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산그룹은 1896년 박승직 상점에서 시작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 중 하나이다. 섬유 수출입 및 판매로 시작하여 화장품, 주류, 건설, 기계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1978년 OB그룹에서 두산그룹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IMF 외환 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거쳐 중공업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연료전지, 로봇, 드론용 연료전지, 반도체 테스트 등 신사업 분야에도 진출했다. 현재 두산은 지주회사 (주)두산을 중심으로,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두산퓨얼셀 등 계열사를 두고 있으며, 연강재단, 두산아트센터를 통해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프로야구단 두산 베어스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설립된 기업 - 야마가타 은행
야마가타 은행은 1878년 설립된 제81국립은행을 기원으로 1896년 료우하 은행으로 설립되어 여러 합병과 개명을 거쳐 196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야마가타현을 기반으로 기업 금융, 개인 고객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 1896년 설립된 기업 - 신초샤
신초샤는 1896년 창업한 일본의 출판사로, 자유주의 서적 출판을 시작으로 신초문고 발간, 잡지 발행, 교열 시스템 구축, 작가 지원 등을 통해 성장했으나, 과격한 보도 논란과 사업 확장 등 변화를 겪으며 사장직은 창업주로부터 세습되고 있다. - 두산그룹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는 1916년 중앙유치원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성장, 발전해 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두산그룹 - 박두병
박두병은 동양맥주 설립을 통해 현대적 기업 경영의 기틀을 마련하고 두산그룹의 기반을 구축했으며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두산그룹 창업자이다.
두산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두산그룹 |
이전 이름 | 대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
유형 | 주식회사 |
설립일 | 1896년 |
설립자 | 박승직 |
주요 인물 | 박정원, 회장 |
산업 | 대기업 |
제품 | 발전소, 담수화 플랜트, 건설 장비, 수소 생산 및 활용 기술, 드론, 협동 로봇 등 |
자회사 | 두산 두산에너빌리티 두산 퓨얼셀 아메리카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 18-12 두산타워 |
홈페이지 | doosan.com |
한국어 표기 | 두산그룹 |
한자 표기 | 斗山그룹 |
종업원 수 | 38,000명 |
매출액 | 19조 1,301억원 (2023년) |
총 자산 | 28조 2,868억원 (2023년) |
회사 정보 (한국어) | |
회사명 | 주식회사 두산 |
영문 회사명 | Doosan Corporation |
우편 번호 | 04563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 18-12 두산타워 29층 |
설립일 | 1896년 |
사업 내용 | 중공업, 전기전자, 무역, 정보통신 |
대표자 | 박정원 |
외부 링크 | 두산닷컴 |
한국어 정보 | |
로마자 표기법 | Jusikhoesa Dusan |
한글 표기 | 주식회사 두산 |
한자 표기 | 株式會社 斗山 |
히라가나 표기 | かぶしきがいしゃ とさん |
가타카나 표기 | チュシクフェサ トゥサン |
2. 역사
두산그룹은 1896년 8월 서울 종로 배오개(현 종로4가)에서 박승직(朴承稷)이 문을 연 '박승직 상점'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 중 하나이다.[24][4][17] 초기에는 면포 등 섬유 제품을 주로 취급했으나, 이후 화장품 제조('박가분')와 주류(경월 소주) 사업에도 진출했다.[17]
1940년대에 창업주의 아들인 박두병(朴斗秉)이 경영을 맡으면서 '두산'이라는 상호를 사용하기 시작했고,[25][17] 해방 이후 1952년 오리엔탈 브루어리(OB맥주)를 설립하는 등[17] 무역업과 주류 사업을 중심으로 기업 규모를 키웠다.[25] 1960년대부터는 건설, 기계, 식품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17] 성장을 거듭했고, 1978년 그룹 명칭을 OB그룹에서 두산그룹으로 변경했다.[17]
그러나 1991년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으로 인해 대규모 불매 운동이 벌어지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25] 이후 IMF 외환 위기를 거치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 핵심 사업이었던 OB맥주와 주류 부문 전체를 매각하고 소비재 중심에서 중공업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전환했다.[17] 이 과정에서 2001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 2005년 대우종합기계(현 HD현대인프라코어) 등을 인수하며[3][25] 중공업 분야를 강화했다.
