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카드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드 제국은 기원전 2350년경 아카드인들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세운 최초의 통일 국가이다. 사르곤이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정복하여 건설했으며, 수도는 아카드였다. 아카드 제국은 강력한 군대와 중앙 집권적 정치 체제를 기반으로 페르시아만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대제국을 이루었으나, 기원전 2150년경 구티족의 침입으로 멸망했다. 아카드 제국의 경제는 농업에 기반했으며, 아카드어는 중동 지역의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아카드 시대에는 예술과 문학이 발달했으며, 특히 조각과 원통 인장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 아바스 칼리파국
    아바스 칼리파국은 750년 우마이야 칼리파국을 멸망시키고 건국된 이슬람 제국으로, 메소포타미아를 중심으로 이슬람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1258년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카이로에서 명맥을 유지하다 1517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종식되었다.
  • 이라크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공존하며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등의 강력한 군주 아래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며 쇠퇴한 문명이다.
  • 아시아의 옛 제국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아시아의 옛 제국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 아카드 - 누지
    누지는 현재 이라크 요르간 테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3천 년기부터 존재했으며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가수르로 번성했고, 후리족에 의해 누지로 개명되었으며,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물과 4,000여 점의 설형 문자 점토판, 그리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도가 발견되었다.
  • 아카드 - 사르곤
    사르곤은 기원전 24세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아카드 제국을 건설하고 수메르를 통일한 인물로, 다양한 기록과 전설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34개의 도시를 통합하고 후대 왕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아카드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아카드 제국 지도 (갈색)과 군사 작전 방향 (노란색 화살표)
아카드 제국 (갈색)과 군사 작전 방향 (노란색 화살표)
기본 정보
공식 명칭akk: 𒆳𒌵𒆠
akk_trans: māt Akkadi
sux: 𒀀𒂵𒉈𒆠
sux_trans: a-ga-de₃KI
일반 명칭아카드 제국
시대청동기 시대
정부 형태군주제
존속 기간기원전 2334년경 - 기원전 2154년경
수도아카드
공용어아카드어
수메르어
종교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건국사르곤의 정복 활동 (기원전 2340년경 - 기원전 2284년경)
멸망구티 왕조의 지배 (수메르)
면적 (기원전 2350년경)30,000 km²
면적 (기원전 2300년경)650,000 km²
면적 (기원전 2250년경)800,000 km²
면적 (기원전 2200년경)250,000 km²
현재 국가이라크
이란
시리아
튀르키예
쿠웨이트
정치
군주 목록샤룸 (왕)
초대 군주사르곤
마지막 군주슈・투룰
초대 군주 재위 기간기원전 2334년경 – 기원전 2279년경
마지막 군주 재위 기간기원전 2170년경 – 기원전 2154년경
언어 정보
아카드어 명칭𒆳𒌵𒆠 (māt Akkadi)
수메르어 명칭𒀀𒂵𒉈𒆠 (a-ga-de₃KI)
히타이트어 명칭KUR A.GA.DÈ.KI
기타
데모님(정보 없음)

2. 역사

아카드 제국은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사르곤이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정복하여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통일 국가를 세운 것이 그 시작이었다.[6]

사르곤은 56년간 통치하면서 페르시아만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정복하고, 강력한 군대와 중앙 집권적 정치 제도를 통해 국가의 기반을 다졌다.[6] 아카드 제국 시대의 비문 자료는 수도 아카드의 위치가 아직 확인되지 않아 비교적 부족하다.[6][7] 하지만 에슈눈나, 텔 아그라브 등 아카드 제국의 통제를 받던 도시에서 발굴된 점토판과[8] 아다브의 아카드 총독과 같은 박물관 및 개인 소장품에 보관된 점토판을 통해[9]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사르곤의 뒤를 이은 리무쉬와 마니쉬투슈는 여러 도시들의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64] 마니쉬투슈는 해상 전투에서 승리하여 현재의 아랍에미리트오만 지역을 장악하기도 했다.[66][64]

나람신은 스스로를 '아카드의 신, 사방의 왕'이라 칭하며 신격화되었다.[69][67] 그는 반란을 진압하고 사르곤 시대의 제국을 회복했으며, 에블라와 아르마눔을 정복하고 텔 브라크에 왕실 거주지를 건설했다.[70] 히타이트 기록에 따르면 아나톨리아까지 진출했다고 한다.

그러나 샤르칼리샤리 시대에 이르러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했고,[83] 결국 구티족에게 멸망하였다.[6] 멸망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는데, 그중 하나는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이다. 텔 레이란 발굴 조사에 따르면, 이 유적지는 도시의 거대한 벽 건설과 사원 재건축, 곡물 생산 재조직 직후 버려졌다. 토양 샘플은 강수량 감소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기후의 징후를 보여준다. 이는 아카드 제국의 붕괴가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90]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100][101]

아카드 제국 멸망 이후, 메소포타미아는 암흑 시대를 거쳐 우르 제3왕조가 등장하기까지 뚜렷한 제국 권력이 없었다. 이 지역의 정치 구조는 도시 국가의 자치 통치로 돌아갔을 가능성이 있다.[82]

2. 1. 건국 이전

아카드 제국은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있던 아카드 (지역)과 그 수도 아카드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아카드 시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문헌 자료를 통해 알려져 있다. 그중에는 사르곤 통치 이전의 기록도 최소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다. '아카드'라는 이름이 아카드어에서 유래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함께, 이는 아카드 시가 사르곤 이전 시대에도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6][49]

아카드 팽창 이전(녹색). 마지막 왕 루갈자게시 치하의 수메르 영토는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기원전 2350년경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의 수행원, 도끼를 든 아카드 관리


