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그네와 마술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그네와 마술사는 체왕 덴둡이 주연을 맡은 영화로, 젊은 정부 관리 돈둡이 미국으로 탈출하려는 꿈을 꾸며 겪는 여정을 그린다. 부탄의 아름다운 마을에 갇힌 돈둡은 비자를 얻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팀푸로 가는 길에서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 영화는 욕망과 깨달음,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주제로 다루며, 부탄의 문화와 스토리텔링 기법을 반영한다.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도빌 아시아 영화제 관객상, SAARC 영화제 최우수 장편 영화 은메달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또 다른 결승전
《또 다른 결승전》은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 날 FIFA 랭킹 최하위 두 팀인 부탄과 몬트세랫의 친선 축구 경기이자 이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축구를 통한 우정의 메시지를 담아 부탄이 4-0으로 승리하며 A매치 첫 승을 거두었다. - 부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리틀 부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1993년 영화 《리틀 부다》는 석가모니의 전생으로 여겨지는 소년 제시와 싯다르타 고타마의 깨달음 과정을 병행하여 보여주며, 네팔과 부탄에서 촬영되었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을 맡았으나, 평단의 반응은 엇갈렸다. - 티베트어 영화 작품 - 마운틴 패트롤
2004년 루추안 감독의 영화 마운틴 패트롤은 칭장고원에서 티베트 영양을 보호하는 민간 순찰대의 헌신과 희생을 다룬 준 다큐멘터리 영화로, 금마장 최우수 작품상, 도쿄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등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고 멸종 위기종 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티베트어 영화 작품 - 브링 홈: 아버지의 땅
텐진 체탄 초클레이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브링 홈: 아버지의 땅은 뉴욕의 티베트 출신 예술가 텐징 릭돌이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티베트 흙을 밀반입하여 설치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고향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와 예술의 힘을 보여주며 유럽 젊은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 모험 드라마 영화 - 피츠카랄도
피츠카랄도는 1982년 개봉한 영화로, 20세기 초 아마존 분지에서 오페라 하우스를 건설하려는 아일랜드인 브라이언 스위니 피츠제럴드의 이야기를 다루며, 320톤 증기선을 언덕 위로 옮기는 장면을 특수 효과 없이 촬영했다. - 모험 드라마 영화 - 워터 디바이너
러셀 크로우가 감독과 주연을 맡은 2014년 오스트레일리아-미국 합작 전쟁 드라마 영화 워터 디바이너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호주 농부가 갈리폴리 전투에서 실종된 세 아들을 찾아 터키로 떠나는 여정을 그린 실화 바탕 영화로, 호주 영화 비평가 협회상에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나그네와 마술사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ravellers And Magicians |
부탄어 제목 | ཆང་ཧུབ་ཐེངས་གཅིག་གི་འཁྲུལ་སྣང |
부탄어 제목 (로마자 표기) | chang hub thengs gcig gi 'khrul snang |
부탄어 제목 (의미) | 와인 한 모금을 마시며 겪는 환각 |
영화 정보 | |
감독 | 키엔체 노부 |
제작 | 레이몬드 스타이너, 말콤 왓슨 |
각본 | 키엔체 노부 |
출연 | 네텐 초클링, 체왕 덴덥, 라크파 도르지, 소남 킹가, 소남 라모, 데키 양좀 |
촬영 | 앨런 코즐로브스키 |
편집 | 존 스콧, 리사-앤 모리스 |
배급사 | 자이트가이스트 필름스 |
개봉일 | 2003년 |
상영 시간 | 108분 |
제작 국가 | 부탄 |
사용 언어 | 존카어 |
제작 예산 | 180만 달러 |
2. 줄거리
미국으로의 이민을 꿈꾸는 젊은 정부 관리 돈둡은 아름답지만 고립된 마을에서의 생활에 답답함을 느낀다. 그는 미국 비자를 받기 위해 수도 팀푸로 가려 하지만, 마을의 유일한 버스를 놓치고 만다. 결국 그는 사과 장수, 화려한 용머리 드라몐(부탄 전통 악기)을 든 불교 승려, 술 취한 남자, 쌀 종이를 만드는 과부와 그의 딸 소남과 함께 도로변을 따라 히치하이킹을 시작한다.
