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코타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코타 전쟁은 1862년 미네소타에서 다코타족과 미국 정부 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이다. 1851년 체결된 조약으로 다코타족은 사냥터를 잃고 연금 지급 약속을 받았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인디언 관리국의 횡령과 백인 상인들의 착취로 다코타족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1862년 8월, 다코타족 젊은이들의 살인 사건을 계기로 다코타족은 로어 수 에이전시를 공격하며 전쟁이 시작되었다. 미군은 헨리 시블리 대령을 투입하여 반격에 나섰고, 우드 레이크 전투에서 승리한 후 다코타족 지도자 리틀 크로우는 도주했다. 전쟁 결과, 다코타족은 군사 재판을 거쳐 사형, 감금, 추방되었으며, 미네소타의 다코타족 보호구역은 폐지되었다. 38명의 다코타족이 처형된 맨카토 집단 처형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집단 처형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2년 분쟁 - 임술농민봉기
    1862년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으로 발생한 임술농민봉기는 탐관오리 처벌과 삼정개혁을 요구하며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정부의 개혁 추진에도 불구하고 사회 변혁의 전조가 되었다.
  • 1862년 분쟁 - 염군의 난
    1850년대부터 1860년대 청나라에서 발생한 염군의 난은 1851년 황하 대홍수로 인한 사회 혼란과 청 정부의 무능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장락행이 '부자를 죽이고 가난한 자를 돕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으킨 반란으로, 청나라 재정 고갈과 사회 불안정을 심화시켜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 미네소타주의 역사 -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은 2020년 미국 미니애폴리스에서 백인 경찰관 데릭 쇼빈이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목을 무릎으로 눌러 사망하게 한 사건으로, 인종차별과 경찰의 과잉 진압에 대한 항의 시위를 촉발하고 사회적, 법적, 정치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 미네소타주의 역사 - 미네소타 농민노동당
    미네소타 농민노동당은 1918년 창당되어 농부와 노동조합 보호를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1944년 미네소타 민주당에 흡수되어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으로 재창당되었다.
다코타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안톤 가그의 1904년 그림
안톤 가그의 1904년 그림 "뉴 울름 공격"
분쟁 시기1862년 8월 18일 – 1862년 9월 26일
위치미네소타주, 다코타 준주
결과미국 승리
관련 분쟁수족 전쟁, 미국 남북 전쟁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교전국 2다코타족
지휘관
미국에이브러햄 링컨
알렉산더 램지
헨리 헤이스팅스 시블리
존 포프 (군인)
다코타족리틀 크로우
샤코피 (처형)
레드 미들 보이스
만카토 (전사)
빅 이글 (항복)
컷 노즈 (처형)
전력
미국알 수 없음
다코타족알 수 없음
사상자 및 피해
미국미국 지원군 77명 사망
자원병 36명 사망
민간인 358명 사망
다코타족150명 사망
38명 처형
1865년 11월 11일 2명 추가 처형

2. 배경

1851년 미네소타 준주의 다코타 수족은 미국의 군사적 압력 아래 《트래버스 드 수 조약》과 《멘도타 조약》을 체결하여 광대한 전통 사냥터 9600km2를 166.5만달러의 일시금과 연금 약속을 받고 미국에 양도해야 했다.[19] 이들은 미네소타 강 유역의 좁은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되었으나, 사냥 기반의 생활 방식을 잃고 경제적으로 궁핍해졌다.

미국 정부는 약속한 연금(식량과 물자) 지급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18][50] 인디언 관리국 관리들의 부패와 횡령으로 인해 지급이 지연되거나 질 낮은 물품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았다.[20] 백인 상인들은 다코타족의 어려운 처지를 이용하여 식량을 비싸게 외상으로 판매하고, 그 대금을 연금에서 착취했다. 미국 정부는 다코타족에게 백인식 농업을 강요했지만, 대부분의 보호구역 토지는 농사에 부적합했고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고수하려는 다코타족의 문화와도 맞지 않았다.

1858년에는 리틀 크로우 등 부족 대표단이 워싱턴 D.C.를 방문하여 조약 이행을 요구했으나, 오히려 보호구역의 절반을 추가로 빼앗기는 1858년 다코타 조약 체결이라는 결과를 맞았다.[21] 급증하는 백인 정착민들은 다코타족의 땅을 농경지로 바꾸고 숲을 파괴했으며, 무분별한 사냥으로 들소와 같은 주요 사냥감을 고갈시켜 다코타족의 생계를 더욱 위협했다.[23]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연방 정부의 관심은 전쟁에 쏠렸고, 다코타족에 대한 연금 지급은 거의 중단되었다.[26][25] 1862년 여름, 극심한 흉작과 기근에 시달리던 다코타족은 식량 배급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27] 특히 상인 대표 앤드루 마이릭이 "배고프면 풀이나 자신의 똥을 먹으라"는 모욕적인 발언을 한 사건은 쌓여왔던 다코타족의 불만과 분노를 폭발시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30] 결국 1862년 8월, 지연되었던 연금 지급금이 도착했지만 이미 때는 늦어 다코타족의 봉기가 시작되었다.[34]

2. 1. 조약 체결과 강제 이주

미네소타주 동부에 거주하던 다코타족은 1837년, 1851년, 1858년 미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인해 광대한 토지를 미국에 넘겨주도록 압력을 받았다. 그 대가로 현금 연금, 채무 상환 등이 약속되었다.[18][50] 특히 1851년 7월 23일 체결된 트래버스 드 수 조약과 8월 5일 체결된 멘도타 조약은 다코타족에게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 조약들로 다코타족은 미네소타 준주 내 전통적인 사냥터 약 9600km2를 166.5만달러의 일시금과 연금 지급 약속을 받고 미국에 양도했다.[19]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다코타족에게 사냥터 상실은 생존의 위협이었으나, 미국 정부는 매년 식량 등을 연금으로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화폐 경제에 익숙하지 않은 다코타족 사회에서 일시금은 큰 의미가 없었고, 그마저도 백인 상인들과의 거래 과정에서 부당하게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조약에 따라 다코타족은 미네소타 강 상류를 따라 폭 32km, 길이 240km의 좁은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해야 했다.[19] 하지만 조약 비준 과정에서 미국 상원은 보호구역 설정에 관한 핵심 조항(각 조약의 제3조)을 일방적으로 삭제했다.[20] 더욱이 약속된 보상금과 연금 지급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금의 상당 부분은 다코타족이 상인들에게 진 빚을 갚는다는 명목으로 상인들에게 직접 지불되었는데, 이 빚은 종종 부풀려진 것이었다.[20] 인디언 관리국 관리들의 부패와 횡령도 심각하여, 연금 지급이 지연되거나 약속된 물품 대신 질 낮은 물품이 지급되기도 했다. 심지어 지급되어야 할 쇠고기 대신 닭 찌꺼기만 받은 경우도 있었다.

리틀 크로우, 다코타 추장


미국 정부는 다코타족에게 사냥 대신 농사를 짓도록 권유하며 농업을 받아들인 이들에게 벽돌집을 제공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다코타족은 전통적인 티피 생활을 고수하며 벽돌집을 창고 등으로 사용했다. 사냥터를 잃고 연금 지급도 부실해지면서 다코타족의 생활은 점점 더 궁핍해졌고, 백인 상인들이 제공하는 교역품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상인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다코타족에게 불리한 거래를 강요했다.

