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닐로 로마노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대공의 아들로,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의 공작이었다. 1205년 아버지의 사망 후 공작에 즉위했으나 귀족들의 음모로 쫓겨났고, 이후 갈리치아와 볼히니아를 탈환했다. 1238년 튜턴 기사단을 물리쳤으며, 1240년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키예프 대공국이 멸망한 후 유럽 각국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1253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대공으로 임명되어 몽골 제국에 대항했으나, 1259년 항복했다. 1260년 킵차크 칸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소규모 전투를 벌이다가 1264년 사망했다. 그는 야로슬라프 전투에서 연합군을 격파하여 세력을 과시했고, 리비우와 홀름 도시 건설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테니아 국왕 - 카지미에시 3세
카지미에시 3세는 분열된 폴란드를 통일하고 내정 개혁과 외교적 수완으로 폴란드 왕국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야기엘론스키 대학교를 설립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한 폴란드의 국왕이다. - 모노마흐가 - 야로폴크 2세
야로폴크 2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132년부터 113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으나, 모노마흐 가문 내부 갈등과 스뱌토슬라프 가문의 도전, 그리고 폴로츠크 공국의 부흥으로 인해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며 키예프 대공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 모노마흐가 - 유리 돌고루키
유리 돌고루키는 12세기 루스 지역의 정치인으로, 로스토프-수즈달 공국을 다스리며 여러 도시를 건설하고 키예프 대공 자리를 놓고 다투었으며 모스크바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다닐로 로마노비치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다니일 |
다른 이름 | 다니일 갈리츠키, 다닐로 할리츠키 |
즉위 | 1253년 - 1264년 |
다음 통치자 | 레프 1세 |
왕조 | 류리크 가문의 로마노비치 분파 |
아버지 |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
어머니 | 비잔티움의 안나 |
출생일 | 1201년 |
사망일 | 1264년 |
사망 장소 | 홀름 |
왕위 계승 | |
통치 기간 | 1205년 - 1207년 |
이전 통치자 | 블라디미르 3세 이고레비치 |
다음 통치자 | 블라디미르 3세 이고레비치 |
통치 기간 | 1211년 - 1212년 |
이전 통치자 | 블라디미르 3세 이고레비치 |
다음 통치자 | 므스티슬라프 야로슬라비치 |
통치 기간 | 1230년 - 1232년 |
이전 통치자 | 헝가리의 안드라스 |
다음 통치자 | 헝가리의 안드라스 |
통치 기간 | 1233년 - 1234년 |
이전 통치자 | 헝가리의 안드라스 |
다음 통치자 | 미하일 체르니고프스키 |
통치 기간 | 1238년 - 1264년 |
이전 통치자 | 로스티슬라프 미하일로비치 |
다음 통치자 | 레프 1세 |
이전 통치자 | 알렉산드르 프세볼로도비치 |
다음 통치자 | 바실코 로마노비치 |
통치 기간 | 1215년 - 1238년 |
가족 | |
배우자 | 노브고로드의 안나 므스티슬라브나, 민다우가스 왕의 조카 |
자녀 | 이라클리 다닐로비치, 레프 1세, 로만 다닐로비치, 스바른 |
칭호 | |
칭호 | 루테니아 왕 |
통치 기간 | 1253년 – 1264년 |
후임 | 레프 1세 |
2. 생애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대공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비잔티움 제국의 공주 안나 에우포로시네 앙겔리나(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의 딸)이다.[3]
1205년 아버지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대공이 사망하면서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의 공작으로 즉위했지만, 귀족들의 음모로 인해 공국에서 쫓겨났다. 이후 귀족들이 장악하고 있던 갈리치아와 볼히니아를 탈환했고, 1238년에는 튜턴 기사단을 물리쳤다.[5] 1229년까지 아버지 사후 여러 공국으로 분열된 볼리니아 공국을 통일하고, 갈리치-볼리니아 대공국 재건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1238년, 헝가리 왕국과 갈리치 공국의 귀족 야당을 물리치고 갈리치를 탈환, 아버지가 건설한 갈리치-볼리니아 대공국을 재건하여 갈리치 공국의 자리에 앉으면서, 동생 바실리코 로마노비치에게 볼리니아 공국의 지배를 맡겼다.
1240년 몽골 제국 군대가 키예프를 정복하면서 키예프 대공국은 멸망했다.[6] 1246년 바투 칸은 키예프 대공국을 몽골 제국의 식민지로 삼았다. 이에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폴란드, 헝가리 등 유럽 각국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인노첸시오 4세 교황에게는 십자군을 결성해 줄 것을 요청했다. 1245년 야로슬라프 전투에서 다닐로의 군대는 헝가리-폴란드-갈리치 공국의 연합군을 대파하고 국내에서 자신의 정권을 안정시키고 유럽 여러 나라에 힘을 과시했다. 한편 도시 리비우와 홀름의 건설도 추진했다.