미국으로 떠나길 꿈꾸는 젊은 정부 관리 '''돈둡'''(배우: 체왕 덴둡)은 팀푸행 버스를 놓치고 우연히 여러 사람들과 동행하게 된다.[1] 그와 함께하는 인물들은 불교 승려, 사과 장수, 술 취한 남자, 그리고 딸 '''소남'''(배우: 소남 라모)과 함께하는 쌀 종이 제조자 등이다.[1] 여행 중 승려는 돈둡에게 '''타시'''라는 젊은 농부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이 이야기에는 늙은 나무꾼과 그의 아내 '''데키'''(배우: 데키 양좀)가 등장한다.[1] 이 인물들은 돈둡의 여정과 내적 갈등을 반영하며 극을 이끌어간다.[1]
긴 여정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승려는 돈둡처럼 현재의 삶에서 벗어나기를 갈망하는 젊은 농부 타시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타시는 더 나은 삶을 찾아 말을 타고 숲으로 들어갔다가 길을 잃고, 외딴 곳에 사는 늙은 은둔자 나무꾼과 그의 아름다운 젊은 아내 데키를 만난다. 타시는 신비로운 힘으로 소원을 이룰 기회를 얻지만, 이내 데키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욕망과 질투에 사로잡힌다. 그는 데키와 공모하여 나무꾼을 살해하려 하지만, 나무꾼이 죽어가는 모습을 보며 죄책감에 시달려 도망친다. 데키는 타시를 뒤쫓아가지만 강물에 빠져 목숨을 잃는다.
그러나 승려가 들려준 타시의 모험은 사실 타시가 창(부탄의 전통주)에 취해 꾼 환상이었음이 밝혀진다. 이 이야기는 돈둡이 동행하는 소남에게 점차 호감을 느끼는 상황과 겹쳐진다. 타시와 비슷한 갈림길에 선 돈둡은 마침내 팀푸로 가는 차를 얻어 타게 된다. 영화는 돈둡이 비자를 받고 미국으로 떠났는지, 아니면 여정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마을로 돌아갔는지 명확히 보여주지 않은 채 끝을 맺으며 관객에게 여운을 남긴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4. 주제
감독 켄체 노르부(Dzongsar Jamyang Khyentse Rinpoche)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불교 라마이기도 하며, 이 영화를 통해 신생 부탄 영화 산업의 기준을 세우고자 했다. 영화의 이야기는 부탄 전통 민속과 이야기 기법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감독은 일본 문학 및 불교 우화 등에서도 영감을 받았다.[1][3]
영화는 승려가 또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는 액자식 구성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이야기 속 인물이 창(chhang)이라는 술을 마시고 환각 또는 꿈을 꾸는 장면을 통해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다층적인 이야기 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기법들은 부탄의 문화를 반영하는 주제 및 어휘와 함께 영화를 매우 부탄적인 작품으로 만든다.
한편, 부탄 인구의 4분의 1만이 종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기 때문에, 영화 제작 과정에서 배우 소남 킹가가 방언 코치 역할을 맡아 배우들의 언어 지도를 담당하기도 했다.[1] 이는 영화가 부탄의 현실적인 언어 환경까지 담아내려 했음을 보여준다.
4. 1. 욕망과 깨달음
미국으로의 이민을 꿈꾸는 젊은 정부 관리 돈둡(배우: 체왕 덴둡)은 현재의 삶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강한 욕망을 지니고 있다. 그는 데님으로 만든 고를 입을 정도로 서구 문화에 매료되어 있으며, 팀푸에 있는 미국 대사관에서 비자를 받아 부탄을 떠나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팀푸행 버스를 놓치면서 그의 계획은 어긋나고, 사과 장수, 화려한 용머리 드라몐을 든 승려, 술 취한 남자, 쌀 종이 제조자인 과부와 그의 딸 소남(배우: 소남 라모) 등 다양한 인물들과 함께 도로를 따라 걷거나 히치하이킹을 하게 된다.이 여정 중, 승려는 돈둡에게 타시라는 젊은 농부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타시 역시 돈둡처럼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마을을 떠나기를 갈망하는 인물이다. 그는 말을 타고 숲으로 들어갔다가 길을 잃고, 외딴 산속에서 늙은 나무꾼과 그의 아름다운 젊은 아내 데키를 만난다. 타시는 데키의 아름다움에 즉시 매료되어 강한 욕망을 느끼지만, 동시에 나무꾼과 그의 도끼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결국 타시는 데키(타시의 아이를 임신한 상태)의 도움을 받아 나무꾼을 살해하려 하지만, 나무꾼이 죽어가는 모습에 죄책감을 느끼고 도망친다. 데키는 타시를 부르며 뒤쫓아가지만 산속 강물에 빠져 목숨을 잃는다.
그러나 승려가 들려준 타시의 모험은 그가 집에서 만든 술인 '창'에 취해 꾼 환상 혹은 꿈이었음이 밝혀진다. 이 이야기는 돈둡이 동행하는 소남에게 점차 호감을 느끼는 상황과 미묘하게 평행을 이룬다. 돈둡 역시 타시처럼 욕망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비슷한 딜레마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는 마침내 팀푸로 가는 차를 얻어 타지만, 영화는 그가 비자를 받고 미국으로 떠났는지, 아니면 여정을 통해 마음의 변화를 겪고 마을로 돌아갔는지 명확한 결말을 보여주지 않는다. 관객은 돈둡이 타시의 이야기를 통해 어떤 깨달음을 얻었을지, 그리고 그의 최종 선택이 무엇이었을지 생각하게 된다.
