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람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람신은 마니슈투슈의 아들이자 사르곤 대왕의 손자로, 기원전 2254년에서 2218년까지 아카드 제국을 통치한 왕이다. 그는 영토를 지중해까지 확장하고, 자신을 신격화하여 "사방 영역의 왕" 칭호를 사용했으며, 엘람을 통치하고 서기 제도를 개혁했다. 나람신은 여러 부족을 정복하고, 에블라와 아르마눔을 정복하는 등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지만, 대규모 반란에 직면하기도 했다. 그의 통치 기간에는 바세트키 조각상과 같은 유물이 제작되었으며, "나람신 승리 기념비"와 같은 기념비가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는 또한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아카드 왕조 멸망의 원인을 제공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의 왕 - 나보니두스
    나보니두스는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마지막 왕으로, 종교 개혁 시도와 아들에게 통치를 위임한 후 장기간 테이마에 머물렀으며, 고고학적 발굴에 관심을 가져 "최초의 고고학자"로도 평가받는다.
  • 아카드의 왕 - 사르곤
    사르곤은 기원전 24세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아카드 제국을 건설하고 수메르를 통일한 인물로, 다양한 기록과 전설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34개의 도시를 통합하고 후대 왕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아카드의 왕 -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왕들이 사용한 칭호로, 수메르와 아카드 지역을 통합하거나 지배했음을 나타내며, 우르남무에 의해 처음 사용되어 다양한 통치자들이 사용했다.
  • 인물신 - 송첸캄포
    송첸캄포는 7세기 티베트 야르룽 왕조의 제33대 왕으로, 티베트를 통일하고 불교를 전파했으며, 라싸를 수도로 삼고 영토를 확장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다.
  • 인물신 -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56년경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고 20세에 왕위를 계승하여 그리스 통일,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인도 원정 등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헬레니즘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32세에 요절하여 제국은 분열되었다.
나람신
기본 정보
나람신의 초상
나람신의 초상
칭호아카드의 신
아카드의 왕
수메르의 왕
세계 네 방향의 왕
우주의 왕
로마자 표기ʾNarām-Sîn
통치 기간
재위기원전 2254년경 – 2218년
이전마니슈투슈
이후샤르-칼리-샤리
가계
아버지마니슈투슈
왕조아카드 왕조
후계샤르-칼리-샤리

2. 생애

나람신은 마니슈투슈의 아들이자 사르곤의 손자였다.[4][5] 정확히는 나람신(Naram-Sin) 또는 나람수엔(Naram-Suen)이 아닌, 고대 아카드어로는 나람수이인(Naram-Suyin)(/narām-tsuyin/) 또는 나람수인(Naram-Suʾin)(/narām-tsuʾin/)으로 재구성해야 한다.[33] 그의 이모는 여사제 엔헤두아나였다.

나람신(Naram-Suen)의 테라코타 벽돌 도장. 이스탄불 고대 오리엔트 박물관


나람신 승리 기념비 9068


나람신은 마간(Magan)의 마니움(Manium)과 자그로스 산맥, 토러스 산맥, 아마누스 산맥의 여러 북부 산악 부족들을 정복하고 제국을 지중해까지 확장했다. 그의 "승리 기념비"는 자그로스 산맥의 루룰비 족장 사투니(Satuni)에 대한 그의 승리를 묘사하고 있다.

수메르 왕명록은 그의 통치 기간을 56년으로 기록하고 있으며,[6][7] 그의 연호 중 적어도 20개는 알려져 있는데, 우루크와 수바르투 등 여러 지역에 대한 군사 행동을 가리킨다. 알려지지 않은 한 해는 "나람신이 키라셰니웨(Kirasheniwe)에서 시무룸을 무찌르고 시무룸의 총독 바바(Baba)와 아라메(Arame)의 엔시(ensi) 두불(Dubul)을 사로잡은 해"로 기록되었다. 다른 연호들은 아카드, 니푸르, 자발라의 사원 건설 사업을 언급한다. 그는 또한 나가르와 니네베에 행정 중심지를 건설했다.

