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꿀벌상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꿀벌상과는 꿀벌과, 가위벌과 등을 포함하는 벌아목의 하위 분류이다. 꿀벌상과는 유충에게 곤충 대신 꽃가루와 꿀을 먹이로 주는 꿀벌과 애벌레의 먹이로 곤충을 이용하는 말벌로 구분된다. 꿀벌류는 왕침벌과의 맵시벌아과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2018년 계통유전체학 연구에 따르면 꿀벌과 납작배벌과가 이전 "Crabronidae" 내에서 발생했으며, 이에 따라 "Crabronidae"는 측계통군으로 여러 과로 분리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 꿀벌상과에 속하는 벌들은 긴 혀를 가지고 있어, 깊은 곳에 있는 꽃의 꿀을 채취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꿀벌상과 - 는쟁이벌과
    는쟁이벌과는 아름다운 금속 광택을 지닌 가늘고 긴 체형의 곤충으로, 바퀴벌레류를 사냥하여 유충의 먹이로 삼는 포식기생 생물이며,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에 분포하고 한국에는 1종이 기록되어 있다.
  • 꿀벌상과 - 메갈라라 가루다
    메갈라라 가루다는 2011년 술라웨시 섬에서 발견된 검은색 몸통과 날개를 가진 곤충 종으로, 수컷은 큰 턱을 가지며 인도네시아 신화 속 신성한 새에서 종소명이 유래되었고 생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 벌목 - 개미
    개미는 벌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사회적 행동, 뚜렷한 신체 구조, 다양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며,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13,800종 이상이 발견된다.
  • 벌목 - 벌목 (곤충)
    벌목은 막질 날개와 갈고리로 연결된 뒷날개를 가지며 트라이아스기에 기원한 곤충의 한 목으로, 다양한 섭식 습성과 사회성을 보이며 서식지 감소로 종의 풍부성이 감소하는 위협에 직면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꿀벌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명Apoidea Latreille, 1802
세나가아나바치과
히메하나바치과

미트바치과
무카시하나바치과
깅그치바치과
코하나바치과
?
하키리바치과
케아시하나바치과


아나바치과
상위 분류하치아목 유검하목
이미지
서양꿀벌
서양꿀벌

2. 분류

꿀벌상과(Apoidea)는 벌아목에 속하는 상과이다. 이 상과는 주로 애벌레의 먹이 차이에 따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10][11][12]. 애벌레에게 곤충을 먹이는 말벌류(Spheciformes)와, 식물에서 얻은 꽃가루와 꿀을 먹이는 꿀벌류(Anthophila)가 그것이다[9][10][11][12].

최근 연구에 따르면, 꿀벌류는 특정 말벌 계통(전통적인 "게거미벌류")이 유충 먹이를 곤충에서 꽃가루와 꿀로 바꾸면서 진화한 것으로 본다. 이 때문에 전통적인 "게거미벌과"는 측계통군으로 간주되며, 꿀벌과 말벌류를 포함하는 현재의 꿀벌상과(Apoidea) 분류 체계가 사용된다. 이 명칭은 과거에 사용되었으나 측계통군을 지칭했던 Sphecoidea보다 우선한다. 꿀벌류 자체는 단일계통군으로 여겨진다[2].

2. 1. 꿀벌류 (Anthophila)

꿀벌류('''Anthophila''', 또는 Apiformes)는 벌아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17], 꿀벌상과 내에서 애벌레의 먹이곤충 대신 식물에서 얻은 꽃가루와 꿀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 들을 통칭한다.[10][11][12] 이는 유충 먹이로 주로 곤충을 이용하는 다른 꿀벌상과의 벌들(전통적인 말벌류, Spheciformes)과 구분되는 중요한 기준이다.[9][10][11][12]

최근 분류학적 연구에 따르면, 꿀벌류는 특정 말벌 계통(전통적으로 "게거미벌류"로 불렸던 그룹)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조상 그룹이 유충 먹이를 곤충에서 꽃가루와 꿀로 전환하면서 꿀벌류가 분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게거미벌과"는 측계통군으로 간주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꿀벌류가 왕침벌과(Crabronidae)의 맵시벌아과(Pemphredonina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13]

꿀벌류 자체는 단일계통군으로 인정받고 있으며[2], 꿀벌상과(Apoidea) 내에서 하나의 명확한 그룹을 형성한다. 꿀벌류에 속하는 주요 과는 다음과 같다.[17][8][12]

  • 가위벌과 (Megachilidae)
  • 꼬마꽃벌과 (Halictidae)
  • 꿀벌과 (Apidae)
  • 애꽃벌과 (Andrenidae)
  • 어리꿀벌과 (Colletidae)
  • 털보애꽃벌과 (Melittidae)
  • Stenotritidae과

2. 2. 말벌류 (Spheciformes)

꿀벌상과는 주로 애벌레의 먹이곤충을 이용하는 말벌류와, 식물로부터 꽃가루와 꿀을 모아 애벌레에게 먹이로 주는 꿀벌(bee)류로 구분된다[10][11][12].

말벌류 (Spheciformes)는 다음 4개의 과를 포함한다[8][12].

