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람어는 고대 엘람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여러 문자 체계를 거쳐 기록되었다. 원시 엘람 문자, 선형 엘람 문자, 엘람 설형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엘람어는 교착어이며, 문법은 명사 등급 체계가 특징이다. 엘람어는 다른 어족과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고립어로 분류되지만,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 셈어족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었다. 엘람어 연구는 19세기부터 시작되어 비수툰 비문 해독, 페르세폴리스 요새화 점토판 발견 등을 통해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람어 - 베히스툰 비문
    다리우스 1세가 자신의 혈통, 통치, 반란 진압을 기록한 베히스툰 비문은 고대 페르시아어, 엘람어, 바빌로니아어로 작성되어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를 해독하고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2006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엘람어 - 엘람드라비다어족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의 어족 관계를 주장하는 언어학적 가설로서,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을 근거로 제시되었지만, 엘람어 자료 부족으로 인해 학계에서 입증되지 않은 상태이다.
  • 청동기 시대 문자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청동기 시대 문자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엘람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 엘람 - 일람주
    일람주는 이란 서남부에 위치하며 기원전 5000년경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엘람 문명의 발상지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카자르 왕조 시대에 로레스탄에서 분리된 후 1929년 일람으로 개명되었고, 자그로스 산맥의 서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쿠르드족과 루르족이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수공예품과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며 관광 산업 개발을 추진하는 주이다.
엘람어
개요
다른 이름엘람어 (Elamite)
사용 국가엘람
사용 지역서아시아, 이란
사용 시기기원전 2800년경–기원전 300년경 (후기 비문어 형태는 서기 1000년까지 존속했을 가능성 존재)
언어 고립 여부고립어
조상 언어원-엘람어?
문자선형 엘람 문자, 엘람 설형 문자
ISO 639-2elx
ISO 639-3elx
Linguist Listelx
Glottologelam1244
Glottolog 참조엘람어

2. 문자 체계

엘람어는 여러 문자 체계를 거쳐 기록되었다.


  • 원 엘람 문자는 이란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 체계로, 기원전 3100년에서 2900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 100개 이상의 부호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표어문자로 생각된다.
  • 선형 엘람 문자는 몇몇 기념비적인 비문에서 확인되며, 원 엘람 문자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3천년 마지막 분기 동안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
  • 엘람 쐐기 문자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아카드 쐐기 문자에서 파생되었다.[8] 엘람 쐐기 문자는 대체로 130개의 글리프로 이루어진 음절 문자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어 문자의 수가 증가했다. 엘람 쐐기 문자 자료는 약 20,000개의 점토판과 파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의 경제 기록을 담고 있다.

2. 1. 원 엘람 문자

원시 엘람 문자는 이란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표기 체계이다. 기원전 3100–2900년경의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었으며, 원시 엘람 문자가 적힌 점토판이 이란 전역의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초기 쐐기 문자(원시 설형 문자)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이며 1,000개 이상의 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표어 문자로 추정되며 아직 해독되지 않았다.[7] 글자 모양은 세로로 긴 마름모(다이아몬드형)나 별표, 수직선, 수직선에 삼각형을 추가한 형상 등 기하학적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2. 2. 엘람 선형 문자

엘람 선형 문자는 고대 이란(엘람)의 문자 체계로, 몇몇 기념비에서만 확인되었다. 원 엘람 문자에서 비롯된 음절 문자 체계라고 하지만 확실히 증명되지는 않았다. 기원전 3천년의 마지막 사반천년의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쓰였다. 엘람 선형 문자는 아직 해독되지 않았다. Walther Hinzde와 Piero Meriggiit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이 엘람 선형 문자의 해독을 시도해왔다.[7]

100px

2. 3. 엘람 쐐기 문자

엘람 쐐기 문자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기원전 33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아카드어설형 문자를 차용한 것이다.[8] 엘람 쐐기 문자는 약 130개의 기호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쐐기 문자에 비해 수가 적다. 엘람어는 셈족이나 문자를 수입해온 아카드어와는 언어적으로 관계가 없다고 생각된다.

3. 언어 유형론

엘람어는 교착어이며,[9] 문법은 광범위하고 만연한 명사 등급 체계가 특징이다. 생물 명사는 1인칭, 2인칭 및 3인칭을 위한 별도의 표지를 가진다. 이는 형용사, 명사 부가어, 소유 명사, 심지어 전체 절을 포함하여 머리 명사의 명사 등급 표지가 모든 수식어에도 부착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접미사 흡수를 나타낸다고 말할 수 있다. 어순은 SOV형이다.

