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웨이 공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 공산당(NKP)은 1923년 노르웨이 노동당에서 분리되어 창당된 정당이다. 창당 초기에는 코민테른의 지침에 따라 급진 노선을 추구하며 사회민주주의 세력과 대립했으나, 1924년 총선에서 원내 진출에 성공한 이후 지지율이 하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점령에 저항하며 지하 활동을 펼쳤고, 종전 후 높은 지지를 얻어 국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냉전 시기 반공주의 확산으로 고립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에는 소수 정당으로 남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3년 설립된 정당 - 공화인민당
    공화인민당은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설립한 터키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케말주의를 이념으로 삼아 터키 정치의 중심에서 개혁을 주도했으며 현재까지 주요 정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23년 설립된 정당 - 입헌양정회
    입헌양정회는 1923년 다나카 지가쿠가 창설한 일본의 사회 운동 조직으로, 니치렌 불교와 팔굉일우 사상을 기반으로 중의원 진출을 시도했으나, 대정익찬회 비판으로 해산되었고, 재건 이후 국회 의석을 얻었지만 세력이 약화되어 1983년 국정 선거 입후보가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천황에게의 주권 봉환 등을 주장한다.
  • 노르웨이의 정당 - 녹색당 (노르웨이)
    노르웨이 녹색당은 1988년 창당되어 2013년 총선에서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한 유럽 녹색당 회원 정당으로, 생태적 지속 가능성, 사회 정의, 기후변화 대응을 주요 정책으로 한다.
  • 노르웨이의 정당 - 적색당 (노르웨이)
    2007년 창당된 노르웨이의 적색당은 민주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를 표방하며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에 반대하고, 복지 국가 확대, 부유층 증세, 유럽 경제 지역 협정 반대, 북대서양 조약 기구 탈퇴 등을 주장하며, 2021년 총선에서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 현재 마리 스네베 마르티누센이 당 대표를 맡고 있다.
  • 코민테른 지부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은 1919년 사회주의 사상을 접한 조선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탄압받았으며, 광복 후 남북으로 분열되어 남조선로동당과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되었다.
  • 코민테른 지부 - 핀란드 공산당
    핀란드 공산당은 1918년 핀란드 내전 후 소련에서 창당되어 냉전 시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을 통해 높은 지지율을 얻었으나, 소련 붕괴 후 재정 파탄과 내부 갈등으로 현재는 미미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정당이다.
노르웨이 공산당
기본 정보
국명노르웨이 공산당
원어 이름Norges Kommunistiske Parti
노르웨이 공산당 로고
슬로건Folkemakt mot pengemakt! (인민 권력이 화폐 권력에 맞선다!)
창당일1923년 11월 4일
분당 전 정당노동당 (노르웨이)
본부오슬로
신문Friheten
웹사이트노르웨이 공산당 공식 웹사이트
정치
당 지도자루나 에벤센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강경 유럽회의주의
정치적 위치극좌
국제 제휴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유럽 제휴공산당-노동자당 이니셔티브 (2023년까지)
청년 조직노르웨이 청년공산당
상징색적색
의회 의석 현황
스토르팅에트0/169석
주의회0/728석
시의회0/10781석
사미 의회0/39석

2. 역사

노르웨이 공산당(NKP)은 1923년 노르웨이 노동당(DNA) 내 코민테른 가입 및 활동 방식을 둘러싼 내부 갈등 끝에 분당되어 창당되었다. 초기에는 노동당에서 이탈한 일부 국회의원과 노동조합 세력이 합류하여 1924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원내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이후 선거 부진과 심각한 내부 분열, 코민테른의 강경 노선 추종 등으로 인해 1930년대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에는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지지 등으로 혼란스러운 입장을 보였으나, 1940년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 이후 독일 점령 당국에 의해 불법화되자 지하로 잠적하여 노르웨이 저항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페데르 푸루보튼의 지도 아래 파괴 공작과 게릴라 활동을 조직하며 점령군에 맞섰다.

