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우로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우로이는 기원이 불분명한 북유럽 민족 집단으로, 현재의 벨라루스 지역에 거주하며 데스나강, 프리피야트강, 드네프르강 유역에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 헤로도토스는 네우로이에 대해 뱀의 습격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부디노이와 함께 살았으며, 늑대인간으로 변신하는 관습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네우로이는 스키타이와 독립적인 관계였으며, 다리우스 1세의 스키타이 원정 당시 페르시아에 대항하는 스키타이 지원을 거부했다. 고고학적으로는 밀로흐라드 문화에 해당하며, 슬라브족 이주 이전 발트어에서 파생된 지명과 수계 지명을 남겼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인 - 켈티베리아인
    켈티베리아인은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이베리아 반도 중부에 거주하며 카스트로 문화 기반 유목 생활을 하다 요새화된 도시를 중심으로 부족 국가를 형성,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었으나 로마에 패배 후 문화에 흡수되었고, 최근 유전자 분석 연구에서 북유럽 및 중앙 유럽계 조상의 비율이 높았음이 밝혀진 켈트족과 이베리아인의 혼혈 민족이다.
  • 고대인 - 루시타니아인
    루시타니아인은 고대 이베리아 반도의 도루강과 테주강 사이 지역에 거주했던 여러 부족으로, 로마에 저항했으나 로마 문화에 동화되었고, 그들의 문화적 유산은 오늘날 포르투갈인을 지칭하는 환유로 남아 있다.
  • 우크라이나의 고대사 - 스키타이족
    스키타이족은 기원전 7세기부터 3세기까지 흑해 북쪽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이란계 유목민족으로, 뛰어난 기마 궁술과 유격전 전술, 흑해 지역 무역 장악 등으로 번성했으나 사르마티아인의 침입으로 쇠퇴했으며, 그 문화적 영향은 유라시아 대초원과 그리스-로마, 동아시아 지역까지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고대사 - 폰토스 왕국
    흑해 연안 아나톨리아 북부에 위치한 폰토스 왕국은 미트리다테스 1세 크티스테스에 의해 건국되어 그리스와 페르시아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이루었으나, 미트리다테스 6세 시대 이후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쇠퇴하였다.
네우로이
개요
이름네우로이
그리스어Νευροὶ
로마자 표기Neuroi
라틴어Neuri
다른 이름Νέυροι (그리스어)
설명헤로도토스가 스키티아 북서쪽에 살았다고 기록한 고대 부족
역사적 맥락
위치스키티아 북서쪽
기록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등장
특징1년에 한 번 늑대로 변신한다고 함
스키티아인과 페르시아인 모두 네우로이가 뱀 때문에 쫓겨났다고 주장
헤로도토스의 회의론헤로도토스는 늑대 인간 이야기에 회의적이었지만, 많은 증인들이 맹세했다고 언급
다른 해석늑대 숭배 부족이라는 해석
겨울 동안 흰 옷을 입는 젊은 전사들이라는 해석
신경 질환을 앓는 무당이라는 해석
현대적 해석밀로그라드 문화와 관련짓는 시도
발트족의 초기 슬라브족
슬라브족-발트족 혼합 부족
추가 정보곡물 생산자이며, 북쪽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 있다고 함

2. 명칭 및 기원

네우리는 기원이 불분명한 북유럽 민족 집단에 속했으며,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슬라브족, 발트족 또는 더 넓은 발토-슬라브족의 조상 민족이라고 추정한다.[1][2]

네우리는 현재의 벨라루스 지역에 거주했으며, 데스나강, 프리피야트강, 그리고 중간 드네프르강 유역을 포함한 영토에 살았다. 남쪽으로는 네우리의 영토가 남부 부그강 상류까지 닿았다.

네우리의 주변에는 여러 민족이 거주했다.

방향이웃 민족
동쪽 (드네프르 강 건너편)안드로파지족, 멜란클라이니족, 부디니족, 핀-우그르족
남서쪽아가티르시족
남동쪽스키타이족 아로테레스 부족


3. 지리적 분포

네우리는 현재의 벨라루스 지역에 거주했으며, 데스나, 프리피야트, 그리고 중간 드네프르강 유역을 포함하는 영토에 살았다. 남쪽으로는 네우리의 영토가 남부 부흐 강의 상류까지 닿았다.[1][2]

네우리의 동쪽, 드네프르 강 건너편에는 안드로파지족, 멜란클라이니족, 부디니족뿐만 아니라 핀-우그르족이 이웃하여 살았다. 남서쪽으로는 아가티르시족, 남동쪽으로는 스키타이족의 일파인 아로테레스 부족이 이웃했다.[1][2]

4. 역사

네우로이는 고대 스키타이인들과 독립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기원전 513년,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다리우스 1세가 스키타이를 침공했을 때, 스키타이 왕 이다티르소스는 주변 민족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네우로이는 아가티르시, 안드로파기, 멜란클라이니, 타우리 등 다른 여러 민족들과 함께 스키타이의 동맹 제안을 거절했다.

이후 스키타이는 페르시아군을 상대로 초토화 작전을 펼쳤는데, 이 과정에서 스키타이군과 페르시아군은 네우로이의 영토를 통과했다. 갑작스러운 군대의 이동에 네우로이족은 북쪽의 황무지로 피신해야 했다.

4. 1. 헤로도토스의 기록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저서 《역사》에서 네우로이에 대해 기록했다.

