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스 포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스 포위전은 프랑수아 1세와 오스만 제국이 합스부르크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해 벌인 군사 작전으로, 1543년 8월에 시작되었다.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은 동맹을 맺고 하이레딘 바르바롯사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와 프랑스군이 마르세유에서 합류하여 니스 시를 공격했다. 니스 시민들의 저항과 카트린 세귀란의 전설이 전해지지만, 오스만군은 철수하고 툴롱에서 겨울을 보냈다. 니스 포위전 이후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사보이 공국은 해안 방어를 강화했다. 니스 포위전은 16세기 유럽의 종교적, 정치적 갈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니스 포위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분쟁 | 이탈리아 전쟁 (1542년~1546년) |
날짜 | 1543년 8월 6일~22일 |
장소 | 사보이아 공국 니스 |
결과 | 신성 로마 제국-사보이아 연합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신성로마제국 스페인 제국 사보이아 공국 제노바 공화국 |
교전국 2 | [[파일:Flag of the Ottoman Empire (1453-1844).svg|24px]] 오스만 제국 프랑스 왕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카를 5세 카를로 3세 안드레아 도리아 알폰소 다발로스 |
지휘관 2 | [[파일:Flag of the Ottoman Empire (1453-1844).svg|24px]] 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 [[파일:Flag of the Ottoman Empire (1453-1844).svg|24px]] 살라 라이스 프랑수아 드 부르봉 |
병력 규모 | |
병력 2 | [[파일:Flag of the Ottoman Empire (1453-1844).svg|24px]] 갤리선 100척 [[파일:Flag of the Ottoman Empire (1453-1844).svg|24px]] 병력 30,000명 갤리선 50척 |
피해 규모 | |
피해 1 | 니스: 5,000명 생포, 구원군: 갤리선 4척 |
시각 자료 | |
![]() | |
![]() |
2. 배경
16세기 초,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은 이탈리아 반도를 둘러싸고 치열하게 경쟁하였다.
2. 1.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의 동맹
프랑수아 1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항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대제와 동맹을 맺었다. 이는 유럽 역사상 기독교 국가와 이슬람 국가 간의 최초의 동맹 중 하나로 간주된다.[6] 폴랭 선장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파견되어 오스만 제국과의 군사 협력을 요청했다.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은 스페인군에 맞서 지중해에서 적극적으로 해군 협력을 벌였다.[5] 앙기앵 백작 프랑수아가 이끄는 프랑스군과 하이레딘 바르바롯사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1543년 8월 마르세유에서 처음 합류했다.[5] 니스 지역이 속해 있던 사보이 공국은 1세기 동안 프랑스의 보호령이었지만, 프랑수아 1세는 연합군과 함께 니스 시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 이유는 사보이 공작 샤를 3세가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와 결혼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동맹이 되었기 때문이다.[6]
프랑수아 드 부르봉은 이미 한 차례 니스에 기습 공격을 시도했지만 안드레아 도리아에게 격퇴당한 적이 있었다.[7] 프랑수아 1세와 쉴레이만 1세 사이의 합의에 따라, 콘스탄티노폴리스 주재 프랑스 대사 폴랭 선장의 중재로, 하이레딘 바르바롯사 휘하의 110척의 갤리선 함대가 1543년 5월 중순 마르마라해에서 출발했다.[9] 그는 6월 한 달 동안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남부 해안을 약탈했으며, 6월 29일에는 테베레강 하구에서 로마 앞에 정박했다. 폴랭은 로마에 대한 공격은 없을 것이라고 안심시켰다.[9]
바르바롯사는 프랑스 대사 폴랭과 함께 7월 5일 생토노라 섬에 도착했다. 오스만 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프랑스 측에서 거의 준비된 것이 없었기 때문에, 폴랭은 마롤르에서 프랑수아 1세를 만나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파견되었다.[8] 그동안 바르바롯사는 7월 10일 툴롱 항구로 이동한 후, 7월 21일 마르세유 항구에서 환영받았으며, 그곳에서 마르세유 총독 휘하의 프랑스 군대와 합류했다.[9][10] 연합 함대는 8월 5일 마르세유에서 출항했다.[2]
2. 2. 사보이 공국의 입장
사보이 공국은 1세기 동안 프랑스의 보호령이었으나, 사보이 공작 샤를 3세가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와 결혼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동맹이 되자 프랑수아 1세가 분노하였다.[6]3. 니스 포위전의 전개
1543년 프랑스 왕국의 프랑수아 1세는 사보이아 공국이 합스부르크가와 동맹을 맺자 분노하여,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에게 군사 협력을 요청했다.[29] 지중해에서 합스부르크 스페인에 맞서기 위해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 간 해군 협력이 활발했기 때문이다.[28]
프랑수아 1세는 이전에 제노바 출신 안드레아 도리아에게 니스 공격을 격퇴당한 적이 있었다.[30]
이에 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가 1543년 8월 마르세유에서 프랑스 함대와 합류하여 니스를 공격하게 되었다.