엘람어의 문법은 이중 격(double case, Suffixaufnahme)이라고 불리는 명사의 일치를 가진다.

4. 역사

엘람어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고(古) 엘람어 (기원전 2600–1500년경)
  • 중(中) 엘람어 (기원전 1500–1000년경)
  • 신(新) 엘람어 (기원전 1000–550년경)
  • 아케메네스 엘람어 (기원전 550–330년경)
  • 후기 엘람어?
  • 후지? (미상 – 서기 1000년)


중(中) 엘람어는 엘람어의 "고전" 시기로 여겨지지만, 가장 잘 증명된 변종은 아케메네스 엘람어[10]로,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공식 비문뿐만 아니라 행정 기록에도 널리 사용되었으며 고대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페르세폴리스 행정 기록은 1930년대 페르세폴리스에서 발견되었으며, 대부분 엘람어로 기록되어 있다. 이 설형 문자 문서 중 10,000개 이상의 잔해가 발굴되었다. 반면, 아람어는 1,000개 정도의 원본 기록만 남아있다.[11] 이 문서들은 기원전 509년부터 457년까지 50년 이상 페르세폴리스의 행정 활동과 데이터 흐름을 보여준다.

고(古) 엘람어와 초기 신(新) 엘람어 시대의 문서는 다소 희소하다.

신(新) 엘람어는 언어 구조 측면에서 중(中) 엘람어와 아케메네스 엘람어 사이의 과도기로 간주될 수 있다.

엘람어는 아케메네스 시대 이후에도 널리 사용되었을 수 있다. 엘리마이스의 여러 통치자들이 기원전 2세기와 1세기에 엘람 이름인 카므나스키레스(Kamnaskires)를 사용했다. 사도행전 (서기 80–90년경)은 이 언어가 여전히 통용되는 것처럼 언급하고 있다. 그 이후의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엘람어는 탈무드에 따르면, 사산 제국 (224–642년) 시대에 수사의 유대인들에게 매년 에스더기를 낭독하는 데 사용된 지역 언어였을 수 있다. 서기 8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다양한 아랍어 저술가들은 후제스탄에서 사용된 ''후지''(Khuzi) 또는 ''후즈''(Xūz)라는 언어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그 시대의 작가들이 알고 있던 다른 어떤 이란어와도 달랐다. 이것은 "엘람어의 후기 변종"이었을 가능성이 있다.[12]

''후즈'' 언어에 대한 마지막 원본 보고서는 알-무카다시가 서기 988년경에 작성했으며, 후지어를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이중 언어로 사용하며 람호르무즈 마을에서 "이해할 수 없는" 언어를 사용한다고 특징지었다. 이 마을은 시장이 설립된 후 다시 번성하게 되었고, 외국인 유입이 증가하면서 당시 "후지어"는 낙인이 찍혔으며, 이 언어는 아마도 11세기에 사라졌을 것이다.[13] 이후 작가들은 이전 작품을 인용할 때만 이 언어를 언급했다.

5. 음운론

엘람어의 문자 체계는 한계가 있어서 엘람어의 음운론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자음은 최소한 파열음 /p/, /t/, /k/와 치찰음 /s/, /ʃ/, /z/ (발음이 확실하지 않음), 비음 /m/, /n/, 유음 /l/, /r/, 마찰음 /h/ (후기 신 엘람 시대에는 사라짐)을 포함한다. 철자상의 몇 가지 특징은 두 개의 파열음 계열 (p, t, k 대 b, d, ɡ) 사이의 대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엘람어 문자에서는 이러한 구별이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14]

엘람어는 최소한 모음 /a/, /i/, /u/를 가지고 있었으며, /e/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명확하게 표기되지 않았다.[15]

6. 형태론

엘람어는 교착어이며,[9]문법은 광범위하고 만연한 명사 등급 체계가 특징이다. 생물 명사는 1인칭, 2인칭 및 3인칭을 위한 별도의 표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형용사, 명사 부가어, 소유 명사, 심지어 전체 절을 포함하여 머리 명사의 등급 표지가 모든 수식어에도 부착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접미사 흡수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엘람어는 교착어이지만, 수메르어, 후르리어, 우라르투어보다 단어당 형태소가 적다. 주로 후첨어이다.