일반적으로 아카드 제국 시대는 고대 오리엔트의 중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2334~2154년, 단기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2270~2083년으로 추정된다. 아카드 제국은 메소포타미아 초기 왕조 시대(ED)에 뒤이어 우르 제3왕조 시대로 이어지지만, 두 시기 모두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르곤의 등장은 ED 시대 후반과 일치하며, 마지막 아카드 왕들은 구티 왕들과 동시에, 우루크와 라가쉬 도시 국가의 통치자들과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카드 제국 시대는 이스라엘의 EB IV, 시리아의 EB IVA와 EJ IV, 그리고 터키의 EB IIIB 시대와 동시대에 해당한다.[138]

2. 2. 사르곤과 후계자들

사르곤은 수메르인의 도시 국가들을 정복하여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통일 국가인 아카드 왕국을 건설하였다.[6] 그는 56년간 통치하며 페르시아만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궁병대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군대와 중앙 집권적 정치 제도로 국가의 기초를 다졌다.[6]

사르곤의 뒤를 이은 두 아들, 리무쉬와 마니쉬투슈는 변경 지방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64] 리무쉬는 반란을 일으킨 우르, 우마, 아다브, 라가쉬, 데르, 카잘루 등의 여러 도시들을 재정복하고 대규모 파괴를 자행했다.[64][65] 마니쉬투슈는 해상 전투에서 승리하여 현재의 아랍에미리트오만 지역을 장악하기도 했다.[66][64]

리무쉬의 원정으로 인한 수메르 사상자[64]
파괴된 도시사망포로 및 노예추방 및 전멸
아다브자발라15,71814,576-
우마KI.AN8,9003,5405,600
우르라가쉬8,0495,460-
카잘루12,0525,862-
(수메르에서의 세 번의 전투)11,322_5,985
총계56,04129,43825,685



마니쉬투슈의 아들 나람신은 스스로를 '아카드의 신, 사방의 왕'이라 칭하며 신격화되었다.[69][67] 그는 반란을 진압하고 사르곤 시대의 제국을 회복했으며, 에블라와 아르마눔을 정복하고 텔 브라크에 왕실 거주지를 건설했다.[70] 히타이트 기록에 따르면 아나톨리아까지 진출했다고 한다.

나람신의 뒤를 이은 샤르칼리샤리 시대에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했다.[83]

2. 3. 멸망

아카드 제국은 약 200여 년간 지속되었지만, 피지배 민족들을 차별하고 주변 국가들과 잦은 전쟁을 벌여 많은 반란이 일어났다.[6] 특히 사르곤의 두 아들 시대에는 변경 지역에서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지만, 제4대 왕 나람신은 반란을 진압하고 사르곤 시대의 제국을 회복하여 '아카드의 신(神), 사계(四界)의 왕'이라 불리며 신격화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국운이 기울기 시작했고, 결국 기원전 2150년경 이란고원에서 침입해 온 구티족에 의해 멸망하였다.[6] 이후 셈족은 다시는 국가를 세우지 못했다.

샤르칼리샤리의 통치 말기에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했다.[83] 몇 년간의 혼란(그리고 4명의 왕) 이후, 슈-투룰과 두두는 수십 년 동안 중앙 집권적 권력을 어느 정도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은 제국이 결국 완전히 붕괴되는 것을 막을 수 없었고, 결국 샤르칼리샤리의 통치 기간 동안 아카드에 정복당했던 아다브에 기반을 둔 구티인에게 권력을 넘겨주었다.[84]

구티인이 바빌론 도시를 점령하는 모습. 아카드인들은 도시 밖에서 저항하고 있다. 19세기 삽화


구티 시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도 불분명하다. 설형 문자 자료에 따르면 구티인의 행정은 농업, 기록, 공공 안전 유지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농경지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풀어주고 곧 기근과 곡물 가격 폭등을 초래했다고 한다. 수메르 왕 우르남무 (기원전 2112~2095년)는 자신의 통치 기간 동안 메소포타미아에서 구티인을 몰아냈다.

샤르칼리샤리의 죽음 이후 아카드 제국을 묘사한 "수메르 왕 목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누가 왕이었는가? 누가 왕이 아니었는가? 이르기기 왕; 나눔 왕; 이미 왕; 일룰루 왕 - 그들 넷은 왕이었지만 3년 동안만 통치했다. 두두는 21년 동안 통치했고; 두두의 아들 슈-투룰은 15년 동안 통치했다. ... 아가데는 패배했고 그 왕권은 우루크로 넘어갔다. 우루크에서는 우르닌기가 7년, 우르닌기의 아들 우르기기르가 6년, 쿠다가 6년, 푸주르일리 5년, 우르우투가 6년 동안 통치했다. 우루크는 무기로 멸망했고 그 왕권은 구티 무리에게 넘어갔다."

그러나 아카드 왕 두두와 슈-투룰을 언급하는 여러 유물을 제외하고는 아카드 또는 우루크의 후기 왕에 대한 연대기적 이름이나 기타 고고학적 증거는 알려진 바가 없다.[85] 우루크의 명명된 왕들은 아카드의 마지막 왕들과 동시대 인물이었을 수도 있지만, 어쨌든 그다지 두드러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구티 무리에서는 (처음에는) 이름 없는 왕이 통치했고; (그 다음) 임타가 왕으로 3년 동안 통치했고; 슐메가 6년, 엘룰루메쉬가 6년, 이니음바케쉬가 5년, 이게슈아쉬가 6년, 이알라가브가 15년, 이바테가 3년, ...가 3년, 쿠룸이 1년, ...가 3년, ...가 2년, 이아라룸이 2년, 이브라눔이 1년, 하블룸이 2년, 하블룸의 아들 푸주르신이 7년, 이아르란다가 7년, ...가 7년, ...가 40일 동안 통치했다. 총 21명의 왕이 91년 40일 동안 통치했다."