1858년 미네소타가 주로 승격되자, 리틀 크로우를 비롯한 다코타 대표단은 기존 조약 이행 문제를 협상하기 위해 워싱턴 D.C.를 방문했다. 그러나 협상 결과는 오히려 1858년 다코타 조약 체결로 이어져, 미네소타 강 북쪽의 보호구역 절반마저 추가로 상실하게 되었다.[21] 이 일로 인해 리틀 크로우는 부족 내에서 지도력에 큰 타격을 입었다.[22][23]

같은 시기, 미네소타의 백인 정착민 인구는 1850년 약 6천 명에서 1860년에는 17만 명 이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24] 정착민들은 다코타족에게서 빼앗은 땅을 타운십과 농경지로 나누어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벌목과 농업 활동은 다코타족의 생활 터전이었던 숲과 초원을 파괴했으며, 전통적인 사냥, 어업, 야생 쌀 채집 활동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정착민들의 무분별한 사냥으로 들소, 엘크, 사슴, 곰과 같은 야생 동물 개체 수도 급격히 줄어들어, 다코타족은 식량 확보는 물론 교역을 위한 모피를 구하는 것조차 어려워졌다.[23]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 남북 전쟁이 발발하자 연방 정부의 관심은 다른 곳으로 쏠렸고, 다코타족에게 약속된 연금 지급은 더욱 지연되거나 중단되었다.[26][25] 토지 상실, 계속되는 조약 위반, 연금 미지급, 인디언 관리관 토머스 갈브레이스(Thomas J. Galbraith)의 식량 배급 보류[27], 작황 실패로 인한 기근 등이 겹치면서 다코타족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상인들마저 남북 전쟁을 핑계로 더 이상 식량을 외상으로 주지 않으려 했다.[8][79] 1862년 1월, 다코타 문제 특별 위원으로 임명된 조지 E. H. 데이(George E. H. Day) 변호사는 링컨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인디언 관리들의 만연한 부정부패와 사기 행위를 고발하며, 지난 4년간 다코타족이 최소 10만달러 이상을 사취당했다고 보고하기도 했다.[28][29]

1862년 8월 초, 북부 시세톤(Sissetowan)과 와페톤(Wahpeton) 다코타 부족 대표들은 상부 수우 협정 지역(Upper Sioux Agency)에서 협상을 통해 식량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8월 15일, 남부 메데와칸톤(Mdewakanton)과 와페쿠테(Wahpekute) 부족이 하부 수우 협정 지역(Lower Sioux Agency)에서 식량 지원을 요청했을 때는 거절당했다. 인디언 담당관이자 미네소타 주 상원의원이었던 토머스 갈브레이스는 대가 없이는 이들에게 식량을 배급하지 않으려 했다. 다코타 대표단, 미국 정부 관리, 현지 상인들이 모인 회의에서 다코타 측은 상인 대표인 앤드류 J. 마이릭(Andrew J. Myrick)에게 식량을 외상으로 팔아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한 그의 대답은 "내가 아는 한, 그들이 배고프다면 풀이나 자신의 똥을 먹게 하라" (So far as I am concerned, if they are hungry let them eat grass or their own dung)는 것이었다고 전해진다.[30] 이 발언의 정확한 맥락은 역사적으로 불분명하지만[31], 굶주리던 다코타족에게 큰 모욕감을 주었다. 리틀 크로우는 이후 헨리 헤이스팅스 시블리 장군에게 보낸 편지에서 마이릭의 이 발언을 전쟁을 시작한 주요 이유 중 하나로 언급했다.[33] 1862년 8월 16일, 지연되었던 다코타족에 대한 조약 지급금이 세인트폴에 도착했고 다음 날 포트 리즐리로 이송되었으나, 이미 고조된 갈등을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34]

2. 2. 경제적 궁핍과 사회적 불만

1851년 7월 23일8월 5일, 미네소타 준주에 거주하던 다코타 수족은 미국의 군사적 압력 아래 《트래버스 드 수 조약》과 《멘도타 조약》이라는 두 개의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들을 통해 다코타족은 전통적인 사냥터 9600km2를 166.5만달러의 일시금과 교환하여 미국에 넘겨주고, 미네소타 강 상류를 따라 폭 32km, 길이 240km의 좁은 보호구역으로 이주하기로 합의했다.[19]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다코타족에게 사냥터 상실은 생존의 위협과 같았지만, 미국 정부는 그 대가로 매년 '연금' 형태의 식량(밀가루 등)과 물자를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18][50] 하지만 화폐 경제에 익숙하지 않았던 다코타족 사회에서 일시금은 큰 의미가 없었고, 이 돈마저 백인 상인들과 관리들에 의해 부채 상환 등의 명목으로 대부분 착취당했다.[20]

또한 미국 상원은 조약 비준 과정에서 보호구역 설정에 관한 각 조약의 제3조를 일방적으로 삭제했다.[20] 약속된 연금 지급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마저도 부패한 인디언 관리국 관리들에 의해 상당 부분이 횡령되었다. 심지어 지급되어야 할 쇠고기 대신 백인 장교들이 빼돌리고 남은 닭 찌꺼기만 지급된 경우도 있었다.

조약 체결 후, 미국 정부는 다코타족에게 수렵 생활을 포기하고 백인처럼 농사를 지으라고 권유하며, 농업을 받아들인 부족에게는 벽돌집을 제공했다. 그러나 다코타족 대다수는 전통적인 티피 생활을 고수했고, 벽돌집은 창고 정도로만 사용했다. 사냥터를 잃고 연금 지급마저 불확실해지자 다코타족의 생활은 점차 궁핍해졌고, 백인 상인들의 교역품에 의존하게 되었다. 백인 상인들은 이러한 약점을 이용해 식량을 외상으로 비싸게 팔고 그 대금을 정부가 지급할 연금에서 공제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챙겼다. 인디언 대리인들의 연금 지급 지연과 농사를 짓는 일부 인디언에게 식량을 우선 지급하는 차별은 다코타족의 굶주림을 더욱 심화시켰다.

1858년 미네소타가 주로 승격되자, 리틀 크로우를 포함한 다코타 부족 대표단은 기존 조약의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 워싱턴 D.C.를 방문했다. 그러나 협상 결과는 오히려 미네소타 강 북쪽의 보호구역 절반마저 추가로 빼앗기는 1858년 다코타 조약 체결이었다.[21] 이로 인해 다코타 공동체 내에서 리틀 크로우의 입지는 크게 약화되었다.[22][23]

한편, 미네소타 준주의 백인 정착민 인구는 1850년 6,077명에서 주 승격 2년 후인 1860년에는 172,072명으로 크게 증가했다.[24] 다코타족의 땅은 타운십 단위로 구획되어 백인 정착민들에게 분배되었다. 정착민들의 벌목과 농업 활동은 다코타족의 삶의 터전이었던 숲과 초원을 파괴했고, 이는 사냥, 어업, 야생 쌀 채집 등 전통적인 생계 활동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정착민들의 사냥으로 들소, 엘크, 사슴, 곰과 같은 야생 동물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다코타족은 식량 확보와 모피 거래를 통한 물품 확보가 모두 어려워졌다.[23]

연금 지급이 보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남북 전쟁 발발 이후 연방 정부는 전쟁에 집중하면서 다코타족에게 지급해야 할 돈과 식량 지급을 지연했다.[28][25][26] 다코타족에게 할당된 보호구역의 토지 대부분은 농사에 적합하지 않았고, 사냥감마저 사라지면서 공동체를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토지 상실, 연금 미지급(인디언 대리인들이 미 연방 정부의 동부 다코타에 대한 연금 지급을 지연했기 때문),[8] 과거 파기된 조약, 대리인 토마스 갈브레이스(Thomas Galbraith)의 식량 배급 보류로 인한 식량 부족,[27] 그리고 1862년의 극심한 흉작과 기근은 다코타족의 불만을 크게 고조시켰다. 상인들마저 남북전쟁으로 인해 정부의 지급이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식량 신용 제공을 거부하면서[8][79] 긴장은 1862년 여름 내내 고조되었다.[34]

1862년 1월 1일, 다코타 문제를 조사하던 특별 위원 조지 E. H. 데이(George E. H. Day)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인디언 사무국 관리들의 부패를 고발했다.