감독에 따르면, 돈둡의 이야기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 《이즈의 무희》에서, 타시의 이야기는 마법사가 되려는 형제에 관한 불교 우화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1][3] 이처럼 영화는 두 인물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과 그로 인한 내적 갈등, 그리고 깨달음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4. 2. 전통과 현대의 조화
영화에서는 전통 음악과 현대적인 퓨전 음악이 함께 사용되었다.[1] 주인공 중 한 명인 덴둡이 듣는 음악 시스템에서는 록 음악을 비롯한 서양의 영향을 받은 음악이 흘러나오며, 이는 현대적인 요소를 보여준다. 반면, 승려가 연주하는 전통 악기 '드라민(dramyin)' 소리와 영화의 배경 음악에서는 부탄 전통 음악의 특징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음악의 배치는 영화 속에서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찬트 음악가 데이비드 하이키스 역시 감독의 초청을 받아 영화 음악에 기여했다.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상업적으로 발매되기도 하였다.[1]5. 제작
노르부 감독의 이전 영화인 ''컵''의 제작 방식과 마찬가지로, 전문 배우는 덴둡(라디오 배우)을 제외하고는 기용되지 않았다. 농부, 학생, 부탄 방송사, 부탄 정부, 그리고 부탄 왕실 근위대 직원들을 포함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이 열렸다. 캐스팅 및 개봉일 결정 등 많은 제작 결정은 고대 점술 방법인 모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6. 평가
''나그네와 마술사''는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6. 1. 평론가 반응
''나그네와 마술사''는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버라이어티(Variety)의 영화 평론가 데이비드 스트래튼은 영화 출연진의 "자연스럽고 꾸밈없는" 연기를 칭찬했다.[7] 살롱(Salon)의 앤드류 오헤어는 영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나그네와 마술사]는 당신의 영화적 자아를 뒤흔들지는 않겠지만, 영리하고 매력적이며 종종 아름다운 작은 영화이며, 나는 이 영화가 끝나기를 원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8]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의 데센 톰슨은 이 영화를 "매우 매혹적"이라고 평가했다.[9]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의 데이브 케어는 이 영화를 "쾌적하고 다채로운 여행기"라고 묘사했다.[11] 반면, 슬랜트(Slant)의 조시 바스케스는 이 영화에 4개 중 2.5개의 별점을 부여했다.[10]리뷰 집계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평론가 61명의 리뷰를 바탕으로 93%의 신선도 점수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7.35점이다. 로튼 토마토의 "평론가 합의"는 "영적인 발견에 대한 얽힌 이야기가 아름답고 감동적인 풍경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쾌적하고 매력적인 수입 영화"라고 요약한다.[12] 메타크리틱에서는 19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71점을 받아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나타냈다.[13]
6. 2. 수상 내역
- 관객상, 도빌 아시아 영화제
- 신인 감독상, 아시아계 미국인 국제 영화제
참조
[1]
논문
Film-making in Bhutan: The view from Shangri-La
2007-04
[2]
논문
Great Journeys in Little Spaces: Buddhist Matters in Khyentse Norbu’s Travellers and Magicians
https://www.academia[...]
2018-12
[3]
웹사이트
Once Upon A Time in Bhutan
http://www.ifp.org/i[...]
2016-08-11
[4]
Webarchive
US Press Kit
http://www.traveller[...]
2007-01-02
[5]
웹사이트
The adventure of making 'Travellers and Magicians'
https://www.theunion[...]
2019-10-27
[6]
웹사이트
Travellers and Magicians (2005)
https://www.boxoffic[...]
2019-09-10
[7]
웹사이트
Travellers And Magicians
https://variety.com/[...]
2019-08-08
[8]
웹사이트
Beyond the Multiplex
https://www.salon.co[...]
2019-08-08
[9]
웹사이트
'Travellers': Simply Magical
http://www.washingto[...]
2019-08-08
[10]
웹사이트
Review: Travellers and Magicians
https://www.slantmag[...]
2019-08-08
[11]
웹사이트
Nothing Like a Pretty Girl to Energize the Quiet Life
https://www.nytimes.[...]
2019-09-09
[12]
웹사이트
Travelers and Magicians (2005)
https://www.rottento[...]
2013-05-07
[13]
웹사이트
Travelers and Magicians Reviews
https://www.metacrit[...]
2019-08-08
[14]
웹사이트
Winners – SAARC Film Festival 2016
http://saarcculture.[...]
2019-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