전후에는 저항 운동 참여 경력과 소련의 영향력 증대에 힘입어 일시적으로 인기가 급상승하여 1945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고 연립 정부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냉전이 심화되고,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총리의 크뢰케뢰이 연설 등으로 반공 정서가 확산되면서 다시 지지율이 하락했다. 또한, 당내에서는 푸루보튼을 중심으로 한 격렬한 내부 권력 투쟁과 숙청이 벌어져 당의 이미지가 실추되고 정치적 고립이 심화되었다. 이후 소련 공산당 노선을 대체로 추종하면서도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비판하는 등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다른 좌파 정당들과 사회주의 선거 연맹을 결성하여 잠시 원내에 복귀했으나, 이후 연맹이 노르웨이 사회주의 좌파당으로 전환될 때 합류하지 않고 독자 정당으로 남았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소련 붕괴를 거치면서 노르웨이 공산당은 과거 소련의 정책 및 관행과 거리를 두고 온건 노선으로 선회했으며, 민주사회주의를 표방하며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 1. 창당 배경 및 초기 활동 (1923-1940)

올라프 셰플로(사진)는 노르웨이 공산당 창당까지 노동당 내 코민테른 지지파를 이끌었다.


노르웨이 노동당(DNA)은 1919년 마르틴 트란멜의 주도로 코민테른에 가입했다. 초기에는 트란멜도 코민테른 가입을 지지했으나, 코민테른이 민주적 중앙집권주의 원칙과 당 규율 강화를 요구하는 21개 조건을 내세우자 당내에서 회의적인 시각이 커졌다. 그럼에도 트란멜은 당내 분열을 감수하고서라도 코민테른 회원 자격을 유지하려 했다. 결국 1921년, 이러한 갈등 속에서 노르웨이 사회민주노동당이 분리되어 창당되었다. 1922년에는 당 의회 지도자였던 퀴레 그레프가 병으로 사망하면서, 코민테른 노선을 지지했던 그레프의 후계 자리를 두고 트란멜 지지파와 올라프 셰플로 지지파 간의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5]

코민테른 제4차 세계 대회에서 회원 정당의 조직을 강화하는 정책이 결정되자, 트란멜은 이를 코민테른이 노동당의 내부 문제에 간섭하는 것으로 보고 더 이상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는 당 중앙위원회에서 코민테른 탈퇴를 주장하여 다수의 지지를 얻었으나, 코민테른 대표였던 칼 라덱의 개입으로 당 전국위원회에서는 코민테른 잔류 의견이 우세하게 되었다. 1923년 2월 노동당 전당대회 전에 트란멜은 코민테른으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성을 확보하려는 '크리스티아니아 제안'을 내놓았다. 이 제안은 노동당이 좀 더 독자적인 노선을 걸을 수 있다면 코민테른 회원 자격을 유지한다는 내용이었고, 전당대회에서 근소한 차이로 통과되었다. 당시 코민테른 대표로 참석했던 니콜라이 부하린은 마지못해 이 결과를 수용했다. 하지만 트란멜파와 셰플로파 사이의 갈등은 계속되었고, 결국 1923년 11월 임시 전당대회에서 노동당은 코민테른 탈퇴를 최종 결정했다. 이에 반발한 셰플로파는 노동당을 탈당하여 노르웨이 공산당(NKP)을 창당했다.[5] 이로써 노르웨이 공산당이 코민테른 내에서 노르웨이를 대표하게 되었다.[6]

노동당 소속 국회의원 13명과 노동당에 비판적이던 노동 조합 세력의 상당수가 새로 창당된 공산당에 합류했다. 신생 공산당은 스베레 스터스타를 의장으로, 할바르 올센을 부의장으로, 페데르 푸루보튼을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7][8] 공산당은 1924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6.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원내에 진출했지만, 이후 지지율은 계속 하락하여 1927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4%, 1930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1.7%까지 떨어졌다. 당원 수도 점차 줄어들어 1930년대에는 과거의 영향력을 상당 부분 잃게 되었다.[9]

1924년 선거 결과는 공산당에게 실망스러웠다. 노동당과 사회민주노동당에 이어 좌파 진영에서 세 번째 정당에 머물렀으며, 1923년 분당 이후 노르웨이 내에서 코민테른 조직을 효과적으로 재건하는 데 실패했다.[10] 1925년 전당대회에서는 당의 조직 구조 개편이 주요 의제였고, 코민테른이 제안한 구조가 다수의 찬성으로 채택되었다.[11]



