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파시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파시즘은 사회 민주주의와 파시즘을 동일시하는 견해로, 1920년대 독일 혁명 이후 독일 공산당과 사회 민주당의 대립, 소련 내부의 노선 갈등을 배경으로 등장했다. 1924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사회 민주주의를 파시즘의 쌍둥이로 규정했고, 1928년 코민테른은 사회파시즘론을 공식화했다. 이로 인해 독일 공산당은 사회 민주당을 적대시하며 나치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었지만, 1935년 코민테른 제7차 대회에서 인민 전선 전술이 채택되면서 사회파시즘론은 폐기되었다. 사회파시즘론은 레프 트로츠키 등에게 비판받았으며, 현재는 좌익 파시즘과 함께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사회민주주의 - 제러미 코빈
제러미 코빈은 1949년 윌트셔주에서 태어난 영국의 정치인으로, 노동당 당수와 야당 대표를 역임하고 이즐링턴 노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사회주의적 입장을 표방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펼쳤다. - 1920년대 신조어 - 로봇
로봇은 체코어 'robota'에서 유래된 단어로, 프로그래밍을 통해 자율적으로 작동하며 환경을 감지하고 조작하는 기계 장치를 의미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지능과 자율성이 더욱 향상되고 있다. - 1920년대 신조어 - 환경주의
환경주의는 자연 자원 보호를 위해 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운동이며,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를 목표로 한다. - 마르크스-레닌주의 - 동구권
동구권은 냉전 시대 소련의 영향력 아래 있던 동유럽 및 일부 다른 지역의 사회주의 국가들을 의미하며, 1989년 동유럽 혁명과 소련 붕괴 이후 종말을 고했다. - 마르크스-레닌주의 - 공산주의
공산주의는 사유 재산 폐지와 생산 수단의 공유를 통해 계급 없는 사회를 목표로 하며,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험되었으나, 경제적 비효율성과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으며 그 영향력이 감소했다.
| 사회파시즘 | |
|---|---|
| 사회 파시즘론 | |
| 설명 | 1930년대 초 공산주의 진영에서 사회민주주의를 지칭하던 용어 |
| 관련 개념 | 공산주의 평등주의 무계급 사회 계급 투쟁 프롤레타리아 독재 폭력 혁명 평화 혁명 국제주의 세계 혁명론 일국 사회주의론 반제국주의 인민 전선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 경제학 비시장 경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유물 사관 유물 변증법 계급 의식 공산주의 사회 |
| 관련 이념 | 마르크스주의 무정부 공산주의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룩셈부르크주의 좌익 공산주의 스탈린주의 트로츠키즘 마오쩌둥 사상 주체사상 호찌민 사상 평의회 공산주의 티토주의 카스트로주의 게바라주의 호자주의 종교적 공산주의 기독교 공산주의 유로 코뮤니즘 세계 공산주의 무국가 공산주의 민족 공산주의 반수정주의 국제 공산주의 조류 |
| 관련 조직 | 공산주의자 동맹 (1847년)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코민테른 제4인터내셔널 제5인터내셔널 코민포름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 관련 인물 | 프랑수아-노엘 바뵈프 로버트 오언 샤를 푸리에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에티엔 카베 빌헬름 바이틀링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표트르 크로포트킨 로자 룩셈부르크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헤르만 고르터르 이오시프 스탈린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마오쩌둥 김일성 도쿠다 규이치 호찌민 체 게바라 피델 카스트로 요시프 브로즈 티토 |
| 관련 항목 | 사회주의 과학적 사회주의 사회주의 경제 과학적 공산주의 무정부주의 반자본주의 민주집중제 소비에트 연방 제2세계 반공주의 매카시즘 냉전 좌익 신좌익 공산주의 정권 하의 대량 학살 공산주의 비판 신계급 탈공산주의 원시 공산제 적기 붉은 별 낫과 망치 |
2. 사회파시즘론의 등장 배경
사회파시즘론은 1920년대 후반, 스탈린주의의 대두와 함께 등장했다. 1928년 코민테른 제6차 세계 대회에서 자본주의 안정의 종말과 "제3기"의 시작이 선포되었다. 자본주의의 종말과 노동자 계급 혁명이 예상되었으며, 사회 민주주의는 공산주의의 주요 적으로 규정되었다. 코민테른의 이론은 국제 사회 민주주의가 파시즘의 한 갈래라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주장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이 견해는 이오시프 스탈린이 받아들여, 파시즘과 사회 민주주의를 "쌍둥이 형제"로 묘사하며, 파시즘은 사회 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하고, 사회 민주주의는 파시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3]
1924년 블라디미르 레닌 사망 이후 당내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스탈린은 혼합 경제 신경제 정책의 종식을 옹호하고 소련 내부의 계급 투쟁 강화를 선언하며 좌경화 노선을 추구했다. 혁명적 열정의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스탈린 중심 지배 집단의 모든 적들은 "파괴자"와 "반역자"로 비난받았으며, 이러한 태도는 사회 민주주의자와 공산주의 반체제 인사 모두를 파시스트로 비난하는 국제 무대로 옮겨졌다.