나람신의 연호 순서는 그의 첫 번째 연호인 "나람신이 신 엔릴의 사원에서 하늘/안의 무기를 받은 해"를 제외하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그의 이름에 신성 규정자가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신격화 이전과 이후(대반란 직후로 추정)로 구분할 수 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나람신은 도시 국가들에 대한 직접적인 왕실 통제를 강화했다. 그는 많은 아들들을 주요 지방 총독으로, 딸들을 대사제로 임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여러 도시 국가들을 통제했다. 그는 또한 서기 제도를 개혁했다.[8][9]

몇몇 충성스러운 현지 총독들은 그 자리에 남았다. 여기에는 아다브 도시 국가의 총독 메스키갈(Meskigal)과 위치가 불확실한 니쿰(Niqqum)의 총독 카르숨(Karsum)이 포함된다. 또 다른 인물은 라가시의 루갈우슈갈이었다. 나람신의 후계자인 샤르칼리샤리를 섬긴 루갈우슈갈의 여러 비문, 특히 인장 인상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그를 라가시의 총독이자 당시 나람신의 봉신( , ''arad'', "종" 또는 "노예")으로 언급하고 있다.[10]

2. 1. 즉위와 통치

나람신은 마니슈투슈의 아들이자 사르곤의 손자였다. 즉위 경위는 명확하지 않지만, 여러 기록과 유물을 통해 활발한 정복 활동을 벌였음을 알 수 있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2254년 ~ 기원전 2218년(중간 연대기)으로 추정되나, 학자에 따라 이견이 있다.

나람신은 재위 중에 엘람 지방과 아나톨리아 반도 남동부, 지중해 지역(에블라)에 원정을 감행하여 아무르인을 토벌하고, 사르곤을 능가하는 아카드 역사상 최대의 영토를 건설했다. 조부 사르곤이 정복한 영토는 나람신 즉위 직후 대부분 상실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고고학 자료가 비교적 많이 남아 있어 사르곤의 원정에 비해 실증성이 높다. 이러한 원정을 수행하기 위해 국내 각지에 요새를 건설하고 연락망을 구축했다.

그러나 급격히 확장된 영토에서는 반란이 잇달았다. 기록에 따르면, 영토 각지에서 반란이 발생하여 1년에 9번의 전투를 치렀다고 한다. 이 “1년에 9번의 전투를 치렀다”는 반란은 아마도 수메르 등 제국 중핵 지역에서 발생한 반란으로 추정된다. 나람신은 이 반란 진압 성공을 크게 자랑하며, 이후 비문 등에 자신의 이름 앞에 신을 의미하는 발음하지 않는 한정어 “딩기르”를 붙이게 된다.

그의 사후, 아들 샤르-칼리-샤리가 왕위를 계승했다.

2. 2. 정복 활동

나람신은 엘람, 자그로스 산맥, 토러스 산맥, 아마누스 산맥 등지의 여러 부족을 정복하고 제국을 지중해까지 확장했다.[14] 특히 자그로스 산맥의 루룰비족 족장 사투니를 무찌른 승리는 '나람신 승전비'에 묘사되어 있다. 그는 에블라와 아르마눔을 정복하고, 아카드 제국의 영향력을 시리아 지역까지 확대했다.[31][32]

나람신의 곤봉 머리, 기원전 2254-2218년경 - 시카고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박물관


"왕이 아르마눔 원정을 떠난 해" 와 우르에서 발견된 상 조각 비문(IM 85461)의 구 바빌로니아 사본에서 나람신이 아르마눔(위치는 알 수 없으나 탈 바지로 추정됨)의 지배자 리드-아다드와 에블라(현재 알레포에서 남서쪽으로 55km)를 정복한 사실을 알수 있다. 또한 대리석 램프, 석판, 구리 그릇 세 점에 "나람신, 위대한 자, 사방의 왕, 아르마눔과 에블라의 정복자"라고 새겨져 있다.[31][32] 2010년에는 툴룰 알-바카랏(고대 도시 케시로 여겨짐)에서 이 원정을 묘사하는 새로운 비석 조각(IM 221139)이 발견되었다.[33]