저는 과거 대리인들과 감독관에 의해 저질러진 수많은 법 위반과 사기 행위를 발견했습니다. 저는 2만달러에서 10만달러에 달하는 사기를 입증할 수 있으며, 제가 이 주와 위스콘신에서 방문한 인디언들이 지난 4년 동안 10만달러 이상을 사취당했다는 것을 어떤 합리적이고 지적인 사람에게도 납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컬렌 소령 감독관만 해도 그의 모든 친구들이 말하듯이 연봉 2000USD와 모든 대리인들의 연봉 1500USD로 4년 동안 10만달러 이상을 저축했습니다.[28]


데이는 북부 감독관인 클라크 월리스 톰슨(Clark Wallace Thompson) 역시 사기 혐의로 고발했다.[29]

1862년 8월 4일, 북부 시세톤(Sissetowan)과 와페톤(Wahpeton) 다코타 부족 대표들은 상부 수우 협정 지역(Upper Sioux Agency)에서 협상을 통해 일부 식량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8월 15일, 남부 메데와칸톤(Mdewakanton)과 와페쿠테(Wahpekute) 부족이 하부 수우 협정 지역(Lower Sioux Agency)에서 식량 지원을 요청했을 때는 거절당했다. 당시 인디언 담당관이자 미네소타 주 상원의원이었던 토마스 갈브레이스는 이들에게 대가 없이는 식량을 배급하지 않았다.

다코타 대표단, 미국 정부 관리, 현지 상인들이 모인 회의에서 다코타족은 상인 대표인 앤드류 J. 마이릭(Andrew J. Myrick)에게 굶주리는 부족민들을 위해 식량을 외상으로라도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마이릭은 So far as I am concerned, if they are hungry let them eat grass or their own dung|내가 아는 한, 그들이 배고프다면 풀이나 자신의 똥을 먹게 하라영어는 모욕적인 말로 거절했다.[30] 이 발언의 정확한 맥락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31] 당시 마이릭이 요새 마구간 바닥에서 굶주린 아이들에게 먹일 귀리와 풀을 찾던 다코타 여성들을 가리키며 말했다는 주장도 있다.[32]

마이릭의 발언은 리틀 크로우와 다코타족에게 깊은 모멸감을 주었고, 전쟁 발발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훗날 리틀 크로우는 헨리 헤이스팅스 시블리(Henry Hastings Sibley) 장군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존경하는 장군님께, 우리가 이 전쟁을 시작한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갈브레이스 소령 때문입니다. 우리는 정부와 큰 계약을 맺었지만, 우리가 얻는 것은 적고, 아이들이 굶어 죽을 때까지 식량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상인들, 특히 앤드류 J. 마이릭 씨가 인디언들에게 풀이나 자신의 배설물을 먹으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33]


1862년 8월 16일, 지연되었던 다코타족에 대한 조약 지급금이 세인트폴에 도착했고, 다음 날 포트 리들리로 이송되었다. 그러나 이미 고조된 다코타족의 봉기를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34]

2. 3. 앤드류 마이릭의 망언



1862년 여름, 다코타족은 극심한 식량 부족과 기근에 시달리고 있었다. 미국 남북 전쟁의 여파로 미 연방 정부가 약속한 연금과 식량 지급은 계속 지연되었고,[28][25][26] 토지 상실과 사냥감 감소로 자립적인 생계 유지도 어려워진 상황이었다.[23] 상인들은 정부 지급금이 제대로 도착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다코타족에게 식량을 외상으로 주는 것을 거부했다.[8][79] 이러한 상황에서 다코타족의 불만은 점점 커져갔다.[34]

1862년 8월 15일, 남부 메데와칸톤(Mdewakanton)과 와페쿠테(Wahpekute) 부족 대표들은 하부 수우 협정 지역(Lower Sioux Agency)에서 식량 지원을 요청했지만, 당시 인디언 담당관이자 미네소타 주 상원의원이었던 토머스 갤브레이스(Thomas J. Galbraith)는 대가 없이는 식량을 배급할 수 없다며 이를 거절했다.

같은 날, 다코타 대표단, 미국 정부 관계자, 그리고 현지 상인들이 모인 회의에서 다코타 대표들은 상인 대표 중 한 명인 앤드루 마이릭(Andrew J. Myrick)에게 절박한 심정으로 식량을 외상으로라도 팔아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마이릭은 이 요청에 대해 "So far as I am concerned, if they are hungry let them eat grass or their own dung영어" (내가 아는 한, 그들이 배고프다면 풀이나 자신의 똥을 먹게 하라)는 모욕적인 답변을 했다.[30] 이 발언이 정확히 어떤 맥락에서 나왔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31] 마이릭이 굶주린 아이들을 위해 마구간 바닥에서 귀리나 풀을 찾던 다코타 여성들을 가리키며 말했다는 다른 이야기도 전해진다.[32]

이 망언은 다코타족, 특히 추장 리틀 크로우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결국 봉기를 결심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훗날 리틀 크로우는 헨리 시블리(Henry Hastings Sibley) 장군에게 보낸 편지에서 전쟁을 시작한 주요 이유로 갤브레이스의 식량 분배 거부와 함께 마이릭의 발언을 직접 언급했다.

> "존경하는 장군님께, 우리가 이 전쟁을 시작한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갤브레이스(Galbrait) 소령 때문입니다. 우리는 정부와 큰 계약을 맺었지만, 우리가 얻는 것은 적고, 아이들이 굶어 죽을 때까지 식량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상인들, 특히 앤드류 J. 마이릭(A[ndrew] J Myrick)씨가 인디언들에게 풀이나 자신의 배설물을 먹으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33]

1862년 8월 16일, 마침내 다코타족에게 지급될 조약금이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 도착했고 다음 날 포트 리즐리로 이송되었지만, 이미 마이릭의 망언으로 촉발된 분노와 절망은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고, 폭력 사태를 막기에는 너무 늦은 상황이었다.[34]

3. 전쟁의 전개

1862년 8월 17일, 미네소타주 액턴 타운십에서 사냥 중이던 젊은 다코타족 남성 네 명이 백인 정착민 5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5][11] 이 사건은 식량 부족과 미국 정부의 약속 불이행에 대한 불만이 누적된 상황에서 발생했으며,[36][50] 리틀 크로우를 중심으로 한 메데와칸톤족 전사들의 봉기로 이어졌다.[11] 일부 기록에 따르면 리틀 크로우는 처음에는 백인과의 전면전을 반대했으나, 젊은 전사들의 압박에 밀려 봉기를 이끌게 되었다.[37][36][38]

8월 18일 새벽, 다코타 전사들은 로어 수 에이전시를 공격하여 파괴하고 일부 백인들을 살해했으며, 같은 날 레드우드 페리 전투에서 미군 파견대를 격파하는 등 초기 공세를 펼쳤다.[166] 이후 뉴얼름과 리들리 요새 등 주요 정착지와 요새를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는 못했다.[167][169] 이 과정에서 미네소타 강 유역의 많은 정착촌이 공격받고 다수의 백인 정착민이 살해되거나 포로로 잡혔다.

미네소타 주지사 알렉산더 램지는 전 주지사 헨리 해스팅스 시블리를 대령으로 임명하여 진압 작전을 지휘하게 했다.[50] 시블리가 이끄는 미군은 버치쿨리 전투에서 다코타족의 기습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으나,[11] 점차 병력을 증강하며 반격을 준비했다. 한편, 미네소타 북서부와 다코타 준주 동부에서도 포트 아버크롬비가 다코타족의 공격을 받는 등 전투가 확산되었다.[172]

남북 전쟁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존 포프 소장을 북서부 부서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다코타족 진압을 지시했다. 포프는 "수족을 모두 죽이는 것"이 목적이라고 공언하며 강경한 진압 의지를 보였다.

증강된 미군은 1862년 9월 23일 우드 레이크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에서의 패배로 다코타족의 저항은 사실상 종결되었으며, 9월 26일 캠프 릴리즈에서 다수의 다코타족이 항복하고 269명의 백인 및 혼혈 포로가 석방되었다.[173][174]

전쟁을 주도했던 리틀 크로우는 항복하지 않고 소수의 추종자들과 함께 도주했으나, 1863년 7월 미네소타주에서 현상금(25USD)을 노린 백인 농부에게 살해되었다. 다른 지도자들인 샤코피 추장과 와칸 오 찬찬(메디신 보틀) 추장 역시 캐나다에서 미군에게 납치되어 미국으로 송환되었다.

