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강습상륙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목적 강습상륙함(LHD)은 헬리콥터 항공모함의 일종으로, 대형 항공모함보다는 작지만, 경항공모함보다는 큰 크기를 가진다. LHD는 함미에 도크를 갖추어 해리어 및 헬기 운용이 가능하며, 일부에서는 항공모함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주요 운용 국가로는 미국, 프랑스, 스페인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은 LHD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리콥터 모함 - 타라와급 강습상륙함
타라와급 강습상륙함은 헬리콥터와 상륙정 운용 능력을 갖춘 미국의 강습상륙함으로, 수륙 양용 작전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5척이 건조되어 상륙 부대와 장비를 수송하고 헬리콥터 및 상륙정을 통해 상륙 작전을 수행했으며, 2005년부터 퇴역하여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으로 대체되었다. - 헬리콥터 모함 - HMS 오션 (L12)
HMS 오션 (L12)은 영국 해군 헬리콥터 상륙함으로, 왕립 해병대 대대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18년 퇴역 후 브라질 해군에 매각되어 현재 기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 강습상륙함 - 타라와급 강습상륙함
타라와급 강습상륙함은 헬리콥터와 상륙정 운용 능력을 갖춘 미국의 강습상륙함으로, 수륙 양용 작전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5척이 건조되어 상륙 부대와 장비를 수송하고 헬리콥터 및 상륙정을 통해 상륙 작전을 수행했으며, 2005년부터 퇴역하여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으로 대체되었다. - 강습상륙함 - HMS 오션 (L12)
HMS 오션 (L12)은 영국 해군 헬리콥터 상륙함으로, 왕립 해병대 대대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18년 퇴역 후 브라질 해군에 매각되어 현재 기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다목적 강습상륙함 | |
---|---|
개요 | |
![]() | |
함종 | 강습상륙함 |
종류 | |
상륙함 | 헬리콥터 모함 |
설명 | |
강습상륙함 | 헬리콥터, 상륙정, 수직이착륙기 운용이 가능한 상륙함 |
같이 보기 |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미국 해군 |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프랑스 해군 |
캔버라급 강습상륙함 |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
독도급 강습상륙함 | 대한민국 해군 |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 미국 해군 |
관련 문서 |
2. 항공모함과의 비교
LHD는 항공모함의 기능을 일부 수행할 수 있으며, 크기는 중형 항공모함과 경항공모함 사이에 위치한다.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러시아 해군 참모총장은 조지아 전쟁 당시 26시간이 걸렸던 작전을 미스트랄함을 활용하면 40분이면 충분하다고 언급했다.[4]
2. 1. 크기 비교
LHD는 보통 대형 항공모함(예: 니미츠급 항공모함)과 중형 항공모함(예: 샤를 드골호)보다는 작지만, 경항공모함(예: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보다는 크다. 스페인의 SPS 후안 카를로스 1세는 LHD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경항모보다 크고 함미에 도크가 있어 해리어와 헬기 운용이 가능하다.[4]2. 2. 성능 비교
도크형 헬리콥터 항공모함(LHD)은 보통 대형 항모나 중형 항모보다는 작지만, 경항모보다는 크다. 따라서 LHD는 중형항모와 경항모 사이에 위치하며, 항공모함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스페인의 LHD인 SPS 후안 카를로스 1세(배수량 27000톤)는 대형항모인 니미츠급 항공모함(배수량 10만톤)과 중형항모인 샤를 드골호(배수량 4만톤)보다는 작지만, 경항모인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배수량 15000톤)보다는 크다.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는 SPS 후안 카를로스 1세보다 작고 함미에 도크가 없지만, LHD는 경항모보다 크고 함미에 도크가 있으며 해리어와 헬기 운용이 가능하다.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러시아 해군 참모총장은 LHD의 성능과 관련하여 "조지아 전쟁 당시 26시간이 걸렸던 모든 작전을 미스트랄함을 활용하면 40분에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4]
3. 운용 국가
미국 해군의 와스프급 강습상륙함(1987년), 프랑스 해군의 미스트랄함(2004년, 한국 조선소 건조), 스페인 해군의 SPS 후안 카를로스 1세(2009년)가 운용 중이다. 러시아 해군의 미스트랄함, 호주 해군의 캔버라급 강습상륙함, 이탈리아 해군의 트리에스테 (L9890)은 건조 중이다.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2005년, 한국 조선소 건조)과 일본 해상자위대의 휴가함(2007년)은 도크가 있는 헬리콥터 항공모함이지만, LHD로 불리지는 않는다.
3. 1. 현역 LHD
국가 | 함급 | 건조 연도 | 비고 |
---|---|---|---|
미국 해군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1987년 | |
프랑스 해군 | 미스트랄함 | 2004년 | 한국 조선소 건조 |
스페인 해군 | SPS 후안 카를로스 1세 | 2009년 | |
이탈리아 해군 | 트리에스테 (L9890) | 건조 중 |
3. 2. 건조 중인 LHD
- 러시아 해군의 미스트랄함 - 한국 조선소가 건조[1]
- 호주 해군의 캔버라급 강습상륙함[2]
- 이탈리아 해군의 트리에스테 (L9890)[3]
3. 3. LHD 특징을 가진 함정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은 2005년에 한국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1] 일본 해상자위대의 휴가함은 2007년에 건조되었다.[1]참조
[1]
웹사이트
Fact File: Amphibious Assault Ships - LHA/LHD/LHA(R)
http://www.navy.mil/[...]
2015-08-20
[2]
웹사이트
Amphibious Assault Ship (LHD)
http://www.navy.gov.[...]
2015-08-20
[3]
웹사이트
The Dokdo Class: an LHD for the ROK
http://www.defensein[...]
2007-07-05
[4]
뉴스
NATO 말려도… 佛, 러에 군함 판매
조선일보
2010-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