나람신은 비문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인류가 창조된 이래, 어떤 왕도 아르마눔과 에블라를 파괴한 적이 없었으나, 네르갈 신은 (그의) 무기를 통해 위대한 자 나람신에게 길을 열어주고 아르마눔과 에블라를 그에게 주었다. 더욱이 그는 아마누스, 시다르 산, 상부 해를 그에게 주었다. 왕권을 높이는 신 다간의 무기를 통해 위대한 자 나람신은 아르마눔과 에블라를 정복했다."[14]

2. 3. 대반란과 신격화

나람신 통치 기간 중, 키시의 이푸르-키스와 우루크의 아마르-기리드가 주도하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12][13] 이 반란에는 니푸르의 엔릴-니주를 비롯하여 쿠타, 티와, 시파르, 카잘루 등 여러 도시 국가들과 "아모리테 고지대 주민들"이 참여했다.[12][13] 바세트키 조각상에는 나람신이 1년 만에 9번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반란군 지도자들을 사로잡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4]

바세트키 조각상, 기원전 23세기, 이라크 바세트키 출토. 이라크 박물관


바세트키 조각상의 고대 아카드 설형 문자 비문


반란 진압 후, 나람신은 자신을 신격화하고 이름 앞에 신을 의미하는 한정어 '딩기르'를 붙였다.[14] 그는 사르곤 이래로 사용해 온 "세계의 왕"(수메르어: Lugal kiš ki) 대신 '''四方領域의 왕'''(수메르어: Lugal kibratim arbaim)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이러한 왕의 신격화는 이후 메소포타미아의 왕들에게 계승된다.

2. 4. 엘람 통치

엘람은 아카드 제국 사르곤 시대부터 아카드의 지배를 받았으나, 끊임없이 반항했다. 아카드의 제2대 통치자 리무슈는 원정을 통해 "엘람과 파라수움 정복자"라는 칭호를 얻었고, 제3대 통치자 마니슈투슈는 엘람의 안샨과 파시메를 정복하고 총독을 임명했다.[23]

나람신은 동쪽의 엘람부터 서쪽의 에블라와 아르마눔까지 원정을 감행했다.


나람신은 왕의 칭호에 "파라수움까지 이르는 엘람 전토의 지휘관"을 추가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엘람에는 일리-이시마니, 에피르무피와 같이 아카드식 이름을 가진 "엘람 땅의 군사 총독들"(샤카나쿠)이 있었다.[23][20][21][22] 이는 엘람 총독들이 아카드 제국의 관리였음을 보여준다.[23] 나람신은 수사에 사원을 건설하고 비문을 세우는 등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공식 문서에서 엘람어 대신 아카드어를 사용하게 했다.[24]

나람신 아완 동맹 루브르 Sb8833


히타로 추정되는 엘람 왕은 나람신과 평화 조약을 맺었는데, "나람신의 적은 나의 적이며, 나람신의 친구는 나의 친구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25][26][27][28] 조약문에는 인슈시나크, 훔반, 나히티, 시무트, 피니키르 등 엘람과 수메르, 아카드의 신들이 언급되어 있다.[29][30] 이 조약으로 나람신은 동쪽 국경의 평화를 확보하여 구티움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다.[29][30]

2. 5. 사후

나람신 사후, 그의 아들 샤르-칼리-샤리가 왕위를 계승했다.[34][36][37] 나람신의 다른 아들로는 투투브의 총독이었던 나비-울마시, 우킨-울마시[36][37], 우라사그리그의 총독 샤라티구비신이 있었다.[35] 텔 모잔 발굴을 통해 나람신의 딸 타르암-아가데의 인장이 발견되었는데, 그녀는 우르케시 통치자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34] 그 외 알려진 자녀로는 엔메나나, 슈므샤니, 마라드의 총독이었던 아들, 니푸르의 엔툼 여사제였던 이름 없는 딸, 빈-칼리-샤레, 리핏-일레, 리그무시-알수, 메-울마시, 우케-울마시, 그리고 손녀 리푸스-이아-움이 있다.[36][37] 그의 딸 투탄압슘(투다납슘)은 니푸르의 엔릴 대사제 직위를 차지했으며, 신격화된 유일한 여성이었다.[38][39]

