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미비아의 독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미비아의 독일어는 1884년부터 1915년까지 독일령 남서아프리카 시대에 유일한 공용어였으며,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와 독립 이후 영어의 공용어 지정으로 그 지위가 변화했다. 현재는 약 31,000명의 모어 사용자와 수만 명의 제2 언어 사용자를 보유하며, 학교 교육, 언론 매체,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나미비아 독일어는 아프리칸스어, 영어, 현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방언적 특징을 가지며, '남서독일어' 또는 '나미비아 슬랭'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미비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나미비아의 언어 - 헤레로어
헤레로어는 나미비아, 앙골라, 보츠와나 지역에서 사용되는 반투어군의 언어이며, 헤레로랜드에서 주로 사용되고 19세기 말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문자가 정립되었으며, 나미비아에서 교육 및 방송에도 사용된다. - 독일어의 방언 - 오스트리아 독일어
오스트리아 독일어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를 기반으로 합스부르크 시대부터 표준화된 독일어 변종으로, 독일 표준 독일어와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유럽 연합 가입 후 국제법적으로 인정받는 다중 중심 언어의 변종이다. - 독일어의 방언 - 저지 독일어
저지 독일어는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고지 독일어 자음 변화를 겪지 않은 서게르만어족의 언어 변종으로, 언어적 특징, 역사, 방언, 법적 지위 등 복잡한 쟁점을 가진다.
나미비아의 독일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나미비아 독일어 |
다른 이름 | 쥐트베스터도이치 |
고유 이름 | 남슬랭 |
사용 국가 | 나미비아 |
사용 시기 | 2012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게르만어파 |
어군 | 서게르만어군 |
분파 | 고지 독일어 |
ISO 639-3 | 방언으로 분류됨 |
Glottolog | 해당 사항 없음 |
현황 | |
국가 | 나미비아 |
소수 언어 | 해당 |
2. 역사
나미비아 독일어의 역사는 1884년 독일 제국이 나미비아를 식민지화하면서 시작된다.
1884년부터 1915년까지 독일령 남서아프리카 시기에는 독일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였다. 191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이 지역의 행정권을 인수하면서 독일어의 특권과 교육은 유지되었지만, 1920년 네덜란드어(이후 아프리칸스어로 대체)와 영어가 공식 언어가 되면서 독일어는 공식 언어 지위에서 밀려났다.
독일어 사용자들은 독일어가 공용어 지위를 회복하기를 원했고, 1932년 케이프타운 조약을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독일어의 공용어 지위 회복을 장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독일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1984년에 이르러서야 독일어가 다시 공용어로 추가되었다.
1990년 나미비아가 독립하면서 영어가 유일한 공용어가 되었고, 독일어는 다시 공용어 지위를 잃었다.
2. 1. 독일 식민 통치 시기 (1884년 ~ 1915년)
1884년부터 1915년까지 나미비아가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였던 기간 동안 독일어는 유일한 공식 언어였다.[11] 보어인 (Boer), 즉 네덜란드어(남아프리카 네덜란드어는 나중에 아프리칸스어가 됨)를 사용하는 남아프리카 백인들은 이미 오를람족 및 혼혈인 레호보스 바스터스와 함께 이 지역에 살고 있었다.[11]
2. 2. 남아프리카 공화국 위임 통치 시기 (1915년 ~ 199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915년에 남서아프리카(현재의 나미비아)의 행정권을 인수했지만, 독일어 교육과 독일어의 특권은 계속 유지되었다. 1916년에는 알게마이네 차이퉁 신문이 '데어 크릭스보테(''Der Kriegsbote'')'라는 이름으로 창간되었다.[11]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독일계 나미비아인에 대한 태도를 바꾸었고, 1919년에서 1920년 사이에 독일계 주민의 약 절반을 추방했다. 1920년, 독일어 대신 네덜란드어(나중에 아프리칸스어로 대체됨)와 영어가 새로운 공용어가 되었다.독일어 사용 인구는 독일어가 공용어 지위를 회복하기를 바랐고, 1932년 케이프타운 조약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그렇게 하도록 장려했다.[11]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남서아프리카를 남아프리카 연방에 합병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독일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으로는 정부 업무에 독일어를 아프리칸스어 및 영어와 함께 사용했다. 1984년이 되어서야 독일어가 다시 공용어로 추가되었다.