선거에서의 부진과 더불어 당 내부 분열도 심각했다. 1924년에는 할바르 올센을 비롯한 노동조합 지도자들이 공산당의 노동조합 정책에 반발하며 탈당했다. 1927년에는 스베레 스터스타, 프레드릭 몬센, 올라브 라르센 등이 노동당(당시 사회민주노동당과 합당)과의 재통합 문제를 둘러싼 이견으로 당에서 제명되었다. 장네트 올센, 에밀 스탕 주니어, 그리고 창당을 주도했던 셰플로마저 1928년, 노르웨이 최초의 노동당 정부인 혼스루드 내각에 대한 공산당의 대응 방식에 실망하여 탈당했다. 1927년에는 좌파 지식인 그룹인 모트 다그가 공산당에 합류했으나, 이듬해 공산당이 더욱 급진적인 노선으로 선회하자 탈퇴했다.

코민테른은 1927년 여름부터 공산당에 더욱 좌경화된 노선을 따를 것을 요구했다. 이는 사회민주주의 세력을 공산주의의 주요 적으로 규정하는 '계급 대 계급' 정치 노선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했다. 1928년 열린 당 중앙위원회 제9차 전체회의에서는 크리스토퍼 혼스루드의 노동당 정부를 지지했던 당내 우파 세력을 비판했다. 이러한 결정은 당원 이탈을 가속화했지만, 푸루보튼을 중심으로 한 공산당 지도부는 코민테른의 노선을 충실히 따랐다. 당내에서 코민테른 노선에 대한 심각한 반대는 거의 없었으며, 당은 코민테른에 대한 충성도를 더욱 높여갔다. 심지어 노동당을 사회파시스트 정당이며 노동자 정당이 아니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강경 노선은 1930년대 내내 공산당을 더욱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1930년에는 코민테른이 당 의장이던 푸루보튼에게 소련 방문을 지시하는 등 노르웨이 공산당의 내부 문제에 직접 개입하기도 했다.[13] 1933년, 공산당은 인민전선 전략에 따라 1933년 노르웨이 총선을 앞두고 노동당에 협력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1935년, 1936년, 1937년에도 공산당은 노동당에 협력을 계속 제안했지만, 노동당은 공산당과의 조직적 통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관심을 보였다.[14] 1938년부터 공산당과 다른 정당들 간의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고, 1940년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 당시에는 당 자체가 위기에 처한 상태였다. 당시 노르웨이 국민들 사이에서는 공산당을 모스크바의 지령을 따르는 조직으로 보는 시각이 널리 퍼져 있었다.[15]

2. 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0-1945)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노르웨이 공산당(NKP)은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지지했다. 이는 영국과 연합한 노르웨이 노동당(DNA) 정부의 입장과 달랐다. 특히 겨울 전쟁 발발 시 NKP는 소련의 전쟁 노력을 지지한 반면, DNA는 반대편을 지지하면서 두 정당의 관계는 역사상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되었다.

1940년 4월 9일 독일이 노르웨이를 침공하자, NKP 기관지인 『아르베이데렌』(Arbeideren, 노동자)은 이 전쟁을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독일과 서방 열강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당은 어느 제국주의 세력에도 가담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했는데, 이는 당시 망명 중이던 DNA 정부의 입장과 명백히 대립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노르웨이 북부의 지역 공산당 조직들은 당 중앙 지도부의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저항 활동을 시작했다.[16]