과 (한국어 명칭)과 (학명)
세나가말벌과Ampulicidae
왕침벌과Crabronidae
말벌과Sphecidae
Heterogynaidae과Heterogynaidae



꿀벌류는 왕침벌과의 맵시벌아과(Pemphredoninae)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로 인해 왕침벌과는 측계통군으로 간주된다[13].

3. 계통

침허리벌아목(Aculeata) 내에서 꿀벌상과(Apoidea)는 개미상과(Formicoidea)와 가장 가까운 자매 그룹으로 분류된다.[3][4] 꿀벌상과 내부의 계통 관계는 복잡하며, 최근 연구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계통유전체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꿀벌상과 내에서 바퀴벌레벌과(Ampulicidae)가 가장 먼저 분기된 그룹으로 나타난다. 이후 여러 과들이 분기하며, 꿀벌(Anthophila)은 Ammoplanidae와 가장 가까운 자매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 이러한 계통 분석은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왕침벌과(Crabronidae)가 측계통군임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꿀벌상과의 분류 체계가 재정립되고 있다.[1][4][5]

3. 1. "Crabronidae"의 재분류

최근 분류 연구에 따르면, 꿀벌은 유충의 먹이로 곤충 대신 꽃가루와 꿀을 사용하도록 진화한 말벌의 한 계통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분류에서 사용되던 왕침벌과는 측계통군이 된다. 따라서 현재는 꿀벌과 과거 'Sphecoidea'로 불렸던 말벌류를 모두 포함하는 단일 상과로 꿀벌상과(Apoidea)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Sphecoidea'는 측계통군을 정의하여 폐기된 이름이다. 꿀벌 자체(Anthophila)는 여전히 단일계통군으로 간주된다.[2]

2018년 Sann 연구진 등이 발표한 계통유전체학 연구는 이러한 분류 변화의 중요한 근거를 제시했다. 이 연구는 꿀벌과 납작배벌과가 기존의 왕침벌과 내에서 분기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왕침벌과가 측계통군이며, 여러 개의 독립된 과로 분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이전의 Heterogynaidae과를 모래벌과 내 Nyssonini족에 포함시켰다.[1]

이러한 발견은 2017년에 발표된 다른 두 연구팀의 결과와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세 연구 모두 왕침벌과가 측계통군이라는 점에서는 일치된 결론을 보여준다.[4][5] 또한, 꿀벌류는 왕침벌과의 맵시벌아과(Pemphredonina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는 왕침벌과가 측계통군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13]

4. 특징

벌목말벌과에 속하는 의 대부분은 사냥벌[14][15]로 불리며, 다른 곤충이나 거미를 독침으로 마비시켜 유충의 먹이로 제공한다. 이러한 벌들 중 성충은 주로 의 꿀이나 꿀샘에서 나오는 꿀을 먹기 때문에 꽃을 찾는다. 꿀벌은 이러한 사냥벌(구체적으로는 모래벌의 일종) 중에서 유충의 먹이로 다른 곤충 대신 꽃가루나 꿀을 이용하도록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16]

4. 1. 혀의 길이

벌들은 꿀을 채취하는 데 편리한 입(입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의 길이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된다. 짧은 혀를 가진 벌은 꽃의 관이 얕아 꿀을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진화 초기의 피자식물에서 꿀을 모으던 벌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반면, 긴 혀를 가진 벌은 꿀이 꽃의 깊숙한 곳에 있는 후기에 출현한 피자식물에서도 꿀을 채취할 수 있도록 능력을 갖춘 벌들의 후손으로 생각된다. 이 분류에서 꿀벌은 긴 혀를 가진 벌로 분류된다.[16]

참조

[1] 논문 Phylogenomic analysis of Apoidea sheds new light on the sister group of bees
[2] 간행물 Family-group names for bees (Hymenoptera: Apoidea) http://digitallibrar[...]
[3] 논문 Phylogenomics resolves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ants, bees, and wasps
[4] 논문 Phylogenomic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Stinging Wasps and the Origins of Ants and Bees
[5]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Hymenoptera
[6] 간행물 Order Hymenoptera https://doi.org/10.1[...] Magnolia Press
[7] 간행물 日本産花蜂類の分類群と和名 鹿児島女子短期大学
[8] 간행물 六脚亜門分類表 [[裳華房]]
[9] 웹사이트 アナバチ(ジガバチ)類について https://www.city.nag[...] 名古屋市 2022-06-30
[10] 웹사이트 ミツバチ上科 Apoidea - [[日本産生物種数調査]] - [[日本分類学会連合]] http://ujssb.org/bio[...] 2020-05-19
[11] 간행물 ハチ目(膜翅目) [[裳華房]]
[12] 간행물 日本産ハナバチ類の同定の手引き(コハナバチ科の一部、ハキリバチ科、ミツバチ科キマダラハナバチ属を除く) https://nh.kanagawa-[...] 神奈川県立生命の星・地球博物館
[13] 서적 Hymenoptera: The Natural History & Diversity of Wasps,Bees & Ants Firefly Books
[14] 문서
[15] 서적 カリバチ観察辞典 偕成社
[16] 문서
[17] 서적 한국 곤충 총 목록, 2010 http://book.naver.co[...] 자연과생태 2010-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