2. 3. 나미비아 독립 이후 (1990년 ~ 현재)
199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영어가 나미비아의 유일한 공용어가 되었고 독일어는 공용어 지위를 잃게 되었다.[11] 그러나 독일어는 오늘날까지 나미비아인들의 생활 곳곳에서 넓게 쓰이고 있다.
3. 현재 상황
199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영어가 나미비아의 유일한 공용어가 되면서 독일어는 공용어 지위를 잃었다. 그러나 독일어는 오늘날까지 나미비아인들의 생활 곳곳에서 넓게 쓰이고 있다.[11]
현재 약 3만 명의 나미비아인이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수만 명이 제2외국어로 사용하고 있다.
3. 1. 사용 빈도
독일어는 공식 언어가 아니어서 자주 쓰이지 않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지만, 생각보다 훨씬 널리 쓰인다. 나미비아인 약 3만 명이 독일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영어나 아프리칸스어를 모국어로 쓰는 백인이거나 부유한 흑인 나미비아인들 수만 명도 독일어를 제1외국어(또는 제2외국어 등)로 사용한다.[11] 독일어는 많은 학교에서 가르치며, 일간 신문인 알게마이네 차이퉁과 나미비아 방송 공사의 일일 프로그램 방송에서도 쓰인다. 독일어가 (영어와 마찬가지로) 흑인 인구의 흔한 모어는 아니지만, 많은 공무원(특히 관광 분야에 종사하는 공무원)이 어느 정도 독일어를 구사한다.그러나 독일어가 전혀 또는 거의 쓰이지 않는 지역도 존재하는데, 특히 백인 인구가 많지 않은 북부 지역과 빈트후크 주변 지역에서는 독일어가 잘 쓰이지 않는다.
3. 2. 문화
독일어는 교회, 학교, 문학, 라디오, 텔레비전, 음악, 온라인 미디어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된다.[4]- 교회: 나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GELK)가 대표적이다.
- 학교: 빈트후크 독일 고등 사립학교 등이 있다.
- 문학: 기젤러 W. 호프만을 비롯한 독일계 나미비아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 라디오 및 텔레비전: 나미비아 방송 공사에서 독일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히트라디오 및 TV 제공 업체 [https://www.satelio.tv/ Satelio]도 있다.
- 음악: EES와 같은 아티스트가 있다.
- 온라인 미디어: 소셜 미디어, 포럼, 온라인 신문에서 표준 독일어 또는 남독일어 (나미비아 독일어)를 사용한다.
3. 3. 교육
나미비아 대학교는 독문학과 경영학 과정에서 독일어로 된 수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1] 빈트후크 독일 고등학교(Deutsche Höhere Privatschule Windhoek, DHPS), 오마루루와 오치와롱고의 독일어 학교, 다섯 개의 공립학교를 포함해 독일어를 사용하는 학교가 열두어 개 있다.[1] 이 외에도 독일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이 14000명 있는 32개의 학교가 있다.[1] 빈트후크에는 여러 개의 초등학교와 독일어를 사용하는 고등학교, 독일어를 사용하는 김나지움이 있다.[1]3. 4. 표지판 및 거리 이름
상점, 식당, 서비스업 관련 표지판에는 영어와 독일어가 함께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독일계 나미비아인이 주인이거나, 독일어권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게 안에서는 아프리칸스어로 인사받을 수도 있는데, 아프리칸스어가 빈트후크와 나미비아 중부 및 남부에서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12]관광객을 위한 표지판, 특히 독일 식민지 시대 유적 관련 표지판에는 독일어가 자주 사용된다. 1990년 이전에는 독일어가 영어, 아프리칸스어와 함께 나미비아의 공식 언어였기 때문에, 그 당시에 설치된 표지판에도 독일어가 쓰여 있다.[12]
빈트후크, 스바코프문트, 케이트만스호프, 그루트폰테인, 뤼데리츠 등 여러 도시의 거리 이름에는 독일어의 흔적이 남아있다. 1990년 이전 거리 이름은 독일어 "Straße"와 아프리칸스어 "straat"의 축약어인 "Str."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1990년 이후 거리 이름은 영어 "Street"의 축약어인 "St."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12][13]
3. 5. 장소 이름