아카드 제국 멸망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아카드 왕조가 다른 독립적인 강력한 도시 국가에 대한 정치적 지배력을 유지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82][88]

논란의 여지가 있는 한 이론은 아카드 제국 말기의 지역적 쇠퇴를 전 세계적인 수백 년 규모의 가뭄, 때로는 4.2킬로년 사건이라고 불리는 사건으로 인해 고대 근동 지역의 급격한 건조함 증가, 강수량 감소와 연관시킨다.[89][90][91] 하비 바이스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피터 B. 드 메노칼은 "이 시기에 북대서양 진동이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유량에 영향을 미쳐 아카드 제국의 붕괴를 초래했다"고 밝혔다.[92] HadCM3 기후 모델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최근 분석에 따르면 제국의 붕괴와 일치하는 시간 척도로 더욱 건조한 기후로의 변화가 있었다.[93]



텔 레이란에서의 발굴 조사에 따르면 이 유적지는 도시의 거대한 벽이 건설되고 사원이 재건축되고 곡물 생산이 재조직된 직후 버려졌다. 그 뒤를 이은 잔해, 먼지, 모래에서는 인간 활동의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토양 샘플은 미세한 풍화된 모래, 지렁이 활동의 흔적 없음, 강수량 감소, 더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기후의 징후를 보여준다. 증거에 따르면 뼈만 앙상한 양과 소가 가뭄으로 죽었고, 최대 28,000명의 사람들이 이 유적지를 버리고 다른 곳의 더 습한 지역을 찾았던 것으로 보인다. 텔 브라크는 규모가 75% 축소되었다. 교역이 붕괴되었다. 유목민아모리인과 같은 목축민들은 가축을 안정적인 물 공급원에 더 가깝게 이동시켜 아카드인과 충돌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후로 인한 붕괴는 중동 전체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집트 고왕국의 붕괴와 일치한 것으로 보인다.[90]

상부 지방에서 빗물에 의존하는 농업의 붕괴는 아카드 제국을 유지했던 남부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농업 보조금의 손실을 의미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수위는 기원전 2600년 수준보다 1.5m 하락했고, 이후 우르 3기 동안 잠시 안정되었지만 목축민과 농부 사이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슈-신 우르 3세 통치 기간에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아모리인의 격퇴자"라고 알려진 벽을 건설하는 등 목축민이 농지에 가축을 방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정치적 불안정을 증가시켰고, 그 동안 덜 유리한 기후 조건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평형을 재확립하기 위해 심각한 불황이 발생했다.[97][98][99]

리처드 L. 제틀러는 가뭄 이론을 비판하며, 아카드 제국의 연대기가 매우 불확실하고 바이스 등이 발굴한 북부 지역에 대한 경제적 의존성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아카드 문서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특정 재앙적 사건을 묘사한 것에 대해 바이스를 비판한다.[100]

조앤 오츠에 따르면 텔 브라크에서 가뭄과 관련된 토양 "신호"는 나람-신 궁전 아래에 있다. 그러나 브라크 '사건' 이후 아카드 통제력 강화, 예를 들어 요새화된 '궁전' 자체의 건설과 지역 관리 대신 더 많은 수의 아카드인 도입 등은 자연 재해 이후 종종 발생하는 유형의 시골의 불안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브라크는 아카드 멸망 후에도 계속 점령되어 기능했다.[101]

2019년, 홋카이도 대학오만 화석 산호 연구는 겨울철 샤말 시즌이 길어져 관개된 밭의 토양 염분을 유발한다는 증거를 제공했으며, 이에 따라 작물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광범위한 기근을 촉발하고 결국 고대 아카드 제국이 붕괴되었다.[102][103]

3. 정치

아카드 제국은 중앙 집권적인 정치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왕은 제국의 최고 통치자였으며, 지방에는 왕이 임명한 총독(ensi|엔시sux)이 파견되어 통치했다.[104] 사르곤은 왕권 강화를 위해 자신의 딸 엔헤두안나우르의 난나 여사제로 임명하고,[53] 아들들을 지방 총독으로 임명하는 등 혈연 중심의 통치 체제를 구축했다.[105] 나람신 시대에는 왕이 신격화되어 왕권이 더욱 강화되었다.[69][67]

전통적으로 수메르 도시 국가의 최고 관리였던 ''엔시''는 여신 이난나와의 결혼을 통해 신의 동의를 얻어 통치를 정당화했다.[104] 초기에는 군주인 ''루갈''(''루'' = 사람, ''갈'' = 위대한)이 사제인 ''엔시''에게 종속되었으나, 후기 왕조 시대에는 ''루갈''이 사원 시설과 독립적인 자신의 ''"é"''(= 집) 또는 "궁전"을 가지며 가장 중요한 역할로 부상했다.[104] 메살림 시대에 키쉬 시를 통제한 왕조는 ''샤르 키샤티''(= 키쉬의 왕)로 인정받았고 수메르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다.[104] 이는 두 강이 접근하는 곳이었고 키쉬를 통제하는 사람은 결국 하류의 다른 도시의 관개 시스템을 통제했기 때문일 것이다.

