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발톱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발톱도마뱀붙이는 도마뱀붙이과의 파충류로, 머리가 몸통보다 길고, 발가락에 물갈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회갈색 또는 적갈색 바탕에 다양한 무늬를 가지며, 주변 온도와 습도에 따라 체색이 변한다. 스리랑카, 태국 등 아시아 지역과 하와이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삼림, 바위 지역, 인간 거주지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다. 야행성이며 곤충을 먹고, 짹짹거리는 소리를 내며, 난생을 통해 번식한다. 사람의 주택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먹어 이로운 존재로 여겨지기도 하며, 먹이용으로도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발톱도마뱀붙이속 - 나무네발톱도마뱀붙이
나무네발톱도마뱀붙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내륙에 서식하며 작고 균일한 비늘과 크고 융기된 머리 비늘, 긴 꼬리를 가진 도마뱀붙이로, 밤에 곤충 등을 먹고 수컷은 영역 행동을 보이며 난생으로 번식한다. - 네발톱도마뱀붙이속 - 태평양네발톱도마뱀붙이
- 1834년 기재된 파충류 - 보석거북
보석거북은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며, 성장하면서 몸 색깔과 등 껍질의 능선이 변하고 최대 27cm까지 자라는 잡식성 거북으로, 개체 수 감소로 인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아시아의 파충류 - 도마뱀
도마뱀은 한국과 일본 쓰시마섬에 분포하는 파충류로, 짧은 다리와 긴 꼬리, 얼룩무늬와 흑갈색 줄무늬를 가진 난생 육식 동물이며, 이름은 꼬리가 끊어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아시아의 파충류 - 장수거북
장수거북은 바다거북목에 속하는 현존하는 가장 큰 거북 종으로, 가죽 같은 피부와 작은 골편으로 덮인 등딱지를 가지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여 해파리를 주로 먹고 살지만, 플라스틱 섭취로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종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네발톱도마뱀붙이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ehyra mutilata |
명명자 | Wiegmann, 1834 |
한국어 이름 | 온나다케야모리 |
영어 이름 | Four-clawed gecko |
보존 상태 | 최소 관심 종 |
분류 | |
계 | 동물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돌도마뱀붙이과 |
아과 | 돌도마뱀붙이아과 |
속 | 네발톱도마뱀붙이속 |
종 | 네발톱도마뱀붙이 |
학명 정보 | |
학명 | Gehyra mutilata |
명명자 | (Wiegmann, 1834) |
이명 | |
이명 목록 | Hemidactylus mutilatus Wiegmann, 1834 Hemidactylus peronii A.M.C. 뒤메릴 & Bibron, 1836 Peropus mutilatus — Fitzinger, 1843 Peripia peronii — Gray, 1845 Hemidactylus platurus Bleeker, 1859 Gecko pardus Tytler, 1865 Peropus packardii Cope, 1869 Peripia mutilata — Günther, 1873 Hemidactylus navarri Dugès, 1883 Gehyra mutilata — Fischer, 1885 Gehyra butleri Boulenger, 1900 Gehyra beebei de Rooij, 1915 Peropus butleri — M.A. Smith, 1930 Gehyra mutilata — Liner, 1994 |
2. 형태
