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아메리카수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메리카수달은 몸길이 최대 70cm, 꼬리 길이 40cm, 몸무게 5-10kg의 중간 크기 수달이다. 암컷과 새끼는 가족을 이루어 살고 수컷은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 등을 먹고 하천, 호수, 해양에 서식한다. 아르헨티나 남부와 칠레 남부에 분포하며, 털가죽을 얻기 위한 사냥, 서식지 파괴, 먹이 감소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달아과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수달아과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서식지 상실로 인한 절멸위기종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서식지 상실로 인한 절멸위기종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 1908년 기재된 포유류 - 북부흰코뿔소
    북부흰코뿔소는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놓인 아프리카 코뿔소의 아종으로, 마지막 수컷의 죽음 이후 인공번식, 대리모 출산, 냉동 세포 복원 연구를 통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908년 기재된 포유류 - 아메리카멧밭쥐
    아메리카멧밭쥐는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의 멸종 위기 종으로, 평원밭쥐와 관련 있으며, 갯개미취와 습지 식물이 풍부한 소금 습지에 서식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남아메리카수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르헨티나에 서식하는 남아메리카수달
아르헨티나에 서식하는 남아메리카수달
학명Lontra provocax
명명자Thomas, 1908
아메리카수달속 Lontra
남아메리카수달 L. provocax
영명Southern river otter
남아메리카수달 분포 지역
남아메리카수달 분포 지역
보전 상태
IUCN멸종위기 (EN)
CITES부속서 I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족제비과
아과수달아과

2. 형태

남아메리카수달은 중간 크기의 수달로 몸길이는 최대 70cm에 달하며, 꼬리 길이는 4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평균 5kg에서 10kg이다. 몸 윗부분은 암갈색을 띠고 아랫부분은 연한 황갈색을 띤다.[13][14][15]

몸길이는 57-61cm[15](70cm에 달한다는 설도 있음[13][14][15])이다. 꼬리 길이는 35-40cm[15](46cm에 달한다는 설도 있음[13][14][15])이다. 등쪽 털은 짙은 갈색이고, 배쪽 털은 황적색이다.[13][14]

주둥이 끝에 있는 털이 없어 노출된 판 모양의 피부(비경)의 위쪽 가장자리는 솟아 있으며, 알파벳 "W"자 모양이다.[14][15]

젖꼭지는 4개이다.[14][15]

3. 생태

남아메리카수달은 바다와 민물, 육지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주로 울창한 식물이 있는, 특히 해안선을 따라 민물 호수와 강에서 발견된다. 이 식물을 자신의 몸을 숨기는 데 사용한다.[15] 큰 나무 뿌리나 쓰러진 나무의 잔해도 서식지로 사용한다.

"강"(담수) 수달로 불리며 때로는 북아메리카수달 (''L. canadensis'')의 아종으로 여겨지지만, 남아메리카수달은 먹이를 찾고 사냥하기 위해 기수 (심지어 완전한 해양)로 모험하는 데에도 똑같이 적응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거의 완전한 해양에 서식하는 해안 거주 수달인 남아메리카 해달 (''L. felina'')과 유사하다. 반면에 북아메리카수달은 주로 내륙 담수 강가 서식지나 호수에 서식하며, 서식지가 바다와 가까운 지역에서도 사냥을 위해 해안으로 모험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15]

3. 1. 습성

암컷과 새끼들은 가족을 이루어 함께 살지만, 수컷들은 주로 홀로 생활한다. 한 번에 보통 1~2마리를 낳고, 최대 4마리까지 낳는다. 먹이는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 조류 등이다.[15]

수컷은 번식기를 제외하고는 대개 단독 생활을 한다. 한 배에 평균 1~2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최대 4마리까지 낳을 수 있다. 이나 호수에 서식하지만, 해양에도 서식한다.[15] 드물게는 개구리, 작은 거북, 도마뱀, 심지어 뱀과 같은 파충류나 양서류도 사냥한다.

식성은 동물성이며, 어류, 갑각류, 조개류 등을 먹지만, 조류를 먹는 경우도 있다.[15]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 임신 기간은 61-65일[15]이다. 한 번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5]

3. 2. 먹이

남아메리카수달은 주로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을 먹으며, 때로는 조류나 알(특히 물 근처에 둥지를 트는 종)도 먹는다.[15] 드물게는 개구리, 작은 거북, 도마뱀, 심지어 뱀과 같은 파충류나 양서류도 사냥한다.[15]

3. 3. 서식지

남아메리카수달은 바다와 민물, 육지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주로 울창한 식물이 있는, 특히 해안선을 따라 민물 호수와 강에서 발견된다. 이 식물을 자신의 몸을 숨기는 데 사용한다.[15] 큰 나무 뿌리나 쓰러진 나무의 잔해도 서식지로 사용한다.