스탈린은 1924년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파시즘은 단지 군사 기술적 범주가 아니다. 파시즘은 사회 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하는 부르주아의 투쟁 조직이다. 사회 민주주의는 객관적으로 파시즘의 온건한 세력이다. 부르주아의 투쟁 조직이 사회 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 없이는 전투나 국가 통치에서 결정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가정할 근거는 없다.[4]
독일 사회민주당 (SPD)은 스탈린주의자들이 파시스트라는 반공주의 정당들과 동의했다.[5] 1929년 베를린 경찰이 SPD 정부 통제하에 있을 때 5월 1일에 시위하는 공산주의 노동자들에게 발포하여 피의 5월 사건이 발생하면서 대립은 격화되었다.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억압적인 법안은 사회 민주주의자들이 "사회 파시스트"라는 공산주의자들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다.[6] 1929년, KPD의 준군사 조직인 로터 프론트캠퍼분트("적색 전선 투사 동맹")는 집권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의해 극단주의 단체로 금지되었다.[7] 1930년, SPD의 쿠르트 슈마허는 공산주의자들을 "나치의 '빨간색 칠을 한 도플갱어'"라고 비난했다.[9]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독일에서 권력을 잡은 후, KPD는 불법화되었고 에른스트 텔만을 포함한 수천 명의 당원이 체포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코민테른이 사회 민주주의와의 동맹 문제에 대해 완전히 전환하게 만들었고 사회 파시즘 이론은 폐기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중 유럽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은 자국 정부의 전쟁 수행을 지지하였고, 이는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분열을 초래했다. 1924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사회 민주주의와 파시즘은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쌍생아이다"라고 정식화했다.[21] 1928년 제6차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총회는 사회 파시즘론을 명시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탄생한 소비에트 정권은 사회민주주의 세력을 반혁명 세력으로 규정하고 탄압했다.2. 2. 독일 혁명과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역할
독일 혁명 직후 독일 사회 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은 노선 대립을 겪었다. 1924년 9월, 이오시프 스탈린은 "사회 민주주의와 파시즘은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쌍생아이다"라고 정식화했고, 1928년 제6차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총회는 사회 파시즘론을 명시했다[21]。독일 공산당은 이 노선에 따라 독일 사회 민주당을 적대시했고, 의회에서 반 사회 민주당적인 행동을 반복했다. 독일 공산당의 경비대인 무장 조직 "적색 전선 전사 동맹"은 사회 민주당 당원을 습격하거나, "바이마르 정부 반대"를 내걸고 나치의 노동자 조직과 연대하여 파업을 벌였다. 특히 1929년 5월 1일 베를린에서 열린 공산당의 불법 데모를 사민당 정권이 단속하면서 발생한 피의 메이데이 사건 (31명 사망, 수백 명 부상, 1200명 체포)으로 사민당과 공산당의 대립은 절정에 달했다[22]。
2. 3. 코민테른의 성립과 스탈린의 부상
1919년 설립된 코민테른은 세계 혁명을 목표로 하였으며, 초기에는 사회민주주의 세력과의 협력을 모색하기도 했다. 그러나 1924년 레닌 사후 소련 공산당 내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론'을 내세우며 사회민주주의를 '계급 협조주의'로 비판하고 적대시하기 시작했다.[23]1924년 9월 제5차 코민테른에서 스탈린은 공식적으로 사회민주주의를 파시즘과 동일시했고, 1928년 제6차 코민테른 대회에서는 '사회파시즘론'이 정식으로 채택되면서 공산주의자들과 사회민주주의자들 간의 대립이 최고조에 올랐다.[23] 이러한 견해가 발생한 배경에는 독일 혁명 직후 독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의 노선 대립, 신경제 정책 (NEP) 이후 좌경화된 소비에트 연방 (소련) 내부에서 노선 대립이 격화된 것이 있다. 1924년 9월, 이오시프 스탈린은 "사회 민주주의와 파시즘은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쌍생아이다"라고 정식화했다.[21]