3. 1. 초기 봉기 (1862년 8월)



1862년 8월 17일, 사냥에서 별다른 소득 없이 돌아오던 젊은 다코타족 남성 네 명이 미네소타주 액턴 타운십 근처 한 정착민의 농장에서 달걀 문제로 시비가 붙거나, 혹은 농장주가 음식이나 물을 주지 않은 것에 자극받아[36][50] 로빈슨 존스와 그의 아내, 15세 입양딸을 포함한 정착민 5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5][11][50]

자신들의 행동이 불러올 파장을 직감한 이들은 라이스 크릭 마을로 돌아가 부족장 레드 미들 보이스와 컷 노즈에게 사실을 알렸다.[50][11] 레드 미들 보이스는 조카인 샤코피 3세 추장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이들은 함께 리틀 크로우의 마을로 가 상황을 알렸다.[50] 한밤중에 리틀 크로우의 집에서 망카토, 와바샤 등 다른 메데와칸톤 지도자들이 모여 전쟁 회의가 열렸다.[50] 많은 기록에 따르면, 리틀 크로우는 처음에는 백인과의 전면전을 반대하며 "한 명, 두 명, 열 명을 죽인다고 해도 백인들은 열 배로 돌아와 우리를 죽일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젊은 전사들이 그를 비겁하다고 비난하자 결국 봉기를 이끌기로 동의했다고 전해진다.[37][36][38] 새벽이 되자 리틀 크로우는 로어 수 에이전시를 공격할 것을 명령했다.[11]

1862년 다코타 전쟁 중 피난민들. 비적대적 다코타족에게 구출된 혼혈인들로, 앞쪽 소녀는 엘리제 로버트슨이다.


1862년 8월 18일 새벽, 리틀 크로우가 이끄는 다코타족 전사들이 로어 수 에이전시를 기습 공격했다. 이 공격에서 가장 먼저 살해된 사람 중 하나는 상인 앤드류 마이릭(Andrew Myrick)이었다.[36] 그는 이전에 식량을 외상으로 달라는 다코타족의 요청에 "그들이 굶주렸다면 풀이나 자신의 똥을 먹게 하라"고 답한 적이 있었는데,[30] 건물 2층 창문으로 탈출하려다 발각되어 살해당했고, 나중에 그의 시신은 입에 풀이 채워진 채 발견되었다.[11][19] 다코타족 전사들이 에이전시 창고에서 식량, 의류, 총기 등을 약탈하는 동안 일부 백인들은 리들리 요새로 도망칠 시간을 벌 수 있었다.[11][39] 이 공격으로 에이전시에서 일하던 백인 13명이 사망하고, 도주 중 7명이 추가로 사망했으며, 10명이 포로로 잡혔고 약 47명이 탈출했다.[39]

같은 날, 리들리 요새에서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미네소타 제5 자원병 연대 B중대는 레드우드 페리 전투에서 다코타족에게 크게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지휘관 존 마쉬(John Marsh) 대위를 포함한 미군 24명이 사망했다.[40] 이날 하루 동안 다코타족 전사들은 미네소타 강 유역을 휩쓸며 밀포드 타운십, 리븐워스 타운십, 세이크리드 하트 타운십 등 여러 정착촌을 공격하여 불태우고 많은 정착민을 살해했다.[41]

초기 공격의 혼란 속에서도 일부 다코타족은 평소 알고 지내던 백인들에게 위험을 알리거나[61][79] 특정 인물을 보호하기도 했다. 새뮤얼 힌먼 목사와 조지 스펜서 같은 이들은 다코타족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79][42] 스펜서는 이후 소수의 백인 남성 포로 중 한 명이 되었으며, 나머지 포로 대부분은 여성과 어린이, 그리고 수가 많은 혼혈 다코타족이었다.[70][36] 혼혈 포로들에 대한 살해 위협도 있었지만,[79] 그들을 죽일 경우 다코타족 친척들의 보복을 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실제 살해는 자제되었다.[36]

많은 포로가 발생하자 다코타 지도자들 사이에서는 이들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두고 의견이 갈렸다. 빅 이글 등은 포로들을 돌려보내자고 주장했지만, 리틀 크로우는 협상 카드로 삼기 위해 인질로 잡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9] 포로들은 처음에는 그들을 사로잡은 전사들이 관리했지만, 점차 리틀 크로우 진영의 여러 가족이 나누어 돌보게 되었다.[43][44] 전쟁 중 포로로 잡힌 백인 여성과 소녀들에 대한 강간 및 학대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4] 역사가 게리 클레이튼 앤더슨은 포로가 된 거의 모든 어린 소녀들과 대부분의 중년 여성들이 다코타족 남성들과 강제로 "결혼" 관계를 맺었다고 주장하며,[11] 일부 다코타 남성들은 "아내를 얻을 기회"를 전쟁 참여 동기 중 하나로 삼았다고 분석했다.[11] 8월 18일 저녁에 발생한 강간 사건이 기록되어 있으며,[44] 반대로 일부 여성 포로들은 다코타족 가족에게 "입양"되어 보호받은 사례도 있다.[44]

헨리 아우구스트 슈바베가 그린 '뉴울름 포위 공격'


초기 전투에서의 승리에 고무된 다코타족은 1862년 8월 19일과 23일, 뉴울름 마을을 공격했다. 이들은 방어가 견고한 리들리 요새 대신 상대적으로 방비가 약한 뉴울름을 먼저 공격하기로 결정하고, 마을로 향하는 길에 마주치는 정착민들을 살해했다. 뉴울름 주민들은 마을 중심부에 급히 방어선을 구축하여 다코타족의 공격을 잠시 막아냈지만, 결국 방어선 일부가 뚫리고 마을 상당 부분이 불탔다.[45] 19일 저녁에 몰아친 폭풍우 덕분에 전투가 잠시 중단되었고, 그 사이 뉴울름에는 인근 마을의 민병대와 리들리 요새에 주둔하던 미네소타 제5 자원병 연대 병력 일부가 증원되었다. 주민들은 계속해서 마을 주변에 바리케이드를 쌓으며 방어를 강화했다.[46]

리들리 요새가 불타는 그림
리들리 요새가 불타는 모습 (1890년 유화)


다코타족은 8월 20일과 22일에도 리들리 요새를 공격했지만, 요새를 함락시키는 데는 실패했다.[47][48] 하지만 8월 21일에는 요새에서 뉴울름으로 향하던 미군 구호대를 매복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리들리 요새 전투에서의 손실로 인해 미군은 외곽 정착촌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어려워졌고, 다코타족은 미네소타 남중부와 당시 다코타 준주 동부 지역의 농장과 작은 정착촌들을 계속해서 공격하고 약탈했다.[49]

3. 2. 미군의 반격과 진압 (1862년 9월)

헨리 해스팅스 시블리 대령


미네소타 주지사 알렉산더 램지는 1862년 8월 19일, 전 주지사인 헨리 해스팅스 시블리에게 포트 리들리 구원을 위한 원정을 이끌도록 요청하며 대령으로 임관시켰다.[50] 시블리는 군사 경험은 없었으나, 아메리칸 퍼 컴퍼니 대표로 활동하며 다코타족과 오랫동안 교류해왔다.[50][39] 그는 증원군과 보급품을 기다린 후, 8월 26일 세인트 피터를 출발하여 1,4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리들리 요새로 향했다.[51][50] 8월 27일, 새뮤얼 맥페일 대령이 이끄는 기병 선발대가 도착하여 요새 포위를 풀었고, 시블리 본대는 다음 날 도착했다.[51][52]



8월 31일, 시블리는 레드우드 페리 전투 희생자들의 시신을 수습하고 매장하기 위해 153명의 병력을 파견했다.[59] 이 부대는 미네소타 제6 보병 연대 병력, 컬렌 프런티어 가드 기병대, 민간인 등으로 구성되었다.[59][60] 1862년 9월 2일 새벽, 약 200명의 다코타 전사들이 이들의 야영지를 기습 공격하여 31시간 동안 포위하는 버치 쿨리 전투가 벌어졌다. 시블리 대령이 9월 3일 증원군과 포병을 이끌고 도착하여 구출했지만, 미군은 이 전투에서 13명이 전사하고 약 50명이 부상당하는 등 전쟁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말 80여 마리도 잃었다.[11] 확인된 다코타족 전사 사망자는 2명이었다.[61]

