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마인은 남아프리카 및 나미비아 남부에 거주하는 코이코이족 계열의 민족이다. 나마족은 유목 생활을 하며 목축업과 수렵 채집을 해왔으며, 오렌지강 주변에 정착했다. 19세기에는 독일의 식민 지배를 받으며 헤레로-나마 학살로 고통받았으며, 강제 수용과 노동에 시달렸다. 현재는 나미비아의 리히터스펠트 국립공원 등에서 전통 문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하위 부족과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나마족은 전통 의상, 주거 형태인 '하루 옴스', 그리고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종교 생활을 하며, 결혼과 장례와 같은 독특한 사회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이코이인 - 코에코에어
    코에코에어는 코에어족 언어로서 과거 주어족 언어를 사용하던 하이옴족이 언어 전환한 언어이며,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나미비아의 국어이자 공용어이지만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코이코이인 - 세라 바트먼
    세라 바트먼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코이코이족 여성으로, 유럽에서 '호텐토트 비너스'라는 이름으로 전시되며 인종차별과 억압의 희생양이 되었고, 그녀의 삶은 서구 제국주의와 과학적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남아 다양한 예술 작품에 등장한다.
  • 보츠와나의 민족 - 산족 (아프리카)
    산족은 아프리카 남부의 수렵 채집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신들을 지칭하는 집단적인 단어는 없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근대화 정책 등으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하고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보츠와나의 민족 - 헤레로인
    헤레로인은 17~18세기 나미비아로 이주한 반투족으로, 독일 식민 통치에 저항했으나 진압되었고, 나미비아 독립 후 과거사 청산과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나미비아의 민족 - 산족 (아프리카)
    산족은 아프리카 남부의 수렵 채집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신들을 지칭하는 집단적인 단어는 없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근대화 정책 등으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하고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나미비아의 민족 - 독일계 나미비아인
    독일계 나미비아인은 나미비아에 거주하며 독일 혈통을 가진 사람들로, 독일 식민 통치 시기에 유입되어 독일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나마인
지도
기본 정보
나미비아의 나마족 남성이 인사하는 모습
나미비아의 나마족 남성
다른 이름나마콰
인구 통계
거주 지역나미비아
보츠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미비아112,156명 (2023년 인구 조사)
언어
사용 언어나마어
나미비아 흑인 독일어 (드물게 사용)
종교
종교기독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이슬람교
관련 민족
관련 민족코이코이족

2. 역사

나마족은 수천 년 동안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남부에서 코이산족과 함께 유목 생활을 해왔다. 코이코이족은 목축업을, 산족은 수렵 채집을 하며 생활했다. 나마족은 코이코이족 집단에 속하며, 원래 오렌지 강 주변에 살았다. 초기 식민지 개척자들은 이들을 호텐토트라고 불렀으며, 이후 "나마콰"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나마콰"는 코에코에어로 "사람들"을 의미하는 "-qua/kwa"에서 유래한 단어이며, 그리콰족 등 다른 남아프리카 민족에게서도 볼 수 있다.

19세기 초, 오람인이 나마쿠알란드와 다마라란드에 침입했다. 이들은 코이코이인의 자손이지만, 유럽인 및 노예와 혼혈이었다.[33] 시간이 지나면서 오람인은 나마인과 동화되었고, 나마어·다마라어를 사용하게 되었다.[34]

1920년대다이아몬드가 오렌지 강 하구에서 발견되면서 나마인의 땅은 근대화의 물결에 휩쓸렸고, 아파르트헤이트 하에서도 계속되었다.

1991년, 나마퀄랜드의 일부가 리히터스벨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32] 2002년 12월, 이 공원을 포함한 조상들의 땅이 공동체 소유로 반환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나미비아 정부는 국경을 넘는 공원을 만들어 리히터스벨트 국립공원을 흡수하기 시작했다.[32]

2. 1. 코이코이족과의 관계



나마인은 코이코이족 계열 민족으로, 1000년 동안 코이산족과 함께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남부에서 유목 생활을 해왔다. 코이코이인은 목축 사회를, 산족은 수렵 채집 사회를 영위했다.[3]