사르곤은 "하해"(페르시아 만)에서 "상해"(지중해)까지 정복을 확장하면서 "하늘 아래 모든 땅" 또는 "해 돋이부터 해넘이까지"를 다스린다고 여겨졌다.[104] 사르곤 아래에서 ''엔시''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지위를 유지했지만 지방 총독으로 여겨졌다. ''샤르 키샤티''라는 칭호는 "우주의 지배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정받았다.[104]

나람-신 시대에 이르러 왕은 "세상의 사방의 지배자"라고 불릴 뿐만 아니라, ''딩기르''(= 신)의 반열에 올랐다.[104] 이전에는 길가메시처럼 통치자가 죽은 후에 신이 될 수 있었지만, 나람-신 이후의 아카드 왕들은 생전에 지상에서 신으로 여겨졌다.[104] 그들의 초상은 일반 사람들보다 더 크게 묘사되었고, 그들의 시종들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었다.

국가를 통제하기 위해 사르곤과 나람-신이 채택한 한 가지 전략은 수메르 달 신인 난나의 아카드 버전인 신에게 각각 자신의 딸 엔헤두안나와 에멘안나를 수메르의 최남단인 우르의 여대 사제로 임명하고, 아들을 전략적 위치의 지방 ''엔시'' 총독으로 임명하며, 딸을 제국의 주변 지역(우르케시와 마르하세)의 통치자들과 결혼시키는 것이었다.[105]

4. 경제

아카드 제국의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했다. 남부 이라크의 관개 농지와 북부 이라크의 우천 농업이라는 두 가지 주요 농업 중심지가 있었다. 남부 이라크는 연간 강수량이 매우 적어 관개에 전적으로 의존했으며, 이는 높은 농업 생산성과 인구 밀도를 가능하게 했다. 반면, 북부 이라크는 강우에 의존하는 농업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111]

아카드 제국 이전에는 관개로 인한 토양 염분화 문제가 있었지만, 아카드는 일시적으로 이 문제를 완화했다. 제국은 곡물을 정제하고 표준화된 용기에 담아 배급했으며, 세금은 농산물과 노동력으로 지불되었다.[71] 이러한 체계적인 관리는 막대한 농업 잉여를 창출하는 데 기여했다.

제국은 도로를 통해 결속되었으며, 도로를 따라 정기적인 우편 서비스가 있었다.[6] 이는 제국 내 교역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카드 제국은 농산물 외에 다른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무역에 크게 의존했다. 아나톨리아의 은,[53] 레바논의 삼나무,[53] 마간(현재의 오만)의 구리[53] 등을 수입했다. 특히, 사르곤은 멜루하(인더스 문명)와의 교류를 언급한 최초의 메소포타미아 통치자였다.[114] 이는 인더스-메소포타미아 관계가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아카드 시대에 아카드어는 중동의 공용어가 되었고,[46] 국제 무역이 발전했다. 이러한 경제적 발전은 아카드 제국의 번영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5. 문화

아카드인들은 수메르 문명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아카드어는 셈어의 동방군(東方群)에 속하며, 설형문자(楔形文字)로 기록되었다. 아카드어는 제국 시대에 중동 지역의 공용어가 되었으며, 행정에도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예술면에서는 양식화된 수메르 예술에 사르곤기(期)라 불리는 새로운 면을 열어 많은 걸작을 남겼다. 특히 수사에서 발견된 나라암신의 승리비와 니네베에서 출토된 사르곤을 나타낸 듯한 청동제 두부상(頭部像)은 유명하다.[6]

나라암신의 초상.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사르곤과 나라암신은 그 역사가 수천 년 동안 전해질 정도로 위대했다.[23] 아카드 왕들은 후기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전설적인 인물로, 사르곤은 강하고 현명한 지도자의 원형으로, 그의 손자 나람신은 왕국에 파멸을 가져온 사악하고 불경스러운 지도자로 여겨졌다.[129][130]

아카드 조각은 정교함과 사실주의로 유명하며, 이는 이전 시대의 수메르 미술에 비해 뚜렷한 발전을 보여준다.[118][119] 아카드인들은 시각 예술을 이데올로기 전달의 수단으로 사용했다. 그들은 전통적인 동물 장식을 재사용했지만, 명문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원통형 인장에 대한 새로운 스타일을 개발했는데, 이는 종종 레이아웃의 중심 부분이 되었다. 또한, 인물들은 더욱 조형적이고 자연스러워졌다. 새로운 요소들도 포함되었는데, 특히 풍부한 아카드 신화와 관련이 있었다.

아카드 봉인에 새겨진 여신 이슈타르. 기원전 2350–2150년

5. 1. 언어

기원전 3천년기 동안, 수메르인과 아카드인 사이에는 매우 긴밀한 문화적 공생 관계가 발전했는데, 이는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을 포함했다.[122] 아카드어수메르어에 미친 영향(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은 어휘 차용에서부터 구문론적, 형태론적, 음운론적 수렴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122] 이로 인해 학자들은 기원전 3천년기의 수메르어와 아카드어를 ''언어 연합''이라고 칭하게 되었다.[122]

아카드어는 기원전 2000년경(정확한 시기는 논쟁의 대상) 구어로서 수메르어를 점차 대체했지만,[123] 수메르어는 서기 1세기까지 메소포타미아에서 신성한, 의례적인, 문학적, 그리고 과학적인 언어로 계속 사용되었다.[124][125]