3. 1. 오스만 함대의 도착과 프랑스군의 합류
지중해에서 합스부르크 스페인 군대에 맞서기 위해 프랑스-오스만 제국 간 해군 협력이 활발하던 중, 프랑스 왕국의 프랑수아 1세는 앙투안 에스칼랭 데 제마르 대사를 통해 쉴레이만 1세에게 군사 협력을 요청했다. 이에 1543년 8월 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가 지휘하는 오스만 함대가 마르세유에서 프랑스 함대와 처음 합류하였다.[28]프랑수아 1세와 쉴레이만 대제 사이의 군사 합의와 콘스탄티노플 주재 프랑스 대사인 폴랭 선장의 개입으로, 오스만 제국의 제독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은 갤리선 110척을 이끌고 1543년 5월 중순 마르마라해를 출항하였다.[31]

6월 한 달간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남부 해안을 습격한 후, 6월 29일 로마의 티베르강 하구에 정박하였다. 폴랭 선장은 교황령 측에 오스만군이 로마를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안심시키는 서한을 보냈다.[31]
바르바로스는 7월 5일 프랑스 대사 폴랭과 함께 생토노라섬 (Saint-Honorat)에 도착했다. 프랑스 측에서 오스만 함대의 지원을 위해 준비한 것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폴랭은 마롤 (Marrolles)로 가서 프랑수아 1세를 알현하여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32]
한편 바르바로스는 7월 10일 툴롱 항구를 거쳐 7월 21일 마르세유 항구에서 귀한 대접을 받으며 마르세유 총독 앙기앙 백작 프랑수아가 지휘하는 프랑스군에 합류하였다.[33][34] 프랑스-오스만 연합 함대는 8월 5일 마르세유를 출항하여 니스로 향했다.[26]
3. 2. 니스 공격과 전투
1543년 8월 6일, 프랑수아 1세와 쉴레이만 대제의 동맹으로 프랑스-오스만 연합군은 니스 시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 작전에는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이 이끄는 오스만 갤리선 110척과 프랑스 갤리선 50척이 동원되었다.[38] 오스만군은 니스 동쪽으로 6km 떨어진 빌프랑슈를 점령하고 파괴했다.[35]니스 시는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으며, 8월 15일부터 본격적인 전투가 시작되었다. 니스 시민들은 완강하게 저항했고, 특히 카트린 세귀란이라는 여인이 큰 활약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8월 22일, 니스 시는 항복했지만, 시미즈성은 프랑스 측이 오스만군에 화약을 충분히 보급하지 못해 함락되지 않았다.[39][40][41]

9월 8일, 시미즈성을 점령하기 위한 큰 전투가 다시 벌어졌으나, 합스부르크군의 진군 소식을 들은 연합군은 퇴각했다. 사보이아 공국의 카를로 3세 공작은 피에몬테에서 군대를 일으켜 도시를 해방하려 했고, 안드레아 도리아의 함대를 타고 온 구원군이 빌프랑슈에 상륙하여 니스성으로 향했다.[43]
일부 기록에 따르면, 퇴각 전날 밤 오스만군이 도시를 약탈하고 불태운 뒤 5,000명의 포로를 잡았다고 한다.[26] 그러나 스페인 측 기록과 프랑스 원수 비에유빌은 도시를 불태운 것은 프랑스군이었다고 증언했다.[44]

카트린 세귀란은 1543년 니스 포위전에서 튀르키예 침략군을 격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전해지는 민속 영웅이다. 당시 니스는 사보이아 공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상비군이 없었지만, 평범한 세탁부였던 카트린 세귀란이 마을 사람들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여 오스만군의 기수를 빨래방망이로 쓰러뜨리고 군기를 빼앗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지만 카트린 세귀란의 실존 여부와 영웅담은 확실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역사학자 장 바다는 카트린의 전투 참여 기록을 남기지 않았으며, 니스 방어전은 마을 사람들이 다리를 파괴하고 사보이 공작 카를로 3세의 군대가 입성하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사의 기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트린 세귀란의 전설은 니스 지역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녀를 기리는 문학과 예술 작품이 만들어졌다. 1923년에는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 부조가 세워졌고, 매년 11월 25일 성 카타리나 축일에는 '카트린 세귀란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
3. 3. 카트린 세귀란 전설