이 노선에 따라 독일 공산당은 독일 사회 민주당을 적대시했고, 그 때문에 의회에서 반 사회 민주당적인 행동을 반복했다. 독일 공산당의 경비대인 무장 조직 "적색 전선 전사 동맹"이 사회 민주당 당원을 습격하거나, "바이마르 정부 반대"를 내걸고 나치의 노동자 조직과 연대하여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3. 사회파시즘론의 주요 내용
1924년 9월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회민주주의를 파시즘과 동일시하면서 공식화된 사회파시즘론은, 1928년 제6차 코민테른 대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면서 공산주의자들과 사회민주주의자들 간의 대립을 심화시켰다.[23] 이는 독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의 관계를 악화시켜, 나치당의 집권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1910년대 사회민주주의자들의 대대적인 공산주의자 탄압 이후, 코민테른의 이러한 강령은 공산주의자들이 사회민주주의자들을 경멸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그리하여 같은 좌익 대열에 있던 독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은 좌익과 우익의 관계보다 더 심한 대립 관계를 보였다.
스탈린은 1924년 연설에서 파시즘은 사회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하는 부르주아의 투쟁 조직이며, 사회민주주의는 객관적으로 파시즘의 온건 세력이라고 주장했다.[4]
독일 총리 헤르만 뮐러가 이끌던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스탈린주의자들을 파시스트로 규정하는 반공주의 정당들과 뜻을 같이했다.[5] 이는 사회민주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의 상호 적대감을 야기했으며, 1929년 베를린 경찰이 SPD 정부의 통제하에 있을 때 5월 1일에 시위하는 공산주의 노동자들에게 발포하여 발생한 피의 5월 사건으로 더욱 격화되었다.[6]
이러한 대립은 대공황 시기 좌파 정당들의 분열을 심화시켜 대중의 실망을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나치당에 대한 지지 상승으로 이어졌다. 당시 독일 공산당과 독일 사회민주당의 의석수를 합치면 나치를 능가했기 때문에, 두 정당이 협력했다면 파시즘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독일에서 권력을 잡은 후, 독일 공산당은 불법화되었고 에른스트 텔만을 포함한 수천 명의 당원이 체포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코민테른이 사회민주주의와의 동맹 문제에 대해 완전히 전환하게 만들었고 사회파시즘 이론은 폐기되었다.[11]
3. 1. 스탈린의 '쌍둥이론'
1924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사회민주주의와 파시즘을 '쌍둥이'에 비유하며, 양자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3] 그는 파시즘이 사회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하며, 사회민주주의는 파시즘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3]스탈린은 1924년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파시즘은 단지 군사 기술적 범주가 아니다. 파시즘은 사회 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하는 부르주아의 투쟁 조직이다. 사회 민주주의는 객관적으로 파시즘의 온건한 세력이다. 부르주아의 투쟁 조직이 사회 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 없이는 전투나 국가 통치에서 결정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가정할 근거는 없다.[4]
