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지마 스케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지마 스케요시는 1847년에 태어나 보신 전쟁에 참전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사가의 난에 포로가 되기도 했다. 청일 전쟁,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훈1등 서보장, 훈1등 욱일대수장 등을 수여받았다. 1907년 남작 작위를 받았고, 1909년에는 대한제국으로부터 대훈위이화대수장을 수여받았다. 1916년 퇴역 후 1933년 사망했다. 그는 노기 마레스케의 자살 미수 사건에 대한 증언을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조슈번 사람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막말 조슈번 사람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대한제국 통감으로서 한국 병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국의 국권 침탈이라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 공4급 금치훈장 수훈자 - 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마코토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대신,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 등을 역임하며 해군력 확장, 문화 통치 추진, 만주국 승인, 국제연맹 탈퇴 등의 행적을 남겼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 공4급 금치훈장 수훈자 - 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총독을 역임했으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수상 취임에 실패하고 외무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 공2급 금치훈장 수훈자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공2급 금치훈장 수훈자 - 오쿠보 하루노
오쿠보 하루노는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고 한국주둔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고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한국 병합 이후 조선주둔군 사령관을 지냈다.
니시지마 스케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니시지마 스케요시 |
일본어 표기 | 니시지마 스케요시 (西島助義) |
![]() | |
출생 | 1847년 10월 11일 |
출생지 | 조슈번 |
사망 | 1933년 2월 8일 (85세) |
군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73년 - 1911년 |
최종 계급 | 중장 |
서명 | |
훈장 |
2. 생애
1847년 조슈번에서 번사의 자제로 태어났다. 보신 전쟁 때 분대장으로 출정하였고, 메이지 유신 이후 1873년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893년 보병 제11연대장으로 청일 전쟁에 출정하였다. 1894년 보병 대좌, 1896년 보병 제44연대장, 1897년 육군 교도단장, 1898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보병 제24여단장, 1900년 타이완 수비 혼성 제3여단장으로 근무하였다.
1902년 보병 제7여단장으로 러일 전쟁에 출정하여 난산 전투, 더리스 전투, 대석교 전투, 랴오양 전투에 참전하였다. 1904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 육군 대장 니시 간지로를 대신하여 제2사단장으로 봉천 전투에 참전하였다.
1905년 훈일등 서보장, 1906년 훈일등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7월 제6사단장으로 근무하였다. 1907년 청일, 러일 전쟁에서의 군공으로 남작 작위를 받았다. 1909년 대한제국의 대훈위이화대수장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9월 휴직, 1911년 후비역에 편입되었다. 1916년 퇴역했다.[1] 1933년 사망하였다.
2. 1. 초기 군 경력
1847년 조슈번 번사의 자제로 태어나 보신 전쟁 때 분대장으로 출정하였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3년 2월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874년 사가의 난에서는 반란군의 포로가 되기도 하였다.[1]2. 2. 청일 전쟁 참전
1893년 2월, 보병 제11연대장으로서 청일 전쟁에 참전하였다.[1] 1894년 11월에 보병 대좌로 진급하였고,[1] 1896년 12월에는 보병 제44연대장을 역임하였다.[1]2. 3. 러일 전쟁 참전
1902년 러일 전쟁에 보병 제7여단장으로 참전하였다. 난산 전투, 더리스 전투, 대석교 전투, 랴오양 회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였다.[1] 1904년에는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니시 간지로 대장을 대신해 제2사단장으로서 봉천 회전에 참전하였다.[1]2. 4. 전후 활동 및 사망
1905년 5월에 훈일등 서보장을 받았고, 1906년 4월에는 훈일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1] 같은 해 7월에 제6사단장으로 근무하였다. 1907년 9월 21일에는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의 공로로 남작 작위를 받았다.[1] 1909년 5월 26일에 대한제국으로부터 대훈위이화대수장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9월에 휴직하여 1911년 9월에 후비역(後備役)에 편입되었다.[1] 1916년 4월 1일에 퇴역하였다.[1]1933년 2월, 사망하였다. 향년 85세.[1]
3. 서훈 내역
니시지마 스케요시는 1894년 훈3등 서보장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1915년 대례기념장까지 여러 훈장을 받았다. 1907년에는 남작 작위를 받았다.
3. 1. 위계
- 1885년 7월 25일 - 종6위
- 1892년 3월 28일 - 정6위
- 1895년 2월 13일 - 종5위
- 1898년 4월 30일 - 정5위
- 1903년 5월 30일 - 종4위
- 1905년 6월 9일 - 정4위
- 1908년 7월 10일 - 종3위
- 1909년 9월 20일 - 정3위
3. 2. 훈장 등
연도 | 훈격 |
---|---|
1894년 (메이지 27년) 5월 29일 | 훈3등 서보장 |
1895년 (메이지 28년) 10월 18일 | 공4급 금계훈장, 욱일중수장 |
1895년 (메이지 28년) 11월 18일 | 메이지 27-28년 종군기장 |
1905년 (메이지 38년) 5월 30일 | 훈1등 서보장 |
1906년 (메이지 39년) 4월 1일 | 공2급 금계훈장, 욱일대수장, 메이지 37-38년 종군기장 |
1907년 (메이지 40년) 9월 21일 | 남작 |
1909년 (메이지 42년) 9월 20일 | 대훈위 이화대수장 (대한제국) |
1915년 (다이쇼 4년) 11월 10일 | 대례기념장 |
4. 노기 마레스케 관련 증언
만년에 서남 전쟁 이후 노기 마레스케의 자살 미수 사건에 대해 언급하였다. 전쟁 후 노기는 적군에게 군기를 빼앗긴 불상사를 뉘우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노기가 할복하려는 현장을 목격한 니시지마는, 함께 있던 고다마 겐타로와 함께 필사적으로 설득하여 자살을 막았다. 이 사건은 세 사람만의 비밀이 되었지만, 메이지 천황에게 순사한 노기의 사후, 니시지마는 "고다마도 이미 죽었으니, 이제 와서 비밀로 할 필요는 없겠지."라며 비화를 후세에 전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官報
1916-04-22
[2]
간행물
官報
1885-10-06
[3]
간행물
官報
1892-03-29
[4]
간행물
官報
1895-02-14
[5]
간행물
官報
1898-05-02
[6]
간행물
官報
1903-06-01
[7]
간행물
官報
1905-06-10
[8]
간행물
官報
1908-07-11
[9]
간행물
官報
1909-09-21
[10]
간행물
官報
1894-05-30
[11]
간행물
官報
1895-10-19
[12]
간행물
官報
1896-06-30
[13]
간행물
官報
1905-05-31
[14]
간행물
官報
1906-12-30
[15]
간행물
官報
1907-09-23
[16]
간행물
官報
1916-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