의해 미국 내 모든 상장 기업 중 성장률 1위 기업으로 선정되었다.[4] 1998년, 김종훈은 이 회사를 루슨트 테크놀로지스(Lucent Technologies)에 11억달러에 매각했다.[5] 김종훈은 매각 후 5.1억달러 이상을 개인적으로 받았다.[6]
2. 4.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와 벨 연구소
1998년, 김종훈은 자신이 창업한 유리시스템즈를 루슨트 테크놀로지 (Lucent Technologies)에 10억달러에 매각했다.[59] 이후 루슨트의 광대역 캐리어 네트워크 부문 사장을 거쳐, 2001년까지 메릴랜드 대학교의 신뢰성 공학 및 전자공학 교수로 재직하였다.[61] 37세에 유리에사를 매각한 후,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에서 캐리어 네트워크 사장(1998-1999) 및 광 네트워크 그룹 사장(2000-2001)을 역임하며,[7]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사업 전환을 지휘, 루슨트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광 통신 분야에서 4위에서 4분기 만에 1위로 끌어올렸다.[8]2005년, 알카텔 (이후 프랑스 통신 대기업 알카텔과의 합병으로 알카텔-루슨트가 됨; 알카텔-루슨트는 이후 노키아에 인수됨)에 재합류하여 벨 연구소(Bell Labs)의 사장으로 근무했다. 벨 연구소 역사 80년 만에 외부에서 영입된 최초의 사장이자 11대 사장이었다. 벨 연구소장(2005-2013)으로 8년간 재임하는 동안, 마지막 2년은 알카텔-루슨트의 최고 전략 책임자도 겸임했다.[12]
2. 5. 기타 경력
1998년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우호적인 한미관계 발전에 세운 공을 기리기 위해 밴 플리트상을 수여했다.[61] 메릴랜드 대학교는 Innovation Hall of Fame Award를 수여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공대 건물인 〈Jeong H. Kim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Building〉을 설립하였다.[61] 나스닥 상장 청문 재심위원회(NASDAQ Listing and Hearing Review Council), 존스 홉킨스 대학교 등 여러 기업 및 비영리 기구의 이사직을 역임했다.[62] 2000년대 초반 한국에 유리자산운용을 설립했다.2002년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에서 잠시 휴직하고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전기 컴퓨터 공학과와 기계 공학과에서 겸임 교수로 재직했다.[10] 이후 투자자들을 모아 이동통신 과금 교환 서비스 제공업체인 시버넷을 인수하고, 2003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회장으로 재임했다.[11] 2013년 알카텔-루슨트를 떠나 키스웨 모바일 주식회사의 공동 설립자이자 회장이 되었다.[13][14]
현재 삼성,[15] 아리스 그룹,[16] 핵 위협 감축 구상의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17] 이전에 슈나이더 일렉트릭,[18] 맥레오드USA,[19] MTI 마이크로 연료 전지,[20] 인큐텔,[21] 뱅키터 혁신 재단(스페인),[21] 나스닥 상장 및 심사 위원회,[22]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 연구소 등 여러 기관의 이사로 활동했다. 모뉴멘탈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의 소수 지분 소유자로서, 내셔널 하키 리그의 워싱턴 캐피털스, 내셔널 농구 협회의 워싱턴 위저즈, 여자 농구 협회의 워싱턴 미스틱스, 아레나 풋볼 리그의 워싱턴 발로르를 소유하고, 워싱턴 D.C.의 캐피탈 원 아레나를 운영하며, 케틀러 캐피털 아이스플렉스와 조지 메이슨 대학교의 이글뱅크 아레나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23][24]
존스 홉킨스 대학교,[25] 조지타운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26] 스탠퍼드 대학교 프리먼 스포글리 국제학 연구소의 이사를 역임했다.[21] 스티븐스 공과대학교는 명예 공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으며,[29] 한국의 포스텍 역시 명예 이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30] 2009년에는 중국 엔지니어 협회로부터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31]
벤처 자선 파트너스의 창립 파트너 중 한 명이었으며,[32] 2024년 하계 올림픽을 워싱턴 D.C.로 유치하려던 단체인 DC2024의 이사회에 합류했다.[33] 미국 대통령 정보 검토 위원회, CIA 외부 자문 위원회,[34] 미국 국립 기술 혁신 훈장 심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현재 핵 위협 감축 구상의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17] 2013년 2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곧 후보직을 사퇴했다.[35][36][37]
