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끄리는 강의 하류나 저수지에 서식하는 육식성 어종으로,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S자 모양의 입과 턱의 구조가 특징이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중국, 대만, 일본에 분포하며, 수생곤충, 작은 물고기 등을 먹고 산다. 끄리는 난폭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탐식성이 강하여 수중 생태계를 교란하는 위해어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낚시 대상어종으로, 다양한 낚시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며, 낚은 후에는 스트레스를 쉽게 받아 죽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끄리는 식용으로도 이용되지만, 기생충 감염의 위험이 있어 생식은 피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라미아과 - 왜몰개
왜몰개는 몸길이 약 7cm의 민물고기로, 묵납자루와 비슷하지만 배가 둥글고 몸 높이가 낮으며, 유속이 느린 평야 지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일본 고유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교잡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피라미아과 - 백운산어
백운산어는 최대 4cm까지 자라는 소형 어종으로 붉은색 꼬리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를 가지며, 잡식성으로 수족관 환경에 적응력이 뛰어나 초보자도 기르기 쉽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쉬리
쉬리는 한강, 낙동강 등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물고기로, 노란색 또는 주황색 줄무늬와 영화 제목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학명은 아름다운 외형을 뜻한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가시납지리
가시납지리는 특정 시기에 민물조개에 알을 낳아 번식하며, 번식기 수컷은 등지느러미가 커지고 검은 점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암컷은 산란관을 갖는다.
| 끄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Opsariichthys bidens |
| 명명자 | Günther, 1873 |
| 멸종 위기 등급 | 최소 관심 (LC) |
| 최대 크기 | 21.9 cm |
| 최대 무게 | 58.4 g |
| 다른 이름 | 어헤 (문화어) |
| 생물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기어강 |
| 목 | 잉어목 |
| 과 | 잉어과 |
| 아과 | 피라미아과 |
| 속 | 끄리속 |
| 종 | 끄리 |
| 학명 명명 | Günther, 1873 |
| 이명 | Opsarichthys biden (Günther, 1873) Opsariichthys bidens amurensis (Günther, 1873) Opsariichthys chekianensis (Shaw, 1930) Opsariichthys hainanensis (non Nichols & Pope, 1927) Opsariichthys minutus (Nichols, 1926) Opsariichthys morrisonii (Günther, 1898) Opsariichthys uncirostris (Günther, 1873) Opsarichthys bidens (Günther, 1873) Rasbora blanchardi (Sauvage & Dabry de Thiersant, 1874) |
![]() | |
2. 생태
끄리는 강의 하류나 저수지에 살며,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는 짧고 입은 크며, 입 옆부분은 S자를 눕힌 모양이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길고 눈은 비교적 작다. 옆줄은 뚜렷하며 배 아래쪽으로 휜다. 몸은 약간 긴 타원형에 회갈색을 띠며, 비늘은 매우 작은 가시로 되어 있어 피부가 거칠다. 작은 동물을 먹는다.[1]