네발톱도마뱀붙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길이가 5.7cm이고, 꼬리까지 포함하면 총 11.4cm이다.[7] 전장은 8-12cm, 두동장은 4-5.5cm 정도이다.[3] 가장 안쪽 발가락에 발톱이 없는 것이 주요 식별 특징이다.[4]
2. 1. 비늘
머리는 폭보다 길이가 길고, 주둥이는 눈과 귓구멍 사이의 길이보다 길며, 안와 지름의 1.3배 정도이다. 이마에는 가운데에 홈이 나있다. 귓구멍은 다소 크고 타원형에 가깝다. 몸뚱이와 사지는 다소 길쭉하고, 쳐져있으며, 뒷다리 밑동 앞부분에는 살이 접혀있다. 발가락은 짧고, 다소의 물갈퀴가 나있다. 밑부분의 박판은 각이 져있고, 가운데의 홈으로 나뉘어있다. 윗부분과 목덜미는 작고 오톨도톨한 비늘로 덮여있고, 등에는 제일 크고 납작한 비늘로 덮여있다. 복부의 비늘은 평범하다. 주둥이비늘(Rostral scale)은 사각형이고, 좌우로 넓적하며, 윗부분은 갈라져있다. 콧구멍은 주둥이비늘, 첫 번째 입술비늘(labial scale), 보통 윗부분의 것이 훨씬 크고 서로 붙어있는 세 개의 코비늘(nasal scale) 사이에 뚫려있다. 윗입술비늘은 8-9 개, 아랫입술비늘은 6-7 개다. 턱비늘(mental scale)은 다소 크고 사각형이다. 턱큰비늘(chin-shield)은 세 쌍이며, 안쪽 비늘은 굉장히 크고 늘어나있으며, 바깥쪽 비늘은 작고, 그 바깥은 작은 비늘로 뒤덮여있다. 항문전공(Femoral pore)은 두 번 휘고 중간에 꺾인 열을 이뤄, 양 옆에 14 - 19개씩 돋아난다. 꼬리는 쳐져있고, 대개 옆구리에 날카롭고 자잘하게 톱날 모양의 경계선이 나있다. 꼬리 윗표면은 굉장히 작고 납작한 비늘로 뒤덮여있으며, 배는 대개 가운데를 따라 좌우로 길쭉하고 큰 일련의 비늘이 돋아나있다.[7]피부에는 대형 비늘이 점재하지 않으며, 일본 도마뱀붙이와 비슷하지만, 촉촉한 질감을 가진다.[3] 피부는 얇아서 외부의 적에게 잡힐 때 쉽게 벗겨지지만, 빠르게 재생된다.[3] 사지는 짧고, 손가락에는 물갈퀴 모양의 막이 있다. 꼬리는 굵고 편평하며, 자절미(스스로 꼬리를 자르는 것)의 기부는 넓다. 수컷의 총배설강 앞부분에는 21-41개 정도의 전항공이 보이지만, 암컷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유체는 등면에 암색으로 둘러싸인 명색의 반점 무늬가 들어있다. 하나의 손가락에 대해 이분된 손가락 밑판이 발달하여, 손가락의 3분의 2에서 절반을 덮고, 벽면에서도 붙어서 활동할 수 있다.
2. 2. 꼬리
네발톱도마뱀붙이의 꼬리는 쳐져 있고, 대개 옆구리에 날카롭고 자잘하게 톱날 모양의 경계선이 나있다.[7] 꼬리 윗면은 굉장히 작고 납작한 비늘로 덮여 있으며, 배는 대개 가운데를 따라 좌우로 길쭉하고 큰 일련의 비늘이 돋아나 있다.[7] 굵고 편평하며, 미자절미(꼬리 아래쪽)의 기부는 넓다.[3] 꼬리 길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의 길이(SVL)와 같다.[3]2. 3. 색
네발톱도마뱀붙이는 윗면이 회갈색이나 적갈색을 띠며, 민무늬, 짙은 점무늬, 얼룩무늬 등 다양한 무늬를 가진다. 밑면은 흰색이다.[7] 몸 전체적으로 회백색, 갈색, 흑갈색, 복숭아색 등 다양한 변이가 나타나며, 검은색 과립 모양 반점이 있는 개체도 있다.[3] 이러한 색깔 변화는 주변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 어린 네발톱도마뱀붙이는 등면에 어두운색으로 둘러싸인 밝은색 반점 무늬가 있다.[3]3. 분포
네발톱도마뱀붙이는 스리랑카, 태국, 말레이시아, 중국 남동부, 필리핀 제도, 인도네시아, 뉴기니,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핏케언 제도, 마스카레네 제도, 셰이셸 제도, 멕시코 서부, 마우이, 하와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1][2][4][5]
넓적다리도마뱀붙이속에 속하는 다른 종들은 오세아니아나 태평양의 섬에서 인도차이나반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분포하지만, 네발톱도마뱀붙이는 예외적으로 일본의 난세이 제도, 중국 남부, 마다가스카르 등 세계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한다. 미국 멕시코 일부 지역에는 도입되어 외래종으로 정착하기도 했다.