1940년 8월, NKP는 독일 점령 당국에 의해 금지된 최초의 노르웨이 정당이 되었다. 『아르베이데렌』의 발행은 중단되었고 당은 지하로 숨어들었으나, 지하 활동에 대한 준비는 부족했다. 당 내부의 혼란 속에서 페데르 푸루보튼(Peder Furubotn)은 독일 점령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저항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푸루보튼은 모스크바에서 수년간 체류하다 전쟁 직전 노르웨이에 돌아와 베스트란드 지역의 당 지도자가 되었다. 1941년 12월 31일, 당은 비밀리에 전국 회의를 열어 푸루보튼이 주장한 '적극적 전쟁 정책'을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이후 NKP는 노르웨이 저항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파괴 공작과 게릴라 활동을 조직했다. 비록 저항 세력의 여러 분파가 점령군에 맞서 통일된 전선을 보이기도 했지만, NKP와 노르웨이 저항 운동의 다른 세력들(망명 정부, 비밀 노동조합 등) 사이의 관계가 항상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망명 정부 등은 전쟁 후반까지 주로 언론 및 정보 활동과 같은 소극적 저항을 주장했기 때문에, 점령군에 대해 더 공격적인 전술을 추구했던 NKP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NKP는 또한 불법 신문인 『프리헤텐』(Friheten, 자유)을 창간하여 반나치 선전 활동을 전개했으며, 이 신문은 현재까지도 발행되고 있다.

2. 3. 전후 부흥과 냉전 (1945-199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노르웨이 공산당(NKP)은 나치 독일 점령기 노르웨이에서의 저항 운동 참여 경력과 나치 독일을 패배시킨 소련의 역할, 특히 노르웨이 북부 핀마르크를 소련군이 해방시킨 점 등에 힘입어 대중적 인기가 크게 높아졌다.

전후 구성된 국민통합정부에는 공산당원인 요한 스트란드 요한센과 키르스텐 한스텐 두 명이 입각했다. 키르스텐 한스텐은 노르웨이 역사상 최초의 여성 장관이 되었다. 당 기관지인 프리헤텐(Friheten)은 전쟁 직후 약 10만 명의 독자를 확보할 정도로 영향력이 커졌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노르웨이 노동당(DNA)과 노르웨이 공산당의 재통합 논의가 제기되기도 했다. 전쟁 중 그리니 강제수용소에서는 노동당의 에이나르 게르하르센과 공산당의 요르겐 보그트 등 양당 지도자들이 통합 논의를 진행했으나, 당시 공산당의 실질적 지도자였던 페데르 푸루보튼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45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노르웨이 공산당은 176,535표(11.89%)를 얻어 스토르팅(노르웨이 의회)에서 11석을 차지하며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1946년에는 푸루보튼이 당 사무총장으로 공식 선출되었다.

그러나 당의 성장은 오래가지 못했다. 냉전이 시작되면서 노르웨이 정부는 서방 진영과의 연대를 강화했다. 1949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노르웨이 공산당(NKP)은 102,722표(5.83%)를 얻는 데 그치며 지지율이 크게 하락했다.

당의 인기 하락에는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공산당이 정권을 장악한 사건 직후, 당시 노동당 소속 총리였던 에이나르 게르하르센이 행한 크뢰케뢰이 연설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게르하르센은 이 연설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사태를 비판하며, 노르웨이에서도 공산당이 과도한 권력을 갖게 될 경우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연설은 노르웨이 사회 전반에 반공 정서를 확산시키고, 공산당 및 당원들에 대한 직간접적인 압박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공산당의 정치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노동 운동 내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동시에, 당은 가장 큰 내분을 겪게 된다. 1946년 푸루보튼의 전쟁 중 가장 가까운 동료였던 켈 G. 크비베르그와 외르눌프 에게가 제명되었다. 1949년 푸루보튼의 당내 적들은 그를 제명하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1949년 10월 24일, 국회의원 요한 스트란드 요한센은 공개 연설을 통해 당내 분열이 존재한다고 선언했다. 다음 날 푸루보튼의 추종자들은 자신의 지위를 사퇴했다. 10월 26일 푸루보튼과 그의 추종자들은 제명되었다. 10월 27일 ''프리헤텐''의 사설은 "이 반당 중심이 트로츠키주의, 부르주아 민족주의자, 그리고 티토주의 중심임이 명백해졌으며, 끝없고 무익한 논쟁으로 중앙 위원회를 마비시켰다"고 선언했다. 게다가, 1949년 11월 11일에 같은 신문에 실린 기사에는 "우리 당 내에는 소련과 사회주의의 적이며, 부르주아 국가와 반혁명에 대한 첩보원 모집 기반이 될 수 있는 민족주의적, 소시민적, 트로츠키주의적, 티토주의적 요소들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라고 적혀 있었다. 이 과정은 NKP의 지속적인 정치적 고립에 기여했다. 저항 운동의 영웅으로 여겨졌던 푸루보튼의 제명은 여러모로 정치적 자살 행위였다. 제명이 진행된 방식과 제명된 사람들에 대해 NKP 언론에서 사용된 강한 언어는 NKP를 '음모' 정당으로 보이게 하는 데 기여했다.