2000년대 후반에는 영국의 미쓰이 밥콕(Mitsui Babcock), 루마니아의 IMGB, 미국의 밥캣 등을 인수하며[5] 글로벌 중공업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 재무구조가 악화되자 두산DST, 한국항공우주(KAI) 지분, 두산인프라코어 등 주요 자산을 매각하며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25][7] 최근에는 협동로봇, 수소 연료전지,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25]
2. 1. 창업과 성장 (1896년 ~ 1970년대)
두산그룹의 모태는 1896년 8월 박승직(朴承稷)이 서울 종로 배오개(현 종로4가)에 문을 연 '박승직 상점'이다.[24][4] 이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24][17] 초기에는 주로 면포 등 섬유 제품을 취급하는 상점이었으나,[17] 1915년에는 '박가분'이라는 화장품을 제조하며 사업 영역을 넓혔다.[17]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강원도에서 '경월' 소주 양조 사업에도 진출했으며,[17] 1933년에는 기린 맥주가 조선에 설립한 쇼와 맥주(昭和麦酒)에 자본을 투자하기도 했다.[17]1940년대에 들어 박승직의 아들인 박두병(朴斗秉)이 경영권을 승계하면서 '두산'이라는 상호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25][17] 해방 이후 쇼와 맥주의 경영권을 넘겨받아 1952년 오리엔탈 브루어리(OB맥주)를 설립했고,[17] 1953년 두산산업을 설립하고 무역업 등으로 사업 규모를 키우며[25] 그룹의 기틀을 마련했다.
1960년대부터 두산은 본격적으로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1960년 동산토건(현 두산건설)을 설립하여 건설업에 진출했고,[17] 1966년에는 합동통신을 인수했으나, 이는 1980년 언론통폐합 과정에서 연합통신에 흡수 통합되며 언론 사업 진출이 무산되었다.[17] 1967년에는 윤한공업사(현 두산메카텍)를 설립하여 기계 사업에도 발을 들였다.[17]
1970년대에는 사업 확장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1974년 한국오크공업(현 두산전자)과 두산개발을 설립했고,[17] 1975년에는 동양농산(훗날 두산타워 부지 관련)을 설립했다.[17] 이러한 성장을 바탕으로 1978년, 그룹 명칭을 기존의 OB그룹에서 두산그룹으로 공식 변경했다.[17] 같은 해 사회공헌 활동을 위해 재단법인 연강학술재단(현 두산연강재단)을 설립했으며,[17] 1979년에는 광고대행사 오리콤을 설립하고, 주력 계열사인 두산산업의 수출액이 처음으로 1억달러를 돌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7]
2. 2. 위기와 구조조정 (1980년대 ~ 2000년대)
1980년대 초, 언론통폐합 정책에 따라 1966년 인수한 합동통신(현 오리콤의 전신)이 1980년 연합통신으로 흡수 통합되었다.[25] 1982년에는 프로야구단 OB 베어스 (현 두산베어스)를 창단했다.1991년 경상북도 구미시의 두산전자 공장에서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대규모 두산 제품 불매 운동으로 이어져 그룹 전체가 심각한 경영 위기에 직면했다.[25]
1990년대 후반 IMF 외환 위기를 거치며 두산그룹은 생존을 위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그룹의 핵심 사업 중 하나였던 OB맥주를 1998년 벨기에의 맥주 회사 인터브루(현 ABI)에 매각하였다.[17] 이후 2009년에는 경월 소주와 청하 등 나머지 주류 사업 부문도 롯데그룹에 매각하면서,[17] 소비재 중심 기업에서 중공업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전환했다.