5. 2. 문학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수메르 문학이 크게 발전했다. 사르곤의 딸이자 신의 아내[200] 엔헤두안나 (기원전 2285년~2250년)는 이름이 알려진 역사상 최초의 시인이다. 여신 이난나에 대한 찬가를 포함한 그녀의 작품으로는 「환희의 이난나」, 「In-nin sa-gur-ra」가 알려져 있다. 또한, 찬가집 「신전 찬가」는 성스러운 신전과 헌신된 그 주인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다. 이 시 작품은 3인칭을 사용하며 시작했지만 이내 1인칭으로 바뀌어 쐐기 문자의 발달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시인, 황녀, 신관으로서 William W. Hallo에 따르면 그녀는 "이후 수 세기 동안 그녀의 세 가지 역할 모두의 기준을 정립했다"고 한다[201]

「환희의 이난나」에 대해 Binkley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엔헤두안나는 백성을 훈계하고 전쟁의 여신으로서 이난나를 표현한다. 이를 통해 그녀는 호전적인 아카드 시대의 이슈타르와 사랑과 다산의 온화한 수메르 여신의 특성을 연결한다. 그녀는 이난나를 작은 신들에게 내려가 놀란 박쥐처럼 나부끼며 그들을 내쫓는 거대한 폭풍의 새에 비유한다. 아마도 그 찬가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엔헤두안나 자신이 과거의 영광을 노래하기 위해 1인칭으로 전진하여 그녀의 신뢰를 확립하고 그녀의 현재 궁핍함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녀는 우르우루크 도시의 신전에서 신관으로서 쫓겨나 초원으로 추방되었다. 우루크는 사르곤에게 반역한 루갈란네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그녀는 달의 신 난나에게 그녀를 위해 개입해 줄 것을 간청했다. 반역자 루갈란네는 고대 세계 최대 규모의 신전 중 하나인 에안나를 파괴하고 의붓 자매에게 아첨했다.[202]

6. 기술

아카드 제국 시대의 비문 자료는 비교적 부족하다. 이는 수도인 아카드가 아직 위치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6][7] 에슈눈나와 텔 아그라브와 같이 아카드 제국의 통제를 받던 도시에서 몇몇 설형 문자 점토판이 발굴되었다.[8]

다른 점토판들은 고대 유물 시장에서 입수되었으며, 아다브의 아카드 총독과 같은 박물관 및 개인 소장품에 보관되어 있다.[9] 1958년에 출판되기 시작한 메-사그 기록 보관소는 가장 중요한 컬렉션 중 하나로 여겨진다. 약 500개(절반 정도 출판)의 점토판은 주로 예일 대학교와 바그다드 박물관의 바빌로니아 컬렉션에 보관되어 있으며, 다른 점토판들은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 이 점토판들은 나람-신 통치 후반기부터 샤르-칼리-샤리 통치 초기에 해당한다.[10][11][12] 함린 분지의 텔 엘-술레이마 발굴 현장에서 47개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13]

아카드 통치자들의 다양한 왕실 비문도 발견되었다. 나람-신의 승리 기념비와 텔로에서 나온 사르곤 시대의 승리 기념비처럼, 원래의 예시 대부분은 짧거나 매우 단편적이다.[14] 몇몇 더 긴 비문들은 나중에 제작된 사본(주로 구 바빌로니아 시대의 사본) 때문에 알려져 있다.[15] 생존한 더 긴 예시 중 하나는 바세트키 조각상으로, 나림-신 조각상의 구리 받침대이다.

마니슈투슈의 여러 왕실 조각상 파편은 모두 "표준 비문"의 일부를 담고 있으며, 몇몇 단편적인 짧은 비문을 제외하면 이 통치자에 대한 유일한 현존하는 동시대 자료이다.[16]

아카드 제국 이전에는 역년이 재위 연도로 표시되었다. 사르곤 시대에는 연도명 시스템이 사용되었고, 이 관행은 구 바빌로니아 시대 말까지 계속되었다.[17] 그 후, 재위 연도가 모든 후계 왕국에서 사용되었다.[18]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사르곤 연호 40개 중 3개, 리무시 연호 1개(추정 9개), 나람-신 연호 20개(추정 56개), 샤르-칼리-샤리 연호 18개(추정 18개)가 알려져 있다.[19] 최근에는 "두르-마니슈투슈가 세워진 해"라는 단일 연호가 발견되었다.[20] 12개 정도의 연호가 더 알려져 있지만, 통치자와 확실하게 연결할 수 없다.

마지막 동시대 자료는 인장과 그 봉인 날짜이다. 이것들은 아카드 제국의 다른 비문이 부족한 상황에서 역사가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사르곤의 딸 엔헤두안나의 이름이 포함된 두 개의 인장과 하나의 봉인이 우르 왕릉에서 발견되어 그녀의 존재를 확인해 주었다.[15] 텔 모잔(고대 우르케시)에서는 나람-신의 딸로 알려지지 않은 타람-아가데(아카드가 그녀를 사랑한다)의 점토 봉인이 발견되었는데, 그는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지역 ''엔단''(통치자)과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22] 아카드 시대의 점토판에 따르면, 밀랍 주조법으로 주조된 구리 바세트키 조각상은 당시 장인들이 달성한 높은 수준의 기술을 증명한다.[46]

아카드 제국은 정기적인 우편 서비스가 제공되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인장 역할을 했던 점토 인장에는 사르곤 왕과 그의 아들 이름이 기록되어 있었다. 지적 조사도 실시된 것으로 보이며, 최초의 천문학 관측 자료나 지리적 징후 등이 사르곤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을 위해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사르곤 치세 이후에는 세계 최초의 연호가 되는, 왕의 재위 기간 중 각 해의 이름이 왕이 거행한 중요한 의식 후에 명명되게 되었다. 이러한 연호 목록은 이후 달력 제도가 되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많은 도시 국가에서 이용되었다.