노르웨이 공산당(NKP)은 소련 공산당의 충실한 추종자로 널리 여겨졌지만, 때때로 소련 노선에 반대하는 독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1968년 노르웨이 공산당은 소련 주도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규탄한 것이 그 예이다. 청년 연맹인 노르웨이 공산주의 청년동맹(NKU)은 당보다 다소 독립적인 노선을 따랐다.

1960년대 중반, 미국 국무부는 당원 수를 약 4500명(전체 노동 가능 인구의 0.2%)으로 추산했다.[17]

1973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노르웨이 공산당은 노르웨이 사회인민당 및 기타 좌파 단체들과 함께 "사회주의 선거 연맹"이라는 선거 연합에 참여하여 당수인 라이다르 라르센이 의회에 진출했다. 1975년 사회주의 선거 연맹은 노르웨이 사회주의 좌파당(Socialist Left Party)이 되었는데, 이는 오늘날 노르웨이 노동당의 좌측에 있는 노르웨이 최대 정당이다. 공산당은 선거 연맹을 새로운 정당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참여했지만, 결국 별도의 정당으로 남기로 결정했다. 1975년 당대회에서 113명의 대의원이 당의 독립 유지를 찬성했고, 30명이 SV와의 합병에 찬성했다. 라르센은 재선에 출마하지 않았고, 마르틴 군나르 크누트센이 새로운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8] 대회 이후 라르센과 다른 사람들은 노르웨이 공산당을 떠나 사회주의 좌파당에 합류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에서 권력을 잡고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한 후, 노르웨이 공산당은 다른 대부분의 유럽 공산당들과 마찬가지로 과거 소련 정책에 대한 견해를 수정하기 시작했다. 당은 소련의 관행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온건한" 공산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민주사회주의"라는 용어는 1990년대 초부터 당의 문헌에서 자주 발견된다.

2. 4. 소련 붕괴 이후 (1991-현재)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에서 권력을 잡고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후, 노르웨이 공산당은 다른 대부분의 유럽 공산당들과 마찬가지로 과거 소련 정책에 대한 견해를 수정하기 시작했다. 당은 소련의 관행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온건한" 공산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1990년대 초부터 당의 문헌에서는 "민주사회주의"라는 용어가 자주 발견된다.

3. 조직

1990년경 노르웨이 공산당(NKP) 내부에서는 다른 좌파 세력과의 재결합 움직임이 있었다. 1989년 총선에서는 노동자 공산당(AKP), 적색 선거 연합(RV), 무소속 사회주의자들과 연합하여 ''Fylkeslistene for miljø og solidaritet''(환경과 연대를 위한 주 리스트)를 결성했다. 1990년대 초반까지 일부 지역에서 RV와 공동 명단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연합 정책은 1990년대 중반에 폐기되었다.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당시 당이 쿠데타 시도에 반대한 것은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현재 당의 강령은 소련이 민주주의 원칙을 위반했음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며, 과거 이러한 문제에 대한 비판을 소홀히 한 점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은 과거 사회주의 국가들의 시도를 이전 정권에 비해 진보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소련 붕괴와 내부 혼란, 특히 청년층의 당원 모집 부진에도 불구하고 NKP는 존속했지만, 정치적으로 더욱 소외되었다. 1990년대 초, 당 지도부에 젊은 인물들을 선출하여 활력을 불어넣으려 시도했으나, 당원 수를 크게 늘리는 데는 실패했고 결국 소련 시절에 입당했던 고령 당원들이 다시 지도부를 장악하게 되었다.

2009년 총선을 앞두고 설치된 선거 유세 부스.