나마인은 원래 나미비아 남부에서 남아프리카 북부를 흐르는 오렌지 강 근처에 살았으며, 초기 정착민들에게 호텐토트라고 불렸지만, 후에 나마쿠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나마쿠아"는 코에코에어로 "사람들"을 의미하는 "-qua/khwa"에서 유래한 단어이며, 그리콰족 등 다른 남아프리카 민족에게서도 볼 수 있다.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얀 반 리베크는 초기 네덜란드 정착을 위해 희망봉에 도착하여 코이코이족과 마주쳤다.[3][4] 코이코이족은 남아프리카 최초의 목축업자들로, 응구니 소와 작은 가축을 가지고 있었다.[4]

처음에 네덜란드인들은 인도네시아와의 무역을 위해 희망봉에 들렀으나, 이후 코이코이족과 갈등이 발생했다. 네덜란드인들은 코이코이족의 땅과 가축을 빼앗고, 노동력을 착취했다.[5]

18세기19세기 네덜란드 정착이 확대되면서 코이코이족은 동쪽과 북쪽으로 밀려났다.[6] 나마인을 포함한 일부 코이코이족은 오렌지 강을 건너 독일령 남서 아프리카 (현재의 나미비아)로 도망쳤다.[7]

19세기 초, 오람인이 나마쿠알란드와 다마라란드에 침입했다. 이들은 코이코이인의 자손이지만, 유럽인 및 노예와 혼혈이었다.[33] 시간이 지나면서 오람인은 나마인과 동화되었고, 나마어·다마라어를 사용하게 되었다.[34]

2. 2.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 식민지에서의 정착과 갈등

수천 년 동안,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남부의 코이산족은 유목 생활을 유지했으며, 코이코이족은 목축업자로, 산족은 수렵 채집인으로 활동했다. 나마족은 코이코이족 집단에 속한다. 나마족은 원래 나미비아 남부와 남아프리카 북부의 오렌지강 주변에 살았다. 초기 식민지 개척자들은 그들을 호텐토트라고 불렀다. 그들의 또 다른 역사적 이름인 "나마콰"는 "장소"를 의미하는 코에코에어 언어 접미사 ''"-qua/kwa"''가 언어 이름에 추가되어 유래되었다. (이는 그리콰족과 같은 다른 남아프리카 국가의 이름에서도 발견된다).[3]

1652년 4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관리인 얀 반 리베크는 회사 요청에 따라 초기 네덜란드 정착을 시작하기 위해 90명의 사람들과 함께 희망봉에 도착했다. 그들은 네덜란드인들이 도착하기 적어도 천 년 전에 희망봉 지역에 정착한 원주민 정착민인 코이코이족을 발견했다.[3][4]

케이프의 코이코이족은 목축업을 했다. 그들은 남아프리카에서 최초의 목축업자들이었다. 그들은 수렵 채집인인 산족과 함께 살았다. 코이코이족은 케이프 주변에서 풀을 뜯는 많은 응구니 소와 작은 가축을 가지고 있었다. 이 지역은 그들과 가축에게 충분한 물을 제공했기 때문에 목축업자로서의 삶에 적합했다.[4]

처음에 네덜란드인들은 인도네시아 군도로 가는 길에 케이프에 들러 그들의 사람들을 위해 신선한 농산물과 물을 얻는 데 관심이 있었다. 인도네시아는 유럽에서는 생산할 수 없는 작물과 향신료가 풍부했기 때문에 네덜란드인들은 그곳에 큰 관심을 가졌다. 네덜란드인들은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많은 인도네시아인들을 노예로 삼았다.[4] 케이프에서 반 리베크는 처음에 협상을 통해 코이코이족으로부터 소, 토지 및 노동력을 얻으려 했지만, 이러한 협상이 실패하자 갈등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네덜란드 정착민들은 코이코이족과 전쟁을 벌였고, 그들의 땅을 점령하여 밀과 다른 농산물을 위한 농장을 건설했으며, 많은 코이코이족 사람들을 노동자로 강제했다. 그들의 가축 또한 빼앗겼고, 네덜란드 정착민을 위해 일하지 않으면 목초지와 물을 이용할 수 없었다.[5]

18세기와 19세기 동안 갈등이 심화되고 네덜란드 정착이 확대되어 식민지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식민지 변경의 확장은 코이코이족을 동쪽으로 가장 동쪽 케이프와 최종적인 "폐쇄 변경" 원주민 보호구역(트란스케이 & 치스케이)으로, 그리고 "개방 변경" (노던 케이프 & 남서 아프리카/나미비아)을 넘어 북쪽으로 밀어냈다.[6] 나마를 포함한 코이코이족 공동체의 일부 후손들은 식민지 북쪽으로 도망쳐 오렌지 강을 건너 독일령 남서 아프리카 (현재의 나미비아)로 갔다.[7]

2. 3.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나미비아)로의 이주와 정착

헨드릭 위트보이와 그의 동료들


나마인은 코이코이족 계열 민족으로, 1000년 동안 코이산족과 함께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남부에서 유목 생활을 해왔다. 코이코이인은 목축 사회를, 산인은 수렵 채집 사회를 영위해 왔다.

