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보로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보로망은 195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시작된 소설 경향으로, 전통적인 소설의 틀을 벗어나 실험적인 기법을 추구한다. 명확한 선언이나 조직을 갖춘 운동은 아니었으며, 알랭 로브그리예, 나탈리 사로트, 클로드 시몽 등이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 이들은 플롯, 심리 묘사, 작가의 주관적 세계관 강요를 지양하고, 언어 자체의 탐구를 통해 독자가 스스로 텍스트를 구성하도록 유도하는 특징을 보인다. 누보로망은 영화에도 영향을 미쳐 좌안파 영화 운동에 기여했으며, 캐나다 퀘벡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누보 로망은 명확한 조직, 선언이나 운동이 있었던 것은 아니며, 기존의 근대 소설적인 틀에 반하여 글을 쓴 동시대 작가들을 총칭하기 위한 저널리즘적인 호칭이었다. 1963년 새 프랑스 평론지 등에서 알랭 로브그리예의 논쟁적인 평론이 『새로운 소설을 위하여』(''Pour un'' '''Nouveau roman'''[8])로 정리되었다. 알랭 로브그리예, 클로드 시몽, 나탈리 사로트, 미셸 뷔토르 등이 대표적인 작가로 꼽히며, 넓게는 사무엘 베케트, 마르그리트 뒤라스 등도 포함된다. 이들 작가들의 소설 작품 대다수는 미뉘이에서 간행되었다.
1950년대 중반 "새로운 소설가"라는 뜻의 '누보 로망시에'로 불리는 작가 그룹이 등장했는데, 알랭 로브그리예, 클로드 시몽, 나탈리 사로트, 미셸 뷔토르, 로베르 팽게 등이 대표적이다.[4] 이들은 소설에서 연대기, 줄거리, 등장인물의 전통적인 사용뿐만 아니라 전지적 작가 시점을 거부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4] 이들은 윌리엄 포크너와 영화의 영향을 받았다.[4]
알랭 로브-그리에는 줄거리, 등장인물, 전지적 작가 시점 등 소설의 전통적인 특징들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사물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소설을 제시했다.[3] 1950년대 중반, 알랭 로브-그리에, 클로드 시몽, 나탈리 사로트, 미셸 뷔토르, 로베르 팽게 등 '누보 로망시에'라 불리는 작가 그룹이 등장했다. 이들은 윌리엄 포크너와 영화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소설 기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실험적 기법을 시도했다.[4]
누보 로망은 문학뿐만 아니라 영화, 캐나다 퀘벡 문학 등 다른 예술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2. 역사
작가의 세계관을 독자에게 "강요하는" 전통적인 소설이 아니라, 플롯의 일관성이나 심리 묘사가 빠진, 일종의 실험적인 소설로, 언어의 모험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기법은 "의식의 흐름의 서술"(나탈리 사로트), "이인칭 소설"(미셸 뷔토르), "객관적인 사물 묘사의 철저함"(로브그리예) 등 다양하지만, 독자는 주어진 "텍스트"를 스스로 조합하여 추론하면서 이야기나 주제를 구축해나가야 한다. 장폴 사르트르나 롤랑 바르트 등에게 옹호받기도 했다.
2. 1. 태동과 발전
1950년대 중반, 알랭 로브그리예, 클로드 시몽, 나탈리 사로트, 미셸 뷔토르, 로베르 팽게 등의 작가들이 '누보 로망시에(새로운 소설가)'로 불리며 등장했다.[4] 이들은 공통적으로 연대기, 줄거리, 등장인물의 전통적 사용, 전지적 작가 시점을 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4] 이들은 윌리엄 포크너와 영화와 같은 작가들에게 영향을 받았다.[4]
장 리카르두는 누보 로망을 이론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5] 그는 이론서뿐만 아니라 '칸의 관측소', '콘스탄티노플의 함락' 등 누보 로망 작품을 직접 발표하기도 했다.[5] 1971년에는 세리시에서 누보 로망에 관한 컨퍼런스 및 토론을 조직하기도 했다.[5]
알랭 로브그리예는 소설의 본질과 미래에 대한 에세이들을 출판했는데, 이는 나중에 ''새로운 소설을 위하여''에 수집되었다. 그는 줄거리, 등장인물에 초점을 맞춘 이전 소설들을 구식이라고 여겼으며, 이상적인 "누보 로망"은 사물에 초점을 맞춘 소설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프랑스 누벨바그 스타일에 기여하였으며,[4] 알랭 레네 감독과 함께 《히로시마 내 사랑》(1958)과 《지난 해 마리엔바드에서》(1961)와 같은 영화를 만들기도 하였다.[6]
2. 2. 이론적 배경
알랭 로브그리예는 저서 ''새로운 소설을 위하여''에서 누보 로망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했다.[3] 그는 사물에 초점을 맞추고 줄거리와 등장인물을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새로운 소설 형식을 주장했다. 이는 줄거리와 등장인물을 세상의 세부 사항에 종속시키고, 세상을 그들의 목적에 사용하지 않는, 사물에 대한 개별적인 버전이자 비전이었다.[3]
장 리카르두는 누보 로망 관련 컨퍼런스를 조직하고, 1971년 세리시에서 열린 컨퍼런스 및 토론 내용을 담은 ''Nouveau roman : hier, aujourd’hui''를 출판하여 누보 로망 연구에 기여했다.[5]

2. 3. 쇠퇴와 영향
1960년대 후기에는 필리프 솔레르스를 중심으로 한 텔 켈파(문학 이론 잡지 '''Tel Quel'''을 기반으로 활동한 데서 유래)가 누보 로망(안티 로망)의 동향을 더욱 비판적으로[9] 발전시켜 그 활동을 계승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 필리프 솔레르스가 마오이즘에 경도되면서 텔 켈파도 정치적인 색채가 짙어져 문예 활동으로서의 측면은 점차 옅어졌다.