원통 인장 - 빈-칼리-샤리 BM

3. 나람신의 유물과 유적

나람신의 유명한 승전비는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5] 이 기념비는 나람신을 뿔 달린 투구를 쓴 신격화된 왕으로 묘사하며, 산을 오르는 나람신과 그의 군대, 그리고 패배한 루루비족의 모습을 보여준다.[40] 기념비는 높이 200센티미터, 너비 105센티미터이며 분홍빛 석회암으로 만들어졌다.[43][44] 기념비 상단에는 아카드어로 된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나람신의 승리와 업적을 기록하고 있다.[14] 또한, 슈트룩-나훈테가 중세 엘람어로 추가한 비문도 있다.[46]

디야르바키르 근처 피르휘세인에서도 나람신을 묘사한 부조물이 발견되었다.[47] 이 부조물은 높이 57센티미터, 너비 42센티미터, 깊이 20센티미터이다.[47]

디야르바키르 근처 피르 휘세인에서 발견된 나람신 기념비 세부 사진.


그 외에도 나람신의 이름이 새겨진 곤봉, 항아리, 인장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56]

4. 나람신 전설

아가데 저주 AO6890


"아가데의 저주: 에쿠르의 복수"라는 메소포타미아 신화는 나람신이 니푸르에 있는 엔릴의 신전인 에쿠르를 약탈하여 주신 엔릴을 분노하게 했다고 전한다. 격분한 엔릴은 티그리스 강 동쪽 언덕에서 구티인들을 불러들여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전염병, 기근, 죽음을 가져왔다. 여덟 신(이난나, 엔키, 신, 니누르타, 우투, 이슈쿠르, 누스쿠, 니다바)은 수메르의 다른 지역을 구하기 위해 아카드 도시를 파괴하고 저주해야 한다고 선포했다.[51]

나람신은 여러 전설에서 아카드 왕조 멸망의 원인을 제공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신탁을 무시하여 구티인이 보내져 36만 명의 병사가 죽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구티인의 침입으로 인한 아카드 왕조 말기의 혼란을 나람신과 관련지어 그를 왕조의 파괴자로 묘사하는 것이 많다.

기원전 550년경, 신바빌로니아의 왕 나보니두스는 나람신의 기초 토대를 발견하고 기록을 남겼다.[52] 로버트 실버버그는 그를 최초의 고고학자로 묘사한다.[53] 나보니두스는 나람-신의 신전을 찾는 과정에서 고고학적 유물을 연대 측정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54]

5. 대중문화 속 나람신

비디오 게임 하우스 오브 애시즈에서 나람신은 신의 저주를 받은 왕으로 등장한다.[55] 게임에서 그는 아카드의 자칭 "신왕"이며, 신 엔릴의 저주를 받은 후 구티와 전쟁을 벌이고 있다.[55] 그는 엔릴의 사원을 파괴한 후 저주를 받았다.[55] 나람신은 사미 카림이 목소리 연기와 모션 캡처를 맡았다.[55]

모바일 가챠 게임 블루 아카이브의 볼륨 F에서 "아트라하시스(Atra-Hasis)"의 방주 안쪽 방은 "나람신의 옥좌"로 명명되었다.