다음은 중기 엘람어 (Šutruk-Nahhunte I, 기원전 1200–1160년; EKI 18, IRS 33)의 예시이다.[9]


  • 음역:

```

(1) ú DIŠšu-ut-ru-uk-dnah-hu-un-te ša-ak DIŠhal-lu-du-uš-din-šu-ši-

(2) -na-ak-gi-ik su-un-ki-ik an-za-an šu-šu-un-ka4 e-ri-en-

(3) -tu4-um ti-pu-uh a-ak hi-ya-an din-šu-ši-na-ak na-pír

(4) ú-ri-me a-ha-an ha-li-ih-ma hu-ut-tak ha-li-ku-me

(5) din-šu-ši-na-ak na-pír ú-ri in li-na te-la-ak-ni

```

  • 번역:

```

U Šutruk-Nahhunte, šak Halluduš-Inšušinak-(i)k, sunki-k Anzan Šušun-k(a). Erientum tipu-h ak hiya-n Inšušinak nap-(i)r u-r(i)-me ahan hali-h-ma. hutta-k hali-k u-me Inšušinak nap-(i)r u-r(i) in lina tela-k-ni.

```

  • 해석:

```

나, Halluduš-Inšušinak의 아들인 Šutruk-Nahhunte는 안샨과 수사의 왕이다. 나는 벽돌을 빚어 신 인슈쉬낙을 위한 옥좌를 만들었다. 나의 업적이 신 인슈쉬낙에게 바쳐지기를.

```

다음은 아케메네스 엘람어 (크세르크세스 1세, 기원전 486–465년; XPa)의 예시이다.

  • 음역:

```

(01) [sect 01] dna-ap ir-šá-ir-ra du-ra-mas-da ak-ka4 mu-ru-un

(02) hi pè-iš-tá ak-ka4 dki-ik hu-ip-pè pè-iš-tá ak-ka4 DIŠ

(03) LÚ.MEŠ-ir-ra ir pè-iš-tá ak-ka4 ši-ia-ti-iš pè-iš-tá DIŠ

(04) LÚ.MEŠ-ra-na ak-ka4 DIŠik-še-ir-iš-šá DIŠEŠŠANA ir hu-ut-taš-

(05) tá ki-ir ir-še-ki-ip-in-na DIŠEŠŠANA ki-ir ir-še-ki-ip-

(06) in-na pír-ra-ma-ut-tá-ra-na-um

```

  • 번역:

```

Nap irša-r(a) Auramasda, akka muru-n hi pe-š-ta, akka kik hupe pe-š-ta, akka ruh-(i)r(a) ir pe-š-ta, akka šiatiš pe-š-ta ruh-r(a)-na, akka Ikšerša sunki ir hutta-š-ta kir iršeki-p-na sunki, kir iršeki-p-na piramataram.