수중 생태계의 최정점에 있는 육식성 어종으로, 수생곤충(aquatic insect영어)이나 육상곤충(land insect, terristrial영어), 작은 물고기 등을 먹는다. 영어로는 Korean piscivorous chub영어(물고기를 먹는 잉어과의 고기) 또는 Notch Jaw영어(톱 모양의 특이한 입모양에서 유래)라고 불린다. 방언으로는 꾸리, 어희, 치리, 날치리, 칠어, 밀어 등이 있다. 한국, 중국, 대만, 일본에 분포하지만, 한국과 일본의 끄리는 서로 다른 종이다.[1]
한 번 점찍은 물고기는 기를 쓰고 따라가 먹어치우는 탐식성을 보이며, 강 바닥부터 수면, 심지어 물 위를 날아다니는 곤충까지 공격한다. 이러한 탐식성 때문에 낙동강에 방류된 끄리는 강 생태계를 심하게 교란하고 있는 심각한 위해어종이다.[1]
끄리는 추운 겨울에는 강 깊은 곳이나 댐에서 지내다가 3월이 되면 상류로 산란을 위해 이동할 준비를 한다. 4월에 본격적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여름, 가을까지 여울에서 지내다가 늦가을 지나 겨울에 접어들면 다시 하류로 내려가 겨울을 난다.[1]
대부분의 강에서 잡히는 끄리의 아가미 부분에는 피막하에 기생충이 낭을 형성하고 기생하고 있다. 특히 2010년에는 금강에서 채집된 끄리의 지느러미에까지 기생충이 번진 것이 확인되었다. 낚시인들 사이에서 기생충의 정체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충북내수면 연구소의 논문에 의하면 철사충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
2. 1. 서식지 및 분포
끄리는 강의 하류나 저수지에 서식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원래 서해로 흐르는 한강, 금강 수계의 하천 본류와 지류, 댐에서만 서식했으나, 동해의 삼척 초당저수지에서도 서식하고 있으며(인위적 이식), 최근에는 낙동강 수계에서도 그 존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끄리는 한국, 중국, 대만, 일본에 분포하지만, 한국과 일본의 끄리는 서로 다른 종이다.[1] 일본의 끄리는 コライ-ハス|고라이하스일본어라 불리며, '고려 끄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 성어의 몸길이가 20cm를 갓 넘는 작은 종으로, 옆줄 비늘 수가 한국 끄리보다 확연히 적다.[1]2. 2. 특징
몸은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는 짧고, 입은 크며 입 옆부분은 S자를 눕힌 모양이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길다. 눈은 비교적 작고, 옆줄은 뚜렷하며 배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다. 몸은 약간 긴 타원형이고 회갈색을 띤다. 비늘은 매우 작은 가시로 되어 있어 피부가 거칠다. 끄리는 작은 동물을 먹는 육식성 어종으로, 수중 생태계의 최정점에 있다.[1] 수생곤충이나 육상곤충, 작은 물고기 등을 먹는다.[1]끄리는 성어의 체장이 40cm에 달하는 대형 어종으로, 은색 비늘로 덮여 있다. 몸은 길고 가느다랗고, 측편(옆으로 납작)한 형태를 지녀 먹잇감을 향해 빠르게 돌진할 수 있다. 끄리 골격에서 특이한 점은 요철 모양으로 구부러진 주둥이의 모양인데, 한 번 물린 먹잇감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1]
3. 산란
끄리는 위도에 따라 산란 시기가 다르지만, 남부 지방에서는 4월 말부터 휴전선 이남 지방에서는 6월 중순까지 산란한다. 산란기가 되면 여울을 타고 올라가 바닥이 마사토나 잔자갈로 된 곳에 알을 낳는다. 산란 후에는 알을 지키지 않으며, 알은 부유성란의 성격을 띤다. 부화 후 1년이 지나면 체장이 10cm에 달하며, 이때부터 먹이를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 2년이 지나면 20cm 정도로 성장하여 산란이 가능하다.[1]
잉어아과 어류의 공통적인 특징 중 하나는 '추성'인데, 이는 산란기의 수컷에게만 나타나는 일종의 자극 돌기이다. 이 추성은 주둥이 주변과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에 발생하여 산란 시 암컷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데 사용되며, 수컷임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징표이다. 이 외에도 피라미와 마찬가지로 몸 색깔이 불그스름하게 변하는데, 대개 파랗고 빨간 가로줄 무늬가 나타난다. 이러한 몸 색깔과 돌기를 가진 수컷 끄리를 '바디끄리'라고 하며, 낚시인들에게는 짜릿한 손맛을 주는 어종으로 인기가 높다.[1]