2. 6. 기부 활동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의 이름을 따 스탠퍼드대에 한국학 석좌교수직을 만들었으며, 2007년에는 페리 전 장관과 함께 개성공단을 방문했다. 메릴랜드 대학교에 큰 기부를 하여, 메릴랜드 대학교는 그의 기여를 인정해 정 H. 김 공학 및 응용 과학 빌딩을 건설하고 명명했다.[27][28] 그는 워싱턴 시민을 위한 스포츠 팀을 만들기 위해 농구팀과 하키팀인 워싱턴 위저드와 워싱턴 캐피털스의 공동 구단주로 활동하고 있다.김종훈은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 및 청소년의 삶을 개선하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자금, 전문 지식 및 개인적 인맥을 제공하는 투자 기관인 벤처 자선 파트너스(Venture Philanthropy Partners)의 창립 파트너 중 한 명이었다.[32] 또한 2024년 하계 올림픽을 워싱턴 D.C.로 유치하려던 단체인 DC2024의 이사회에도 합류했다.[33]
3. 대한민국 장관 지명 및 사퇴
2013년 2월,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의해 대한민국의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으로 지명되었다.[63] 야당은 장관 내정자 청문회 시작 전부터 김 내정자에 대한 많은 의혹을 제기하였고, 내정자 임명 17일 후인 3월 4일, 김종훈은 내정자직을 자진 사퇴하고 다음 날 미국으로 출국했다.[64] 미국으로 돌아간 김종훈은, 3월 20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순진했다"고 한국에서의 감회를 밝혔다.[65] 그는 "한국 정치권과 관료사회의 변화에 대한 저항세력들이 국적 문제와 국가에 대한 충성심 부족 가능성을 이유로 나의 장관 임명을 반대했다"고 주장했다.[66] 또한 그는 자신이 자진 사퇴한 이유에 대해 "한국의 정치와 비즈니스 환경에서 이방인인 내가 장관직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져 포기했다"고 말했다.[67]
4. 수상 및 영예
김종훈은 국가 기술 및 혁신 훈장[38], 호라티오 앨저 상[39], 레지옹 도뇌르 훈장[40] 등 다양한 상을 받았다. 또한 스티븐스 공과대학교(명예 공학 박사)[41][29], 포스텍(명예 이학 박사)[30] 등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다수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4. 1. 주요 수상 내역
| 연도 | 수상 내역 |
|---|---|
| 2023년 | 국가 기술 및 혁신 훈장[38] |
| 2016년 | 호라티오 앨저 상, 호라티오 앨저 협회[39] |
| 2013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프랑스 정부[40] |
| 2012년 | 스티븐스 공과대학교 명예 공학 박사[41][29] |
| 2011년 | 뉴저지 발명가 명예의 전당 이사장상[42] |
| 2010년 | 포스텍 명예 이학 박사[30] |
| 2010년 | 메릴랜드 대학교 동문 명예의 전당[43][44] |
| 2009년 | 중국 엔지니어 협회 평생 공로상[31] |
| 2009년 | CIA 국장상 (두 번째 수상) |
| 2009년 | 아시아계 미국인 올해의 엔지니어 특별상, 평생 공로상[45][46] |
| 2007년 | 메릴랜드 상공 회의소 비즈니스 명예의 전당[47] |
| 2007년 | 워싱턴 상공 회의소 비즈니스 명예의 전당[48] |
| 2006년 | 뉴저지 주, 5개 부문 상 |
| 2005년 | 메릴랜드 대학교 총동창회 공로상[49] |
| 2005년 | 미국 범 아시아계 미국 상공 회의소, 비즈니스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계 미국인 10인[43] |
| 2004년 | 메릴랜드 대학교 혁신 명예의 전당[43] |
| 2004년 | 존스 홉킨스 대학교 블루멘탈 상 |
| 2004년 | 미국 공학 한림원 회원[50] |
| 2001년 | CIA 국장상 |
| 2000년 | 국민훈장, 대한민국 |
| 1999년 | ICAS 자유상[51] |
| 1999년 | 엘리스 섬 명예 훈장[52] |
| 1999년 | 존스 홉킨스 대학교 동문 공로상[53] |
| 1999년 | 미국 이민법 재단 이민자 공로상[54] |
| 1999년 | BETA 상 (볼티모어의 뛰어난 기술 옹호자) |
| 1999년 | KPMG 피트 마윅 하이테크 기업가[26] |
| 1998년 | 언스트 & 영 올해의 전미 신흥 기업가[55] |
| 1998년 | 메릴랜드 대학교 공학 동문 공로상[44] |
| 1998년 | 미국 업적 학회 골든 플레이트[3] |
| 1998년 | 한국학회 제임스 A. 반 플리트 상[56] |
| 1998년 | KAA 올해의 사업가 |
| 1997년 | 메릴랜드 하이테크 위원회 올해의 기업가[57][58] |
| 1989년 | 국방 공로 훈장, 미국 |
| 1987년 | 해군 공로 훈장, 미국 해군 |
5. 개인 생활
1987년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다.[59]
참조
[1]
간행물
Serving in Uniform Was a 'Rite of Passage' in Becoming a Full-Fledged American
http://www.usni.org/[...]
