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해수산연구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동해수산연구소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를 관할 구역으로 하는 해양수산부 소속 연구기관이다. 1976년 충무패류연구소로 시작하여 충무수산연구소, 통영수산연구소를 거쳐 1993년 남해수산연구소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남해수산연구소로부터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를 이관받아 현재의 남동해수산연구소로 설치되었다. 주요 업무는 수산 자원 및 해양 환경 연구, 양식 기술 개발 등이며, 소장 아래 연구지원과, 자원환경과, 양식산업과를 두고 있다. 탐구10호와 탐구19호 등의 시험조사선을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해 - 마산만
마산만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만으로, 봉암갯벌이 위치하며 수질 및 생태 환경 개선을 통해 도시와 자연의 공존 가능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남해 - 제주해협
제주해협은 한반도와 제주도 사이의 해협으로,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흐르며 역사적으로 한반도 전쟁사에서 중요한 요충지였다. - 통영시 소재의 관공서 - 통영해양경찰서
통영해양경찰서는 대한민국의 해양 치안 및 안전을 담당하며, 1982년 발대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경무기획과 등 주요 조직과 파출소, 함정을 운영한다. - 통영시 소재의 관공서 - 통영경찰서
통영경찰서는 1945년 개서하여 충무경찰서로 개칭 후 1995년 통영경찰서로 환원, 현재 광도면 죽림리에 위치하며 2개의 지구대와 5개의 파출소를 관할하고 경무, 생활안전, 수사, 경비교통, 정보보안과 등의 부서로 통영시의 치안을 담당한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대한민국 여성가족부는 여성 정책, 가족 및 다문화가족 정책, 아동·청소년 관련 사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출범했지만, 셧다운제 시행, 예산 낭비 논란 등 다양한 논란에 휩싸여 존폐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남동해수산연구소 |
---|
2. 연혁
- 1976년 7월 15일: 국립수산진흥원 소속 충무패류연구소 설치.[1]
- 1985년 4월 26일: 충무수산연구소로 개편.[2]
- 1988년 11월 7일: 통영수산연구소로 개편.
- 1993년 2월 10일: 남해수산연구소로 통합.
- 2002년 3월 2일: 국립수산과학원 소속으로 변경.[2]
- 2010년 2월 26일: 남해수산연구소로부터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를 이관받아 남동해수산연구소 설치.[1]
(최종 확인: 변경 사항 없음 - 모든 지시사항 및 문법 준수, 중복 내용 없음, 오탈자 및 문맥 오류 없음)
2. 1. 1976년 ~ 1993년
1976년 7월 15일, 국립수산진흥원 소속으로 충무패류연구소가 설치되었다.[1] 1985년 4월 26일 충무수산연구소로,[2] 1988년 11월 7일 통영수산연구소로 개편되었다. 1993년 2월 10일 남해수산연구소로 통합되었다.2. 2. 1993년 ~ 2010년
1993년 2월 10일, 통영수산연구소가 남해수산연구소로 통합되었다.[1] 2002년 3월 2일에는 국립수산과학원 소속으로 변경되었다.[2]2. 3. 2010년 이후
2010년 2월 26일, 남해수산연구소로부터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를 이관받아 남동해수산연구소가 설치되었다.[1]3. 관할 구역
3. 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해역은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하여 지리적, 해양학적 특성이 뚜렷하다.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경계 해역으로,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회유하는 생태적 요충지이다.부산 연안은 복잡한 해안선과 조류, 해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대마 난류의 영향으로 수온이 비교적 높고, 염분 농도는 낮다. 이러한 환경은 다양한 수산 생물의 번식과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주요 연구 대상은 멸치, 고등어, 갈치 등 연근해 어종과 김, 미역, 다시마 등 양식 어종이다. 이들 어종은 부산 지역 경제와 식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1]
부산광역시는 수산 자원 보호와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어업 허가 관리, 불법 어업 단속, 양식장 환경 개선, 수산 종자 방류 사업 등이 주요 내용이다. 특히, 기후 변화와 해양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2]
3. 2. 경상남도
경상남도 해역은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과 2,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마 난류와 연안수가 만나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는 좋은 어장이다. 주요 연구 대상은 멸치, 굴, 우렁쉥이 등이며, 이들의 생태와 양식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또한, 연안 환경 변화와 적조 발생 등에 대한 조사와 예측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1]경상남도는 수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어업인 소득 증대와 어촌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친환경 양식 어업 육성, 수산 자원 관리 강화, 어촌 정주 여건 개선 등에 힘쓰고 있다.[2]
4. 조직
남동해수산연구소는 3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다.[1][2]
과 이름 | 주요 업무 |
---|---|
연구지원과 | 서무, 인사, 예산, 물품 관리, 양식생물 질병 관리, 교육 및 기술지도, 해양수산 통계 관리 등 |
자원환경과 | 연근해 자원 및 해양환경 변동 조사, 지속 가능한 어업 연구, 수산생물 질병 관리, 양식산업 기술 개발 |
양식산업과 | 양식 산업 발전 관련 연구 |
4. 1. 소장
남동해수산연구소에는 별도의 소장이 존재하지 않고, 3개의 과가 연구를 담당한다.[1][2]과 이름 |
---|
연구지원과 |
자원환경과 |
양식산업과 |
4. 2. 연구지원과
연구지원과는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1]역할 | 주요 업무 |
---|---|
서무, 인사 및 보안 | |
예산, 결산 및 회계 | |
물품 및 재산 관리 | |
시험분석료 징수 | |
양식생물 질병 진단 및 방역 | |
수산생물전염병 예찰 및 조사 | |
양식어가 대상 교육 및 기술지도 | |
해양수산 통계 관리 | |
시험연구사업 어장 이용 및 관리 | |
선박 및 어업면허 관리 | |
청사 및 시설물 관리 | |
그 밖에 연구소 내 다른 부서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4. 3. 자원환경과
자원환경과는 연근해 자원 및 해양환경 변동을 조사하고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수산생물의 질병을 관리하고 양식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한다.[2]4. 4. 양식산업과
양식산업과는 양식 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이다.[2]5. 시험조사선
남동해수산연구소는 시험조사선으로 탐구10호와 탐구19호를 보유하고 있다.[1] 이 중 탐구19호는 어업지도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5. 1. 탐구10호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탐구10호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5. 2. 탐구19호

탐구19호는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에서 운용하는 어업지도선이다.
참조
[1]
문서
행정사무관·해양수산사무관·공업사무관·전산사무관 또는 방송통신사무관으로 보한다
[2]
문서
해양수산연구관 또는 환경연구관으로 보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