19세기 중반, 데이비드 비트부이의 지도 아래 나마족을 포함한 일부 코이코이족 집단은 오렌지 강을 건너 독일령 남서아프리카(현재의 나미비아)로 이동했다. 데이비드 비트부이는 1840년대 중반부터 오렌지강 북쪽에 영구적인 나마족 정착지를 건설한 최초의 코이코이족 지도자였다. 1863년, 그는 기베온 (나미비아 남중앙부)에 정착하여 소, 무역, 기독교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 사회를 발전시켰다.

1875년 데이비드 비트부이가 사망한 후, 헨드릭 위트보이의 아버지인 모세 비트부이가 족장이 되었고 1883년까지 그 자리에 머물렀다. 모세는 라인 선교 협회(RMG) 소속 선교사인 요하네스 올프와 긴밀히 협력하며 기베온에 교회, 선교 기지, RMG 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2. 3. 1. 헤레로족과의 갈등

수천 년 동안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남부의 코이산족은 유목 생활을 유지했으며, 코이코이족은 목축업을, 산족은 수렵 채집을 하며 생활했다. 나마족은 코이코이족에 속하며, 원래 나미비아 남부와 남아프리카 북부의 오렌지강 주변에 살았다.

1884년 6월, 헨드릭 위트보이는 아버지로부터 지도자 자리를 물려받고, 그 해에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백성을 이끌고 북쪽 다마랄란트 중앙으로 이동했다. 그는 1년 전 장로로서 교회의 직책에서 물러났고, 스스로를 성경적 예언자로 칭하며 기베온의 유력 가문들의 지지를 얻었다. 비트보이는 기베온에서 이주한 바로 그 해에 호른크란스에 정착했는데, 이곳은 마하레로 추장이 이끄는 강력한 반투 목축 공동체인 헤레로족의 중요한 요새였다. 비트보이의 이러한 결정은 두 부족 간의 오랜 군사적 갈등을 촉발했다.

그러나 갈등이 시작되기 몇 달 전, 마하레로는 새로 도착한 독일 식민 정부 관리들과 보호 협정을 체결했다. 비트보이는 마하레로가 독일과 맺은 조약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헤레로족과의 대립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식민지에서 자신의 부족이 우위를 점하기 위해 투쟁했고, 독일의 보호 아래 있는 다른 부족 공동체들과 계속 충돌했다. 나마족과 다른 부족 간의 이러한 경쟁은 독일 제국 정부에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는데, 이는 식민지에 대한 독일의 위임 통치가 점차 약화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일 지도자들은 헤레로족과 비트보이 나마콰 간의 갈등을 즉시 종식시키려 했다.

2. 3. 2. 독일과의 갈등

오두막 앞에 있는 나마족


1884년 6월, 헨드릭 비트보이는 아버지로부터 지도자 자리를 물려받고, 그해에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다마랄란트 중앙으로 이동했다. 비트보이는 헤레로족의 요새인 호른크란스에 정착했는데, 이는 추장 마하레로가 이끄는 헤레로족과의 갈등을 촉발했다. 비트보이는 독일의 보호 아래 있는 다른 부족들과 계속 충돌했고, 이는 독일 식민 정부에게 문제를 야기했다.[8]

1886년 6월, 독일 제국의 제국 위원 괴링은 비트보이에게 적대 행위를 중단하도록 권유했지만, 비트보이는 이를 무시했다. 1889년 4월 괴링은 비트보이에게 공개적인 전쟁을 위협했고, 나마콰의 저항은 독일 군대의 증가로 이어졌다. 1893년 3월 레오 폰 카프리비 총리는 독일령 남서 아프리카(GSWA)를 독일 정착 식민지로 선포했다. 같은 해 11월 빌헬름 2세는 쿠르트 폰 프랑수아를 'Landeshauptmann'으로 임명했다. 프랑수아는 비트보이를 경멸하며 가혹한 처벌만이 저항을 종식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8][9]