카트린 세귀란 (프로방스 방언의 니스 방언으로 ''Catarina Ségurana'')은 1543년 여름 프랑수아 1세와 동맹을 맺은 튀르키예 침략자들의 니스 포위 공격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니스 출신의 민간 영웅이다. 당시 니스는 프랑스와 독립된 사보이의 일부였으며, 도시를 방어할 상비군이 없었다.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카트린 세귀란은 평범한 빨래꾼이었지만, 시민들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했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기수를 빨래 방망이로 기절시키고 그의 깃발을 빼앗았다고 한다.[42]카트린의 존재는 확실히 증명된 적이 없으며, 그녀의 영웅적인 행위는 순전히 허구이거나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니스 포위 공격을 목격한 역사학자 장 바다트는 그녀의 방어 참여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역사적으로 증명된 니스 방어에는 시민들이 중요한 다리를 파괴한 것과 사보이 공작 샤를 3세가 소집한 군대의 도착이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트린 세귀란의 전설은 지역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루이 안드리올리는 1808년에 그녀에 대한 서사시를 썼고, 장 밥티스트 토셀리는 1878년에 그녀의 이야기를 담은 연극을 썼다. 1923년, 그녀의 업적이 있었다고 추정되는 장소 근처에 카트린을 기리는 부조 기념비가 세워졌다. 니스에서는 매년 11월 25일 성 카타리나 축일에 맞춰 카트린 세귀란의 날을 기념한다.
3. 4. 오스만 함대의 철수와 약탈
1543년 9월 8일, 합스부르크 군의 진군 소식을 들은 프랑스-오스만 연합군은 퇴각을 결정했다. 사보이아 공국의 통치자 카를로 3세는 피에몬테에서 군대를 일으켜 도시 해방을 시도하고 있었다.[43] 안드레아 도리아의 함대를 타고 온 구원군은 빌프랑슈에 상륙한 뒤 니스성으로 향했다.[31]일부 기록에 따르면, 퇴각 전날 밤 바르바로스의 오스만군이 도시를 약탈하고 일부를 불태운 뒤 5,000명의 포로를 잡았다고 한다.[26] 그러나 스페인 측 기록에서는 도시를 불태운 것은 프랑스군이었다고 만장일치로 기록하고 있으며, 프랑스 원수 비에유빌은 "그 사건이 벌어질 때 바르바로스의 군대는 이미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비난해선 안 된다. 프랑스의 명예와 평판, 그야말로 기독교계 자체를 지키기 위하여 불행한 바르바로스에게 떠넘겼던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며 프랑스 측의 책임을 인정했다.[44]
니스 포위전 당시 바르바로스는 프랑스 함대의 장비와 물자가 엉망이라며 불만을 표했다. 특히 "선원이라는 작자들이 나무통에 화약가루 대신 포도주를 채워넣는가"라는 말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45][46] 그러나 안드레아 도리아가 구원군을 상륙시킨 후 폭풍우로 갤리선 4척을 잃는 위기에 처했음에도 공격하지 않고 주저하는 모습을 보인 점은 설명되지 않는데,[47]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바르바로스와 도리아 사이에 암묵적인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1]
3. 5. 오스만 함대의 툴롱 월동
프랑수아 1세는 니스 포위전에서 승리한 오스만 제국 함대에게 툴롱에서 겨울을 보낼 것을 제안했다. 이는 오스만 함대가 신성 로마 제국, 특히 스페인과 이탈리아 연안을 계속 공격하고 양국 간의 교류를 방해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프랑수아 1세는 바르바로스에게 프랑스에서 겨울을 보내면 튀니스 정복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48]
갤리선 110척과 3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프랑스에서 겨울을 보내게 된 오스만 함대는 툴롱 항구를 기지로 삼아 살라 라이스 제독의 지휘 아래 스페인과 이탈리아 연안을 공격했다.[49][50] 이들은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와 이탈리아의 산레모, 보르게토산토스피리토, 체리알레를 습격하고 이탈리아-스페인 해군의 반격을 격파했다.[51] 바르바로스는 전 함대를 이끌고 제노바로 가서 안드레아 도리아 제독과 함께 투르구트 레이스의 석방 협상을 벌였다.[52] 프랑스는 오스만군이 툴롱에 머무는 6개월 동안 빵을 공급했으며, 다음 여름 원정과 콘스탄티노플로 돌아가는 데 필요한 식량으로 약 10,000톤에 달하는 빵을 제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31]
그러나 많은 유럽 열강들이 기독교 세력에 맞서는 동맹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기 때문에 프랑수아 1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협력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53] 양국 관계는 여전히 의심스럽고 긴장된 상태였다.[54]
4. 니스 포위전의 결과 및 영향
