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제로섬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넌 제로섬 게임은 게임 이론의 개념으로, 한쪽의 이득이 다른 쪽의 손실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을 의미한다. 연애, 지식, 경제 활동, 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제로섬 게임의 예시를 찾아볼 수 있다. 게임 이론은 사회 심리학, 생물학, 복잡성 이론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는 데 활용되며, 롤플레잉 게임과 같은 게임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용수학 - 확률
확률은 사건의 가능성을 수치화한 개념으로, 도박에서 시작되어 수학적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해석과 요소, 응용 분야를 가지며 양자역학, 사회 현상 등에도 적용된다. - 응용수학 - 수리사회학
수리사회학은 수학적 모델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사회학 분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사회 구조를 규명하고 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에 기여하며 그 중요성이 인정받고 있다. - 경제학 용어 - 시가총액
시가총액은 발행 주식 수에 주당 시장 가격을 곱하여 계산하며 기업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실적과 성장 기대치를 반영하고 소형주, 중형주, 대형주 등으로 분류된다. - 경제학 용어 - 진입 장벽
진입 장벽은 신규 기업이 특정 산업이나 시장에 진입할 때 겪는 어려움으로,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자본 요건, 기존 업체의 우위, 유통 채널 접근성, 정부 규제 등이 주요 원인이며 시장 구조와 한국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그 강도가 달라진다. - 사회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사회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넌 제로섬 게임 |
---|
2. 게임 이론의 기본 개념
게임 이론은 여러 참여자들이 서로의 결정에 영향을 받는 상호 의존적인 의사 결정 상황을 분석하는 수학적 접근 방식이다. 각 참여자가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최선인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게임 이론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요소 | 설명 |
---|---|
참여자 (Player) | 의사 결정을 내리는 주체 (개인, 기업, 국가 등). |
전략 (Strategy) | 참여자가 선택할 수 있는 행동 또는 계획. |
보수 (Payoff) | 특정 전략 조합을 선택했을 때 각 참여자가 얻는 결과 (이익 또는 손실). |
게임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 기준 | 종류 | 설명 |
---|---|---|
참여자 간 협력 여부 | 협조적 게임 (Cooperative Game) | 참여자들이 협력하여 공동 목표를 추구하는 게임. |
비협조적 게임 (Non-cooperative Game) | 참여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쟁하는 게임. | |
보수의 총합 | 제로섬 게임 (Zero-sum Game) | 한 참여자의 이익이 다른 참여자의 손실로 이어지는 게임 (보수 총합은 항상 0). |
비제로섬 게임 (Non-zero-sum Game) | 참여자들의 이익과 손실 총합이 0이 아닌 게임. 모두가 이익을 얻거나, 모두가 손실을 볼 수도 있다. | |
정보의 완전성 | 완전 정보 게임 (Game with Perfect Information) | 모든 참여자가 게임의 모든 정보를 알고 있는 게임. |
불완전 정보 게임 (Game with Imperfect Information) | 참여자들이 게임의 일부 정보만 알고 있는 게임. |
2000년 12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호 의존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넌 제로섬적 해결 방법의 중요성이 커진다고 강조했다.[3]
2. 1. 주요 개념
죄수의 딜레마나 윈윈 전략은 넌 제로섬 게임 중 포지티브섬(positive-sum) 게임의 사례로, 치킨 게임은 제로섬 게임 중 네거티브섬(negative-sum) 게임의 사례로 언급된다.[3]3. 게임 이론의 다양한 적용 분야
게임 이론은 사회 심리학, 동물행동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사회 심리학의 사회적 함정 개념은 개인의 이익 추구가 사회 전체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설명한다.[1] 동물행동학에서 사회행동인 협동은 포괄적합도를 통해 내쉬균형으로, 호혜 이타성은 넌제로섬 게임의 내쉬 균형으로 설명된다.[1]
3. 1. 심리학
사회적 함정은 사회 심리학의 하위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개념이다. 개인의 이익 추구가 사회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기도 하지만, 때로는 상호 파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3. 2. 동물행동학
동물들의 사회행동인 협동은 일반적인 개체 적합도로 설명되지 않는 다윈퍼즐의 경우처럼 보일 수 있지만, 포괄적합도를 통해 내쉬균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중 호혜 이타성은 넌제로섬 게임의 내쉬 균형으로 설명될 수 있다.[1]3. 3. 복잡성 이론
로버트 라이트는 그의 저서 《넌제로: 인류 운명의 논리(Nonzero: The Logic of Human Destiny)》에서 복잡성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사회가 복잡해지고 전문화, 상호 의존적이 됨에 따라 넌제로섬 게임의 양상이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한다.[4]이러한 이론에 따르면, 사회가 복잡하고 특수해지며 상호 의존성이 높아질수록 비제로섬적인 상황이 증가한다.