1893년 4월 12일, 프랑수아는 호른크란스에서 비트보이와 그의 부족을 기습 공격하여, 잠자고 있던 나마콰 여성과 어린이를 প্রায় 100명 살해했다. 나마콰는 윈드후크의 독일 본부에서 말과 가축을 훔치며 반격했다. 1893년 말, 테오도르 로이트바인이 폰 프랑수아를 대신하여 나마족 정복 실패 이유를 조사하기 위해 임명되었다. 1894년 7월 로이트바인은 250명의 병력을 요청했고, 탄약이 떨어진 나마족을 격파한 후 헨드릭에게 보호 조약을 체결하도록 강요했다.[8][9]

2. 3. 3. 헤레로-나마 학살 (1904-1908)

헤레로와 나마 학살 당시의 포로


나마족은 코이코이족 집단에 속하며, 원래 나미비아 남부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의 오렌지강 주변에 살았다. 1904년부터 1908년까지 독일 제국은 현재의 나미비아를 식민지배하면서 나마족과 헤레로족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다. 이 전쟁은 헤레로와 나마 학살로 이어져 나마족과 헤레로족 모두에게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혔다.[11]

이는 토착민을 농지에서 몰아내고 번영하는 식민지를 건설하려는 독일의 욕망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12][13] 독일은 대규모 가축 떼를 압수했고, 나마족과 헤레로족을 사막으로 몰아넣었으며, 일부 경우에는 샤크 아일랜드 강제 수용소와 같은 해안의 강제 수용소에 가두었다.[14][15] 또한 나마족과 헤레로족은 다이아몬드 러시 동안 철도를 건설하고 다이아몬드를 채굴하는 노예 노동에 강제로 동원되었다.[16]

1904년 6월, 카이저 빌헬름 2세는 로타르 폰 트로타 중장을 레우트바인의 후임으로 임명했다. 폰 트로타는 식민지 내 전체 아프리카 부족을 근절하는 정책을 사용했다.

2. 4. 남아프리카 연방 및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나마인은 코이코이족 계열 민족으로, 1000년 동안 코이산족과 함께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남부에서 유목 생활을 해왔다. 코이코이족은 목축 사회를, 산족은 수렵 채집 사회를 영위해 왔다.

19세기 초, Oorlam people영어이 나마쿠알란드와 다마라란드에 침입했다. 이들은 나마인과 마찬가지로 코이코이족의 자손이지만, 유럽인과 노예로 끌려온 마다가스카르, 인도, 인도네시아인과 혼혈이다.[33] 200년 후, 오람인의 문화는 나마인의 문화와 동화되었고, 나마어·다마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오람인과 나마인의 차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었고, 21세기 초에는 하나의 민족으로 여겨질 정도가 되었다.[34]

1920년대다이아몬드가 오렌지 강 하구에서 발견되어 알렉산더 베이와 포트 노로스에 도시가 건설되면서 나마인의 땅은 근대화의 물결에 휩쓸렸고, 아파르트헤이트 하에서도 계속되었다. 나마인은 원래 나미비아 북부에서 남아프리카 남부를 흐르는 오렌지 강 근처에 살았으며, 초기의 정착민들에게 호텐토트라고 불렸지만, 후에 나마쿠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나마쿠아"는 코이코이어로 "사람들"을 의미하는 "-qua/khwa"에서 유래한 단어이며, 그리콰족 등 다른 남아프리카 민족에게서도 볼 수 있다.

2. 5. 현대

1991년, 나마퀄랜드(나마족의 고향이자 남아프리카의 마지막 진정한 야생 지역 중 하나)의 일부가 리히터스벨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32] 2002년 12월, 이 공원을 포함한 조상들의 땅이 공동체 소유로 반환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나미비아 정부는 남아프리카 남부 해안에서 사막 내부까지 국경을 넘는 공원을 만들어 리히터스벨트 국립공원을 흡수하기 시작했다.[32] 오늘날 리히터스벨트 국립공원은 원래의 나마족 전통이 살아남은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이다. 그곳에서 나마족은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그들의 언어를 사용한다. 전통적인 나마족의 거주지인 |haru oms(휴대용 갈대 매트 덮인 돔형 오두막)는 찌는 듯한 햇볕으로부터 보호하며, 풀을 뜯는 곳이 부족해지면 쉽게 이동할 수 있다.[32]

3. 하위 부족



나마족은 여러 하위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족은 고유한 역사와 거주 지역을 가지고 있다. 주요 하위 부족은 다음과 같다.

