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트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트족은 발트어를 사용하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민족으로, 발트해 남동부 지역에 거주하며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라트갈레인 등이 포함된다. 11세기 후반부터 '발트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발트족은 지리적 격리로 인해 고대 언어의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발트족은 외부 세력의 침략과 동화로 인해 거주 지역이 축소되었으며, 12~13세기에는 튜튼 기사단의 확장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현대에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의 문화가 남아 있으며, 발트 신이교주의가 부활하기도 한다. 유전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 관련 R1a 하플로그룹과 우랄어족 관련 N 하플로그룹이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트 문화 - 다이나
    다이나는 리투아니아의 다양한 민요 장르와 다이누 쉔테 축제, 수타르티네와 리투아니아 애가 등 독특한 민속 음악 형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페이지이다.
  • 발트 문화 - 수도비아인의 서
    수도비아인의 서는 프로이센 신들의 목록과 전통 의례를 담고 있으며, 저자와 출처에 대한 논란이 있는 책이다.
  • 발트족 - 리투아니아인
    리투아니아인은 발트족에 속하며 리투아니아에 주로 거주하며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건설하여 국가를 형성했으며, 가톨릭을 믿고 민속 음악과 요리, 리투아니아어가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며, 해외에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 발트족 - 프루센
    프루센은 오늘날의 리투아니아, 폴란드 북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일대에 거주했던 발트족의 일파로, 고유한 문화와 종교를 가졌으나 13세기 튜턴 기사단에 정복된 후 기독교로 개종하고 프로이센어는 점차 쇠퇴하여 소멸되었다.
  • 라트비아의 민족 - 라트갈레인
    라트갈레인은 기원이 불확실하지만 5세기에서 6세기 현재 라트비아 비드제메 동부에 거주했던 발트 부족으로, 폴로츠크 공작에게 조공을 바치고 리보니아 십자군 전쟁 당시 리보니아 기사단의 봉신이 되었으며, 다른 발트 부족들과 동화되어 현대 라트비아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라트비아의 민족 - 오세트인
    오세트인은 러시아 북오세티아-알라니아와 조지아 남오세티아에 주로 거주하며 사르마티아인, 특히 알란족의 후예로 여겨지는 이란계 민족으로, 오세티아어를 사용하며 이론인과 디고르인으로 나뉘고, 알라니아 왕국 건설, 몽골 제국 침략, 여러 갈등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독특한 문화와 전통, 아시안니즘 신앙을 지니고 있다.
발트족
개요
종류민족 집단
거주 지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인구약 650만 ~ 700만 명 (디아스포라 포함)
언어발트어파
종교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소수 동방 정교회 및 발트 신화
관련 민족슬라브족
상세 정보
언어발트어파 사용
민족적 구성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등이 속함

2. 어원

11세기 후반 브레멘의 아담은 "발트해"라는 용어를 발트해를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한 작가였다.[6][7] 그 이전에는 Balcia[8]와 같은 다양한 고대 지명이 발트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섬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6]

독일어 사용자였던 아담은 'Balt-'를 그가 익숙했던 단어인 'belt'와 연결했다.

게르만어에서는 약 1600년 이후까지 동해라는 지명이 존재했고, 그 이후 영어 지도에서 발트해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1840년경 리보니아 관구의 독일 귀족들은 자신들을 독일 본토의 독일인과 구별하기 위해 "발트인"이라는 용어를 채택했다. 그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1919년까지 발트인의 언어로 여겨졌던 발트 독일어라는 독점적인 방언을 사용했다.[9][10]

1845년, 게오르크 하인리히 페르디난트 네셀만은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고대 프로이센어를 위한 별도의 언어 집단을 제안했고, 이를 발트어라고 명명했다.[11] 이 용어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가 1918년에 독립을 획득한 이후 널리 사용되었다. 20세기 초까지 "라트비아어" 또는 "리투아니아어"는 전체 언어군을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12]