6. 평가

6. 1. 긍정적 평가

6. 2. 부정적 평가

6. 3. 중립적 평가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논문 The Divine Rulers of Akkade and Ur: Toward a Definition of the Deification of Kings in Babylonia De Gruyter
[2] 논문 Narām-Sîn of Ešnunna or Akkad?
[3] 논문 Narām-Sîn of Uruk: A New King in an Old Shoebox
[4] 논문 An Ur III manuscript of the Sumerian King List Wiesbaden
[5] 논문 The Akkadian Royal Image: On a Seated Statue of Manishtushu
[6] 논문 A New Naram-Sin Date Formula
[7] 웹사이트 Year-Names of Naram-Sin of Agade http://cdli.ucla.edu[...]
[8] 서적 The Age of Agade. Inventing empire in ancient Mesopotamia London New York
[9] 논문 The palace of Adab during the Sargonic period https://digital.csic[...] Harrassowitz
[10]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RT 165 https://cdli.ucla.ed[...]
[11] 논문 Excavations at Tell Leilan and the Origins of North Mesopotamian cities in the Third Millennium B.C.
[12] 논문 A New Look at Naram-Sin and the "Great Rebellion"
[13] 논문 Amar-girids Revolte gegen Narām-Suʾen
[14] 서적 Akka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5] 논문 Royal Titles from the Mesopotamian Periphery
[16] 논문 Why Some Kings Become Gods: The Deification of Naram-Sin, Ruler of the World Agape
[17] 논문 Heroes of Akkad https://archive.org/[...]
[18] 서적 The Great Revolt against Naram-Sin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 서적 Naram-Sin and the Enemy Hordes”: The “Cuthean Legend” of Naram-Sin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21] 서적 The Art of Elam CA. 4200–525 B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3]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논문 The Akkadianization of Susiana under the Sukkalmahs Ghent
[25] 논문 Elams Vertrag mit Narām-Sîn von Akkade
[26] 논문 The “Jeweler’s” Seal from Susa and Art of Awan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8] 서적 Textes Élamites-Anzanites
[29] 서적 History of Early Iran University of Chicago
[30] 서적 The Old Akkadian Period: History and Culture
[31] 서적 Sargonic Texts in the Ashmolean Museum, Oxford https://isac.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논문 The siege of Armanum. https://janes.schola[...]
[33] 논문 Naram-Sin's War against Armanum and Ebla in a Newly-Discovered Inscription from Tulul al-Baqarat
[34] 논문 Tar’am-Agade, Daughter of Naram-Sin, at Urkesh https://urkesh.org/E[...] Nabu
[35] 논문 Two Sargonic Seals from Urusagrig and the Question of Urusagrig’s Location https://doi.org/10.1[...]
[36] 논문 A Victory over Mari and the Fall of Ebla
[37] 논문 Princely Employments in the Reign of Shulgi
[38] 논문 Tuṭṭanabšum: Princess, Priestess, Goddess https://www.degruyte[...]
[39] 논문 Tudanapšum, Naram-Sin and Nippur
[40] 웹사이트 Victory Stele of Naram-Sin at the Louvre https://collections.[...]
[41] 논문 Tree (s) on the mountain. Landscape and territory on the victory stele of Naram-Sîn of Agade.
[42] 논문 The standards on the Victory Stele of Naram-Sin https://unisapressjo[...]
[43] 서적 How Tall Was Naram-Sîn’s Victory Stele? Speculation on the Broken Bottom Penn State University Press
[44]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omson-Wadsworth
[45] 서적 Description des objects d'art. Stele Triomphale de Naram-Sin
[46]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John Wiley & Sons
[47] 웹사이트 Die Entdeckung der Stele des Naram-Sin in Pir Hüseyin https://web.archive.[...]
[48] 논문 An Akkadian Victory Stele
[49]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50] 논문 An Akkadian Stele https://findit.libra[...]
[51]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9-17
[52] 서적 The Reign of Nabonidus, King of Babylon 556–539 BC
[53] 서적 Nabonidus — Babylonia Penn State University Press
[54] 서적 A selection from the miscellaneous inscriptions of Assyria and Babylonia https://etana.org/si[...]
[55] 웹사이트 The Dark Pictures Anthology: House of Ashes Preview https://www.thesixth[...] 2021-11-05
[56]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57] 웹사이트 British Museum G56/dc11 BM 118553 https://research.bri[...]
[58]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59] 서적 Early History of Assyria https://archive.org/[...]
[60] 서적 The Archaeology of Mesopotamia: From the Old Stone Age to the Persian Conquest Thames & Hudson, Inc
[61] 서적 La Mésopotamie. Essai d'histoire politique, économique et culturelle https://books.google[...] Le Seuil
[6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