구조조정과 병행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인수 합병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2001년 한국중공업 (현 두산에너빌리티) 인수를 시작으로,[3][25] 2003년 고려산업개발 (현 두산건설),[3] 2005년 대우종합기계 (현 HD현대인프라코어)[3][5] 등을 잇달아 인수하며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중공업 중심으로 재편했다.
2. 3. 중공업 중심 재편과 미래 사업 진출 (2000년대 후반 ~ 현재)
2000년대 후반부터 두산그룹은 인수합병(M&A)을 통해 중공업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기 시작했다. 2006년에는 루마니아의 주조 및 단조 회사인 Kvaerner IMGB(현 두산IMGB)와 영국의 보일러 엔지니어링 회사 미쓰이 바브콕(Mitsui Babcock)을 인수했다.[5] 2007년에는 미국의 잉거솔랜드(Ingersoll Rand)사로부터 건설기계 회사인 밥캣을 포함한 3개 사업부를 인수하여 세계 7위의 건설기계 공급업체로 발돋움했다.[4][5] 같은 해 미국 CTI와 중국 연대유화기계도 인수했다. 2008년에는 학교법인 중앙대학교를 인수했으며, 독일의 물류 장비 전문업체 ATL(Advanced Technology Luxembourg)을 인수했다. 2009년에는 체코의 발전설비 원천기술 보유 기업인 스코다파워(Škoda Power)를 인수하며 발전 설비 분야 역량을 강화했고, 사업형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완료했다.2010년대 들어서는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동시에 재무구조 개선 노력을 병행했다. 2010년 두산파워시스템을 설립했고, 2012년에는 영국의 수처리 전문 기업 엔퓨어(Enpure)를 인수했다. 그러나 연이은 인수합병의 여파 등으로 재무구조가 악화되면서 2010년대 중반 이후 자산 매각을 통한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두산DST 지분 50%(3500억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지분(3000억원), 핵심 계열사였던 두산인프라코어 등을 매각했다.[25] 두산인프라코어는 2021년 7월 현대중공업에 인수되었다.[7]
한편, 두산그룹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신사업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 연료전지 및 에너지: 2014년 (주)두산이 연료전지 사업에 진출했으며, 같은 해 룩셈부르크의 동박 제조업체 서킷포일(Circuit Foil)을 인수했다. 2016년 두산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은 에너지 저장 장치(ESS)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보유업체인 미국 ‘원에너지시스템즈’(1Energy Systems, 現 두산그리드텍)를 인수했다. 2017년 (주)두산 퓨얼셀은 국내 최대 규모의 연료전지 공장을 준공했고, 2019년 두산퓨얼셀이 독립 법인으로 출범했다. 2018년에는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을 설립하여 드론용 수소 연료전지 사업에 진출했다.
- 로봇 및 자동화: 2015년 영국 지게차 판매·렌탈 업체 러시리프트(Rushlift)를 인수했으며, 2017년 두산로보틱스를 설립하고 협동로봇 시장에 진출했다. 2019년에는 물류 자동화 솔루션 기업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을 출범시켰다.
- 건설기계 및 기타: 2016년 두산밥캣이 한국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2017년 두산중공업은 5.5MW급 해상풍력 발전 기술을 확보하고, 미국의 가스터빈 서비스 전문 기업 ACT(Advanced Cryogenic Technologies, 現 Doosan Turbomachinery Services)를 인수했다. 2021년에는 두산산업차량이 별도 법인으로 출범했다. 2022년에는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기업인 두산테스나를 인수하며 반도체 사업에도 진출했다. 2023년 두산밥캣은 건설장비 브랜드를 데벨론(Develon)으로 변경했다.[8]
2023년 두산에너빌리티는 신한울 3∙4호기 원자력 발전소의 주기기 제작에 본격 착수하며 원자력 발전 사업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3. 사업 분야
두산그룹은 지주회사인 (주)두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분야에 진출해 있다. 주요 사업 영역은 에너지, 기계 및 장비, 전자소재, 유통, 서비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원자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설비 제작 및 건설,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두산퓨얼셀과 (주)두산 퓨얼셀 파워 BU는 연료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용 및 주택용 제품을 공급한다.