3. 역사

11세기 후반 브레멘의 아담은 "발트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작가였다.[6][7] 그 이전에는 Balcia[8]와 같은 다양한 고대 지명이 발트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섬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6]

독일어 사용자였던 아담은 'Balt-'를 그가 익숙했던 단어인 'belt'와 연결했다. 게르만어에서는 약 1600년 이후까지 동해라는 지명이 존재했고, 그 이후 영어 지도에서 발트해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1840년경 리보니아 관구의 독일 귀족들은 자신들을 독일 본토의 독일인과 구별하기 위해 "발트인"이라는 용어를 채택했다. 그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1919년까지 발트인의 언어로 여겨졌던 발트 독일어라는 독점적인 방언을 사용했다.[9][10]

1845년, 게오르크 하인리히 페르디난트 네셀만은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고대 프로이센어를 위한 별도의 언어 집단을 제안했고, 이를 발트어라고 명명했다.[11] 이 용어는 라트비아리투아니아가 1918년에 독립을 획득한 이후 널리 사용되었다. 20세기 초까지 "라트비아어" 또는 "리투아니아어"는 전체 언어군을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12]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의 철기 시대 발트 고고학 문화


발트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부 발트족과 동부 발트족으로 분화되었다. 서기 5세기에 동부 발트 해안의 일부 지역은 고(古) 프로이센인, 수도비아인/요트빙기아인, 스칼비아인, 나드루비아인, 쿠로니아인 등 서부 발트족의 조상들에 의해 정착되기 시작했다. 드네프르 발트족으로 추정되는 동부 발트족은 오늘날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에 거주했다.

12세기와 13세기에 내부 갈등과 루스인, 폴란드인의 침략, 그리고 이후 튜튼 기사단의 확장은 갈린디아인, 쿠로니아인, 요트빙기아인의 거의 완전한 소멸을 초래했다. 점차적으로, 특히 프로이센종교 개혁 이후인 15세기와 17세기 사이에 고대 프로이센인은 독일화 또는 리투아니아화되었다. 리투아니아인과 라트갈리아인/라트비아인의 문화는 살아남아 오늘날 라트비아리투아니아 국가의 인구의 조상이 되었다.

3. 1. 기원

인도유럽어족의 한 갈래인 발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정의되며, 하부 비스툴라강과 발트해 남동부 해안, 상부 다우가바강과 드네프르강 사이 지역에 정착한 인도유럽 부족에서 유래했다. 특히 리투아니아어를 포함한 발트어는 보수적이거나 고풍스러운 특징을 많이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발트어가 사용되는 지역이 지리적으로 통합되어 있고 이민율이 낮기 때문일 수 있다.[13]

카지미에라스 부가, 막스 바스머, 블라디미르 토포로프, 올레그 트루바초프와 같은 발트족 연구자들은 동유럽 강 이름에 대한 어원 연구를 수행하면서 특정 지역에서 발트족 기원을 가진 이름을 식별할 수 있었으며, 이는 발트족이 선사 시대에 어디에 살았는지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블라디미르 토포로프와 올레그 트루바초프에 따르면, 선사 시대 발트족의 동쪽 경계는 볼가강, 모스크바강, 오카강의 상류였고, 남쪽 경계는 세임강이었다.[14] 이 정보는 마리야 김부타스가 1963년 저서 ''발트족''에서 요약 및 종합하여 발트족의 원향을 추정했다. 그 경계는 대략 포메라니아 해안에서 동쪽으로 현재 베를린, 바르샤바, 키이우, 쿠르스크 지역을 포함하거나 거의 포함하고, 북쪽으로 모스크바를 거쳐 베르자강까지, 서쪽으로 리가만 해안까지의 불규칙한 선으로, 리가 북쪽까지이다.