7. 지도

none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들:

참조

[1] 간행물 Size and Duration of Empires Growth-Decline Curves, 3000 to 600 B.C. https://escholarship[...] 1978
[2] 문서 Agade
[3] 서적 Webster's Ninth New Collegiate Dictionary Merriam-Webster 1985
[4] 문서 Ancient Mesopotamia
[5] 문서 'The factual criticism is that empires existed even before Akkad: or more properly that the term and concept of ''empire'' has been recently applied (on not worse grounds than in the case of Akkad) to other older cases, from the Uruk of the late-Uruk period to the Ebla of the royal archives, to the very state formations of the Sumerian south in the period called in fact ''proto-imperial''. In no case is the Akkad empire an absolute novelty [...] ''Akkad the first empire'' is therefore subject to criticism not only as for the adjective ''first'' but especially as for the noun ''empire''.' 1993
[6] 간행물 An Areal Location of Agade
[7] 간행물 Kish, Akkad and Agade
[8] 문서 Sargonic Texts from the Diyala Region https://isac.uchicag[...] Chicago 1961
[9] 서적 Sargonic Cuneiform Tablets in the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 The Carl L. Lippmann Collection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2014
[10] 문서 Akkadian of the Me-ság Archiv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2
[11] 문서 The Mesag Archive: A Study of Sargonic Society and Economy Yale University Dissertation 1981
[12] 문서 Mesag reports a murder: cuneiform tablets in the collections of Norwich Castle Museum and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2014
[13] 간행물 The Sargonic Archive of Tell El-Suleimah 1999
[14] 간행물 The Sargonic Victory Stele from Telloh 1985
[15] 서적 The Sargonic and Gutian Periods (2334–2113)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3
[16] 간행물 Assembling King and State: The Statues of Manishtushu and the Consolidation of Akkadian Kingship 2010
[17] 문서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RIA-2) Berlin 1938
[18] 간행물 Why Year-Names? An Exploration into the Reasons for Their Use 2003
[19] 웹사이트 Mesopotamian Year Names https://cdli-gh.gith[...] Cuneiform Digital Library Initiative 2001
[20] 간행물 A Double Date Formula of the Old Akkadian King Manishtusu 2019
[21] 문서 Babylon: Origins De Gruyter 2011
[22] 서적 Of Pots and Plans. Papers o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esopotamia and Syria presented to David Oates in Honour of his 75th Birthday Nabu
[23] 간행물 Heroes of Akkad 1983
[24] 간행물 A New Look at Naram-Sin and the ‘Great Rebellion’ 1995
[25] 간행물 New Sources Concerning the Reign of Naram-Sin 1980
[26] 문서 'Naram-Sin and the Enemy Hordes": The “Cuthean Legend” of Naram-Sin'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97
[27]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8] 서적 The Curse of Agad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3
[29] 서적 The Harps that Once .... Sumerian Poetry in Translation Yale University Press 1987
[30] 문서 Legends of Akkadian King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9
[31] 문서 Akkadian Myths and Ep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5
[32] 간행물 A Babylonian Geographical Treatise on Sargon of Akkad's Empire 1925
[33] 간행물 'Tablets from the Sippar Library. I. The ‘Weidner Chronicle’: A Supposititious Royal Letter Concerning a Vision.' 1990
[34] 문서 'Nippur V. The Early Dynastic to Akkadian Transition: The Area WF Sounding at Nippur' https://isac.uchicag[...] The Oriental Institute 2006
[35] 간행물 Archives and Record-keeping in Sargonic Mesopotamia 1982
[36] 간행물 The palace of Adab during the Sargonic period https://digital.csic[...] Harrassowitz
[37] 서적 The Sumerian World Routledge
[38] 논문 The Nuzi Ebla
[39] 서적 Ebla and Its Archives: Texts, History, and Society Walter de Gruyter
[40] 논문 A Re-Evaluation of the Akkad Period in the Diyala Region on the Basis of Recent Excavations at Nippur and in the Hamrin
[41] 서적 https://books.google[...]
[42] 논문 Akkadian Buildings at Tell Brak
[43] 서적 Atlas of Preclassical Upper Mesopotamia
[44] 간행물 An Ur III manuscript of the Sumerian King List Wiesbaden
[45] 논문 The Akkadian Royal Image: On a Seated Statue of Manishtushu
[46]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Blackwell
[47] 서적 The Age of Agade: Inventing Empir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48] 논문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49]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Blackwell
[50]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51] 간행물 Sargon
[52] 서적 The Sumerians Chicago University Press
[5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54]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55] 서적 Royal City of Susa: Ancient Near Eastern Treasures in the Louvre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2
[56] 논문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57] Webarchive Babylon as a Name for Other Cities Including Nineveh http://oi.uchicago.e[...] Oriental Institute SAOC 2012-07-30
[5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59] 성경 Genesis 10:8–12
[60] 잡지 Nimrod the Mighty, King of Kish, King of Sumer and Akkad
[61] 서적 The Legacy of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2] 백과사전 Sargon of Akkad and his dynasty Blackwell
[63] 웹사이트 Musée du Louvre-Lens – Portail documentaire – Stèle de victoire du roi Rimush (?) http://ressources.lo[...]
[64]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Near East to 1600 BC: Holy Warriors at the Dawn of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65] 서적 War Crimes, Genocide, and Justice: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
[66]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67] 간행물 The Mortal Kings of Ur: A Short Century of Divine Rul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isac.uchicag[...] The Oriental Institute