한편, 미네소타 북서부와 다코타 준주 동부의 레드리버 트레일을 따라 여러 요새화되지 않은 정착지와 교통 거점들이 다코타족의 공격을 받았다. 많은 정착민과 허드슨만 회사 직원 등은 포트 아버크롬비로 피신했다. 다코타족은 8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여러 차례 포트 아버크롬비를 공격했지만, 미네소타 제5 자원병 연대 D중대 등 수비대는 모든 공격을 격퇴했다.[19] 결국 포트 아버크롬비 수비대는 포트 스넬링에서 온 증원군에 의해 구출되었고, 민간인 피난민들은 세인트 클라우드로 이동했다.[113]:232–256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인해 병력 지원이 절실했던 램지 주지사와 오스카 말름로스 부관장은 미국 전쟁부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에게 거듭 지원을 요청했다.[50] 1862년 9월 6일, 에드윈 스탠턴 전쟁장관은 북서부 부서를 창설하고 존 포프 소장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폭력 사태 진압을 명령했다.[11] 포프는 9월 16일 미네소타에 도착하여 시블리에게 단호한 조치를 지시했지만, 연방군 추가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었다.[62] 미네소타에서는 제6, 제7, 제8, 제9, 제10 자원 보병 연대 등이 편성되는 대로 시블리 휘하로 보내졌다.[64][65] 또한, 남부군에게 항복했던 미네소타 제3 보병 연대 병사들이 포로 교환 후 9월 13일 포트 리들리에서 시블리 부대에 합류했다.[66]

1862년 우드 레이크 전투


전쟁의 결정적인 마지막 전투는 1862년 9월 23일 우드 레이크 전투에서 벌어졌다. 시블리는 증원된 병력과 보급품을 바탕으로 9월 19일, 총 1,619명의 병력을 이끌고 리들리 요새를 출발했다.[67] 그의 군대는 제3 미네소타 연대, 제6 미네소타 연대 9개 중대, 제7 미네소타 연대 5개 중대, 제9 미네소타 연대 1개 중대, 렌빌 레인저, 기병 시민 경비대, 포병 등으로 구성되었다.[67] 시블리는 라이플 머스켓과 포병의 우위를 이용해 개활지에서 다코타군과 교전할 계획이었다.[68]

리틀 크로우가 이끄는 다코타군은 시블리 군대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9월 22일 밤, 어퍼 수 족 기관으로 가는 길목에 매복했다.[61][72][50][11] 그러나 9월 23일 아침, 제3 미네소타 연대 병사 일부가 감자를 구하러 무단으로 이동하다가 매복 중이던 다코타 전사들과 마주치면서 전투가 예기치 않게 시작되었다.[66][73][74][11] 에이브러햄 E. 웰치 소령이 이끄는 제3 미네소타 연대가 초반 교전에 나섰다가 시블리의 명령으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사상자가 발생했다.[74] 이후 렌빌 레인저가 합류하고,[11] 윌리엄 레이니 마셜 중령이 이끄는 제7 미네소타 연대와 포병대가 다코타군의 측면 공격 시도를 저지했으며, 로버트 N. 맥클라렌 소령이 이끄는 제6 미네소타 연대 병력도 다른 쪽 측면 공격을 격퇴했다.[59][75]

약 2시간의 전투 끝에 다코타군은 혼란 속에 후퇴했다.[68] 만카토 추장은 이 전투에서 포탄에 맞아 전사했다.[50] 시블리 군대는 기병 부족으로 추격을 포기했다.[50] 미군은 7명이 사망하고 34명이 중상을 입었으며,[68] 시블리 부대는 전사한 다코타족 14명의 시신을 수습하여 매장했다.[75][50] 다코타족의 정확한 사상자 수는 불명확하지만, 우드 레이크 전투는 사실상 전쟁을 종결시켰다.

1862년 캠프 릴리즈


1862년 9월 26일, 캠프 릴리즈에서 다코타 평화파는 시블리 대령의 부대에 포로 269명을 넘겨주었다.[76] 이들 포로는 "혼혈" 162명과 백인 107명(대부분 여성과 어린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리틀 크로우와 그의 추종자들은 북쪽으로 도주했다. 그날 밤, 전투에 참여했던 많은 메데와칸톤 남성들이 시블리가 이전에 살해범만 처벌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조용히 캠프 릴리즈의 "우호적인" 다코타 캠프에 합류했다.[11] 항복한 다코타 남성들은 이후 군사 재판을 위해 구금되었다.

3. 3. 리틀 크로우의 도주와 죽음



우드 레이크 전투 다음 날인 1862년 9월 24일 아침, 리틀 크로우는 다시는 미네소타 강 유역으로 돌아오지 않겠다고 맹세하며 북쪽으로 도주했다.[79] 그와 그를 따르던 메데와칸톤족은 서부의 수족 부족들(얀크턴족, 얀크토나이족, 라코타족 포함)과 동맹을 맺고 캐나다영국으로부터 지원을 받기를 희망했으나, 반응은 엇갈렸다.[79] 리틀 크로우는 빅 스톤 호수 북쪽의 스탠딩 버팔로 추장과 시세톤족, 그리고 남서쪽 미주리 강을 따라 있는 얀크턴족에게 거절당했다.[78]

다른 부족 지도자들에게 거절당하고 추종자 수도 줄어든 리틀 크로우는 결국 1863년 6월 말 미네소타주로 돌아왔다.[79] 그는 1863년 7월 3일, 미네소타주 허치슨 근처에서 십대 아들인 와위나페(Thomas Wakeman)와 함께 산딸기를 따다가 살해되었다. 당시 미네소타주 전역에서는 다코타족의 두피에 현상금(25USD)을 내건 상태였는데, 사냥을 나온 백인 농부 네이선 램슨과 그의 아들 션시는 현상금을 노리고 이들을 발견하여 총격을 가했다. 램슨과 리틀 크로우는 총격전을 벌였고, 리틀 크로우는 가슴에 총을 맞아 치명상을 입었다.[50][79]

램슨 부자는 자신들이 죽인 인디언이 리틀 크로우임을 알게 되자 그의 목을 베고 두피를 벗겼다. 시체가 리틀 크로우의 것임이 확인되자, 램슨은 미네소타 주로부터 추가 현상금 500USD를 받았다.[79] 리틀 크로우의 머리와 두피는 세인트폴에서 공개적으로 전시되었으며, 그의 유골은 1879년 미네소타 역사협회에 의해 미네소타 주청사에 전시되었다.[81] 이러한 처사에 대해 전 로어 수족 기관 외과의사였던 아사 다니엘스 박사는 1908년에 "그러한 광경은 기독교인들의 인간성에 대해 슬프게 반영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80] 리틀 크로우의 손자 제시 와케먼의 지속적인 요청으로 유해는 1915년 전시에서 제거되었고, 마침내 1971년 역사 고고학자 앨런 울워스에 의해 가족에게 돌려져 매장되었다.[80][81] 와케먼은 리틀 크로우의 유해를 다룬 방식이 그가 살해된 방식보다 자신과 그의 백성에게 더 큰 분노를 불러일으켰다고 언급했다.[80] 리틀 크로우의 아들 와위나페는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이후 징역형으로 감형되었다.

