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운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운산어는 최대 4cm까지 자라는 소형 어종으로, 붉은색 꼬리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를 가지며 은녹색을 띤다.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으며, 수컷은 더 밝은 색을 띠고 지느러미가 넓은 반면 암컷은 지느러미가 삼각형이다. 잡식성으로, 곤충 유충, 모기, 새우 등을 먹으며, 수족관 환경에 적응력이 뛰어나 초보자도 기르기 쉽다.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한때 "가난한 사람들의 네온 테트라"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5년 이상 수명이 가능하다. 번식이 쉽고, 연못에서도 사육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라미아과 - 끄리
    끄리는 한국, 중국, 대만, 일본에 분포하며 하천 하류나 저수지에 서식하는 잉어목 잉어과 물고기로, 왕성한 식욕으로 수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있지만 기생충 감염 위험으로 생식은 피해야 한다.
  • 피라미아과 - 왜몰개
    왜몰개는 몸길이 약 7cm의 민물고기로, 묵납자루와 비슷하지만 배가 둥글고 몸 높이가 낮으며, 유속이 느린 평야 지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일본 고유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교잡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932년 기재된 물고기 - 켄트로프리네 스피눌로사
    켄트로프리네 스피눌로사는 1932년에 기술된 켄트로프리네과의 심해 아귀로, 가시 돋친 피부를 가진 암컷은 최대 23cm까지 자라며 수컷은 암컷에 기생하는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 1932년 기재된 물고기 - 참홍어
    참홍어는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는 가오리 종류로, 최대 1.12m까지 성장하며, 마름모꼴 가슴지느러미와 꼬리 등지느러미를 가지며 난생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소비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중국의 물고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중국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백운산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카히레
Tanichthys albonubes
학명Tanichthys albonubes
명명자S. Y. Lin, 1932
영명White Cloud Mountain minnow (화이트 클라우드 마운틴 미노우)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취약근접 (DD)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잉어목
잉어과
아과피라미아과
타니크티스속
아카히레 (Tanichthys albonubes)
학술 데이터베이스
ITIS163764
위키데이터Danio rerio

2. 형태

백운산어는 전체 길이가 최대 약 4cm까지 자라는 작은 물고기이다.[1] 몸 체색은 은녹색 또는 다소 갈색을 띤 은백색이며, 몸통에는 세로 줄무늬가 있다.[1][2] 특히 밝은 붉은색 꼬리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가 특징적이다.[1][2]

성적 이형성은 미미하지만 눈에 띈다.[1]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색이 더 밝고 몸이 가늘다.[1] 수컷의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넓고 부채 모양인 반면, 암컷의 지느러미는 삼각형 또는 쐐기 모양이다.[1] 또한 암컷은 복부가 더 하얗고 불룩하며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1][2]

2. 1. 개량 품종

백운산어 사육을 통해 여러 품종이 개발되었다.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밝은 가장자리를 가진 품종
  •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붉은 가장자리를 가진 품종
  • 몸 전체가 금색을 띠는 '골든'(Golden) 품종
  • 모든 지느러미가 붉은색을 띠는 장미빛 분홍색 품종


이러한 모든 색상 변종은 지느러미가 길게 늘어나는 '롱핀'(Longfin)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3. 생태

백운산어는 기회주의적인 잡식성 물고기이다. 다양한 수생 식물과 곤충 유충을 흔히 먹으며, 특히 모기 유충과 새우를 좋아한다. 가뭄이나 강한 햇빛 노출과 같은 극심한 환경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단순한 식물 대신 과일, 견과류와 같이 영양가가 더 높은 먹이를 찾는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동족이나 다른 연못 생물의 사체를 먹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원래 중국 광둥성 일대에 서식했으나, 야생에서는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하지만 최근 베트남 북부에서도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같은 속에 속하는 종으로는 Tanichthys micagemmae|타니크티스 미카겜마이eng(통칭 베트남 적비늘)가 있다.

4. 사육

백운산어는 튼튼하고 기르기 쉬워 관상어 사육 초보자나 어린이에게 추천되는 어종이다. 제브라다니오와 가까운 관계이며, 일반적인 플레이크나 펠릿 사료를 잘 먹는다. 냉수성 어종으로 비교적 낮은 수온과 다양한 수질 환경에 잘 적응하여 관리가 용이하다.