2003년 지방 선거에서 NKP는 오스네스 시의회 2석과 바드쇠 시의회 1석을 얻었다. 그러나 당시 당의 가장 강력한 조직이었던 오스네스 지부는 종교 문제, 스탈린에 대한 평가, 다른 좌파 단체와의 협력 방식 등을 둘러싼 내부 의견 불일치로 2004년 당을 탈퇴하여 급진 사회주의자들을 결성했다. 또한, 포르스그룬 시의회에 RV 명단으로 당선되었던 NKP 당원 한 명은 이후 RV에 합류했다. 2005년 총선에서는 1,070표(전국 득표율 0.04%)를 얻는 데 그쳤다. 2007년에는 바드쇠 시에서 후보자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현재는 선출직 대표가 없는 상태이다.

2006년에서 2008년 사이, 당의 청년 조직은 기존의 노르웨이 청년 공산주의 연맹에서 새로운 조직으로 개편되었고, 2008년 노르웨이 청년 공산주의자들로 명칭을 변경했다.

3. 1. 언론

노르웨이 노동당에서 분리될 당시, 노르웨이 공산당은 노동당 계열 신문 11개를 장악했다. 일부 신문은 공산당이 장악한 후 이름이 바뀌었다. 이 외에도 노동당의 공식 지위를 얻지 못한 뫼레 아르베이더블라드(Møre Arbeiderblad)도 공산당이 가져갔다.[19] 노르리스(Nordlys)는 일시적으로 장악했으나 1923년 11월 중순에 다시 잃었고, 1924년 1월 20일 노동당과 재연대할 때까지 공산당 기관지로 발행되었다.[20] 반면, 외스테르달렌스 아르베이더블라드(Østerdalens Arbeiderblad)와 같이 노동당 소속 시절 공산당 반대파에 동조했던 일부 신문은 분열 후 노동당이 상황을 전환하여 유지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21]

노동당으로부터 인수한 신문 목록[19]
신문명비고
아르베이데트(Arbeidet)
뉘 티드트론헤임 지역
아르베이데렌하마르 지역
베스트폴 아르베이더블라드(Vestfold Arbeiderblad)
글롬달렌스 아르베이더블라드(Glomdalens Arbeiderblad)
브라츠베르그-데모크라텐(Bratsberg-Demokraten)
프리트 폴크
폴로 아르베이더블라드(Follo Arbeiderblad)
구드브란즈달렌스 아르베이더블라드(Gudbrandsdalens Arbeiderblad)
하르당게르 아르베이더블라드(Hardanger Arbeiderblad)
뉘 다그
뫼레 아르베이더블라드(Møre Arbeiderblad)노동당 공식 지위 미획득 상태에서 인수
노르리스(Nordlys)1923년 11월 ~ 1924년 1월 일시 인수[20]



공산당은 또한 이념 출판물 클라세캄펜(노르웨이 젊은 공산주의자 동맹 소속)을 장악하고 그니스텐(Gnisten)과 프롤레타렌(Proletaren)을 창간했다.[22] 당 창립 첫해에는 주요 기관지 노르게스 코무니스트블라드(Norges Kommunistblad)를 비롯하여 다수의 신문을 새로 창간했으나, 많은 수가 단기간 운영 후 폐간되었다.[23]

창립 초기 창간/인수한 주요 출판물
출판물명종류/소속비고
클라세캄펜이념 출판물 (노르웨이 젊은 공산주의자 동맹)인수[22]
그니스텐(Gnisten)창간[22]
프롤레타렌(Proletaren)창간[22]
노르게스 코무니스트블라드(Norges Kommunistblad)주요 기관지창간[23]
아케르후스 폴케블라드(Akershus Folkeblad)지역 신문창간[23]
부스케루드-아르베이데렌(Buskerud-Arbeideren)지역 신문창간[23]
프리헤텐지역 신문 (노르란드)창간[23]
트롬스 퓔케스 코무니스트블라드(Troms Fylkes Kommunistblad)지역 신문창간[23]
다겐스 뉘헤테르창간[23]
핀마르크 프렘티드(Finnmark Fremtid)지역 신문창간[23]