U.S. Naval Institute
2011-12
[2]
간행물
The House that Kim Built
http://www.prism-mag[...]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2006-03
[3]
웹사이트
Biography: Jeong Kim President Emeritus of Bell Labs
http://www.achieveme[...]
2016-05-05
[4]
논문
High-tech Hot Rod
McGraw-Hill
1997-05-26
[5]
간행물
A Techpreneur Who Dreams Big
Johns Hopkins University
2004-09
[6]
웹사이트
Jeong Kim: Setting the pace - 2002-09-16
https://www.bizjourn[...]
[7]
웹사이트
Jeong Kim
https://techzine.alc[...]
Alcatel-Lucent
2016-05-10
[8]
간행물
Dell'Oro Report
Dell'Oro Group
2001-07
[9]
웹사이트
An Engineer in the Finance World
https://eng.umd.edu/[...]
2018-10-16
[10]
간행물
Jeong Kim is Professor of Practice
http://www.enme.umd.[...]
University of Maryland
2016-06-24
[11]
뉴스
New Investors Take Over Cibernet
https://www.washingt[...]
2016-05-09
[12]
웹사이트
Presidents of Bell Labs
https://www.bell-lab[...]
2016-05-05
[13]
웹사이트
Washington Mystics and Kiswe Mobile Release Groundbreaking App
http://kiswe.com/was[...]
2016-06-23
[14]
웹사이트
First Look: Kiswe Will Change the Way You Watch Sports This Year
http://dcinno.street[...]
2016-04-28
[15]
뉴스
Samsung board gets more diverse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8-10-16
[16]
뉴스
Arris Appoints Kim to Its Board
http://www.cedmagazi[...]
2016-06-23
[17]
뉴스
Des Browne and Jeong Kim Join NTI Board of Directors
http://www.nti.org/n[...]
2016-06-22
[18]
간행물
Implementation of the new governance of Schneider Electric SA
http://www2.schneide[...]
Schneider Electric SA
2016-06-23
[19]
뉴스
McLeodUSA Strengthens Board of Directors to Support Post-Recapitalization Growth Strategy
http://www.thefreeli[...]
The Free Library
2016-07-05
[20]
뉴스
Jeong H. Kim Joins Board of Directors of MTI MicroFuel Cells
http://www.prnewswir[...]
PR Newswire
2016-07-05
[21]
웹사이트
Jeong H. Kim
http://www.nti.org/a[...]
2016-06-23
[22]
웹사이트
Nasdaq Listing and Hearing Review Council
http://www.nasdaq.co[...]
2016-06-23
[23]
웹사이트
Jeong H. Kim
http://www.monumenta[...]
2016-06-22
[24]
웹사이트
Ted Leonsis (with description of Monumental Sports & Entertainment)
http://www.monumenta[...]
2016-06-23
[25]
웹사이트
Board of Trustees
http://trustees.jhu.[...]
2016-05-03
[26]
웹사이트
KPMG Peat Marwick Winners
https://washingtonte[...]
2016-06-23
[27]
뉴스
Millionaire is True to His School
https://www.washingt[...]
2016-06-23
[28]
간행물
Welcome to the Future
https://www.eng.umd.[...]
A. James Clark School of Engineering
2016-06-23
[29]
뉴스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Announces Speakers for 140th Commencement in Hoboken
http://www.nj.com/ho[...]
NJ.com
2016-05-05
[30]
뉴스
Merck Exec Gets POSTECH Honorary Ph.D.
http://www.koreahera[...]
2016-05-06
[31]
간행물
Chinese Institute of Engineers awards Alcatel-Lucent Bell Labs President Jeong Kim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s://www.alcatel-[...]
2016-06-23
[32]
웹사이트
Founding Investors
http://www.vppartner[...]
Venture Philanthropy Partners
2016-05-03
[33]
뉴스
The DC2024 Board is a Who's Who of Washington Business- and that's Good News
http://www.bizjourna[...]
Washington Business Journal
2016-05-05
[34]
간행물
Message from the Director: New External Advisory Board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6-05-06
[35]
뉴스
UMD Alumnus Jeong Kim Nominated for Ministry Post in South Korea
http://umdrightnow.u[...]