기계 및 장비 분야에서는 두산밥캣이 소형 건설 장비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며, 두산산업차량은 지게차 등 물류 장비를 생산한다.
(주)두산의 전자BG는 인쇄 회로 기판(PCB)의 핵심 소재인 동박적층판(CCL)과 OLED 재료 등 전자 부품 소재를 생산하며, 디지털이노베이션BU는 정보기술 컨설팅 및 시스템 구축, 운영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통 부문에서는 (주)두산 유통BU가 동대문의 복합 쇼핑몰 두타몰을 운영하고 있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오리콤과 한컴이 광고 및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외에도 프로 야구단 두산 베어스 운영, 두산매거진을 통한 패션 잡지 발행(''GQ'', ''보그'', ''얼루어'', ''W'' 등), 두산큐벡스를 통한 골프 클럽(라데나 골프클럽)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두산그룹은 사회공헌 및 문화예술 지원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용강재단은 장학 사업, R&D 지원, 교육 복지 사업 등을 수행하며, 두산아트센터는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한다. 두산경영연구원(DBRI)은 그룹 임직원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 1. 주요 계열사
아래는 두산그룹 사이트에 명시된 분류에 따른 주요 계열사 및 사업 부문이다.[26]'''(주)두산 (지주회사)'''
(주)두산은 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수행하며, 자체적으로도 여러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 '''전자BG''': 인쇄 회로 기판(PCB)의 핵심 소재인 동박적층판(CCL)과 OLED 재료 등 전자제품의 핵심 부품 소재를 생산한다. (주)두산 전자 홈페이지
- '''디지털이노베이션BU''': 두산 계열사를 포함한 여러 고객에게 정보기술 컨설팅, 시스템 구축, 업무 시스템 및 IT 인프라 운영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두산 디지털이노베이션 홈페이지
- '''퓨얼셀 파워 BU''': 자체 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용부터 주택용까지 다양한 연료전지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주)두산 퓨얼셀 파워 홈페이지
- '''유통BU''': 동대문에 위치한 복합 쇼핑몰인 두타몰(두산타워)을 운영한다. 약 550개 이상의 패션 매장이 입점해 있으며 연간 약 2천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 (주)두산 유통(두타몰) 홈페이지
'''주요 계열사'''
- '''두산에너빌리티''': 1962년 설립된 발전 설비 전문 기업으로, 원자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해수담수화 플랜트 건설 및 관련 기자재 제작, 주조 및 단조 사업 등을 운영한다. 특히 가압경수로(PWR)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단 증발법(MSF), 다중 효용 증류법(MED), 역삼투압(RO) 방식의 해수담수화 기술을 모두 확보하고 있다. 영국의 미쓰이 밥콕, 체코의 스코다 파워, 루마니아의 IMGB(현 두산 IMGB) 등을 인수하며 기술력을 강화했다. 2022년 두산중공업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두산에너빌리티 홈페이지
- '''두산밥캣''': 스키드스티어 로더, 콤팩트 트랙 로더 등 소형 건설 장비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2007년 미국 밥캣 컴퍼니를 인수하며 사업 규모를 확장했다. 2018년 1월 1일 (주)두산에서 분리되어 독립 법인이 되었다.[6] 두산밥캣 홈페이지
- '''두산퓨얼셀''': 발전용 연료전지 개발 및 제조를 담당한다. 2014년 미국의 ClearEdge Power를 인수하며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9] 두산퓨얼셀 홈페이지
- '''두산테스나''': 반도체 후공정 중 테스트 전문 기업이다. 두산테스나 홈페이지
-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솔루션을 개발하고 제조한다. 두산로보틱스 홈페이지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수소 연료전지를 활용한 드론 솔루션을 개발한다.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홈페이지
- '''두산산업차량''': 엔진식 및 전동식 지게차를 포함한 물류 장비를 생산하는 글로벌 제조업체이다.