4. 전쟁의 결과와 영향

다코타 전쟁은 다코타족에게 집단 처형, 강제 이주, 조약 파기, 고향 미네소타주로부터의 완전한 추방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를 안겼다. 전쟁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이들까지 수용소에 감금되어 혹독한 환경 속에 놓였으며,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미네소타 주의 백인 정착민 사회 역시 전쟁으로 인한 피난과 혼란을 겪었으나, 전쟁 이후 다코타족이 추방된 땅에 다시 정착하며 영역을 확장했다. 이 전쟁은 양측 공동체에 깊은 상처와 유산을 남겼으며, 이후 미국의 원주민 정책과 역사 인식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쟁의 구체적인 결과와 장기적인 영향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들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군사 재판과 처형

1862년 9월 27일, 헨리 해스팅스 시블리 대령은 다코타족 재판을 위한 군사위원회 구성을 명령했다.[82][11] 그러나 1년 후 육군 법무장관은 시블리가 편견 때문에 재판을 소집할 권한이 없었으며, 이는 미국 군사규정(Articles of War) 제65조 위반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이때는 이미 처형이 집행된 후였고,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인해 미국 정부의 관심은 다른 곳으로 향해 있었다.[82][11]

군사 재판은 여러 면에서 절차적으로 미흡했다. 재판을 감독한 장교들은 군법에 따른 현장 군사재판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 1862년 9월 28일부터 11월 3일까지 400건에 가까운 재판이 진행되었으며, 일부 재판은 5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 피고인에게 재판 절차를 설명해주거나 변호인을 선임할 기회도 주어지지 않았다. 법률사학자 캐롤 촘스키는 「스탠퍼드 법률 리뷰」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다코타족은 주 또는 연방 형사 법원이 아닌, 미네소타 주민으로만 구성된 군사위원회 앞에서 재판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살인죄가 아닌 전쟁 중에 저지른 살해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공식적인 재검토는 항소 법원이 아닌 미국 대통령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미국인과 인디언 부족원 사이에 많은 전쟁이 있었지만, 미국이 전쟁에서 패배한 자들을 처벌하기 위해 형사 제재를 가한 경우는 없었습니다.[82]


재판은 극도의 인종차별적 적대감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11월 3일까지 군사위원회는 392명의 다코타 남성에 대한 재판을 마치고, 303명에게 살인과 강간 혐의로 사형을 선고했다고 발표했다.[82][50]

1862년 11월 10일, 존 포프 소장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에게 전보로 사형 선고 사실을 알렸다.[82] 링컨 대통령은 포프에게 유죄 판결 기록과 함께 "더 유죄이고 영향력 있는 자들"에 대한 명단을 요청했다.[83]

사형 선고가 알려지자, 미네소타주 성공회 주교이자 인디언 정책 개혁가였던 헨리 벤자민 위플은 공개 서한을 발표하고 워싱턴 D.C.로 가 링컨 대통령에게 관용을 촉구했다.[84] 반면, 포프 장군과 미네소타주 상원의원 모턴 S. 윌킨슨은 백인 주민들이 관용에 반대한다고 경고했으며, 알렉산더 램지 주지사는 303명 전원을 처형하지 않으면 사적인 복수가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85]

링컨 대통령은 백악관 변호사 두 명과 함께 한 달도 안 되는 기간 동안 303건의 재판 기록을 검토했다.[11] 1862년 12월 11일, 그는 상원에 자신의 결정을 설명하며, "전투" 참여와 "학살" 가담을 구분하고, 여성을 폭행한 자들을 처형하려 했으나 단 두 명뿐이었다고 밝혔다. 결국 학살에 가담한 40명(강간범 2명 포함) 중 위원회가 감형을 권고한 1명을 제외한 39명의 처형을 명령했다고 말했다.[86] 이후 새로운 정보로 인해 1명의 집행이 추가로 연기되어 최종적으로 38명이 처형 대상이 되었다.[82]

링컨의 사면 조치는 미네소타 주민들의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공화당은 1864년 선거에서 미네소타에서 이전보다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고, 램지(당시 상원의원)는 링컨에게 더 많은 교수형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링컨은 "나는 표를 얻기 위해 사람들을 교수형에 처할 여유가 없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진다.

1862년 민네소타주 맨카토(Mankato, Minnesota)에서 있었던 38명 다코타족의 집단 교수형 그림


1862년 12월 26일, 미네소타주 맨카토에서 38명의 다코타족 포로에 대한 집단 교수형이 집행되었다.[89] 이는 미국 역사상 단일 최대 규모의 집단 처형 기록으로 남아 있다. 처형은 특별히 제작된 사각형 교수대에서 이루어졌으며, 분노한 주민들로부터 남은 포로들을 보호하기 위해 약 2,000명의 군인이 동원되었다.[89] 처형을 기다리던 샤코비 추장은 "백인들이 오면서 인디안들은 사라진다"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교수대 바닥이 떨어지자 군중 속에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는 증언도 있다.

''Wa-kan-o-zhan-zhan'' (메디신 보틀)


1865년 리틀 식스(Little Six)와 메디신 보틀(Medicine Bottle)의 교수형


연대 군의관들이 사망을 선고한 후, 시신들은 미네소타 강변 모래톱의 집단 매장지에 묻혔다. 매장 전 "셰어다운 박사"라는 별명의 인물이 시신 일부의 피부를 벗겨갔다는 기록이 있으며,[90][179] 이 가죽이 담긴 상자가 맨카토에서 판매되었다는 소문도 돌았다. 시신들은 매장 첫날 밤 모두 도굴되어 해부학 연구를 위해 의사들에게 나뉘었다.[89] 윌리엄 워럴 메이요는 마피야 아칸 나징(Maȟpiya Akan Nažiŋ, Stands on Clouds)의 시신을 확보하여 르 수어에서 동료 의사들 앞에서 해부하고,[94][95] 해골을 보관하며 아들들(메이오 형제)에게 골학을 가르치는 데 사용했다.[95] 1998년, 미국 원주민 무덤 보호 및 환수법(NAGPRA)에 따라 메이요 클리닉은 마피야 아칸 나징을 포함한 다코타족 유해를 부족에게 반환하고, 부당한 시신 사용에 대해 사과하며 미국 원주민 학생을 위한 장학금을 만들었다.[96][97][182]

한편, 북쪽으로 도망쳤던 다코타 지도자 중 리틀 식스와 메디신 보틀은 1864년 1월 캐나다에서 납치되어 포트 스넬링으로 이송되었고, 재판 후 1865년 11월 교수형에 처해졌다.[91][92][93]

사형이 감형된 나머지 다코타족 포로들은 그 겨울 동안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이듬해 봄 아이오와주 데이븐포트의 캠프 맥클렐란으로 이감되어 1866년까지 수감 생활을 했다.[98][99] 수감 기간 동안 3분의 1이 질병으로 사망했으며, 생존자들은 석방 후 네브래스카의 산티 수족 보호구역으로 보내져 미네소타에서 추방된 가족들과 합류했다.[100]

헨리 위플 주교는 이 사건 이후 다음과 같이 성명을 발표하며 인디언 관리 제도의 개혁을 촉구했다.

:「이 중대한 범죄를 비난하더라도, 그 책임을 잘못 짚지 말아야 한다. 나는 사람들이 하나 되어 일어서서 극악무도한 인디언 관리 제도의 개혁을 요구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 인디언 관리 제도는 우리에게 “고통”과 “피”라는 결과만 가져다줄 뿐이다.」

그러나 그의 인디언 옹호는 백인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4. 2. 강제 이주와 추방

다코타 수용소, 포트 스넬링, 1862년 겨울


1864년 포트 스넬링 수용소에 있는 리틀 크로우의 아내와 두 아이


1862년 11월 7일, 전투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1,658명의 다코타족(주로 여성, 어린이, 노인 및 일부 남성)은 로어 수 에이전시에서 포트 스넬링까지 약 약 241.40km에 달하는 강제 이주 길에 올랐다.[103][36] 윌리엄 마셜 중령이 이끄는 300명의 군인이 약 6.44km 길이의 마차 행렬을 호위했지만,[36] 행렬이 헨더슨에 도착했을 때는 분노한 백인 정착민 군중이 호위 병력을 압도하고 다코타족을 공격하여 아기 한 명이 치명상을 입는 등 폭력이 발생했다.[36] 이들은 1862년 11월 13일 저녁 포트 스넬링에 도착했다.[103]

포트 스넬링 아래 강변에 임시 수용소가 설치되었으나, 추가 공격을 막기 위해 곧 울타리가 쳐진 주둔지로 옮겨졌다.[36] 열악한 생활 환경과 비위생적인 조건 속에서 홍역과 같은 전염병이 퍼져 약 102명에서 300명에 달하는 다코타족이 사망했다.[103] 전쟁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여성, 어린이, 노인을 포함한 1,700명의 다코타족이 이곳에 구금되었으며,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300명 이상이 질병으로 목숨을 잃었다.[183]