군집 생활을 하므로 최소 5마리 이상 함께 기르는 것이 좋으며, 혼자 두면 색이 흐려지고 소심해질 수 있다. 성격은 온순하여 자신을 잡아먹을 수 있는 큰 어류가 아니라면 다른 물고기와 합사하는 데 무리가 없다. 주로 수족관의 상층이나 중층에서 활동한다.

번식 또한 쉬운 편으로, 특별한 관리 없이도 수족관 환경에서 알을 낳고 번식할 수 있다. 자신의 알이나 치어를 먹는 경우가 드물어 부모 개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 낮은 수온과 산소 부족에도 강하여 관상용뿐만 아니라 실험 생물로도 이용되며, 병에 넣어 "코피"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모기 유충을 잘 먹기 때문에 개구리 번식용 연못 등에서 모기 방제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과거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화려하지만 가격이 비쌌던 네온 테트라에 비해 저렴하여 "가난한 사람들의 네온 테트라" 또는 "푸어맨즈 네온"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튼튼하고 저렴하다는 이유로 송사리금붕어처럼 육식어의 먹이로 사용되기도 한다.

개량 품종으로는 지느러미를 길게 늘린 '롱 핀(Long Fin)' 타입이나 노란색 체색을 가진 '골든(Golden)' 타입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4. 1. 사육 환경

백운산어는 수족관온도수질에 비교적 관대하여 초보자가 기르기 좋은 물고기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플레이크나 펠릿 형태의 먹이를 잘 먹는다. 새로운 수족관의 물잡이(사이클링)를 위한 "스타터 피쉬"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이 과정은 물고기에게 스트레스를 주거나 치명적일 수 있어 이미 물잡이가 완료된 수조에 넣는 것이 좋다.

백운산어는 군집성 어종으로, 최소 5마리 이상 함께 있을 때 가장 안정감을 느낀다. 혼자 두면 소심해지고 특유의 밝은 색을 잃을 수 있다. 성격은 일반적으로 온순하여 자신을 잡아먹을 수 있는 큰 물고기가 아니라면 다른 어종과 문제없이 합사할 수 있다. 주로 수조의 상층이나 중층에서 활동하며 바닥 근처에서는 거의 헤엄치지 않는다. 수명은 보통 5년 이상이다.

야생에서의 적정 수온은 18°C에서 22°C 사이지만, 5°C 정도의 낮은 수온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추운 기후에서도 별도의 히터 없이 무가온 수족관에서 사육하기에 적합하다. 실제로 백운산어는 일반적인 열대어 수조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활발하고 건강한 모습을 보인다. 경도(dH)는 5에서 19 사이, pH는 6.0에서 8.0 사이가 적합하다. 수조에는 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드물지만 백운산어가 수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화려하지만 비쌌던 네온 테트라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가난한 사람들의 네온 테트라"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어린 물고기의 몸 옆면에 나타나는 푸른 광택의 세로 줄무늬 때문에 "푸어맨즈 네온"이라고도 불렸다.

낮은 수온과 산소 부족에 강하고 사육과 번식이 비교적 쉬워 관상용뿐만 아니라 실험 생물로도 이용된다. 병에 넣어 "코피"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튼튼하고 기르기 쉬워 송사리금붕어처럼 육식어의 먹이로 사용되기도 한다.

개량 품종으로는 지느러미가 길어진 '롱 핀(Long Fin)' 타입과 노란색 몸을 가진 '골든(Golden)' 타입이 있으며, 이 외에도 '메테오 미노우(Meteor Minnow)', '금발 클라우드(Blonde Cloud)', '핑크 클라우드(Pink Cloud)' 등 다양한 변종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메테오 미노우'는 1950년대 서호주 퍼스에서, '골든 클라우드'는 1990년대에 등장했다.

4. 2. 번식

백운산어는 번식이 매우 쉬워 초보자에게도 추천되는 어종이다. 가까운 관계인 제브라다니오처럼 기르기 쉽다.