하지만 누보 로망은 본래 당파성이 옅었고, 개별 작가의 작품 자체도 모더니즘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소설이라는 장르 자체의 진보를 목표로 한 것이었다. 따라서 텔 켈파 이후 개별 작가는 각자의 방법론에 더욱 침잠해 들어가, 결과적으로 상업주의와는 완전히 상반되는 것이면서도, 더없이 심오하고, 소설적인 언어에 의해서만 도달할 수 있는 사상적인 영역을 개척하게 되었다.
3. 주요 작가
알랭 로브그리예는 소설의 본질과 미래에 대한 에세이들을 통해 누보 로망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그는 줄거리, 행동, 서술, 아이디어, 등장인물에 초점을 맞춘 이전 소설들을 구식으로 여기고, 사물에 초점을 맞춘 소설을 이상적인 "누보 로망"으로 제시했다.[3]
장 리카르두는 이론과 창작 양면에서 누보 로망에 기여했다.[5] 그는 ''[https://jeanricardou.org/collection-lintegrale/tome-3/ Problèmes du Nouveau Roman]''(1967), ''[https://jeanricardou.org/collection-lintegrale/tome-5/ Pour une théorie du Nouveau Roman]''(1971) 등 이론 작품 외에도 ''칸의 관측소''(1961), ''콘스탄티노플의 함락''(1965) 등 누보 로망 작품을 출판했다.[5] 1971년 세리시에서 열린 누보 로망 관련 컨퍼런스 및 토론을 조직하고 회의록을 출판하기도 했다.[5]
넓게는 사무엘 베케트, 마르그리트 뒤라스도 누보 로망 작가로 분류되기도 한다.[8]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알랭 로브그리예와 함께 알랭 레네 감독의 《히로시마 내 사랑》(1958), 《지난 해 마리엔바드에서》(1961) 등 영화 작업에 참여하여 좌안파 영화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6]
누보 로망 작가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특징 및 기법
누보 로망은 작가의 세계관을 강요하기보다 독자가 텍스트를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구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의식의 흐름 서술'(나탈리 사로트), '이인칭 소설'(미셸 뷔토르), '객관적인 사물 묘사'(로브-그리에) 등 다양한 기법이 활용된다.
장 리카르두는 누보 로망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인물로, 여러 저술과 컨퍼런스를 통해 누보 로망을 체계화했다.[5] 누보 로망은 명확한 조직이나 선언은 없었지만, 알랭 로브그리예의 평론집 『새로운 소설을 위하여』(''Pour un'' '''Nouveau roman'''[8])를 통해 이론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1960년대 후반, 누보 로망은 필리프 솔레르스를 중심으로 한 텔 켈파에 의해 계승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텔 켈파의 정치화로 문학적 측면은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누보 로망은 개별 작가들의 심오한 방법론을 통해 소설 장르 자체의 진보를 이끌었다.
5. 다른 예술 분야에 미친 영향
5. 1. 영화
마르그리트 뒤라스와 알랭 로브그리예는 좌안파 영화(프랑스 누벨바그의 일부로도 분류됨)에 참여하면서 누보 로망은 영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알랭 레네 감독과 협업하여 《히로시마 내 사랑》(1958)과 《지난 해 마리엔바드에서》(1961)와 같은 비평적으로 성공한 작품들을 만들었다. 이후 이들은 자신만의 영화를 연출하기도 했다.[6]
5. 2. 캐나다 퀘벡 문학
누보 로망은 자크 고드부트, 제라르 베세트 등 퀘벡의 프랑스어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캐나다 태생의 프랑스 작가 낸시 휴스턴은 《잃어버린 북쪽(Nord Perdu)》(1999)에서 누보 로망의 엄격한(stark) 스타일에 대한 직접적인 반작용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밝혔다.[6]
6. 비판
누보 로망은 난해하고 실험적인 기법 때문에 대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누보 로망이 지나치게 형식에 치중하여 내용의 깊이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독자는 주어진 "텍스트"를 스스로 조합하고 추론하면서 이야기나 주제를 구축해야 하므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9]
참조
[1]
백과사전
The Oxford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
학술지
La Jalousie, d'Alain Robbe-Grillet Tropismes, de Nathalie Sarraute
http://www.lemonde.f[...]
1957-05
[3]
서적
For a New Novel: Essays on Fiction
Grove Press, Inc.
[4]
웹사이트
French literature - Toward the nouveau roman
https://www.britanni[...]
[5]
서적
Jean Ricardou. De Tel Quel au Nouveau Roman textuel
Rodopi
[6]
문서
Le cinéma français depuis la nouvelle vague
Fernand Nathan/Alliance Française
[7]
웹사이트
LA JALOUSIE, d'Alain Robbe-Grillet TROPISMES, de Nathalie Sarraute
https://web.archive.[...]
www.lemonde.fr
2019-09-21
[8]
웹사이트
Pour un nouveau roman
http://www.leseditio[...]
www.leseditionsdeminuit.fr
2019-09-21
[9]
웹사이트
Nouveau roman versus Tel Quel
https://web.archive.[...]
www.college-de-france.fr
2019-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