산란 징후는 대개 봄에 나타나 산란기가 지나 여름이 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끄리의 산란기는 벚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맞춰 낚시를 가면 많은 끄리를 낚을 수 있다.[1]
3. 1. 산란 특징
끄리는 위도에 따라 산란 시기가 다르지만, 남부 지방에서는 4월 말부터 휴전선 이남 지방에서는 6월 중순까지 산란한다. 산란기가 되면 끄리는 여울을 타고 올라가 바닥이 마사토나 잔자갈로 된 곳에 알을 낳는다. 산란 후에는 알을 지키지 않으며, 알은 물에 뜨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1] 부화 후 1년이 지나면 몸길이가 10cm에 달하며, 이때부터 먹이를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 2년이 지나면 20cm 정도로 성장하여 산란이 가능하다.[1]잉어아과 어류의 공통적인 특징 중 하나는 '추성'인데, 이는 산란기의 수컷에게만 나타나는 일종의 자극 돌기이다. 이 추성은 주둥이 주변과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에 발생하여 산란 시 암컷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데 사용되며, 수컷임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징표이다. 이 외에도 피라미와 마찬가지로 몸 색깔이 불그스름하게 변하는데, 대개 파랗고 빨간 가로줄 무늬가 나타난다. 이러한 몸 색깔과 돌기를 가진 수컷 끄리를 '바디끄리'라고 하며, 낚시인들에게는 짜릿한 손맛을 주는 어종으로 인기가 높다.[1]
산란 징후는 대개 봄에 나타나 산란기가 지나 여름이 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끄리의 산란기는 벚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맞춰 낚시를 가면 많은 끄리를 낚을 수 있다.[1]
4. 낚시
끄리는 낚싯바늘에 걸리면 다이내믹하게 움직여 낚시꾼들의 호감을 사는 어종이다. 전문적으로 낚는 사람은 극히 드물지만 다양한 낚시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끄리가 많은 호소 등지에서는 피라미 낚시에 걸려든 피라미를 잡아먹으려 끄리가 같이 걸려드는 경우도 있고, 워낙에 잡식성이라 어분, 떡밥, 구더기, 지렁이 등을 이용한 각종 낚시에서도 가끔씩 손님고기로 비추곤 한다.
4. 1. 낚시 방법
끄리는 일단 낚싯바늘에 걸리면 다이내믹하게 움직여 낚시꾼들의 호감을 사는 어종이다. 전문적으로 낚는 사람은 극히 드물지만 다양한 낚시 방법이 개발되어 있기도 하다. 대표적인 것으로 우리 전통 낚시인 깻묵과 구더기를 이용한 견지낚시와 인조미끼를 이용한 루어낚시, 짐승의 털로 만든 가짜 벌레 바늘을 이용한 플라이 낚시가 있는데, 산란기에 많은 끄리를 낚는 동호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루어낚시에서는 주로 작은 물고기의 형태를 흉내 낸 숟가락 모양의 스푼루어를 사용하며, 플라이 낚시에서는 그날그날 끄리가 취이하는 대상을 새나 동물의 털바늘로 흉내 낸 바늘을 골라 사용하는데, 대개 작은 물고기류를 흉내 낸 스트리머류나 각종 수생곤충을 흉내 낸 드라이 플라이류, 수중에서 우화를 하는 과정인 이머저류, 그 외에도 육상 곤충을 흉내 낸 테러스트리얼류, 죽어 떠내려가는 곤충을 흉내 낸 웨트플라이류의 다양한 바늘을 사용한다.
이 밖에도 끄리가 많은 호소 등지에서는 피라미 낚시에 걸려든 피라미를 잡아먹으려 끄리가 같이 걸려드는 경우도 있고, 워낙에 잡식성이라 어분, 떡밥, 구더기, 지렁이 등을 이용한 각종 낚시에서도 가끔씩 손님고기로 비추곤 한다.
끄리는 성질이 급하고 스트레스를 쉽게 받는 어종이다. 따라서 낚은 후 꿰미에 꿰어 놓거나, 물 밖에 약간만 두어도 금방 죽는다. 게다가 도약을 하는 습성도 있어 집에서 어항에 기르기도 힘든 어종이다. 따라서 먹을 것이 아니면 가급적 잡은 후 바로 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 좋다.