니스 포위전은 유럽 강대국들 간의 복잡한 관계와 종교적 갈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특히 프랑스 왕국과 오스만 제국의 동맹은 당시 유럽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프랑수아 1세는 합스부르크 스페인에 맞서기 위해 쉴레이만 1세에게 군사 협력을 요청했고, 1543년 8월 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가 마르세유에서 프랑스 함대와 합류했다.[28]
프랑수아 1세는 사보이아 공국의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이 합스부르크 가문과 동맹을 맺은 것에 분노하여 니스 공격을 결정했다. 이전에도 니스 공격을 시도했으나 안드레아 도리아의 함대에 격퇴당한 적이 있었다.[29][30]
공성전 이후, 프랑수아 1세는 오스만 함대가 툴롱에서 겨울을 보내도록 제안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이 신성 로마 제국, 특히 스페인과 이탈리아 해안을 계속 공격하고, 프랑스가 튀니스 재정복을 지원받기 위함이었다.[9] 오스만 함대는 툴롱을 기지로 삼아 스페인과 이탈리아 해안을 공격했으며, 제노바에서는 안드레아 도리아와 협상하여 투르구트 레이스를 석방시켰다.[23] 프랑스는 오스만 군대에 식량을 제공하며 지원했다.[9]
그러나 많은 유럽 국가들이 기독교 세력에 대한 이 동맹에 불만을 품었기 때문에, 프랑수아 1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협력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24] 두 동맹국 간의 관계는 긴장되고 의심스러운 상태로 유지되었다.[16]
4. 1.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간의 평화 조약
1544년 9월 18일 크레피에서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사이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1545년 11월 10일에는 합스부르크와 오스만 제국 사이에 휴전 조약이 체결되었다.[55] 합스부르크 황제 카를 5세는 오스만 제국의 니스 정복을 승인하였다. 프랑수아 1세 사후 1547년 6월 13일에 양국 간의 공식적인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40]4. 2. 사보이 공국의 방어 강화
1543년 니스 포위전을 겪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공작은 니스 일대의 해안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요새를 구축했다. 이때 지어진 대표적인 요새로는 니스성, 몽탈방 요새, 생텔므드빌프랑슈성 등이 있다.
4. 3. 유럽 정치에 미친 영향
니스 포위전은 유럽 강대국들 간의 복잡한 동맹 관계와 종교적 갈등을 보여준다. 특히 프랑스 왕국과 오스만 제국의 동맹은 당시 유럽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프랑수아 1세는 합스부르크 스페인에 맞서기 위해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에게 군사 협력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1543년 8월 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가 마르세유에서 프랑스 함대와 합류했다.[28]프랑수아 1세는 사보이아 공국의 카를로 3세 디 사보이아 공작이 합스부르크 가문과 동맹을 맺은 것에 분노하여 니스 공격을 결정했다.[29] 이전에도 니스 공격을 시도했으나 안드레아 도리아의 함대에 격퇴당한 적이 있었다.[30]
공성전 이후, 프랑수아 1세는 오스만 함대가 툴롱에서 겨울을 보내도록 제안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이 신성 로마 제국, 특히 스페인과 이탈리아 해안을 계속 공격하고, 프랑스가 튀니스 재정복을 지원받기 위함이었다.[9] 오스만 함대는 툴롱을 기지로 삼아 스페인과 이탈리아 해안을 공격했으며, 제노바에서는 안드레아 도리아와 협상하여 투르구트 레이스를 석방시켰다.[23] 프랑스는 오스만 군대에 식량을 제공하며 지원했다.[9]
그러나 많은 유럽 국가들이 기독교 세력에 대한 이 동맹에 불만을 품었기 때문에, 프랑수아 1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협력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24] 두 동맹국 간의 관계는 긴장되고 의심스러운 상태로 유지되었다.[16]
1544년 9월 18일 크레피에서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간의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16] 1545년 11월 10일에는 합스부르크와 오스만 제국 간의 휴전이 체결되었다.[16] 합스부르크 황제 카를 5세는 오스만 제국의 새로운 정복을 인정했고, 1547년 6월 13일에 공식적인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6]
니스 포위전의 결과, 해안 방어가 강화되었으며, 특히 니스 성과 몽 알방 요새, 빌프랑슈의 생 엘름 요새가 건설되었다.