그러나 엔드레 보이츠(1999)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명확하고 단일한 "발트족 원향"과 같은 것이 존재했다는 가정을 거부한다.[15]

3. 2. 원 역사

발트족의 거주 지역은 다른 집단과의 동화와 침략으로 인해 축소되었다. 서부 발트족 중 하나인 갈린디아인은 서기 4세기경 오늘날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 지역으로 이주했다는 이론이 있다.[16]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트족은 서부와 동부 발트족으로 분화되었다. 서기 5세기에 동부 발트 해안의 일부 지역은 고(古) 프로이센인, 수도비아인/요트빙기아인, 스칼비아인, 나드루비아인, 쿠로니아인 등 서부 발트족의 조상들에 의해 정착되기 시작했다. 드네프르 발트족으로 추정되는 동부 발트족은 오늘날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에 거주했다.

3. 3. 중세

튜튼 기사단의 등장 이전 발트족 (). 동발트족은 갈색, 서발트족은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경계선은 대략적이다. 발트족의 영토는 내륙으로 광대했다.


12세기와 13세기에 내부 갈등과 루스인, 폴란드인의 침략, 그리고 이후 튜튼 기사단의 확장은 갈린디아인, 쿠로니아인, 요트빙기아인의 거의 완전한 소멸을 초래했다. 점차적으로, 특히 프로이센종교 개혁 이후인 15세기와 17세기 사이에 고대 프로이센인은 독일화 또는 리투아니아화되었다. 리투아니아인과 라트갈리아인/라트비아인의 문화는 살아남아 오늘날 라트비아리투아니아 국가의 인구의 조상이 되었다.

4. 문화

리투아니아가톨릭을 주로 믿으며, 라트비아는 종교가 없거나 개신교를 믿는다. 목조, 호박, 직물, 편물 등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발트족은 원래 발트 종교를 믿었으며, 중세 북방 십자군의 영향으로 점차 기독교화되었다.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 등 발트족은 각자 독특한 신화를 가지고 있었다. 리투아니아는 폴란드와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로마 가톨릭 신자가 많다. 라트비아인북독일스칸디나비아와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무종교인이 많다. 최근 발트 종교는 발트 신이교주의에서 부활했다.[22][23]

4. 1. 현대의 발트 종교

발트 신이교주의는 로무바, 디에브투리바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비두나스, 요나스 트린쿠나스, 이니야 트린쿠니에네, 에르네스트 브라스틴스, 발디스 첼름스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22][23]

5. 유전학

발트족은 게르만족, 일부 슬라브족(폴란드인 및 북부 러시아인) 및 발트 핀족과 함께 "북유럽" 유전자 클러스터에 포함된다.[15]

Saag 등(2017)의 연구에 따르면 중석기 시대의 동부 발트 지역에는 주로 서부 수렵 채집인(WHG)이 거주했다. 이들은 부계 하플로그룹 I2a와 R1b를 가졌고, 모계는 주로 U5, U4, U2였다. 이들은 밝은 눈 색깔을 나타내는 HERC2 대립 유전자의 빈도가 높았으며, 밝은 피부색을 코딩하는 SLC45A2와 SLC24A5의 파생된 대립 유전자의 빈도가 증가했다.

발트 수렵 채집인들은 스칸디나비아 수렵 채집인(SHG)보다 약간 더 많은 양의 WHG 조상을 보였다. 발트 지역의 WHG 조상은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의 수렵 채집인들 사이에서 특히 높았다. 다른 유럽 지역과 달리 동부 발트 지역의 수렵 채집인들은 초기 유럽 농부(EEF)와 거의 섞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신석기 시대 동안 동부 수렵 채집인(EHG)의 혼합이 증가하는 것이 감지되었다. EHG의 부계는 주로 R1a이며, 모계는 거의 U5, U4, U2인 것으로 보인다.

동기 문화의 동부 발트 지역 석기 시대청동기 시대에 나타난 부상은 대초원 조상과 EEF 조상이 동부 발트 유전자 풀에 상당량 유입된 것과 함께 나타난다. 동기 문화의 확산 이후, 지역 수렵 채집인의 조상이 부활했다.