"강"(담수) 수달로 불리며 때로는 북아메리카수달 (''L. canadensis'')의 아종으로 여겨지지만, 남아메리카수달은 먹이를 찾고 사냥하기 위해 기수 (심지어 완전한 해양)로 모험하는 데에도 똑같이 적응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거의 완전한 해양에 서식하는 해안 거주 수달인 남아메리카 해달 (''L. felina'')과 유사하다. 반면에 북아메리카수달은 주로 내륙 담수 강가 서식지나 호수에 서식하며, 서식지가 바다와 가까운 지역에서도 사냥을 위해 해안으로 모험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하천이나 호수에 서식하지만, 해양에도 서식한다.[15]

4. 분포

아르헨티나 남부, 칠레 남부에 분포한다.[13][14][15]

5. 인간과의 관계

남아메리카수달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간의 활동은 이러한 상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아메리카수달은 털가죽을 얻기 위한 인간의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다. 1960년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수달 사냥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법 집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사냥이 발생하고 있다. 칠레에서는 사냥이 합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 역시 심각한 문제다. 댐 및 도로 건설, 하천 운하, 농업을 위한 배수 등은 남아메리카수달의 주요 서식지인 하천 숲과 강을 파괴하고 있다.[3] 또한,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먹이 개체 수가 감소하면서 남아메리카수달은 생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4]

5. 1. 위협 요인

남아메리카수달은 지난 100년 동안 털가죽 때문에 맹렬하게 사냥당했다. 이것이 현재 개체 수가 적고 멸종 위기 보존 상태에 놓이게 된 주요 원인이다. 그 이후로, 여러 다른 위협 때문에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칠레와 아르헨티나 전역에서 이 종의 7개의 알려진 개체군만 발견되며, 모든 개체군은 서로 고립되어 있다.

이 수달이 주로 서식하는 하천 숲과 강은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파괴되었다. 댐 및 도로 건설, 하천 운하화 및 농업을 위한 배수는 이 종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많은 면적을 파괴한다.[3] 아르헨티나는 1960년에 남아메리카수달 사냥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 시작했지만, 집행의 부족으로 인해 사냥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칠레에서는 사냥이 합법이며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다.

먹이 개체수의 지속적인 감소 또한 남아메리카수달에게 문제를 야기한다.[4] 그 지역에 도입된 일부 침입성 수생 종은 수달의 먹이가 되는 연체동물과 물고기의 수를 제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수달은 먹이를 찾아 다른 담수계로 이동하게 된다. 인위적으로 이입된 어류로 인한 환경 변화, 그리고 이입된 어류를 본종이 포식하기 어렵다는 점 등으로 인해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15]

5. 2. 보존 노력

여러 설문 조사와 연구를 통해 남방수달과 그 감소하는 개체군을 더 잘 이해하고, 이 종의 급격한 멸종을 막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알려진 몇몇 개체군은 보호된 국유림 내에서 발견된다. 아르헨티나에서는 1950년부터 남방수달의 사냥과 포획이 금지되었다.[7]

라닌 국립공원, 푸엘로, 로스 알레르세스 국립공원 등 세 곳의 보호 구역 내에서 남방수달 서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다.[5] 조사자들은 지역 주민들과의 대화를 통해 발자국과 배설물을 찾고, 외래종인 아메리카밍크의 흔적도 조사했다. 밍크는 수년에 걸쳐 이 지역에 도입되거나 탈출하여, 유사한 양서류 생활 방식과 먹이를 공유하며 남방수달과 자원 및 서식지를 놓고 경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6] 조사 결과, 세 공원 내 275개 지점 중 32곳에서만 남방수달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확인된 32개 위치 중 31개는 울창한 숲 내 강가 서식지로, 두꺼운 하천변 식생이 수달의 강둑 굴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022년에는 1980년대 조사 시작 이후 처음으로 폰크 호에서 남방수달이 보고되었다.[7] 남방수달 종 보존을 위한 향후 방향에는 개체 수와 서식지에 대한 정보 확보, 밀렵 방지 법률 시행, 서식지 유지 및 보호, 사육 번식 프로그램을 통한 개체 수 복원 등이 포함된다. 인위적으로 유입된 어류로 인한 환경 변화와 이입된 어류를 본종이 포식하기 어렵다는 점 등도 개체 수 감소의 우려 요인으로 지적된다.[15]

5. 3. 문화

마푸체 문화에서 남방수달(''우일린'')은 성적 능력과 연관되어 있다.[8] 그 지방에서는 론코가 여러 명의 아내를 만족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8]

6. 계통 분류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18]

{| class="wikitable"

|-

! 수달아과

|-

|

{| class="wikitable"

|-

| 큰수달

|-

|

{| class="wikitable"

|-

| 해달

|-

|

{| class="wikitable"

|-

| 얼룩목수달

|-

|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민발톱수달

|-

|



|}

|}

|}

|}

|-

|

{| class="wikitable"

|-

| 북아메리카수달

|-

|

{| class="wikitable"

|-

| 긴꼬리수달

|-

|

남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

|}

|}

|}

참조

[1] 간행물 "''Lontra provocax''" 2021-12-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Defining conservation status using limited information: the case of Patagonian otters ''Lontra provocax'' in Argentina
[4] 논문 Landscape features and crustacean prey as predictors of the southern river otter distribution in Chile
[5] 논문 A survey of the southern river otter ''Lutra provocax'' in Lanin, Puelo and Los Alerces national parks, Argentina, and evaluation of its conservation status
[6] 논문 Do alien North American mink compete for resources with native South American river otter in Argentinean Patagonia?
[7] 논문 Ampliación de ka distribución actual del huillín (Lontra provocax) en el Parque Nacional Nahuel Huapi, desde una aproximación etnozoológica https://periodicos.u[...]
[8] 서적 Mitos de Chile: Enciclopedia de seres, apariciones y encantos Catalonia
[9] 간행물 Lontra provocax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4-12-04
[10] 간행물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2024-12-04
[11] 간행물 "''Lontra provocax''" https://doi.org/10.2[...]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2]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13] 서적 カワウソ 平凡社
[14]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5] 서적 チリカワウソ 講談社
[16] 간행물 Lontra provocax
[17]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18]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