산란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브라인 슈림프나 물벼룩과 같은 생먹이를 급여하는 것이 좋다. 산란 장소로는 자와모스나 수세미 뭉치, 혹은 산란용 걸레(mop)와 같은 구조물을 수조 안에 함께 배치해주면 된다. 준비가 되면 수컷들은 서로 나란히 서서 지느러미를 활짝 펴 과시하며 암컷을 유혹하려 경쟁하기도 한다. -- 암컷의 임신 여부는 배가 부른 정도로 알 수 있으며, 수컷은 암컷을 끊임없이 쫓아다니며 구애 행동을 보인다.

백운산어는 난생 어종으로, 준비된 식물이나 구조물 사이에 알을 자유롭게 흩뿌리는 방식으로 산란한다. 다른 많은 어종과 달리, 백운산어는 자신의 알이나 갓 태어난 치어를 잡아먹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산란 후 부모 개체를 굳이 분리할 필요는 없다.

알은 수온에 따라 약 48시간에서 60시간 정도 지나면 부화한다. 갓 부화한 치어는 매우 작아서 처음에는 수조의 유리 벽면이나 식물 사이에 붙어 있는 모습으로 발견될 수 있다. 치어가 자유롭게 헤엄치기 시작하면, 아주 미세하게 분쇄한 물고기 사료나 인퓨조리아와 같은 매우 작은 먹이를 급여하여 키울 수 있다.[9]

백운산어는 낮은 수온과 산소 부족에도 비교적 강하며, 사육과 번식이 용이하여 관상용뿐만 아니라 실험용 생물로도 이용된다. 또한 모기 유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능력이 있어, 개구리 번식용 연못 등에서 모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활용되기도 한다.

백운산어

4. 3. 연못 사육

백운산어는 때때로 연못에서 기르기도 하는데, 특히 개구리 번식을 위한 연못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백운산어는 모기 유충을 효과적으로 잡아먹어 모기 번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만, 다 자란 백운산어는 올챙이가 부화하기 전의 개구리 알을 먹을 수 있다. 그러나 올챙이가 부화하여 며칠만 지나면 백운산어에게 잡아먹힐 위험에서 벗어나므로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다른 물고기가 없는 연못 환경이라면 백운산어는 쉽게 번식한다. 낮은 수온에도 잘 견뎌 5°C까지의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하지만 겨울철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못에 적절한 난방 시설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백운산어는 원 서식지와 유사한 아열대 기후의 연못 환경에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5. 기타

백운산어는 낮은 수온과 산소 부족에 강하며, 수족관에서의 사육과 번식이 비교적 쉬워 관상용으로 많이 길러진다. 또한, 실험 생물로도 이용된다. 작은 병에 담겨 '코피'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하며, 가장 튼튼하고 기르기 쉬운 관상어 중 하나로 꼽힌다.

어린 물고기는 몸 옆의 세로 줄무늬가 푸른 광택을 띠어 눈에 띄는데, 과거 네온 테트라가 비쌌던 시절에는 '푸어맨즈 네온' 또는 '가난뱅이 네온'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튼튼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송사리금붕어처럼 육식어의 먹이로 사용되기도 한다.

개량 품종으로는 지느러미가 길어진 '롱 핀' 타입과 노란색 몸을 가진 '골든' 타입 등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Tanichthys albonubes 2011
[2] 웹사이트 Tanichthys albonubes 2004-12-07
[3] 논문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Tanichthys albonubes Lin 1932 (Cyprinidae) http://ir.ihb.ac.cn/[...] 2007-10-11
[4] 웹사이트 White Cloud Mountain Minnow http://freshaquarium[...] About.com 2015-02-10
[5] 웹사이트 New population of endangered White clouds discovered http://www.practical[...] Practical Fishkeeping 2009-07-29
[6] 웹사이트 Tanichthys albonubes White Cloud Mountain Minnow http://www.seriously[...] Seriously Fish 2015-02-10
[7] 웹사이트 White Cloud Mountain Minnow http://freshaquarium[...] About Home 2015-04-21
[8] FishBase 2004-10
[9] 기사 How to Breed White Clouds http://www.practical[...] Practical Fishkeeping 20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