1928년 코민테른 제6차 세계 대회에서는 자본주의 안정의 종말과 "제3기"의 시작이 선포되었다. 자본주의의 종말과 노동자 계급 혁명이 예상되었으며, 사회 민주주의는 공산주의의 주요 적으로 규정되었다.[3] 코민테른의 이론은 국제 사회 민주주의가 파시즘의 한 갈래라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주장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3]
이러한 견해는 스탈린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제6차 대회에서 선언된 후, 사회 파시즘 이론은 세계 공산주의 운동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다.[3]
3. 2. 코민테른 제6차 대회(1928)
1928년 코민테른 제6차 세계 대회에서는 자본주의 안정의 종말과 "제3기"의 시작을 선언하고, 사회민주주의를 공산주의의 주요 적으로 규정하였다. 코민테른은 사회민주주의가 파시즘의 한 갈래라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주장을 바탕으로, 이오시프 스탈린이 파시즘과 사회민주주의를 "쌍둥이 형제"로 묘사하며, 양자가 서로 의존한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사회파시즘 이론은 전 세계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3]이러한 변화는 소련 공산당 내부의 정치 상황과도 관련이 있었다. 블라디미르 레닌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스탈린은 신경제 정책을 폐기하고 계급 투쟁 강화를 선언하며 좌경화 노선을 채택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스탈린의 반대파는 "파괴자"와 "반역자"로 비난받았고, 이는 국제 무대에서 사회민주주의자와 공산주의 반체제 인사를 파시스트로 규정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스탈린은 1924년 연설에서 파시즘은 사회민주주의의 지원을 받는 부르주아 조직이며, 사회민주주의는 파시즘의 온건 세력이라고 주장했다.[4]
한편, 독일 사회민주당은 헤르만 뮐러 총리 시절 스탈린주의자들을 파시스트로 규정하는 반공주의 정당들과 뜻을 같이했다.[5] 1929년 베를린에서 발생한 피의 5월 사건은 사회민주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의 적대감을 더욱 심화시켰다.[6] 같은 해, 독일 공산당의 준군사 조직인 로터 프론트캠퍼분트는 극단주의 단체로 지정되어 금지되었다.[7] 독일 공산당은 사회민주주의자를 "자본 독재의 주요 기둥"으로 묘사했고,[8] 쿠르트 슈마허는 공산주의자들을 "나치의 '빨간색 칠을 한 도플갱어'"라고 비난했다.[9] 1931년 프로이센 주의회 해산 국민투표에서 독일 공산당은 나치와 협력하여 사회민주당 주 정부를 무너뜨리려 했으나 실패했다.[10]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코민테른이 사회민주주의와의 관계를 재검토하고 사회파시즘 이론을 폐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사회파시즘론의 영향과 폐기
1928년 코민테른 제6차 세계 대회에서 자본주의 안정의 종말과 "제3기"의 시작이 선포되었다. 자본주의의 종말과 노동자 계급 혁명이 예상되었으며, 사회 민주주의는 공산주의의 주요 적으로 규정되었다. 코민테른의 이론은 국제 사회 민주주의가 파시즘의 한 갈래라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주장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이 견해는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받아들여졌으며, 그는 파시즘과 사회 민주주의를 "쌍둥이 형제"로 묘사하며, 파시즘은 사회 민주주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하고, 사회 민주주의는 파시즘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제6차 대회에서 선언된 후, 사회 파시즘 이론은 세계 공산주의 운동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다.[3]