부족명거주 지역지도자 및 기타 정보
ǀKhowesen기베온헨드릭 위트보이 선장의 직계 후손. 1905년 10월 29일 독일과의 전투에서 사망.[19] 현재 이스마엘 헨드릭 위트보이가 지도. 기베온은 마리엔탈 남쪽 72km, 키트만스후프 북쪽 176km 떨어진 B1 도로 인근에 위치.
Khaiǁkhaun호아차나스레드 네이션으로, 나미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나마 씨족이자 주요 집단.[20]
ǃGamiǂnun웜바드본델스바르츠 부족.
ǂAonin유투셉, 루이뱅크톱나르 부족.
ǃKharakhoen고차스프란스만 나마 부족. 1905년 1월 15일 스와르트폰테인 전투에서 독일군에게 패배. 일부는 보츠와나 록과베로 도망,[21] 나머지는 앰퍼-보로 이동. 2016년 데이비드 한세가 족장 취임.[22]
ǁHawoben코에스벨드쇼엔드라거스 부족.
!Aman베다니코르넬리우스 프레데릭의 지휘.
ǁOgain슐립그루트 도덴 부족.
ǁKhauǀgoan레호보트, 살렘, 아메이비, 프란스폰테인스바르트보이 나마 부족. 쿠네네 강의 스바르트보이 드리프트는 이들이 앙골라로 건너간 곳. 현재 찰스 오토 윌리엄 ǀUirab이 가오브.[23]
Kharoǃoan키트만스후프헨드릭 체이프 지도.[24] 1850년 2월 레드 네이션에서 분리되어 키트만스후프에 정착.[20]


4. 문화

나마족은 음악과 문학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민족으로, 전통 음악, 민담, 속담, 찬양 시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져 내려오며 나마족 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가죽 세공, 가죽 카로스, 매트, 갈대 피리와 같은 악기, 보석, 옹기, 거북 껍질 가루 용기 등 다양한 공예품을 만드는 것으로도 유명하다.[25]

나마족은 전통적으로 공동 토지 소유 정책을 시행하며, 음악, 시, 이야기 전달은 매우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다. 많은 이야기가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다.[25]

4. 1. 사회 제도

나마족은 전통적으로 공동 토지 소유 정책을 시행한다. 음악, 시, 이야기 전달은 나마 문화에서 매우 중요하며, 많은 이야기가 여러 세대에 걸쳐 구전되어 왔다.[25]

하루 옴스 오두막집

4. 2. 예술

나마족은 음악과 문학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민족이다. 전통 음악, 민담, 속담, 찬양 시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오며 나마족 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가죽 세공, 가죽 카로스, 매트, 갈대 피리와 같은 악기, 보석, 옹기, 거북 껍질 가루 용기 등 다양한 공예품을 만드는 것으로도 유명하다.[25]

나마족 문화에서 음악, 시, 이야기 전달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많은 이야기가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다.

4. 3. 의복

나마 여성의 전통 의상은 빅토리아 시대 패션을 닮은 길고 격식 있는 드레스이다. 이 길고 펄럭이는 드레스는 1800년대 선교사들의 스타일에 맞춰 개발되었으며, 오늘날 나마 민족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다.[1]

4. 4. 주거

나마족의 전통 가옥은 '하루 옴스'(|haru oms) 또는 '마티스하우스'(matjieshuis)라고 불린다. 이 집은 둥근 형태를 띠고 있으며, 막대기 뼈대에 아름답게 디자인된 갈대 매트를 엮어 만든다.[26] 과거 나마족의 유목 생활 방식과 잘 맞으며, 남아프리카 북서부의 산악 사막 지역인 리히터스벨트 주민들의 삶의 일부로 남아있다.

하루 옴스는 깔끔하게 벌집 모양으로 엮어진 갈대 매트로 만들어진다. 이 갈대 매트는 여름에는 시원하고 통풍이 잘 되며, 겨울에는 자연적인 단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갈대 줄기는 물에 젖으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어 비로부터 집을 보호해 준다. 모든 재료는 유기적이며 과도하게 수확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다.[26]

오두막 제작에는 여성과 남성 모두 참여하며, 재료 수집, 깔개 준비, 오두막 조립 등 매우 세심한 과정을 거친다. 이는 나마족의 전통 예술로 여겨진다.[26]

리히터스벨트에 있는 마을에서는 마티스하우스를 창고, 주방, 추가 침실, 또는 관광객을 위한 숙소 등으로 활용한다.