```

  • 해석:

```

위대한 신은 아후라 마즈다로, 이 땅을 창조하고, 저 하늘을 창조하고, 인간을 창조하고, 인간의 행복을 창조했다. 그는 크세르크세스를 왕으로, 많은 사람들의 왕, 많은 사람들의 주인으로 만들었다.

6. 1. 명사

엘람어의 명사 체계는 명사류 구별이 철저하게 나타나며, 생물과 무생물 간의 성 구별과 동사 굴절의 세 가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복수)에 해당하는 개인류 구별이 결합되어 있다.[16]

명사류를 나타내는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16]

  • 생물:
  • 1인칭 단수: ''-k''
  • 2인칭 단수: ''-t''
  • 3인칭 단수: ''-r'' 또는 ''-Ø''
  • 3인칭 복수: ''-p''
  • 무생물: ''-∅'', ''-me'', ''-n'', ''-t''[17]


생물 3인칭 접미사 ''-r''는 명사화 접미사로 기능하여 능동 명사 또는 단순히 부류의 구성원을 나타낼 수 있다. 무생물 3인칭 단수 접미사 ''-me''는 추상 명사를 형성한다.

명사류 접미사의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 ''sunki-k'' "왕 (1인칭)" 즉 "나, 왕"
  • ''sunki-r'' "왕 (3인칭)"
  • ''nap-Ø'' 또는 ''nap-ir'' "신 (3인칭)"
  • ''sunki-p'' "왕들"
  • ''nap-ip'' "신들"
  • ''sunki-me'' "왕국, 왕권"
  • ''hal-Ø'' "마을, 땅"
  • ''siya-n'' "사원"
  • ''hala-t'' "진흙 벽돌"


수식어는 명사 머리어를 따르며, 명사구와 대명사구에서 머리어를 지칭하는 접미사는 수식어에 추가된다.

  • ''u šak X-k(i)'' = "나, X의 아들"
  • ''X šak Y-r(i)'' = "X, Y의 아들"
  • ''u sunki-k Hatamti-k'' = "나, 엘람의 왕"
  • ''sunki Hatamti-p'' (또는 때로는 ''sunki-p Hatamti-p'') = "엘람의 왕들"
  • ''temti riša-r'' = "위대한 군주" (직역: "군주 위대한")
  • ''riša-r nap-ip-ir'' = "가장 위대한 신들" (직역: "신들의 위대한 자")
  • ''nap-ir u-ri'' = "나의 신" (직역: "나의 신")
  • ''hiya-n nap-ir u-ri-me'' = "나의 신의 왕좌"
  • ''takki-me puhu nika-me-me'' = "우리 아이들의 삶"
  • ''sunki-p uri-p u-p(e)'' = "왕들, 나의 선조들" (직역: "왕들, 나의 선조")


이 체계는 중기 엘람어에서 가장 잘 드러나며, 아케메네스 엘람어에서는 상당 부분 붕괴되어 소유와 속성 관계가 수식어에 추가된 "속격" 접미사 ''-na''로 표현된다. (예: ''šak X-na'' "X의 아들").[18]

인칭 대명사는 주격과 대격 형태가 구별된다.[19]

rowspan="2" |단수복수
주격대격주격대격
1인칭uunnika/nukunukun
2인칭ni/nununnum/numinumun
3인칭i/hiir/inap/appiappin
무생물i/in



일반적으로 명사류 접미사와의 구성을 고려할 때 특별한 소유 대명사가 필요하지 않지만, 별도의 3인칭 생물 소유 대명사 집합 ''-e'' (단수) / ''appi-e'' (복수)가 중기 엘람어에서 이미 사용된다. (예: ''puhu-e'' "그녀의 아이들", ''hiš-api-e'' "그들의 이름").[19] 관계 대명사는 ''akka'' "누구"와 ''appa'' "무엇, 어떤"이다.[19]

6. 2. 동사

엘람어 동사는 세 가지 활용(활용 I, II, III)을 구분한다.[9] 활용 I은 능동태, 타동성, 중립적 양상 및 과거 시제 의미와 관련이 있다. 활용 II와 III은 분사로, 주변 구조로 간주될 수 있다. 선택법, 명령법, 금지법 등의 동사 형태가 존재한다.[9]

7. 통사론

엘람어의 어순은 SOV형이다. 엘람어 문법은 이중 격(double case, Suffixaufnahme)이라고 불리는 명사 일치를 가진다.

8. 다른 어족과의 관계

엘람어는 대다수의 언어학자들에게 고립어로 간주된다.[30][31] 인접한 셈어족, 인도유럽어족, 수메르어와는 어떤 관계도 증명되지 않았다.

엘람어는 교착어이며,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던 셈어족이나 인도유럽어족과는 근친 관계가 없다. 엘람어가 수메르어와 자매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부정적인 의견이 팽배하다.

드라비다어족우랄어족 사이에는 문법의 현저한 유사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랄어족엘람드라비다어족자매군으로 위치시키는 설도 있다.

8. 1.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족을 연결하는 가설로, 1967년 이고르 디아코노프가 처음 제안했고,[32] 1974년 데이비드 맥알핀 등 여러 학자들이 옹호했다.[33][34] 이 가설은 엘람어가 파키스탄의 브라후이어와 인도의 드라비다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2012년, 사우스워스는 엘람어가 브라후이어와 함께 "자그로스어족"을 형성하며, 나머지 드라비다어족은 이 어족의 하위 분류에 속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35] 이 가설에 따르면, 자그로스어족은 서남아시아(이란 남부)에서 기원하여 인도-아리아족의 이동 이전에 남아시아와 서아시아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했다.