새로운 방향은 소련 공산당 (CPSU)의 내부 정치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1924년 블라디미르 레닌의 사망 이후 당내 파벌 싸움이 벌어진 후, 스탈린을 중심으로 한 승리 그룹은 혼합 경제 신경제 정책의 종식을 옹호하고 소련 내부의 계급 투쟁의 강화를 선언함으로써 결정적으로 좌경화되었다. 혁명적 열정의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스탈린을 중심으로 한 지배 집단의 모든 적들은 "파괴자"와 "반역자"로 비난받았으며, 이러한 태도는 사회 민주주의자와 공산주의 반체제 인사 모두를 파시스트로 비난하는 국제 무대로 옮겨졌다.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독일에서 권력을 잡은 후, 독일 공산당(KPD)는 불법화되었고 에른스트 텔만을 포함한 수천 명의 당원이 체포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코민테른이 사회 민주주의와의 동맹 문제에 대해 완전히 전환하게 만들었고 사회 파시즘 이론은 폐기되었다. 코민테른 제7차 세계 대회에서 1935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파시즘에 반대하는 노동자 계급의 단결을 위하여"라는 연설에서 인민 전선의 새로운 정책을 제시했다.[11]
이 인민 전선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으로 해체되었다.[12][13] 미국의 역사가 테오도르 드레이퍼는 "소위 사회 파시즘 이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실천은 1933년 1월 독일 파시즘의 승리에 기여한 주요 요인 중 하나였다"고 주장했다.[14][15]
4. 1. 독일에서의 영향
1928년 코민테른 제6차 세계 대회에서 자본주의 안정의 종말과 "제3기"의 시작이 선포되면서, 사회 민주주의는 공산주의의 주요 적으로 규정되었다. 코민테른의 이론은 국제 사회 민주주의가 파시즘의 한 갈래라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주장에 뿌리를 두고 있었고, 이오시프 스탈린은 파시즘과 사회 민주주의를 "쌍둥이 형제"로 묘사했다.[3] 이러한 배경에서 사회파시즘론은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독일 공산당(KPD)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1910년대 사회민주주의자들의 대대적인 공산주의자 탄압 이후, 1924년 9월 제5차 코민테른에서 스탈린은 공식적으로 사회민주주의를 파시즘과 동일시했고, 1928년 제6차 코민테른 대회에서는 '사회파시즘론'이 정식으로 채택되면서 공산주의자들과 사회민주주의자들 간의 대립이 최고조에 올랐다. 코민테른의 국제 공산주의 운동 강령 이후 1933년 나치 정권이 수립되고 1935년까지 반(反)나치 사회민주주의자들은 공산주의자들에게 경멸당하는 존재였다.[23]
독일 총리 헤르만 뮐러의 지도하에 독일 사회 민주당(SPD)은 스탈린주의자들이 파시스트라는 반공주의 정당들과 동의했다.[5] 이는 사회 민주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의 상호 적대감을 야기했으며, 1929년 베를린 경찰이 SPD 정부의 통제하에 있을 때 5월 1일에 시위하는 공산주의 노동자들에게 발포하여 피의 5월이라고 불리는 사건으로 더욱 격화되었다.[6] 1929년, KPD의 준군사 조직인 로터 프론트캠퍼분트("적색 전선 투사 동맹")는 집권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의해 극단주의 단체로 금지되었다.[7]
이러한 대립은 나치의 부상에 영향을 주었다. 대공황 시기 좌파 정당 간의 내분은 대중의 실망을 야기했고, 이는 나치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독일에서 권력을 잡은 후, KPD는 불법화되었고 에른스트 텔만을 포함한 수천 명의 당원이 체포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코민테른이 사회 민주주의와의 동맹 문제에 대해 완전히 전환하게 만들었고 사회 파시즘 이론은 폐기되었다. 코민테른 제7차 세계 대회에서 1935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파시즘에 반대하는 노동자 계급의 단결을 위하여"라는 연설에서 인민 전선의 새로운 정책을 제시했다.[11]
4. 2. 인민전선으로의 전환
1933년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독일에서 집권하고 독일 공산당이 탄압받는 상황이 발생하자, 코민테른은 기존의 사회파시즘론의 오류를 인정하고 반파시즘 통일전선인 '인민전선' 전술을 채택했다.[24]1935년 코민테른 제7차 대회에서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파시즘에 반대하는 노동자 계급의 단결을 위하여"라는 연설을 통해 인민전선 결성을 호소했다.[11] 그는 나치 지배하에서 사회민주주의와의 연대를 통해 혁명적 노동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회파시즘론을 공식적으로 폐기했다.[24]
5. 사회파시즘론 비판