나미비아 남부의 하르다프와 카라스에는 독일어 또는 아프리칸스어 지명이 많다. 이들 지역에서는 전체 지명의 약 80%가 독일어이거나 아프리칸스어이거나, 또는 독일어 및 아프리칸스어가 영어와 섞인 형태이다.[6] 케이트만스호프(Keetmanshoop)는 독일인 공업가인 "요한 케에트만(Johann Keetman)"과 아프리칸스어로 희망을 뜻하는 "hoop"가 합쳐진 형태이고,[6] 뤼데리츠(Lüderitz)는 독일 상인 아돌프 뤼데리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6]

독일 이민자가 많고 독일 지명이 많은 세계의 다른 지역과 달리, 나미비아는 대규모의 지명 변경을 겪지 않았다.[5] 극히 일부의 장소만이 이름이 변경되었는데, 예를 들어 이전의 ''Schuckmannsburg''인 루호노노가 있다.[5]
4. 나미비아 독일어 (방언)
나미비아 독일어는 표준 독일어와 비교하여 단순화된 형태를 보이며, 아프리칸스어, 영어, 오밤보어 등 현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어휘와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Südwesterdeutsch' (남서독일어), 'Namsläng' (나미비아 속어), 'Namdeutsch' (남독일어)등으로 불리기도 한다.[14]
4. 1. 명칭
나미비아에서 쓰이는 독일어는 아프리칸스어와 영어, 오밤보어, 다른 반투어들에서 많은 단어를 단순화하고 차용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 독일어 계통은 "남서독일어(Südwesterdeutsch)" (독일어로 "südwest"는 남서를 뜻하며 나미비아의 이전 이름인 남서아프리카를 이르는 말이다.)라고 불리기도 하며, 젊은 사람들은 "나미비아 속어(Namsläng)" 또는 "나마비아어(Namlish)"라고도 부른다.[14]4. 2. 특징
나미비아에서 쓰이는 독일어는 아프리칸스어, 영어, 오밤보어 및 다른 반투어에서 많은 단어를 단순화하고 차용했다는 특징이 있다.[14] 이 독일어 계통은 "남서독일어 (Südwesterdeutsch)" (독일어로 "südwest"는 남서를 뜻하며 나미비아의 이전 이름인 남서아프리카를 이르는 말이다.)라고 불리기도 하며, 젊은 사람들은 "나미비아 속어 (Namsläng)" 또는 "나마비아어 (Namlish)"라고도 부른다.참조
[1]
웹사이트
Deutsch in Namibia
http://www.az.com.na[...]
Beilage der Allgemeinen Zeitung
2008-06-23
[2]
뉴스
Erhalt von Deutsch "fraglich."
http://www.az.com.na[...]
Allgemeine Zeitung (Namibia)
2010-09-13
[3]
웹사이트
86-1932
https://www.klausdie[...]
[4]
웹사이트
"'Lekker dieses namtal zu lesen. Ich hou davon.' Namdeutscher Sprachgebrauch in namibischer Onlinekommunikation"
https://gm.winter-ve[...]
2018-02-18
[5]
뉴스
President divides Kavango into two
http://www.newera.co[...]
via allafrica.com
2013-08-09
[6]
뉴스
Lüderitzbucht: Gründer- und Diamantenstadt
Tourismus Namibia monthly supplement
2013-02-28
[7]
뉴스
Straße umgetauft.
http://www.az.com.na[...]
Allgemeine Zeitung
2001-12-19
[8]
뉴스
Umbenennung sorgt für Irrwege.
http://www.az.com.na[...]
Allgemeine Zeitung
2003-06-19
[9]
웹인용
나미비아의 독일어 (Deutsch in Namibia)
http://www.az.com.na[...]
알게마이네 차이퉁 (Allgemeine Zeitung)
2008-06-23
[10]
뉴스
독일어의 보존 "앞날이 불확실" (''Erhalt von Deutsch „fraglich“.'')
http://www.az.com.na[...]
알게마이네 차이퉁 (Allgemeine Zeitung)
2010-09-13
[11]
문서
http://www.klausdier[...]
[12]
뉴스
Straße umgetauft.
http://www.az.com.na[...]
알게마이네 차이퉁 (''Allgemeine Zeitung'')
2001-12-19
[13]
뉴스
Umbenennung sorgt für Irrwege.
http://www.az.com.na[...]
알게마이네 차이퉁 (''Allgemeine Zeitung'')
2003-06-19
[14]
문서
Deutsch in Namibia FAQ
http://www.deutsch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