2000년 12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은 이러한 생각을 지지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사회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지역이나 국경을 초월한 상호 의존 관계 또한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때, 누군가는 얻고 누군가는 잃는 제로섬적 해결 방식이 아니라,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윈-윈) 비제로섬적 해결 방식을 찾아야 합니다. 상호 의존성이 증가하면 우리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함께 발전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서로를 배려해야 합니다."
4. 현대 사회와 게임 이론
로버트 라이트(Robert Wright)는 그의 책 "넌제로: 인류운명의 논리(Nonzero: The Logic of Human Destiny)"에서 사회가 더욱 복잡해지고 전문화되면서 상호의존성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는 점점 더 넌 제로섬 게임의 양상을 띨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4]
예를 들어, 연애에서 한쪽이 상처를 입으면, 상대방도 만족을 얻지 못한다. 둘 다 정신적인 충족을 얻거나, 둘 다 상처를 입는 등 서로의 정신적인 손익은 제로섬이 아니다. 지식 또한 비제로섬적인데, 우물에서 물을 긷는 좋은 방법을 생각해 낸 사람은 그 새로운 기술이 다른 사람들에게 학습되어도 손해를 보지 않는다.
비제로섬적 상황은 경제 활동에서의 생산, 한계 효용, 가치 평가 등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풍년을 맞은 농부는 더 많은 식량을 팔아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고, 이는 더 많은 식량이 시장에 유통되어 가격이 하락하는 형태로 소비자에게도 이익이 된다. 다른 농가들은 가격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이는 풍년인 농부가 이익을 빼앗은 것이 아니라, 농작물의 총량이 적정한 가격을 창출한 결과이다.
상거래 또한 비제로섬이다.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은 그 거래를 통해 이전보다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물론 이 확신이 틀릴 때도 있지만, 실패조차도 미래에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이 된다. 거래에서 모든 참가자가 항상 똑같이 이익을 얻는 것은 아니지만, 이익의 분배와 관계없이 거래에서의 이익은 항상 비제로섬적이다.
주식 거래는 기업의 설립이나 상장부터 소멸까지의 매매만 보면 제로섬이지만, 배당이나 의결권 등의 요인을 고려하면 상거래와 마찬가지로 플러스의 비제로섬이 된다. 또한, 특정 기간 동안의 매매는 기업이나 주식 시장 전체의 확대 및 축소의 영향을 받아 비제로섬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매우 단기간의 매매는 제로섬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사회가 더욱 복잡하고, 특수해지며, 상호 의존적이 될수록 비제로섬적인 상황도 증가한다는 이론이 있다.
2000년 12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은 이러한 생각을 지지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회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지역이나 국경의 틀을 넘어선 상호 의존의 관계 또한 복잡해지면서,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는 데 있어서, 누군가가 얻고 누군가가 잃는 (win-lose) 제로섬적인 해결 방법이 아니라, 둘 다 얻을 수 있는 (win-win) 비제로섬적인 해결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상호 의존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가 향상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들도 향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서로 배려해야 한다.|사회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지역이나 국경의 틀을 넘어선 상호 의존의 관계 또한 복잡해지면서,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는 데 있어서, 누군가가 얻고 누군가가 잃는 (win-lose) 제로섬적인 해결 방법이 아니라, 둘 다 얻을 수 있는 (윈-윈) 비제로섬적인 해결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상호 의존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가 향상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들도 향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서로 배려해야 한다.영어
4. 1. 롤플레잉 게임과 시뮬레이션 게임
롤플레잉 게임(TRPG)은 플레이어들이 서로 협력하여 게임 마스터가 제시하는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방식이다. 게임 마스터 역시 플레이어들을 이기는 것이 목적이 아니므로, 롤플레잉 게임은 대표적인 비제로섬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또한, 여러 명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MORPG, MMORPG와 같은 컴퓨터 게임들도 협동을 통해 모두가 승리하거나 모두가 패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제로섬 게임으로 볼 수 있다.
5. 한국 사회와 게임 이론
게임 이론(Game theory)이 한국 사회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어왔다. 특히, 분단 상황, 급격한 경제 성장, 민주화 과정 등 한국 사회의 특수한 상황은 게임 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제공한다.
참조
[1]
뉴스
죄수의 딜레마 뜻, 게임 이론과 비 제로섬 게임 알아야 이해한다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5-02-08
[2]
웹사이트
https://www.negotiat[...]
[3]
블로그
KB블로그
https://www.kbrockst[...]
2017-11-16
[4]
서적
Nonzero: The Logic of Human Destiny
2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