레프 트로츠키는 스탈린주의와 대립하며 사회파시즘론을 비판하고, 독일 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이 연대하여 나치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스탈린주의에 충실했던 독일 공산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논고는 트로츠키 사후인 1962년과 1969년에 "사회 파시즘론 비판"으로 출판되었다.[16]
5. 1. 레프 트로츠키의 비판
레온 트로츠키는 "사회 파시즘"이라는 비난에 반대했다. 1932년 3월의 ''반대파 회보''(Bulletin of the Opposition)에서 그는 "파시즘이 권력을 잡으면, 끔찍한 전차처럼 당신의 머리와 척추를 짓밟을 것입니다. [...] 오직 사회민주주의 노동자들과의 투쟁적인 통일만이 승리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라고 선언했다.[16]트로츠키는 사회민주주의와의 협력은 전술적이고 일시적일 뿐이며, 궁극적으로 사회민주주의는 혁명적 분파에 의해 패배하고 전복되어야 한다고 썼다. 그는 파시즘에 맞서기 위해 사회민주주의와 공동 전선을 구축해야 하지만, 이는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투쟁에서 측면 공격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회민주주의 또는 독일 노동조합 지도자들과의 어떠한 공동 플랫폼, 공동 출판물, 배너, 플래카드도 없어야 하며, 공격 방법, 대상, 시기만 합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로츠키는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을 철회하지 않으며, 카를 리프크네히트와 로자 룩셈부르크를 포함한 모든 역사적 계산은 러시아 볼셰비키가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에게 했던 것처럼 적절한 시기에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16]
레프 트로츠키는 스탈린주의와 대립하며 사회 파시즘론을 비판하고, 독일 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이 연대하여 나치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스탈린주의에 충실했던 독일 공산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논고는 트로츠키 사후인 1962년과 1969년에 "사회 파시즘론 비판"으로 출판되었다.
5. 2. 기타 비판
칼 포퍼는 그의 저서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공산주의자들이 파시즘의 부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포퍼는 당시 일부 급진 정당들이 민주주의의 약화를 반겼거나 눈감았으며, 독재를 혁명을 위한 임시 발판으로 여겼다고 주장했다.[17][18] 그는 공산주의자들이 파시스트의 집권에 맞서 싸우지 않았다고 비판하면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늦어졌고 파시즘의 과도기가 몇 달 이상 지속될 수 없다고 확신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테오도르 드레이퍼는 사회파시즘 이론이 공산주의자들로 하여금 자신들보다 우측에 있는 모든 이들과 피의 경계를 긋는 데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14]
레프 트로츠키는 스탈린주의와 대립하며 사회파시즘론을 비판하고, 독일 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이 연대하여 나치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스탈린주의에 충실했던 독일 공산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논고는 트로츠키 사후인 1962년과 1969년에 "사회 파시즘론 비판"으로 출판되었다.
6. 대한민국에의 영향 및 남북관계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사회파시즘론을 반박하면서 공산주의(특히 스탈린주의)가 더 파시스트적이며 역으로 좌익 파시즘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공산주의자들은 "제국주의 세력이 날조, 왜곡, 조작한 것들을 근거로 삼아 공산주의를 비난하는 것이야말로 제국주의 논리에 찬동하는 사민주의의 제국주의적 본질"이라고 비판한다.[2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입장은 대한민국에서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는 대표적인 대립 사항 중 하나이다.