Haplogroup N은 우랄어족 사용자와 함께 늦은 청동기 시대에 동부 발트 지역에 도달했다.

현대의 발트족은 유럽의 다른 어떤 민족보다 EEF 조상의 양이 적고 WHG 조상의 양이 많다. "발트족은 모든 유럽인 중 WHG 조상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이 지역의 수렵 채집인 집단이 후속 집단에 지속적인 유전적 영향을 미쳤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15] 유전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R1a (Y염색체) 하플로그룹이 40% 정도의 고빈도로 나타나지만, 우랄어족과 관련된 북부 몽골로이드의 일종인 N (Y염색체) 하플로그룹도 40% 정도 관찰되어, 발트인의 기층에 우랄계 민족이 있음을 시사한다.

6. 생활

소가족제가 기본이나 라트비아의 일부에서는 대가족제, 장자상속제 등 동슬라브족과 유사한 점도 많다.[1]

7. 현대 발트족

동발트 민족은 현대 발트족에 속한다.[24]

참조

[1] 간행물 Lietuviai Pasaulyje https://osp.stat.gov[...]
[2] 문서 Latvian at Ethnologue
[3] 웹사이트 Rodiklių duomenų bazė - Oficialiosios statistikos portalas https://osp.stat.gov[...]
[4] 웹사이트 Iedzīvotāji pēc tautības gada sākumā 1935 - 2023 https://data.stat.go[...]
[5] 문서 Bojtár page 18.
[6] 문서 Bojtár page 9.
[7] 문서 Adam of Bremen reports that he followed the local use of balticus from baelt ("belt") because the sea stretches to the east "in modum baltei" ("in the manner of a belt"). This is the first reference to "the Baltic or Barbarian Sea, a day's journey from [[Hamburg]]. Bojtár cites Bremensis I,60 and IV,10.
[8] 문서 Balcia, Abalcia, Abalus, Basilia, Balisia. However, apart from poor transcription, there are known {{sic}} linguistic rule whereby these words, including Balcia, might become "Baltia."
[9] 문서 Bojtár page 10.
[10] 서적 The New Eastern Europe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1] 논문 A. Sabaliauskas. Mes Baltai (We Balts) http://www.lituanus.[...] Lituanus Foundation Incorporated 2008-09-06
[12] 문서 Bojtár page 11.
[13] 논문 FACTORS INFLUENCING CONSERVATISM AND PURISM IN LANGUAGES OF NORTHERN EUROPE (NORDIC, BALTIC, FINNIC) https://core.ac.uk/r[...] 2024-04-21
[14]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29
[15] 서적 Foreword to the Past: A Cultural History of the Baltic Peopl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22-04-01
[16] 문서 Tarasov I. The balts in the Migration Period. P. I. Galindians, pp. 96, 100-112. https://www.academia[...]
[17] 서적 Russi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8] 서적 A Companion to Rus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
[19] 서적 The Slavs (Ancient Peoples and Places, Vol. 74)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1971
[20] 간행물 The Slavs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US 2024-08-31
[21] 문서 Bāziscas prûsiskai-laîtawiskas wirdeîns per tālaisin laksikis rekreaciônin https://wayback.arch[...]
[22] 뉴스 Baltic diaspora and the rise of Neo-Paganism https://www.balticti[...] The Baltic Times 2010-10-21
[23] 뉴스 Soviet power gone, Baltic countries' historic pagan past re-emerges https://religionnews[...] Religion News Service 2019-05-31
[24] 웹사이트 Kingdoms of Eastern Europe - Lithuania https://www.historyf[...] 2023-06-08
[25] 문서 伊藤一郎「歴史の起源」40ページ(伊藤孝之・井内敏夫・中井和夫編『新版 世界各国史20 ポーランド・ウクライナ・バルト史』山川出版社 1999年)
[26] 논문 "Y-chromosomal diversity suggests that Baltic males share common Finno-Ugric-speaking forefather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