1253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대공으로 임명된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몽골 제국을 상대로 독립 전쟁을 벌였다. 처음에는 몇몇 전투에서 승리했지만,[12] 1259년 몽골군에 항복하고 만다.[8] 1256년 바투가 사망하자 독립을 선언하고, 바투의 부하인 쿠르름사가 이끄는 몽골 정권과 싸웠으나, 교황이 반 몽골 십자군을 호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하는 국왕이나 대공이 없었기 때문에, 다닐로는 자신의 힘으로 싸울 수밖에 없었다. 1257년 베르케가 즉위한 후, 1259년 노가이와 보롤다이가 이끄는 몽골군에 항복했다. 1260년 다시 킵차크 칸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소규모 전투를 반복하다가 1264년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와 통치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비잔티움 제국 공주 안나 에우포로시네 앙겔리나(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의 딸)이다.[3]1205년 아버지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대공이 사망하면서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의 공작으로 즉위했지만, 귀족들의 음모로 인해 공국에서 쫓겨났다. 1238년에는 튜턴 기사단을 물리쳤다.[5]
1240년 몽골 제국 군대가 키예프를 정복하면서 키예프 대공국은 멸망했다.[6] 1246년 바투 칸은 키예프 대공국을 몽골 제국의 식민지로 삼았다.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폴란드, 헝가리 등 유럽 각국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인노첸시오 4세 교황에게는 십자군을 결성해 줄 것을 요청했다.
1253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대공으로 임명된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몽골 제국을 상대로 독립 전쟁을 벌였다. 처음에는 몇몇 전투에서 승리를 기록했지만, 1259년 몽골 제국 군대에게 항복했다.
2. 2. 몽골의 침략과 대응
1240년 몽골 제국 군대가 키예프를 정복하면서 키예프 대공국은 멸망하였다.[7] 1246년 바투 칸은 키예프 대공국을 몽골 제국의 식민지로 삼았다. 이에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폴란드, 헝가리 등 유럽 각국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인노첸시오 4세에게는 십자군을 결성해 줄 것을 요청했다.[11]1253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대공으로 임명된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몽골 제국을 상대로 독립 전쟁을 벌였다. 처음에는 몇몇 전투에서 승리했지만,[12] 1259년 몽골군에 항복하고 만다.[8]
2. 3. 말년
1253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대공으로 임명된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몽골 제국을 상대로 독립 전쟁을 벌였다.[1] 처음에는 몇몇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1259년 몽골 제국 군대에게 항복했다. 1246년 몽골 제국의 킵차크 칸국은 다닐로의 대공국을 속국으로 만들었지만, 다닐로는 독립을 되찾기 위해 헝가리, 폴란드, 오스트리아, 보헤미아, 튜턴 기사단 등 유럽 여러 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1253년에는 교황 인노켄티우스 4세로부터 왕관을 받았고, 1256년 바투가 사망하자 독립을 선언, 바투의 부하인 쿠르름사가 이끄는 몽골 정권과 싸웠다. 그러나 교황이 반 몽골 십자군을 호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하는 국왕이나 대공이 없었기 때문에 다닐로는 자신의 힘으로 싸울 수밖에 없었다. 1257년 베르케가 즉위한 후, 1259년 노가이와 보롤다이가 이끄는 몽골군에 항복했다. 1260년 다시 킵차크 칸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소규모 전투를 반복하다가 1264년 병사했다.3. 유산
1998년 할리치시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13]
2011년 9월 7일, 우크라이나 의회(베르호브나 라다)는 "루테니아-우크라이나의 첫 번째 왕인 갈리치아의 다니엘 탄생 810주년 기념"에 관한 결의안을 발표했다.[14]
4. 가족 관계
구 분 | 내용 |
---|---|
배우자 | |
자매 | |
아들 | |
딸 |
5. 등장 작품
- 그라디우스 희망을 향한 탈환(2018년, 우크라이나, 배역: 세히 이알무셴코)
6. 위대한 우크라이나인
다닐로 로마노비치는 2008년 우크라이나 인테르 텔레비전 채널에서 선정한 "위대한 우크라이나인" 목록에서 34위를 차지했다.
순위 | 이름 | 주요 업적 |
---|---|---|
34 | 다닐로 로마노비치 |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의 대공, 몽골 제국에 대항 |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3-01
[2]
서적
Генеалогія Рюриковичів і Гедиміновичів
Avtor
1992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Russ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09-15
[4]
웹사이트
Daniel Romanovich {{!}} Prince of Ruthenia, Grand Prince of Kiev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28
[5]
웹사이트
Daniel Romanovich
https://www.britanni[...]
[6]
웹사이트
YATVYAGI
http://resource.hist[...]
[7]
웹사이트
The Mongol conquest of Volhynia and Galicia: Controversial and unresolved issues
https://www.research[...]
2015-03
[8]
웹사이트
Daniel of Galicia
http://resource.hist[...]
[9]
웹사이트
Danilo Romanovich
http://www.zvyagel.o[...]
[10]
서적
The Devil´s Horsemen. The Mongol Invasion of Europe
New York
[11]
서적
Royal and Republican Sovereignty in Early Modern Europe: Essays in Memory of Ragnhild Hatt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1-30
[12]
서적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1
[13]
웹사이트
Пам'ятник королю Данилу Галицькому — Галич - Галицька міська рада
http://www.galych-ra[...]
2022-01-11
[14]
법률
Law of Ukraine
http://zakon4.rad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