최근 고대 DNA 분석을 기반으로 한 초기 인구 이동에 관한 연구는 원시 엘람어와 원시 드라비다어 사이의 가능한 연결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36][37][38][39]

1913년 로버트 콜드웰은 베히스툰 비문의 엘람어와 드라비다어를 비교했고, 1924년 페르디난트 보르크는 엘람어가 현재 인도에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 계열의 브라흐어와 관련이 있다는 설을 제창했으며, 이를 계승한 데이비드 매컬핀은 언어학적 분석을 실시했다([엘람-드라비다어족] 참조).[44]

하지만 엘라모-드라비다어 가설에 대한 비판적 재평가가 2023년 필리포 페드론에 의해 발표되었다.[40]

바츨라프 블라제크는 셈어족과의 관계를 제안하기도 했다.[41] 2002년 게오르기 스타로스틴은 어휘통계학적 분석을 발표하여 엘람어가 노스트라트어족 및 셈어족과 거의 동일한 거리에 있다고 밝혔다.[42] 그러나 이러한 아이디어는 주류 역사 언어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30]

8. 2. 기타 가설

엘람어와 관련하여 몇 가지 가설이 제기되었다. 데이비드 맥알핀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족을 연결하는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을 주장했는데, 이는 엘람에서 인도로의 동향 이동을 가정한다. 바츨라프 블라제크는 엘람어가 아프로아시아어족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아마도 별개의 하부 어족을 형성한다고 제안했다.[41]

게오르기 스타로스틴은 2002년 어휘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엘람어가 노스트라트어족 및 셈어족과 거의 동일한 거리에 있다고 발표했다.[42]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주류 역사 언어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30]

9. 연구사

엘람어 연구는 19세기 전반 유럽에서 아케메네스 왕조 왕실 비문이 처음 출판되면서 시작되었다. 다리우스 1세의 이름으로 헨리 로린슨 경이 에드윈 노리스에게 맡겨 1855년에 출판된 비수툰 비문의 엘람어 판은 큰 발전을 가져왔다. 당시 엘람어는 인도유럽어족과의 연관성이 확립되지 않은 스키타이어족으로 여겨졌다. 최초의 문법은 1879년 쥘 오페르에 의해 출판되었다. 엘람어라는 언어명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1874년의 아치볼드 헨리 세이스로 여겨지는데, 1850년에 이미 이자도어 뢰벤슈테른이 이 명칭을 제안했다.

20세기 초 30년 동안 빈센트 셰일 신부는 수사에서 발견된 아케메네스 왕조 이전의 비문을 출판했다. 1933년에는 이 언어로 된 최초의 행정 문서인 페르세폴리스 요새화 점토판이 발견되었으며, 1969년 리처드 T. 할록에 의해 출판되었다. 1970년대에는 고대 도시 안샨인 탈리 말리안에서 또 다른 행정 문서가 발견되었으며, 1984년 매튜 W. 스톨퍼에 의해 출판되었다. 1967년 초가 잔빌에서 발견된 중기 엘람어 비문은 마리-조제프 스테브 신부에 의해 출판되었다.

20세기 4분기에 프랑스 학파는 프랑수아 발라가 이끌었으며, 프랑수아즈 그리요(-수시니)와 플로렌스 말브랑-라바가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조지 G. 캐머런과 허버트 H. 페이퍼가 시작한 미국 학파는 스톨퍼와 함께 행정 문헌에 집중했다. 2000년대에 와우터 F.M. 헨켈만은 엘람어 연구를 부활시켰으며, 페르세폴리스 요새화 점토판에 초점을 맞춘 여러 기고문과 단행본을 출판했다. 엘람어는 현재 유럽의 세 개 대학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에콜 프라티크 데 오트 에튀드의 헨켈만, 나폴리 동양대학교의 지안 피에트로 바셀로,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얀 타베르니에가 담당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논문 Linear Elamite writing https://www.academia[...] 2018
[6] 논문 The Decipherment of Linear Elamite https://www.degruyte[...] 2022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웹사이트 Persepolis Fortification Archive. https://oi.uchicago.[...] Oriental Institute – The University of Chicago
[12] 서적 The Elamite Language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문서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The Darius Seal https://www.britishm[...] 2024-01-24
[21] 웹사이트 Darius' seal: photo – Livius https://www.livius.o[...]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문헌
[37] 문헌
[38] 문헌
[39] 문헌
[40] 문헌
[41] 문헌
[42] 문헌
[43] 서적 Melammu Symposia IV https://unora.unior.[...] Università di Bologna & IsIAO
[44] 논문 Toward Proto-Elamo-Dravid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