《역사》 제4권 17장에서는 이들의 위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먼저 그리스계 스키타이인 칼리피다이가 살고, 그 너머에 아리조네스라는 민족이 산다. 아리조네스 너머에는 농경 스키타이[4]가, 그 다음으로 네우로이가 살며, 네우로이의 북쪽은 사람이 살지 않는 땅이라고 헤로도토스는 전한다. 이들은 보류스테네스 강[5] 서쪽, 휘파니스 강[6]변에 사는 민족들 중 하나이다.

같은 책 제4권 105장에서는 네우로이의 풍습과 과거 사건을 다룬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네우로이는 스키타이의 풍습을 따랐다. 다리우스 1세의 원정보다 한 세대 전에, 이들은 이 들끓어 온 국토를 떠나야 했다고 한다. 원래 살던 땅에도 뱀이 많았지만, 북쪽 황무지에서 더 많은 뱀이 몰려와 결국 고향을 버리고 부디노이족과 함께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헤로도토스는 네우로이가 마법을 쓰는 민족으로 여겨졌으며, 스키타이나 스키티아 거주 그리스인들은 네우로이가 1년에 한 번 며칠 동안 늑대로 변했다가[7] 다시 사람 모습으로 돌아온다고 말했다고 기록했다. 하지만 헤로도토스 자신은 이 이야기를 믿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헤로도토스의 기록을 통해 추정해 보면, 네우로이는 기원전 6세기 초 무렵 '뱀의 습격'이라 불리는 재앙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뱀의 습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나, 전쟁이나 자연재해(산불, 홍수 등), 혹은 실제로 해충이나 유해 동물의 대규모 발생 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사건으로 네우로이는 동쪽의 부디노이족이 사는 지역으로 집단 이주했지만, 헤로도토스가 활동하던 시대에는 이미 원래 살던 땅(현재의 벨라루스 북부에서 리투아니아에 걸치는 지역으로 추정됨)으로 돌아와 정착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헤로도토스는 당시 네우로이와 부디노이가 서로 인접해 살지는 않는다고 언급했다.

4. 2. 다리우스 1세의 스키타이 원정

아케메네스 제국다리우스 1세는 기원전 513년 스키타이를 정복하기 위해 이스트로스 강[8]을 건너 스키타이 원정을 시작했다. 이에 스키타이 왕 이다티르소스는 페르시아의 침략에 공동으로 대응하고자 주변 민족의 왕들을 소집하여 회의를 열었다. 회의 결과, 부디니, 겔로니, 사르마티아인의 왕들은 스키타이를 돕기로 동의했으나, 네우로이를 포함한 아가티르시, 안드로파기, 멜란클라이니, 타우리의 왕들은 스키타이의 요청을 거절했다. 이들은 "스키타이의 말은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며 동맹 참여를 거부했다.

주변 민족들의 충분한 협력을 얻지 못한 스키타이는 페르시아군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초토화 작전을 구사하기로 결정했다. 스키타이군은 의도적으로 페르시아군을 자국 영토 깊숙이 유인한 후, 동맹을 거부했던 민족들의 영토로 페르시아군을 이끌었다. 스키타이 제2구 연합 부대(이단튀르소스 왕, 탁사키스 왕의 부대)는 다리우스 1세의 페르시아군에게 쫓기는 척하며 멜란클라이니, 안드로파고이, 네우로이의 영토를 차례로 통과했다. 갑작스럽게 스키타이군과 페르시아군이 자신의 영토로 들이닥치자, 네우로이를 비롯한 해당 민족들은 크게 놀라 북쪽에 있는 사람이 살지 않는 황무지로 서둘러 피신했다. 스키타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동맹에 참여하지 않은 민족들까지 전쟁에 간접적으로 기여하게 만들면서 페르시아군의 전력을 소모시키려 했다.

5. 문화

그리스 작가 할리카르나소스의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네우리는 스키타이의 관습을 따랐다고 한다. 이 주장은 네우리의 최남단 지역, 즉 스키타이 아로테레스 부족의 이웃에 살았던 지역만을 지칭했을 수 있다.

헤로도토스는 또한 네우리가 "마법사처럼 보였다"고 주장했으며, 부족의 모든 구성원이 매년 며칠 동안 늑대로 변신했다가 다시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는 네우리가 늑대 가죽과 가면을 쓰고 숭배하는 의식을 행했으며, 늑대가 이 부족의 토템 동물이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6. 고고학적 증거

네우리는 고고학적으로 밀로흐라드 문화에 해당한다.

밀로흐라드 문화의 최남단 부분은 스키타이 아로테레스의 영토와 인접해 있었으며, 많은 스키타이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7. 유산

네우로이는 이 지역에 슬라브족이 이주하기 전에 존재했던 발트어에서 파생된 수계 지명과 지명과 같은 형태로 데스나강, 프리피야트강, 중부 드네프르강 유역에 그들의 흔적을 남겼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부족 이름의 추정된 어원과 다른 언어학적 증거는 그들의 유산이 슬라브 지역에서 계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서적 The Ethnic Origin of the [Doulosporoi] https://books.google[...] Klassillis-filologinen yhdistys 1968
[2] 서적 The Unknown Europe: How Eastern Europe Got That Wa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1-11-03
[3] 서적 Foreword to The Past: A Cultural History of the Baltic Peopl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0-01-01
[4] 문서 スキタイ人は王族スキタイ、遊牧スキタイ、農耕スキタイ、農民スキタイなどに分かれており、そのうちの農耕スキタイは輸出用の農作物を栽培していた。
[5] 문서 現在の[[ドニエプル川]]。
[6] 문서 現在の[[南ブーフ川]]。
[7] 문서 [[北欧]]一帯に古くから流布しているヴェアヴォルフ([[狼男|人狼]])の伝説に関連のあることは明らかである。
[8] 문서 現在の[[ドナウ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