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직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사직설은 조선 초기에 편찬된 농서로,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에 맞는 농법을 담고 있다. 세종의 명에 따라 정초, 변효문 등이 참여하여 편찬되었으며, 벼, 보리, 조, 기장 등 10가지 주요 작물의 재배법을 다루고 있다. 직파법, 이앙법, 2년 3모작 등 다양한 재배 기술과 농기구, 거름 사용법 등을 상세히 제시하여, 지방 향약의 지침서 역할을 했다. 농사직설은 한국 최초의 독자적인 농서로,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후대 농서 편찬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번역 및 연구를 통해 그 가치를 재조명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책 - 산림경제
산림경제는 17세기 홍만선이 저술한 농업, 임업, 의학, 생활 전반을 다룬 백과사전식 저술로, 조선 시대의 다양한 지식과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농업 책 - 농상집요
농상집요는 중국 북방 지역 농업 기술을 다룬 농서로, 농업과 양잠을 중심으로 기존 농서 내용을 취합하고 새로운 해석을 더해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고려 공민왕 때 한국 최초의 농서로 간행되어 조선 시대 농가에서 활용되었다. - 조선의 책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조선의 책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농사직설 | |
---|---|
개요 | |
종류 | 농서 |
언어 | 한문 |
제작 시기 | 조선 시대 |
저자 | 세종 |
내용 | 농업 기술, 토양 관리, 작물 재배 방법 등 |
중요성 | 조선 초기 농업 기술 발전에 기여 |
상세 정보 | |
목적 | 농업 장려 및 백성 생활 안정 |
특징 | 각 지방의 농사 경험을 바탕으로 함 그림과 함께 설명하여 이해를 높임 |
영향 | 이후 농서 편찬에 큰 영향 농업 기술 발전의 토대 마련 |
참고 자료 | 향약집성방 구황촬요 |
2. 편찬 배경 및 과정
《농사직설》은 주요 곡물에 한정되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농법을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는 지방 향약의 지침서가 되는 것을 넘어, 이후 다양한 농서들이 잇달아 출판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2. 1. 조선 초기 농업의 현실
鄭招|정초중국어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농법은 기후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존에 유통되던 중국 농서와는 다를 수밖에 없었다.[2] 따라서 각 도(道)에서는 관찰사에게 명하여 전국의 경험 많은 농민들에게 자세히 듣고, 그들이 경험한 바를 수집, 인쇄, 배포하도록 했다.[2] 즉, 과거에는 지방 수령들이 중국의 옛 농서에 의존하여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기후에 맞는 농법을 바꾸기 어려웠던 반면, 농사직설은 지역에 적합한 농법을 담고 있어 우리 실정과 동떨어진 중국식 농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2]2. 2. 세종의 농업 정책과 농사직설 편찬 지시
鄭招|정초중국어가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농법은 기후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존에 유통되던 중국 농서와는 다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각 도에서는 관찰사에게 명하여 전국의 경험 많은 농민들에게 자세히 듣고, 그들이 경험한 바를 수집, 인쇄, 배포하도록 했다.[2] 과거에는 지방 수령들이 중국의 옛 농서에 의존하여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기후에 맞는 농법을 바꾸기 어려웠던 반면, 농사직설은 지역에 적합한 농법을 담고 있어 우리 실정과 동떨어진 중국식 농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2]3. 주요 내용
《농사직설》은 주요 곡물에 한정되어 간략하게 설명하지만,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농법을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지방에서 향약의 지침서가 되는 것을 넘어, 이후 다양한 농서들이 잇달아 출판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정초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농법은 기후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존에 유통되던 중국 농서와는 다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각 도(道)에서는 관찰사에게 명하여 전국의 경험 많은 농민들에게 자세히 듣고, 그들이 경험한 바를 수집, 인쇄, 배포하도록 했다. 과거에는 지방 수령들이 중국의 옛 농서에 의존하여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기후에 맞는 농법을 바꾸기 어려웠던 반면, 《농사직설》은 지역에 적합한 농법을 담고 있어 우리 실정과 동떨어진 중국식 농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2]
3. 1. 작물별 재배법
농사직설은 벼(稻), 보리(麥), 조, 기장(黍粟), 콩(豆), 삼(麻), 수수(稷), 참깨(胡麻), 메밀(蕎麥) 등 10개 작물의 재배법을 다룬다. 벼농사는 직파법, 천답법(乾畓法), 이앙법 등 세 가지 방법과 수답재배법, 산간답 재배법 등 16가지 재배법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벼 재배법은 천후, 토질, 세금 등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었다.[2]농기구로는 쟁기, 써레, 미리개, 멍에, 끌, 타비, 호미 등이 사용되었고, 거름으로는 사람의 분뇨, 우분, 재, 녹비, 헛간 거름 등이 사용되었다. 논농사는 봄, 가을에는 얕은 갈이(淺耕), 가을에는 깊이 갈이(深耕)를 권장했다. 밭작물 파종법으로는 조파(條播), 살포(撒播), 혼파(混播) 세 가지 방법이 시행되었으며, 재배법으로는 2년 3모작, 1년 1모작, 윤작, 간작 등이 적절히 채택되었다.[2]
3. 2. 농기구와 거름 사용
농기구로는 쟁기, 써레, 미리개, 멍에, 끌, 타비, 호미 등이 사용되었고, 거름으로는 사람의 분뇨, 우분, 재, 녹비, 헛간 거름 등이 사용되었다.[2]3. 3. 시대별 내용 증보