4. 생태
네발톱도마뱀붙이는 쥐며느리, 흰개미, 그 외 작은 곤충을 포식한다.[1] 주로 야간 조명에 모여드는 곤충을 먹이로 삼는다.
4. 1. 행동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처럼 주변 환경에 잘 적응하며, 삼림 지대, 바위로 뒤덮인 지역, 인간 거주지를 선호한다. 하와이의 모래사장에서도 흔히 발견되는데, 그곳에서는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사람의 주택에서 거주하기를 선택하며, 주변에 사람이 있든 말든 개의치 않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도 도마뱀붙이를 신경 쓰지 않는데, 이는 네발톱도마뱀붙이가 야행성이며 낮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벽과 천장에 달라붙어 지내기 때문이다. 이들은 눈에 잘 띄지 않으며, 집에 사는 해충을 잡아먹어 도움을 주기도 한다.[1]네발톱도마뱀붙이는 도마뱀붙이류 중에서는 작은 편이 아니어서 12cm까지 자란다. 꼬리는 거의 몸 전체 길이만큼 길다.
대부분의 집도마뱀붙이류처럼 의사소통을 위해 짹짹거리는 소리를 낼 수 있다. "똑" 소리와 비슷한 울음소리는 점차 커지면서 6~8번 반복된다.[5] 다른 집도마뱀붙이들보다 더 빨리 달릴 수 있다.
네발톱도마뱀붙이는 서식지 위치와 관련하여 흔한 도마뱀붙이(''H. frenatus'')와 자주 비교되는데, 지역에 따라 이 패턴이 다를 수 있지만, ''G. mutilata''는 ''H. frenatus'' 주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흔히 알려져 있다. 민가의 실내나 인가 주변의 나무 등에 서식하며, 동일 지역에 분포하는 호오구로야모리와는 서식지를 분담하는 것으로 보인다. 호오구로야모리가 분포하지 않는 아마미오섬에서는 민가에서도 발견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야간 조명에 모여드는 곤충을 먹는다.
번식 형태는 난생으로, 한 번에 2개씩의 알을 2~3회에 걸쳐 낳는다. 산란은 3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이루어지지만, 자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알은 단경 8mm, 장경 10mm의 타원형이며, 흰색이고 껍질은 단단하며 건조에 강하다.
부화 직후 새끼의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약 2.3cm이다.
4. 2. 번식
네발톱도마뱀붙이는 난생을 한다.[2] 한 번에 1~3개의 알을 낳는데, 보통 2개를 낳는다.[1] 3월 하순부터 9월 중순에 걸쳐 2~3회 산란하며, 자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알은 흰색의 타원형으로 단단한 껍질을 가지고 있어 건조에 강하며, 단경은 8mm, 장경은 10mm이다. 부화 직후 새끼의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약 2.3cm이다.5. 인간과의 관계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처럼 주변 환경에 굉장히 잘 적응하지만, 보통은 삼림지대, 바위로 뒤덮인 지역, 인간 거주지를 선호한다. 하와이의 모래사장에서도 굉장히 흔한데, 그 곳에서는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사람의 주택에서 거주하기를 선택하며, 주변에 사람이 있든 개의치 않는 것 같다. 대부분의 사람들도 도마뱀붙이를 신경쓰지 않는데, 아마도 네발톱이 야행성이며 낮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벽과 천장에 달라붙어서 보내기 때문일 것이다. 이 녀석들은 별로 방해받지 않으며, 집에 사는 해충을 먹이로 삼아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네발톱은 도마뱀붙이류 치고는 작지 않아서 12cm까지 자란다. 꼬리는 거의 몸 전체만큼이나 길다.
대부분의 집도마뱀붙이류와 마찬가지로 의사소통을 위해 짹짹댈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Gehyra mutilata
2021
[2]
웹사이트
[3]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Reptilia and Batrachia
Secretary of State for India in Council. (Taylor and Francis, printers)
1890
[4]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Snakes and other Reptiles of India
Ralph Curtis Books
2002
[5]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Snakes and other Reptiles of Borneo
Ralph Curtis Books
2006
[6]
간행물
Gehyra mutilat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172668A1363221
https://dx.doi.org/1[...]
2021
[7]
서적
Fauna of British India. Reptilia and Batrachia
18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