한편, 군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다코타족 남성들은 그해 겨울 동안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이듬해 봄, 아이오와주 데이븐포트의 캠프 맥클렐란(록아일랜드 내 수용소)으로 이송되어 1863년부터 1866년까지 수감 생활을 했다.[98][99] 수감 기간 동안 장로교 선교사들은 이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시도했다.[100][101] 열악한 환경 속에서 수감자 3분의 1이 질병으로 사망했다. 생존자들은 반지, 구슬 공예품 등을 만들어 팔아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고, 사우스다코타주의 크로우 크릭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된 가족들에게 물품과 돈을 보냈다.[102] 일부 폭리업자들은 다코타족을 구경거리로 삼아 돈을 벌기도 했다.[101][102] 1866년 4월, 앤드루 존슨 대통령의 사면으로 석방된 생존자들은 네브래스카주의 산티 수족 보호구역으로 보내져 가족들과 재회했다.[100]

1863년 4월, 미국 의회는 미네소타주의 동부 다코타족과 호-청크족(위네바고)의 인디언 보호구역을 폐지하고, 이들과 맺었던 모든 조약을 일방적으로 무효화했다.[14][50] 이는 사실상 다코타족의 미네소타 완전 추방을 의미했다. 더욱이 미네소타 주는 주 경계 내에서 발견되는 모든 다코타 남성의 두피에 25USD의 현상금을 내걸어 인종 청소에 가까운 정책을 시행했다.[104] 전쟁 중 중립을 지키거나 백인 정착민을 도왔던 208명의 메데와칸톤족만이 이 현상금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이들 역시 미네소타에서 추방되었다.

1863년 5월, 포트 스넬링에 수감되어 있던 1,300명의 생존 다코타족과 호-청크족은 증기선에 태워져 다코타 준주의 크로우 크릭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당시 크로우 크릭 지역은 극심한 가뭄으로 사람이 살기 어려운 척박한 땅이었다. 이주 과정에서의 사망자 외에도, 도착 후 6개월 이내에 200명 이상의 다코타족이 열악한 환경과 기아, 질병으로 사망했으며, 특히 어린이들의 희생이 컸다.[105][106][107] 호-청크족은 이후 오마하족 인근의 네브래스카주로 다시 이동하여 위네바고 보호구역을 형성했다.[14][50] 크로우 크릭에서 살아남은 다코타족은 3년 뒤 다시 네브래스카주의 산티 수족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184][185]

링컨 대통령이 일부 다코타족 전사들에 대한 사면을 단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네소타 주민들과 주 의회의 반발은 거셌다. 결국 미국 내무부는 다코타족에 대한 연금 지급을 2년간 중단했고, 의회는 연금 예산 140만달러 전액을 미네소타 유족 보상금으로 전용했다. 이처럼 전쟁 이후 다코타족은 조약 파기, 강제 이주, 보호구역 폐지라는 가혹한 현실에 직면했으며, 전쟁에 참여하지 않은 이들까지 고향을 빼앗기고 죽음으로 내몰렸다.

4. 3. 전후 미네소타의 상황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38명의 다코타족 전사에 대한 사형 집행을 승인했지만, 미네소타 주민들과 주 의회의 반발은 거셌다. 이들의 항의는 미국 내무장관이 다코타족에 대한 연금 지급을 향후 2년간 중단하고, 의회의 연금 예산 140만 달러를 전액 미네소타 유족 보상으로 돌릴 때까지 계속되었다.

미국 의회는 군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나머지 다코타족을 추가 재판 없이 그해 겨울 동안 감옥에 수감했다. 이듬해 봄, 이들은 일리노이주 록아일랜드로 이송되어 거의 4년간 수감되었다. 석방될 무렵 수감자의 3분의 1이 질병으로 사망했다. 생존자들은 이미 미네소타에서 추방되어 네브래스카에 있는 가족에게 보내졌다.

또한, 분쟁과 관련 없는 여성, 어린이, 노인을 포함한 다코타족 1,700명이 스네링 요새 근처 파이크 섬 수용소에 구금되었다. 열악한 생활 환경으로 인해 300명 이상이 질병으로 사망했다.[183]

1863년 4월, 미국 의회는 헨리 벤자민 휩플 주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네소타 내 다코타족 보호구역을 폐지했으며, "다코타 부족과의 이전 모든 조약을 무효화한다"고 선언했다. 더 나아가 미네소타에서 다코타족을 몰아내기 위해 다코타족 두피에 25USD의 현상금을 걸었다. 이는 주 전체에 걸친 백인들의 소위 '인디언 사냥'으로 이어졌다. 현상금은 7월 20일 '적대적인' 남성으로 제한되었으나, 군 복무 중이 아닌 민간인에게는 두피 하나당 75USD가 제공되었고, 1863년 9월 22일에는 새로운 주지사 헨리 애도나이럼 스위프트에 의해 200USD로 증액되었다.[118] 당시 신문들은 타오야테두타(리틀 크로우)를 포함한 많은 두피가 채취되었음을 보도했다.[119] 총 325USD가 현상금을 받은 4명에게 지급되었다.[118] 이러한 탄압 정책에서 유일하게 제외된 이들은 전쟁 중 중립을 지키거나 백인 정착민에게 협력한 무데와칸톤 부족 208명이었으나, 그들 역시 결국 미네소타에서 추방되었다.

1863년 5월, 추방된 다코타족은 증기선에 실려 다코타 준주 남동부의 크로우 크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그곳은 당시 가뭄에 시달리는 불모지였다. 크로우 크릭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3년 후 네브래스카주의 산티 보호구역으로 다시 강제 이주되었다.[184][185]

전쟁 기간 동안 최소 3만 명의 정착민이 미네소타 강 유역과 주변 고지대 초원 지역의 농장과 집을 버리고 피난했다.[78] 1년 후, 분쟁의 영향을 받은 23개 카운티 중 19개 카운티는 여전히 비어 있었다.[78] 그러나 미국 남북 전쟁이 끝나고 다코타족이 추방된 후, 이 지역에는 다시 백인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1870년대 중반까지 농업 지역으로 개발되었다.

연방 정부는 모튼 근처의 옛 로어 수 협정 부지에 로어 수 인디언 보호구역을 다시 설정했다. 1930년대에는 그래니트 폴스 근처에 더 작은 규모의 어퍼 수 인디언 보호구역이 조성되었다.

앤드류 굿 선더(Andrew Good Thunder)와 그의 아내 사라(Sarah), 전쟁 후 미네소타로 돌아온 다코타족 가족


전쟁에 반대했거나 정착민을 도왔던 다코타족조차 대부분 미네소타에서 추방되었다. 양크턴 수족 추장 스트럭 바이 더 리는 일부 전사들을 보내 정착민을 도왔지만, 그 역시 전쟁 직후 미네소타에 남을 수 없었다. 그러나 1880년대까지 굿 선더(Good Thunder), 와바샤(Wabasha), 블루스톤(Bluestone), 로렌스(Lawrence) 가족 등 많은 다코타족이 미네소타 강 유역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주교 헨리 벤자민 휩플과 무역상 알렉산더 페리보의 보호 아래 살던 다코타 가족들과 합류했다.