우리나라 기후에 맞는 농법을 모아놓은 책인 《농사직설》은 초판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면서 내용이 추가되었다. 조도앙기(早稻秧基), 화누법(火耨法), 목화 재배법 등이 새롭게 추가된 내용이다.[2]4. 의의와 영향
《농사직설》은 이후 금양잡록, 산림경제 등 다양한 농서들이 출판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판본이 여러 차례 개정되면서 조도앙기(早稻秧基), 화누법(火耨法), 목화 재배법 등 새로운 항목들이 추가되며 내용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2]
4. 1. 한국 최초의 독자적 농서
農事直說중국어은 중국 농서와 구별되는 한국 고유의 농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농서이다. 주요 곡물에 한정되어 설명이 간략하지만,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농법을 집대성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는 지방 향약의 지침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다양한 농서들이 출판되는 계기를 마련했다.[2]정초(鄭招)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농법은 기후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존에 유통되던 중국 농서와는 다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각 도(道)에서는 관찰사에게 명하여 전국의 경험 많은 농민들에게 자세히 듣고, 그들이 경험한 바를 수집, 인쇄, 배포하도록 했다. 과거에는 지방 수령들이 중국의 옛 농서에 의존하여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기후에 맞는 농법을 바꾸기 어려웠지만, 農事直說중국어은 지역에 적합한 농법을 담고 있어 우리 실정과 동떨어진 중국식 농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2]
農事直說중국어의 내용은 벼(稻), 보리(麥), 조, 기장(黍粟), 콩(豆), 삼(麻), 수수(稷), 참깨(胡麻), 메밀(蕎麥) 등 10개 항목으로 나뉜다. 곡물 재배에 중점을 둔 농서로, 벼농사의 경우 직파법, 천답법(乾畓法), 모내기법 등 세 가지 방법이 있었고, 수답재배법, 산간답 재배법 등이 16가지나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벼 재배법은 천후, 토질, 세금 등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농기구로는 쟁기, 써레, 미리개, 멍에, 끌, 타비, 호미 등이 사용되었고, 거름으로는 사람의 분뇨, 우분, 재, 녹비, 헛간 거름 등이 사용되었다. 논농사의 경우 봄, 가을에는 얕은 갈이(淺耕), 가을에는 깊이 갈이(深耕)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밭작물 파종법으로는 조파(條播), 살포(撒播), 혼파(混播) 세 가지 방법이 시행되었으며, 재배법으로는 2년 3모작, 1년 1모작, 윤작, 간작 등이 적절히 채택되었다. 農事直說중국어의 내용은 판본이 여러 차례 개정되면서 조도앙기(早稻秧基), 화누법(火耨法), 목화 재배법 등 새로운 항목들이 추가되며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2]
4. 2.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
은 주요 곡물에 한정되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기후에 맞는 농법을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각 도에서는 관찰사에게 명하여 전국의 경험 많은 농민들에게 자세히 듣고, 그 경험을 수집, 인쇄, 배포하도록 했다. 이전에는 지방 수령들이 중국의 옛 농서에 의존하여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기후에 맞게 농법을 바꾸기 어려웠지만, 은 지역에 적합한 농법을 담고 있어 우리 실정과 동떨어진 중국식 농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2]의 보급으로 벼농사는 직파법, 천답법(乾畓法), 모내기 등 세 가지 방법과 수답 재배법, 산간답 재배법 등 16가지가 기록되어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또한, 농기구로는 쟁기, 써레, 미리개, 멍에, 끌, 타비, 호미 등이 사용되었고, 거름으로는 사람의 분뇨, 우분, 재, 녹비, 헛간 거름 등이 사용되었다. 밭작물 파종법으로는 조파(條播), 살포(撒播), 혼파(混播) 세 가지 방법이 시행되었으며, 재배법으로는 2년 3모작, 1년 1모작, 윤작, 간작 등이 적절히 채택되었다. 판본이 여러 차례 개정되면서 조도앙기(早稻秧基), 화누법(火耨法), 목화 재배법 등 새로운 항목들이 추가되었다.[2]
4. 3. 후대 농서 편찬에 영향
《농사직설》은 주요 곡물에 한정되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농법을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지방 향약의 지침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다양한 농서들이 잇달아 출판되는 계기가 되었다.[2] 《농사직설》은 이후 금양잡록, 산림경제 등 다양한 농서 편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5. 현대적 재조명
《농사직설》은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농서이지만, 현대에도 그 가치를 인정받아 농업 기술, 전통 지식, 역사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자료로 재조명되고 있다.
5. 1. 번역 및 연구 현황
농촌진흥청 등에서는 《농사직설》의 번역 및 연구를 진행하여 그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노재준, 염정섭, 윤태순, 홍기용 등이 번역한 《농가설·위빈명농기·농가월령·농가집성》(고농서 국역 총서 7)이 2004년에 출간되었는데, 여기에는 17세기 현실에 맞게 일부 내용이 증보된 《농사직설》이 《농가집성》 안에 포함되어 있다.[3] 정초, 변효문 원저, 이병희 역의 《농사직설: 풍토가 다르면 농법도 다르다》는 2018년 12월 26일에 출간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ko:농사직설 農事直說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10-09
[2]
웹사이트
Nongsa jikseol
https://encykorea.ak[...]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3]
서적
농가설·위빈명농기·농가월령·농가집성
농촌진흥청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