이 외에도 공산당은 특정 회사나 산업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회사 신문(no)을 발행했다. 대부분 1925년 또는 1926년에 창간되어 1928년 이전에 폐간되었다.[24]

주요 회사 신문 목록[24]
지역신문명비고
오슬로아르베이더스켄(no)
브뤼게른(no)
덴 웅에 아르베이더(no)
함메른(no)
후켄(no)
코무나르덴(no)
뇌즈아르베이데렌(no)슈테인스프루텐(no)으로 개명
슈키텔렌(no)
스포르베크셀렌(no)
스템플레트(no)
베르겐뷔게렌(no)
헤르메틱복센(no)
코무네프롤레타렌(no)1931년까지 존속
트란스포르트프롤레타렌(no)하브네아르베이데렌(no)으로 개명
트론헤임필클로아(no)
시그날(no)
드람멘베르크스테드-아르베이데렌(no)1924년 창간



현재 노르웨이 공산당은 주간 신문 Friheten("자유")를 발행하고 있다. 이 신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독일 점령기에 비밀리에 창간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4. 역대 지도부

이름재임 기간
스베레 스토스타(Sverre Støstad)1923–1925
페데르 푸루보트(Peder Furubotn)1925–1930
헨리 W. 크리스티안센(Henry W. Kristiansen)1931–1934
아담 에게-니센(Adam Egede-Nissen)1934–1946
에밀 뢰브리엔(Emil Løvlien)1946–1965
레이다르 T. 라르센(Reidar T. Larsen)1965–1975
마르틴 군나르 크누트센(Martin Gunnar Knutsen)1975–1982
한스 I. 클레벤(Hans I. Kleven)1982–1987
카레 안드레 닐센(Kåre André Nilsen)1987–1991
잉베 이베르센(Ingve Iversen)1991–1993
집단 지도체제 (1993–2000)
테르예 크로그(Terje Krogh), 페르 로타르 린트너(Per Lothar Lindtner), 켈 룬데르리드(Kjell Underlid)1993–1998
페르 로타르 린트너(Per Lothar Lindtner), 켈 룬데르리드(Kjell Underlid)1998–2000
페르 로타르 린트너(Per Lothar Lindtner)2000–2001
자페르 괴제트(Zafer Gözet)2001–2010
스벤드 하콘 야콥센(Svend Haakon Jacobsen)2010–2013
뢰르겐 호브데(Jørgen Hovde)2013–2014
루나 에벤센(Runa Evensen)2014년–현재


5. 역대 선거 결과

노르웨이 공산당은 창당 이후 스토르팅 선거와 주 의회 선거에 꾸준히 참여해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인 1945년 총선에서는 11.9%의 득표율로 11석을 획득하며 최고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득표율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973년에는 사회주의 선거 연맹을 통해 선거에 참여하여 1석을 얻었으나, 이후 사회주의좌파당 창당에는 합류하지 않았다. 1989년에는 환경과 연대를 위한 주 리스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는 득표율이 크게 낮아져 의회 의석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선거에서는 0.1% 미만의 미미한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주 의회 선거에서도 1991년 이후 의석을 얻지 못하고 있다.

5. 1. 노르웨이 의회 (스토르팅) 선거

스토르팅 (Storting)
선거 연도총 득표수총 득표율 (%)획득 의석수±
1924년59,4016.16
1927년40,0754.03감소 3
1930년20,3511.70감소 3
1933년22,7731.80변동 없음
1936년4,3760.30변동 없음
1945년176,53511.911증가 11
1949년107,7225.80감소 11
1953년90,4225.13증가 3
1957년60,0603.41감소 2
1961년53,6782.90감소 1
1965년27,9961.40변동 없음
1969년21,5171.00변동 없음
1973년241,85111.21973년 노르웨이 공산당은 사회주의 선거 연맹을 통해 참여했으며, 이 연맹은 1975년 사회주의좌파당이 되었다. 이 연합은 16석을 획득했으며, 그중 한 석은 노르웨이 공산당 소속이었다.1증가 1
1977년8,4480.40감소 1
1981년6,6730.30변동 없음
1985년4,2450.20변동 없음
1989년22,1390.80변동 없음
1993년3610.00변동 없음
1997년1,9790.10변동 없음
2001년1,7260.10변동 없음
2005년1,0700.00변동 없음
2009년6970.00변동 없음
2013년6110.00변동 없음
2017년3090.00변동 없음
2021년3080.00변동 없음