University of Maryland
2016-05-06
[36]
뉴스
U.S. tech giant named to South Korean Cabinet faces hitch over CIA ties
https://www.washingt[...]
2016-05-06
[37]
뉴스
Washington tech mogul withdraws Korea bid
https://www.washingt[...]
2016-05-06
[38]
웹사이트
President Biden Honors Leading American Scientists, Technologists, and Innovators
https://www.whitehou[...]
2023-10-24
[39]
뉴스
Maryland Entrepreneur and Distinguished Philanthropist Dr. Jeong H. Kim to Receive 2016 Horatio Alger Award
http://www.prnewswir[...]
2016-06-23
[40]
뉴스
Capital Buzz: For Jeong Kim, a spot in France's Legion of Honor
https://www.washingt[...]
2016-06-23
[41]
웹사이트
Greg Gianforte and Jeong Kim Announced as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s 2012 Commencement Speakers
https://www.stevens.[...]
2016-06-21
[42]
간행물
New Hall Call
http://njmonthly.com[...]
2016-06-20
[43]
뉴스
Kim Inducted into UM's Alumni Hall of Fame
http://www.eng.umd.e[...]
A. James Clark School of Engineering
2016-05-09
[44]
웹사이트
Distinguished Engineering Alumni
http://www.eng.umd.e[...]
A. James Clark School of Engineering
2016-06-23
[45]
웹사이트
2009 Awardees
http://aaeoy.org/200[...]
2016-06-23
[46]
웹사이트
Asian American Engineer of the Year (AAEOY) Special Awards
http://cie-usa.org/a[...]
National Engineers Week Foundation
2016-05-09
[47]
뉴스
Maryland Commerce Chamber Honors Jeong Kim
http://www.eng.umd.e[...]
A. James Clark School of Engineering
2016-05-09
[48]
뉴스
Board of Trade to induct five in business hall of fame
http://www.bizjourna[...]
Washington Business Journal
2016-05-09
[49]
뉴스
Kim, Wiser Win Alumni Honors
http://www.eng.umd.e[...]
A. James Clark School of Engineering
2016-05-09
[50]
뉴스
Dr. Jeong Kim Elected to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http://enme.umd.edu/[...]
A. James Clark School of Engineering
2016-05-09
[51]
웹사이트
ICAS Liberty Award
http://www.icasinc.o[...]
Institute for Corean-American Studies
2016-05-09
[52]
웹사이트
Ellis Island Medals of Honor Awards Ceremony
https://www.gpo.gov/[...]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16-05-09
[53]
웹사이트
The Distinguished Alumni Award
http://alumni.jhu.ed[...]
Johns Hopkins University
2016-05-09
[54]
뉴스
Metro in Brief - Immigrants' Achievements Honored
https://www.washingt[...]
2016-06-20
[55]
뉴스
Technology Innovators Honored As Entrepreneurs Of The Year
http://www.laborator[...]
Laboratory Network
2016-06-24
[56]
웹사이트
1998 Van Fleet Award Honoree
http://www.koreasoci[...]
2016-05-09
[57]
뉴스
MedImmune named Md. high tech firm of year Other winners were Kim of Yuri Systems, Lee of Sytel Inc.
https://www.baltimor[...]
2016-05-09
[58]
뉴스
And the winner is ... MedImmune
http://www.bizjourna[...]
Washington Business Journal
2016-06-22
[59]
뉴스
"<프로필>유리시스템 김종훈 회장"
https://news.joins.c[...]
1997-06-09
[60]
웹인용
The Jeong H. Kim Engineering Building
https://eng.umd.edu/[...]
University of Maryland
2020-04-04
[61]
웹인용
Jeong H. Kim
https://eng.umd.edu/[...]
Clark School of Engineering, University of Maryland
2020-04-04
[6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lucent.co[...]
2009-11-18
[63]
뉴스
11개 장관임명...경제부총리 현오석, 미래부 김종훈, 복지부 진영 임명
https://news.mt.co.k[...]
2013-02-17
[64]
뉴스
김종훈, 미국으로 출국…"국민과 대통령에 미안하다"
http://www.yonhapnew[...]
2013-03-05
[65]
뉴스
나는 너무 순진했다, 한쪽이 피를 봐야 하는 韓國정치와 관료주의가 새 部處일 못하게 하리란 걸 뒤늦게서야 깨달았으니…
http://news.chosun.c[...]
[66]
뉴스
"Jeong Kim: A return to South Korea, thwarted by nationalism"
http://www.washingto[...]
[67]
뉴스
김종훈, WP 기고 “나는 낡은 한국 국수주의 이데올로기의 희생자”
http://news.khan.co.[...]
2013-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