4. 5. 종교

나미비아에 거주하는 나마족은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전통 신앙을 버리고 대부분 기독교를 믿고 있다. 나마 무슬림은 나미비아 무슬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29]

4. 6. 장례

과거에는 장례식이 큰 사회적 모임이 아니었다. 나마족은 단순히 시신을 매장하고 영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 사람에 대해 다시는 언급하지 않았다. 오늘날 장례식은 사회적 연대다. 매장되는 사람이 공동체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가 중요하며, 이는 매장지를 결정한다. 사망자의 가까운 친척들은 1주일 동안 무덤을 준비하고, 땅을 파고, 납작하게 만든 기름 드럼을 시트로 사용한다. 애도는 실제 매장 3일 전에 시작된다. 애도의 처음 이틀 밤 동안 찬송가를 부르고, 설교를 하고, 기도한다. 애도의 마지막 날이자 매장일에는 연설과 조의 메시지가 전달된다.[30] 무덤 자체는 벽돌로 덮여 있으며, 시신이 들어가면 흙으로 덮기 전에 나무 판자를 덮는다. 이러한 매장 방식은 시신의 보존을 용이하게 한다.

4. 7. 결혼

나마족은 복잡한 결혼 의식을 가지고 있다. 먼저 남자는 자신의 뜻을 가족과 상의해야 한다. 가족이 동의하면 신부의 가족에게 요구할 관습을 알려주고, 신부가 사는 곳으로 함께 간다. 미래 남편의 가족이 도착하기 전에 신부가 사는 곳의 마당을 준비한다. 다양한 그룹이 앉아서 논의할 수 있도록 동물의 가죽을 모서리에 깔아둔다.[31]

신랑 가족은 문을 열어달라고 요청한다. 허락되면 신랑은 신부에 대한 세부 사항, 첫 만남의 상황과 서로를 잘 알 수 있도록 신체의 특징을 식별하는 방법 등을 질문받는다. 신부가 임신했거나 미래의 남편 또는 다른 사람과의 사이에 이미 아이가 있는 경우, 신부는 "문 정화" 의식(눈처럼 흰 염소 도살 및 소비)을 치른다. 며칠 후 결혼 의식이 반대로 진행된다. 신부의 가족이 신랑의 씨족을 방문한다. 두 씨족 모두가 만족하면 약혼 날짜가 발표된다.[31]

약혼 시, 신랑의 가족은 살아있는 동물을 여자의 가족 집에 가져온다. 동물을 도살하여 세 개의 막대기에 걸어 각 부위를 신부의 가족에게 제공한다. 설탕이나 밀가루 자루와 같은 다른 품목은 항상 음식이 풍족할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두 개 또는 네 개 단위로만 제공된다. 이 과정은 남자 가족의 집에서도 반대로 진행된다.
빈트후크의 호클란트 파크 교외에 있는 집. 흰색 깃발은 결혼 준비가 진행 중임을 나타낸다.
양쪽 가족의 집에 흰색 깃발을 게양하며, 이 깃발은 제거할 수 없지만 언젠가는 시들거나 바람에 날려간다.[31]

결혼 준비는 최대 1년이 걸릴 수 있다. 신랑의 가족은 신부의 어머니에게 선물을 한다. 전통적으로는 암소와 송아지인데, 이는 신부를 젖 먹여 키웠기 때문이다. 선물과 함께 협상 과정이 따르는데, 이 과정 자체만으로도 몇 주가 걸릴 수 있다. 결혼식 날, 양쪽 가족은 동물과 다른 음식을 제공하여 신부의 집에 가져온다. 결혼식 자체는 교회에서 열린다. 그 후 축제는 며칠 동안 계속된다. 결혼 후 첫날밤에는 부부가 따로 보낸다. 다음 날 아침, 그들은 자신들의 집으로 떠난다.[31]