5. 2. 주 의회 선거

wikitext

주 의회
선거 연도총 득표수총 득표율획득 의석 수변동
1991년1,3390.1%00
1995년2,0720.1%00
1999년2,2630.1%00
2003년1,4300.1%00
2007년1,2100.1%00
2011년1,2820.1%00
2019년8230.1%00


참조

[1] 웹사이트 NKPs antikrigsarbeid 1923–1939: fra partistiftelsen til den tysk-sovjetiske ikke-angrepspakten http://www.duo.uio.n[...] University of Oslo 2012-04-17
[2] 웹사이트 Arbeidarpartiet http://www.nrk.no/va[...] Norweg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9-09-29
[3] 간행물 Myndighetenes trusseloppfatninger Lund Report
[4] 웹사이트 Count for Norway, Parliamentary Election, 2017 https://valgresultat[...] Norwegian Directorate of Elections 2021-04-23
[5] 웹사이트 Martin Tranmæl http://snl.no/.nbl_b[...] Store Norske Leksikon. SNL.no 2012-04-17
[6] 웹사이트 Norges Kommunistiske Parti http://snl.no/Norges[...] Store Norske Leksikon. SNL.no 2012-04-17
[7] 웹사이트 Sverre Støstad http://snl.no/.nbl_b[...] Store Norske Leksikon. SNL.no 2012-04-17
[8] 웹사이트 Peder Furubotn http://snl.no/.nbl_b[...] Store Norske Leksikon. SNL.no 2012-04-17
[9] 웹사이트 Et uunngåelig brudd? Norges Kommunistiske Partis holdning til venstresamarbeid og samling i Sosialistisk Venstreparti, årene 1970–75 http://urn.nb.no/URN[...] University of Oslo 2012-04-17
[10] 웹사이트 Kvinnepolitikk og kvinnearbeid i Norges Kommunistiske Parti (NKP) 1923–1930 http://www.duo.uio.n[...] University of Oslo 2012-04-17
[11] 웹사이트 Kvinnepolitikk og kvinnearbeid i Norges Kommunistiske Parti (NKP) 1923–1930 http://www.duo.uio.n[...] University of Oslo 2012-04-17
[12] 웹사이트 Adam Egede-Nissen http://snl.no/.nbl_b[...] Store Norske Leksikon. SNL.no 2012-04-17
[13] 웹사이트 NKP og Komintern under den tidlige fasen av Kominterns "tredje periode" 1927–1930 http://urn.nb.no/URN[...] University of Oslo 2012-04-17
[14] 웹사이트 Et uunngåelig brudd? Norges Kommunistiske Partis holdning til venstresamarbeid og samling i Sosialistisk Venstreparti, årene 1970–75 http://urn.nb.no/URN[...] University of Oslo 2012-04-17
[15] 웹사이트 Et uunngåelig brudd? Norges Kommunistiske Partis holdning til venstresamarbeid og samling i Sosialistisk Venstreparti, årene 1970–75 http://urn.nb.no/URN[...] University of Oslo 2012-04-17
[16] 웹사이트 Stalin's Secret Wars in Norway https://www.webcitat[...]
[17] 논문 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www.jstor.or[...] 1968-03
[18] 간행물 VPK-Information 7-8 1975
[19] 서적 Det er ingen sak å få partiet lite. NKP 1923–1931 Pax
[20] 서적
[21] 서적 Det røde fylke. Trekk av den politiske arbeiderbevegelse i Hedmark gjennom 100 år Hedmark Labour Party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Protokoll for Norges kommunistiske partis (avd. av den Kommunistiske internasjonale) 3. ordinære landsmøte i Oslo, 9.-13. februar 1929 http://urn.nb.no/URN[...] Internasjonalt arbeiderforlag 1929
[26] 웹사이트 Norges Kommunistiske Parti https://snl.no/Norge[...] 2013-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