6. 1. 해방 이후 좌우 대립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좌익과 우익 간의 극심한 대립이 있었고, 그 속에서 사회민주주의 세력은 공산주의 세력과 함께 탄압받았다.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스탈린주의를 비판하며 좌익 파시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반면 공산주의자들은 "제국주의 세력이 날조, 왜곡, 조작한 것들을 근거로 삼아 공산주의를 비난하는 것이야말로 제국주의 논리에 찬동하는 사민주의의 제국주의적 본질"이라고 비판했다.[25]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사회민주주의와 공산주의 두 사상의 대표적인 대립점 중 하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입장이다. 공산주의자들은 제국주의에 맞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는 반면,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반공주의자들과 비슷하게 독재 국가라는 이유 등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판한다.[25]6. 2. 한국전쟁과 반공주의
한국전쟁은 대한민국 사회에 강력한 반공주의 이데올로기를 확산시켰고, 사회민주주의 세력은 설 자리를 잃었다.[2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입장은 오늘날 공산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와 사회민주주의가 대립하는 대표적인 사항 중 하나이다. 공산주의자들은 제국주의에 맞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는 반면,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독재 국가라는 등의 이유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판한다.6. 3. 현재의 남북관계
대한민국의 경우 오늘날 사민주의와 공산주의 두 사상이 대립하는 사항 중 대표적인 것 중 하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입장이다. 공산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25]은 제국주의에 맞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는 반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사회 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은 반공주의자들과 비슷하게 독재 국가라는 이유 등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판한다.[25]참조
[1]
논문
Entering a Theoretical Void: The Theory of Social Fascism and Stalinism in the German Communist Party
[2]
서적
In Stalins Gefolgschaft: Moskau und die KPD 1928–1933
Oldenbourg Verlag
[3]
서적
The Third Reich
Routledge
1984
[4]
웹사이트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ttps://www.marxists[...]
2022-02-04
[5]
서적
The Challenge of Modernity: German Social and Cultural Studies, 1890-196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
[6]
서적
A History Of Modern Germany 1800-2000
Blackwell Publishing
2006
[7]
서적
Der rote Frontkämpferbund 1924–1929
1975
[8]
서적
Geschichte der Internationale: 1914–1943
Dietz
[9]
서적
Totalitarismuskritik von links: deutsche Diskurse im 20. Jahrhundert
https://www.worldcat[...]
Vandenhoeck & Ruprecht
2007
[10]
서적
Germany: From Revolution to Counter-Revolution
http://www.marxist.c[...]
Fortress Books
1988
[11]
서적
Georgi Dimitrov: Selected Works
http://www.marxists.[...]
Sofia Press
1972
[12]
서적
The Popular Front in Europe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8-12-05
[13]
서적
Debating the Past: Modern Bulgarian Historiography—From Stambolov to Zhivkov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1-05-10
[14]
논문
The Ghost of Social-Fascism
https://www.commenta[...]
1969-02
[15]
뉴스
How the left enabled fascism
https://www.newstate[...]
2018-10-03
[16]
간행물
For a Workers' United Front Against Fascism
http://www.marxists.[...]
1932-03
[17]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Hegel and Marx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7-26
[18]
논문
Karl Popper, the Vienna Circle, and Red Vienna
https://www.jstor.or[...]
1998
[19]
문서
例:大辞林、大辞泉など
[20]
문서
例:日本大百科全書など
[21]
웹사이트
革命の遊牧民 トロツキー - 宮内広利
https://archive.ph/O[...]
[22]
문서
成瀬治, 山田欣吾, 木村靖二, 1997, p=166, 阿部良男, 2001, p=154, モムゼン, 2001, p=221
[23]
문서
이 항목은 클라우스 힐데브란트가 1984년에 저작한 《The Third Reich, Routledge》을 참조하라.
[24]
문서
마틴 키친이 저작한《A History Of Modern Germany 1800-2000》을 참조하라.
[25]
문서
여기에 '신[[트로츠키주의]]'자들(한국에서는 [[노동자연대]]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들은 '정통 트로츠키주의'자들이나 정통 공산주의라고 볼 수 있는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과는 입장이 많이 다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입장에 있어선 오히려 사민주의자들의 입장에 가깝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