- '''오리콤''': 광고 기획, 제작, 브랜드 컨설팅, 미디어 대행, 프로모션, 온라인 마케팅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대행사이다. 오리콤 홈페이지
- '''한컴''': 오리콤과 함께 한국 광고 산업을 이끌어 온 대표적인 종합 광고대행사이다. 한컴 홈페이지
- '''두산큐벡스''':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서 라데나 골프 클럽을 운영하고 있다. 두산큐벡스 홈페이지
- '''두산 베어스''': 1982년 창단된 KBO 리그 소속 프로 야구단이다. 두산 베어스 홈페이지
- '''두산매거진''': 1996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패션 잡지 발행사로, ''GQ'', ''보그'', ''얼루어'', ''W'' 등의 한국어판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 두산매거진 홈페이지 (아카이브)
3. 2. 과거 주요 계열사
- '''HD현대인프라코어''' (구 '''두산인프라코어''')
2005년 대우중공업을 인수하여 두산인프라코어로 출범했다.[3] 주로 건설 기계, 중장비, 특수 운송기, 공작 기계, 제조 장치, 산업용 차량, 엔진 등을 제조했다.[18] 2007년에는 미국의 밥캣 USA를 인수하여 세계 7위의 건설 기계 공급업체로 성장했다.[5][4] 국내에서는 HD현대중공업의 건설 기계 부문과 경쟁 관계에 있었다.[18]
2020년 두산그룹의 경영 위기 상황에서 매각 대상으로 검토되었고,[19] 2021년 8월 현대중공업그룹(현 HD현대)에 최종 매각되었다.[20] 당시 현대중공업(현 HD현대중공업)은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30%를 약 7.224500000000001억달러에 인수했다.[7] 매각 이후 같은 해 9월 사명을 '현대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했으며,[20] 2023년 3월에는 'HD현대인프라코어'로 다시 변경했다.[21][22] 건설기계 브랜드는 2023년부터 '디벨론(Develon)'을 사용하고 있다.[8]
- '''두산건설'''
종합 건설 회사로, 플랜트 설비, 공장, 처리장, 건물, 교량, 공항, 고속도로, 항만 건설 등 다양한 분야의 공사를 수행했다. 2001년에는 아파트 브랜드 '위브(We've)'를 선보였으며, '두산위브'(아파트), '두산위브 센티움'(오피스텔), '두산위브 더 제니스'(초고층 고급 아파트, 예: 해운대 두산위브 더 제니스) 등의 하위 브랜드를 운영했다.
4. 사회공헌
두산은 연강재단을 통해 다양한 장학사업 및 학술연구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앙대학교 재단으로서 대학 운영을 지원한다. 또한 각 계열사별로 지역 사회와 연계한 사회공헌활동도 함께 전개하고 있다. 2009년 3월에는 그룹의 주요 4대 경영방향 중 하나로 ‘사회공헌활동 강화’를 명시하며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기도 했다.
주요 사회공헌 활동은 다음과 같다.
분야 | 주요 활동 내용 |
---|---|
학술연구 지원 | 연강 환경학술연구비 지원, 연강학술상 수여, 장기학술연구비 지원 등 |
교육복지 사업 | 저소득층 방과후학교 지원, 영어엘리트 방과후학교 지원 |
교사 지원 | 역사/사회/과학교사 해외학술시찰 지원 |
장학 제도 | 연강장학금, 두산어린이가족 장학금, 특별장학금, 중국학연구원 장학금, 해외대학 한국어과 장학금, 두산체육꿈나무 장학금 |
대학 운영 지원 | 중앙대학교 재단 운영 |
문화 예술 지원 | 두산아트센터 운영 |
기타 | 사랑의 차(茶) 보내기 운동, 도서보내기 운동 (어린이 병원 학교, 도서/벽지 초등학교, 해외동포 대상 맞춤식 도서 지원)[27] |
5. 스포츠
참조
[1]
웹사이트
Fortune Global 500 List 2017: See Who Made It
https://money.cnn.co[...]