5. 니스 포위전에 대한 역사적 평가 및 의의
니스 포위전은 16세기 유럽의 복잡한 종교적, 정치적 갈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특히, 프랑수아 1세가 이끄는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의 이례적인 동맹은 종교보다 국익을 우선하는 현실 정치의 모습을 보여준다.
카트린 세귀란은 니스 포위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전해지는 니스 지역의 민속 영웅이다. 당시 사보이아에 속해 상비군이 없었던 니스를 지키기 위해 평범한 세탁부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을 사람들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했다고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빨래 방망이로 오스만군의 기수를 쓰러뜨리고 군기를 빼앗았다고 한다.
하지만, 카트린 세귀란의 실존 여부와 그녀의 영웅담은 역사적으로 확실하게 증명되지 않았으며,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니스 포위전을 직접 목격한 역사학자 장 바다(Jean Badat)는 카트린이라는 여자가 전투에 참여했다는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니스 방어전은 마을 사람들이 도시 곳곳의 다리를 파괴하고 사보이 공작 카를로 3세가 소집한 군대가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트린 세귀란의 전설은 지역 주민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1808년 루이 안드리올리(Louis Andrioli)는 그녀에 대한 서사시를 썼고, 1878년 장 밥티스트 토셀리(Jean-Baptiste Toselli)는 그녀를 주인공으로 한 희곡을 썼다. 1923년에는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 부조가 세워졌으며, 니스에서는 매년 11월 25일 성 카타리나 축일에 '카트린 세귀란의 날'을 함께 기념하고 있다.[1]
참조
[1]
서적
Cartography in the Traditional Islamic and South Asian Socie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12-02
[2]
서적
Penny Cyclopae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https://books.google[...]
2016-12-02
[3]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Around I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6-12-02
[4]
책
https://books.google[...]
[5]
서적
A New General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016-12-02
[6]
문서
McCabe, p.42
[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Renaissance France: 1483-1610
https://books.google[...]
Wiley
2016-12-02
[8]
서적
The Court and Reign of Francis the First, King of Fra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9-23
[9]
책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Kenneth Meyer Setton
[10]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12-02
[11]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16-12-02
[12]
서적
Subjects of the Sultan: Culture and Daily Life in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6-12-02
[13]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2-02
[14]
문서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p.328
[15]
서적
Firearms of the Islamic World: In the Tared Rajab Museum, Kuwai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6-12-02
[16]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Turk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mpire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2016-12-02
[17]
문서
McCabe, p.41
[18]
문서
McCabe, p.43
[19]
서적
Penny Cyclopae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https://books.google[...]
2016-12-02
[20]
서적
The Sultan's Admiral: The Life of Barbarossa
https://books.google[...]
[21]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 Sultan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2016-12-02
[22]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 Sultan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2016-12-02
[23]
서적
Piracy: The Complete History - Angus Konstam - Google 图书
https://books.google[...]
2015-07-01
[24]
책
https://books.google[...]
[25]
서적
Cartography in the Traditional Islamic and South Asian Societies
https://books.google[...]
2016-12-02
[26]
서적
Penny Cyclopae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https://books.google[...]
2016-12-02
[27]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Around It
https://books.google[...]
2016-12-02
[28]
서적
A New General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2016-12-02
[29]
문서
McCabe, p.42
[3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Renaissance France: 1483-1610
https://books.google[...]
Wiley
2016-12-02
[31]
책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Kenneth Meyer Setton
[32]
서적
The Court and Reign of Francis the First, King of Fra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9-23
[33]
책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Kenneth Meyer Setton
[34]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12-02
[35]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16-12-02
[36]
서적
Subjects of the Sultan: Culture and Daily Life in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5-11-29
[37]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4-25
[3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39]
서적
Firearms of the Islamic World: In the Tared Rajab Museum, Kuwai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5-11-15
[40]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Turk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mpire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The Sultan's Admiral: The Life of Barbarossa
https://books.google[...]
[45]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Turk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mpire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46]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 Sultan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2008-11
[47]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48]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49]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50]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 Sultan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2008-11
[51]
서적
Firearms of the Islamic World: In the Tared Rajab Museum, Kuwai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5-11-15
[52]
서적
Piracy: The Complete History - Angus Konstam - Google 图书
https://books.google[...]
[53]
서적
https://books.google[...]
[54]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Turk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mpire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55]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Turk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mpire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