참조

[1] 웹사이트 Namibia 202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Main Report https://census.nsana[...] Namibia Statistics Agency 2024-10-30
[2] 웹사이트 La hutte du peuple Nama https://maison-monde[...] 2017-02-15
[3] 간행물 The Grand Parade, Cape Town: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the seventeenth century Fort de Goede Hoop
[4] 웹사이트 History of slavery and early colonisation in South Africa https://www.sahistor[...] 2021-05-15
[5] 간행물 The Economics of Slavery in the Eighteenth-Century Cape Colony: Revising the Nieboer-Domar Hypothesis https://www.proquest[...] 2014-04
[6] 간행물 The Northern Cape frontier zone, 1700 - c.1815 https://open.uct.ac.[...] 1995
[7] 웹사이트 EISA Namibia: Migrations, missionaries and traders (1800-1884) https://www.eisa.org[...] 2022-06-07
[8] 간행물 From Boondoggle to Settlement Colony: Hendrik Witbooi and the Evolution of Germany's Imperial Project in Southwest Africa, 1884-1894 https://www.proquest[...] 2017-12
[9] 서적 The Devil's Handwriting:Precoloniality and German Colonial state, Qingdao, Samoa, and South West Af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웹사이트 La culture Namibienne -Informations pratiques https://www.rhinoafr[...]
[11] 웹사이트 The Herero genocide: German unity, settlers, soldiers, and ideas https://openaccess.l[...] 2014-01-17
[12] 간행물 Colonial Genocide and Reparations Claims in the 21st Century: The Socio-Legal Context of Claims under International Law by the Herero against Germany for Genocide in Namibia, 1904-1908, Jeremy Sarkin (Westport, CT: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09), ix + 308 pp., cloth $75.00, Kindle eBook $54.00 http://dx.doi.org/10[...] 2010-12-01
[13] 웹사이트 German Imperialism https://courses.lume[...] 2020-05-30
[14] 간행물 Colonial Genocide and Reparations Claims in the 21st Century: The Socio-Legal Context of Claims under International Law by the Herero against Germany for Genocide in Namibia, 1904-1908, Jeremy Sarkin (Westport, CT: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09), ix + 308 pp., cloth $75.00, Kindle eBook $54.00 http://dx.doi.org/10[...] 2010-12-01
[15] 웹사이트 Mapping the Herero and Nama Genocide https://storymaps.ar[...] 2020-05-30
[16] 간행물 Colonial Genocide and Reparations Claims in the 21st Century: The Socio-Legal Context of Claims under International Law by the Herero against Germany for Genocide in Namibia, 1904-1908, Jeremy Sarkin (Westport, CT: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09), ix + 308 pp., cloth $75.00, Kindle eBook $54.00 http://dx.doi.org/10[...] 2010-12-01
[17] 웹사이트 Slavery in the Cape http://slaveryinstit[...] Institute for the Study of Slavery and its Legacy – South Africa 2010-07-08
[18] 서적 Die Völker Namibias Klaus Hess
[19] 웹사이트 La culture Namibienne -Informations pratiques https://www.rhinoafr[...]
[20] 뉴스 The historical role of the Nama nation http://www.republike[...] 2011-07-08
[21] 뉴스 Bridging a hundred year-old separation http://www.namibians[...] 2011-11-30
[22] 뉴스 ǃKhara-Khoen Nama sub-clan installs leader http://www.namibian.[...] 2016-02-02
[23] 뉴스 The break of a new dawn https://www.namibian[...] Gondwana 2024-10-11
[24] 뉴스 Aus "ǂNuǂgoaes" wird Keetmanshoop Tourismus Namibia monthly supplement 2013-02-28
[25] 뉴스 Swartbooi resigned, not fired https://www.newera.c[...] 2016-12-14
[26] 웹사이트 La hutte du peuple Nama https://maison-monde[...] 2017-02-15
[27] 서적 Hunters and Herders of Souther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28] 웹사이트 The Haru Oms in the Richtersveld http://southafrica.c[...] 2020-10-29
[29] 웹사이트 Islam in Namibia, making an impact https://archive.isla[...] Islamonline.net
[30] 간행물 Unearthing Culture: Khoisan Funerals and Social Change 1998
[31] 뉴스 Love, traditionally – a ǀHaiǀKhaua wedding 2010-12-03
[32] 웹사이트 The Herero genocide: German unity, settlers, soldiers, and ideas https://openaccess.l[...] 2014-01-17
[33] 웹사이트 Slavery in the Cape http://slaveryinstit[...] Institute for the Study of Slavery and its Legacy – South Africa 2010-07-08
[34] 서적 Die Völker Namibias Klaus H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