[68] 논문 A New Look at Naram-Sin and the Great Rebellion
[69]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70] 논문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Localization of Naram-Sin's Armanum
[71] 서적 The Long Summer: how climate changed civilisation Granta Books
[72] 서적 Climate Change in Prehistory: The end of the age of ch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간행물 "The Rituals of Power: The Akkadian Tradition in Neo-Assyrian Policy"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74] 웹사이트 Sumerian Dictionary http://oracc.iaas.up[...]
[75] 서적 The Summerians https://archive.org/[...] 1938
[76] 서적 The Art Of Ancient Mesopotamia ( Art Ebook)
[77] 서적 Early Babylonian History: Down to the End of the Fourth Dynasty of Ur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5
[78]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RT 165 https://cdli.ucla.ed[...]
[7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80] 서적 The Elamite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8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82] 문서
[83] 간행물 The Weapon of Blood: Politics and Intrigue at the Decline of Akkad 2018-06
[84] 간행물 "The Weapon of Blood: Politics and Intrigue at the Decline of Akkad"
[85]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86] 웹사이트 Cylinder Seal with King or God and Vanquished Lion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87] 서적 Ancient Iraq Penguin Harmondsworth
[88] 간행물 "The Collapse of Ancient Mesopotamian States and Civilizati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89] 학술지 Sea-Floor Dust Shows Drought Felled Akkadian Empire
[90] 학술지 The Genesis and Collapse of Third Millennium North Mesopotamian Civilization http://revistas.ucm.[...]
[91] 학술지 The Interaction of Climate Change and Agency in the Collapse of Civilizations ca. 2300–2000 BC 2014
[92] 학술지 North Atlantic influence on Tigris–Euphrates streamflow 2000-06-30
[93] 학술지 Impacts of long term climate change during the collapse of the Akkadian Empire http://www.sciencedi[...] 2019-06-01
[94] 웹사이트 Cylinder Seal of Ibni-Sharrum https://www.louvre.f[...]
[95]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96] 서적 Critical Approaches to Ancient Near Eastern Ar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
[97] 서적 The Curse of Akkad: Climate upheavals that rocked human history Annick Press
[98] 학술지 Cultur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https://www.ldeo.col[...]
[99] 문서 Climate change and the collapse of the Akkadian empire: Evidence from the deep sea https://www.ldeo.col[...] 2000-04
[100] 문서
[101] 문서 https://books.google[...]
[102] 학술지 Oman corals suggest that a stronger winter shamal season caused the Akkadian Empire (Mesopotamia) collapse https://pubs.geoscie[...] GeoScienceWorld
[103] 보도자료 Strong winter dust storms may have caused the collapse of the Akkadian Empire https://www.global.h[...] 2019-10-24
[104] 서적 Mesopotamia: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Books
[105] 문서 Tar'am-Agade, Daughter of Naram-Sin, at Urkesh http://128.97.6.202/[...] London: Nabu Publications
[106]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2004
[107] 논문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108] 간행물 Complexity,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and Serial Mesopotamian Fragmentation 2003
[109] 서적 Mesopotamia: The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2003
[110] 서적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1990
[111] 서적 The Middle East: the cradle of civilization revealed Thames & Hudson 2008
[112] 서적 The Archaeology of Seafaring in Ancient South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13] 웹사이트 The Indus Civilization and Dilmun, the Sumerian Paradise Land https://www.penn.mus[...]
[114] 서적 The Indus-Mesopotamia relationship reconsidered (Gs Elisabeth During Caspers) https://www.academia[...] Archaeopress 2008
[115] 서적 The Sea in World History: Exploration, Travel, and Trade [2 volumes] ABC-CLIO 2017
[116] 논문 An Akkadian Victory Stele 1970
[117]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ancient Orient Penguin Books (now Yale History of Art) 1970
[118]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119] 논문 An Akkadian Victory Stele 1970
[120]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121] 웹사이트 The Adda Seal https://www.britishm[...]
[122] 서적 Syntactic Change in Akkadian: The Evolution of Sentential Complemen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
[123] 간행물 Bilingualism, Scribal Learning, and the Death of Sumerian https://isac.uchicag[...] The Oriental Institute 2007
[124] 간행물 Sumerian and Akkadian in Sumer and Akkad 1973
[125] 간행물 The Lives of the Sumerian Language https://isac.uchicag[...] The Oriental Institute 2007
[126] 간행물 Women in Public: The Disk of Enheduanna, The Beginning of the Office of En-Priestess, the Weight of the Visual Evidence Editions Recherche sur les Civilisations 1987
[127] 문서 The Exaltation of Inanna 1979
[128] 웹사이트 Enheduanna: An Overview of Her Writings https://www.feminism[...] 1998
[129] 서적 Akkad: The First World Empire: Structure, Ideology Traditions Sargon srl 1993
[130] 서적 Faith, Tradition, and History: Old Testament Historiography in Its Near Eastern Context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4
[131] 논문 Size and Duration of Empires: Growth-Decline Curves, 600 B.C. to 600 A.D. 1979
[132] 서적 Akkad Webster’s Ninth New Collegiate Dictionary Merriam-Webster 1985
[133] 서적 Syntactic Change in Akkadian: The Evolution of Sentential Complement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134] 웹사이트 Bilingualism, Scribal Learning, and the Death of Sumerian http://oi.uchicago.e[...] 2019-03-01
[135] 문서
[136] 문서 Ancient Mesopotamia
[137] 문서
[138] 서적 Atlas of Preclassical Upper Mesopotamia null