4. 2. 주의사항
끄리는 일단 낚싯바늘에 걸리면 다이내믹한 파이팅으로 꾼들의 호감을 사는 어종이다. 전문적으로 낚는 사람은 극히 드물지만 다양한 낚싯법이 개발되어 있기도 하다. 끄리는 성질이 급하고 쉬이 스트레스를 받는 어종이므로 낚은 후 꿰미에 꿰어 놓거나, 물 밖에 약간만 두어도 금방 죽는다. 게다가 도약을 하는 습성도 있어 집에서 어항에 기르기도 힘들다. 따라서 먹을 것이 아니면 가급적 잡은 후 바로 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 좋다.[1]5. 요리
끄리는 그 살에 가시가 많고 살이 푸석하여 맛이 없는 고기로 알려져 있으나, 충청 내륙지방과 강원도에서는 그 살을 발라내어 어죽을 만들어 먹는데 그 맛이 별미이다. 또한 낚은 끄리는 배를 갈라 소금을 뿌려 꾸덕꾸덕하게 햇볕에 말린 후 숯불에 구워 먹으면 민물고기 치고는 상당히 먹을 만한 맛이다. 간혹 끄리를 잡아 회를 떠 먹는 사람들이 있는데, Metagonimus yokogawai|요꼬가와 흡충la을 비롯한 각종 기생충이 기생하는 민물고기이니 만큼 절대 생식은 금해야 할 것이다.
6. 기타
끄리는 원래 강계에서 서식하는 유수성 어종이다. 그러나 2009년부터 시행된 각종 공사로 인해 하천이 정체 수역으로 바뀌면서 끄리의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2000년 이후 안동호와 낙동강에서 끄리가 대량 번식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1] 이는 수중 생태계의 먹이 사슬 균형을 깨뜨려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1]
6. 1. 생태계 교란 문제
끄리는 수중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수생곤충이나 작은 물고기 등을 먹고 사는 육식 어종이다.[1] 탐식성이 매우 강하여 수중 생태계를 교란하는 위해 어종으로 간주된다.[1]원래 끄리는 한강, 금강 등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에 주로 서식했으나, 인위적인 이식 등으로 동해의 삼척 초당저수지, 낙동강 등에서도 발견된다.[1] 특히 낙동강에서는 끄리의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생태계 교란 문제가 심각하다.[1]
2000년대 이후 안동호와 낙동강에서 끄리가 대량 번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각종 하천 공사로 인해 정체 수역이 늘어나면서 끄리의 번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1] 이러한 끄리의 개체 수 증가는 먹이 사슬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수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1]
대부분의 강에서 잡히는 끄리의 아가미에는 기생충이 발견되며, 2010년 금강에서 채집된 끄리에서는 지느러미까지 기생충이 번진 것이 확인되었다.[1] 이 기생충은 철사충으로 밝혀졌으며, 끄리의 개체 수가 많고 이동 거리가 길어 수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
6. 2. 기생충 문제
대부분의 강계에서 낚이는 끄리의 아가미 부분에는 피막 아래에 기생충이 낭을 형성하고 있다.[1] 2010년 금강에서 채집된 끄리는 지느러미에까지 기생충이 번진 것이 확인되었다.[1] 낚시인들 사이에서는 기생충의 정체에 대해 갑론을박이 벌어졌으나, 충북내수면 연구소의 논문에 따르면 철사충으로 밝혀졌다.[1] 끄리는 개체 수가 많고 이동 거리가 길어 수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앞으로 연구가 시급하다.[1]참조
[1]
간행물
"''Opsariichthys bidens''"
2023-03-02
[2]
서적
Zoogeography of the fishes from Indochinese inland waters with an annotated check-list.
Bull. Zoöl. Mus. Univ. Amsterdam
[3]
서적
Fishes of Laos.
WHT Publications Ltd., Colombo 5, Sri Lanka.
[4]
논문
The taxonomy and phylogeny of the cyprinid genus ''Opsariichthys'' Bleeker (Teleostei: Cyprinidae) from Taiwan,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Environ. Biol. Fish.
[5]
서적
Danioninae.
Chen, Y.-Y. and et al. (Eds). Fauna Sinica. Osteichthyes. Cypriniformes II. Science Press, Beijing
[6]
서적
Fauna Sinica, Osteichthyes. Cypriniformes (II).
Science Press, Beij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