[2]
웹사이트
100년 넘은 '장수 기업' 7곳은 어디?
https://www.khan.co.[...]
2015-09-29
[3]
웹사이트
Doosan and Bobcat separate to boost North American market share
https://www.equipmen[...]
2018-05-14
[4]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Doosan Group
2023-07-14
[5]
뉴스
Doosan to spin off No. 1 forklift business to Bobcat
https://www.kedgloba[...]
2021-02-22
[6]
웹사이트
The seven-year itch: Bobcat and Doosan splitting apart - constructconnect.com
https://canada.const[...]
2018-07-10
[7]
뉴스
Hyundai Buys Doosan's Construction Equipment Division
https://www.equipmen[...]
Equipment World
2021-08-19
[8]
웹사이트
HDHI begins new chapter with Develon
https://eu.develon-c[...]
Develon Group
[9]
뉴스
South Korea's Doosan buys U.S. fuel cell maker ClearEdge for $32.4 million
https://www.reuters.[...]
Reuters
2014-07-20
[10]
뉴스
Doosan acquires AES water treatment operations
http://www.accessmyl[...]
[11]
웹사이트
Republica Coreea vede in Romania "o poarta de colaborare" in spatiul UE
https://web.archive.[...]
2009-07-02
[12]
뉴스
S. Korea's Doosan Heavy buys Mitsui Babcock for 20 bln yen
https://www.forbes.c[...]
Forbes
2022-01-01 #추정 날짜. dead link 정보 활용
[13]
뉴스
South Korea's Doosan Infracore rise 6 percent after Bobcat buy
http://www.iht.com/a[...]
Associated Press
2007-07-31
[14]
웹사이트
Korean forklift manufacturer, Doosan Infracore, has acquired the German warehouse equipment specialists, Advanced Technology Lübben in a deal worth around €2.5m.
http://doosanflt.com[...]
[15]
웹사이트
SKorea's Doosan takes over Czech turbine maker
https://web.archive.[...]
AFP
[16]
문서
http://www.doosan.co[...]
[17]
뉴스
韓国ロッテ、斗山の酒類事業を5030億ウォンで買収へ
https://jp.reuters.c[...]
2009-01-07
[18]
웹사이트
http://japan.donga.c[...]
[19]
웹사이트
韓経:斗山重工業に1兆2000億ウォン追加支援か
https://japanese.joi[...]
2020-05-28
[20]
뉴스
斗山インフラコアが社名変更、頭に「現代」
https://www.nna.jp/n[...]
[21]
뉴스
現代斗山インフラコア、「斗山」ブランドをこれ以上使わない···新規ブランド「DEVELON」をローンチング
https://japan.ajunew[...]
[22]
뉴스
現代斗山インフラコア、「HD現代インフラコア」に社名変更
https://japan.ajunew[...]
[23]
웹사이트
斗山重工業、チェコのタービン技術保有会社を買収
https://www.wowkorea[...]
2009-09-14
[24]
뉴스
우리나라 최장수 대기업 그룹은 어디?
http://news.sarangba[...]
2012-07-05
[25]
뉴스
두 번째 환갑 맞은 두산 “내실 다져 지속 성장”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6-08-02
[26]
웹사이트
두산그룹 사이트에 명시된 그룹 계열사 및 부속기관
https://www.doosan.c[...]
[27]
웹사이트
두산그룹 사이트 사회공헌 페이지
https://www.doosa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