[139]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ca. 3000–323 BC Blackwell
[140] 서적 The Legacy of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1] encyclopedia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Blackwell
[142] journal An Areal Location of Agade
[143] 간행물 Kish,Akkad and Agade
[144] 서적 The Early Dynastic to Akkadian Transition. The Area WF Sounding at Nippur http://oi.uchicago.e[...] Oriental Institute 2015-03-19
[145] 서적 Of Pots and Plans. Papers o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esopotamia and Syria presented to David Oates in Honour of his 75th Birthday Nabu 2015-03-18
[146] journal The Genesis and Collapse of Third Millennium North Mesopotamian Civilization http://revistas.ucm.[...]
[147] journal The Interaction of Climate Change and Agency in the Collapse of Civilizations ca. 2300–2000 BC 2014
[148] 서적 "紀元前23世紀頃の都市の破壊後、地方行政の中心地としてNagarがアッカドの役人により再建されたことは、この遺跡からの楔形文字の文書が明確に証明した事実である。" https://books.google[...]
[149] 간행물 "Akkadian Buildings at Tell Brak" https://www.jstor.or[...]
[150] 간행물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Blackwell
[151]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152] journal Sargon
[153] 서적 The Sumerians Chicago University Press
[154]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155] 서적 Royal City of Susa: Ancient Near Eastern Treasures in the Louvre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2
[156] journal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157] 문서 "Dalleyは、これらの史料はアッカドのサルゴンというよりはアッシリアの[[サルゴン2世]]についてもともと言及していたのかもしれないと主張する。" http://oi.uchicago.e[...] Oriental Institute SAOC
[15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159]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University of New Orleans
[160] 간행물 "The Mortal Kings of Ur: A Short Century of Divine Rule in Ancient Mesopotamia" http://oi.uchicago.e[...] The Oriental Institute
[161] journal "A New Look at Naram-Sin and the Great Rebellion"
[162]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
[163] 간행물 "Arch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Localization of Naram-Sin's Armanum"
[164] 간행물 The Siege of Armanum
[165] 간행물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Localization of Naram-Sin's Armanum"
[166] 서적 Mesopotamian Cosmic Geography https://books.google[...]
[167] 서적 Eblaitica: Essays on the Ebla Archives and Eblaite Language, Volume 4 https://books.google[...]
[168] 서적 Climate Change in Prehistory: The end of the age of ch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9] 서적 The Long Summer: how climate changed civilisation Granta Books
[170]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BCE Blackwell Publishing
[171] 문서 "さらに、アッカド王朝の滅亡は社会の崩壊ではなく、規範的政治組織の再興をもたらした。南方の都市は各々の独立を再主張し、[[シャル・カリ・シャッリ]]の死と[[ウル・ナンム]]即位の間の時代について我々がほとんど知らなければ、それは広くわたった「崩壊」のためというよりも発見の障害のためとなったかもしれない。Telloでの[[フランス]]による広範囲の発掘は、その時代を通して関連する年代の遺跡を発見した。"
[172] 웹사이트 Cylinder Seal with King or God and Vanquished Lion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2019-08-09
[173] 서적 Ancient Iraq Penguin Harmondsworth
[174] 문서 "The Collapse of Ancient Mesopotamian States and Civilizati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75] journal Sea-Floor Dust Shows Drought Felled Akkadian Empire
[176] 웹사이트 Unreported Heritage News http://www.unreporte[...] 2019-08-09
[177] 논문 North Atlantic influence on Tigris–Euphrates streamflow 2000-06-30
[178] 웹사이트 Cylinder Seal of Ibni-Sharrum https://www.louvre.f[...] 2019-08-09
[179]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019-08-09
[180] 서적 The Curse of Akkad: Climate Upheavals that Rocked Human History Annick Press 2008
[181] 논문 Cultur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https://www.ldeo.col[...] 2001-04-27
[182] 논문 Climate change and the collapse of the Akkadian empire: Evidence from the deep sea https://www.ldeo.col[...] 2000-04
[183] 문서 2003
[184]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185] 서적 Mesopotamia: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Books 2001
[186] 문서 Tar'am-Agade,Daughter of Naram-Sin,at Urkesh http://128.97.6.202/[...] 2002
[187]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188] 간행물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189] 간행물 Complexity,Diminishing Marginal Returns and Serial Mesopotamian Fragmentation 2003
[190] 서적 Mesopotamia: The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2003
[191] 서적 The Middle East: the cradle of civilization revealed Thames & Hudson 2008
[192] 서적 The Archaeology of Seafaring in Ancient South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93] 웹사이트 The Indus Civilization and Dilmun,the Sumerian Paradise Land https://www.penn.mus[...] 2019-07-06
[194] 서적 The Indus-Mesopotamia relationship reconsidered (Gs Elisabeth During Caspers) https://www.academia[...] Archaeopress 2008
[195] 서적 The Sea in World History: Exploration,Travel,and Trade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
[196] 웹사이트 The Adda Seal https://www.britishm[...] 2019-07-03
[197]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Ancient Orient Penguin (now Yale History of Art) 1970
[198] 문서
[199] 웹사이트 Sumerian language http://www.britannic[...] 2019-07-03
[200] 문서 Women in Public: The Disk of Enheduanna,The Beginning of the Office of En-Priestess,the Weight of the Visual Evidence. La Femme dans le Proche-Orient Antique. 1987
[201] 서적 The Exaltation of Inanna Ams Pr Inc 1979
[202] 문서 The Importance of Enheduanna
[203]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9-08-09
[204] 문서 Paradigm and Propaganda: The Dynasty of Akkade in the 21st Century
[205] 서적 The Weidner Chronicle and the Idea of History in Israel and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206]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Blackwell
[20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