1920년대 후반 무렵, 이 분쟁은 미네소타에서 구전 전승의 영역으로 넘어가기 시작했다. 목격자의 증언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초까지 생존했던 사람들에게 직접 전해졌다. 미네소타 남중부 초원 지역 사회의 기억 속에는 다코타족에게 살해당한 정착민과 고군분투하던 개척 농민 가족의 이야기가 남아 있다.[120] 동시에, 처형된 38명의 다코타족과 그 후손들 또한 전쟁, 토지 상실, 서부 유배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

한편, 봉기 당시 뉴울름 포병대는 민병대법에 따라 다코타족으로부터 정착지를 방어하기 위해 편성되었으며, 이 민병대는 오늘날 미국에 남아 있는 유일한 남북전쟁 시대 민병대이다.[121] 뉴울름의 많은 정착민은 오하이오의 독일계 공동체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었다. 1862년 봉기 소식을 듣자 신시내티에 있던 이전 이웃들은 10파운드 산악곡사포를 구입하여 미네소타로 보냈다.[121] 시블리 장군은 포트 리들리에서 6파운드포 중 하나를 포병대에 제공했다. 오늘날 이 포들은 브라운 카운티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121]

2021년 2월 12일, 미네소타 주 정부와 미네소타 역사협회(Minnesota Historical Society)는 로어 수 협정 전투 부지 인근 토지의 절반(약 229에이커)을 로어 수 공동체에 반환했다.[123][124][125] 이 중 미네소타 역사협회는 약 115에이커, 주 정부는 약 114에이커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123][125] 로어 수 공동체의 로버트 라르센(Robert Larsen) 회장은 토지 반환에 대해 "주가 부족에게 땅을 돌려준 적이 있는지 모르겠다. [우리 조상들은] 이 땅값을 피와 목숨으로 여러 번 치렀다. 이것은 매매가 아니다. 이미 여기에 없는 사람들이 대가를 치른 것이다"라고 말했다.[125]

4. 4. 역사적 유산과 기억



다코타 전쟁 이후, 이 사건을 기록하고 기억하는 방식은 변화를 겪어왔다. 1894년 이전까지 출판된 기록 대부분은 전쟁에 참여했던 유럽계 미국인 정착민과 군인들의 관점에서 서술되었으며, 포로로 잡혔던 여성들의 시각도 일부 포함되었다.[108] [109][110] 이러한 초기 기록들은 종종 전쟁 중 벌어진 잔혹 행위에 대한 피해자들의 증언에 초점을 맞추었다.[111] 예를 들어, 찰스 브라이언트가 편찬한 책에는 저스티나 크라이거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정착민 살해에 대한 생생한 묘사가 담겨 있는데, 일부는 그녀가 직접 목격하지 않은 사건에 대한 내용이었다.[11] 여기에는 머리가 잘려 어항에 걸리거나, 임산부의 배가 갈라져 태아가 나무에 못 박혔다는 등의 끔찍한 이야기가 포함되었다.[113][113] 하지만 이러한 이야기 중 일부는 나중에 희생자의 오빠에 의해 부인되었고, 매장 과정에서도 나무에 못 박힌 아이의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신문과 다른 생존자들, 역사가들에 의해 반복해서 언급되었다.[11]

1894년, 역사가 리턴 아이라 홀컴은 다코타 지도자인 빅 이글 추장을 인터뷰하여 그의 관점에서 전쟁을 서술한 기록을 처음으로 출판했다.[108][61] 이후 1988년에는 게리 클레이튼 앤더슨과 앨런 R. 울워스가 36명의 다코타인들의 서술을 모은 "다코타의 눈으로 본 전쟁: 1862년 미네소타 인디언 전쟁에 대한 서술적 기록"을 출판하여, 다코타 공동체 내 다양한 입장을 반영하는 목소리를 담아냈다.[10][112] 다코타족 역시 자신들의 관점에서 겪었던 사건에 대한 기록을 꾸준히 보존해왔다.[116][117]

전쟁 이후 다코타족은 미네소타에서 추방되었고, 일부는 라코타족 영토로 이동했다. 미군은 이들을 추격하여 1863년과 1864년에 걸쳐 빅 마운드 전투, 데드 버펄로 호수 전투, 스토니 호수 전투, 화이트스톤 힐 전투, 킬디어 산 전투, 배드랜드 전투 등에서 라코타-다코타 연합군과 전투를 벌였다. 이러한 갈등은 이후 붉은 구름의 전쟁, 블랙힐스 전쟁으로 이어졌고, 1890년 운디드니 학살을 기점으로 수족의 저항은 사실상 끝나게 되었다. 추방 과정에서의 비인간적인 대우는 당시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1863년 시우 시티 레지스터 편집자 S.P. 요먼스는 미네소타에서 추방되어 아이오와에 도착한 약 1,400명의 다코타 여성과 어린이들을 "인류에 대한 무자비한 무관심"의 증거로 묘사하며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114][115]

2012년 8월 16일, 다코타 전쟁 150주년을 맞아 마크 데이턴 미네소타 주지사는 추모와 화해의 날을 선포했다. 그는 1862년 9월 알렉산더 램지 당시 주지사가 미네소타 주의회 연설에서 다코타족을 몰살하거나 주에서 몰아낼 것을 촉구했던 발언을 공식적으로 부인하며, 주 전역에 조기 게양을 명령했다.[122] 데이턴 주지사는 "150년 전 미네소타에서 흔했던 악의적이고 폭력적인 행위는 이제 더 이상 용인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122] 이듬해인 2013년 5월 2일에도 데이턴 주지사는 램지의 연설을 다시 부인하며 "경악했다"고 표현하고, 조기 게양을 포함한 화해의 날을 선포했다.[16] 2019년 12월 26일에는 팀 월츠 미네소타 주지사가 매년 열리는 '다코타 38+2 추모 기념 자전거 행진 및 달리기 행사'에 참여하여, 1862년 맨카토 교수형 및 다코타족에 대한 다른 행위들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월츠 주지사는 처형 장소에서 "미네소타 주민들을 대표하여 주지사로서, 여기서 일어난 일에 대해 가장 깊은 애도를 표하며, 다코타족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가장 깊은 사과를 드린다"고 말하며, "주 정부의 손에 의해 원주민들에게 가해진 고통을 되돌릴 수는 없지만, 오늘날 원주민들이 존중받고, 목소리를 내고, 소중히 여겨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17]

다코타 전쟁과 관련된 수많은 기념물과 기념 행사가 미네소타 곳곳에 남아있다.

1862년 38명의 다코타족이 처형된 장소를 알리던 기념물 (1912년 설치, 1971년 철거). 미네소타주 맨카토.


기념물 이름위치내용비고 (설립 연도 등)
캠프 석방 주 기념물캠프 릴리스 주 기념지1862년 9월 26일 다코타족의 항복과 포로 269명 석방 기념. 시블리 장군의 우드 레이크 전투 승리 기념.[126]51피트 높이 화강암
우드 레이크 전투터 주 기념물우드 레이크 전투 터1910년 우드 레이크 전투 전사 미군 병사 기념.[127]미국 국립 사적지 등록재 등재[128]
버치 쿨리 전투터미네소타주 모턴전투에 대한 미국과 수족 양측의 관점을 담은 역사 표지판과 자가 안내 트레일.[129]
버치 쿨리 주 기념물미네소타주 모턴 근처미네소타 제6연대, 컬렌 프런티어 가드 등 참전 군인 기념.[130][131]약 2마일 거리
충실한 인디언 기념물버치 쿨리 주 기념물 옆1899년 백인에게 충성하고 생명을 구한 수족 6명 기념 (존 어더 데이, 스나나 등).[51][10]
포트 리들리 주 기념물포트 리들리 주립공원 추정1896년 포트 리들리 포위전(1862.8.18~27) 방어 병사와 시민, 여성들 기념.[132]
헨더슨 기념물미네소타주 모턴 근처1907년 헨더슨 가족 5명 추모. (원래 위치: 미네소타주 렌빌 카운티 비버 폴스 타운십, 1981년 이전)[133][134]
래드너 얼 기념물미네소타주 모턴 북쪽1907년 아버지를 구하다 사망한 래드너 얼 기념 (1862.8.18).[136]71번 미국 고속도로변[135]
슈반트 주 기념물미네소타주 렌빌 카운티1915년 살해된 슈반트 가족 6명과 친구 1명 기념.[135]15번 카운티 도로변[137]
레드우드 페리 기념물옛 페리 선착장 부지레드우드 페리 전투(1862.8.18) 매복 사망자(존 마쉬 대위, 피터 퀸, 병사 24명) 기념.[138][139]접근 어려움[140], 길가 표지판 있음[135]
수비대 주 기념물뉴울름 센터 스트리트1890년 뉴울름 전투(1862) 및 인근 카운티 주민들의 지원 기념.[135][141]안톤 갤 작품 포함[135]
교수형 기념물 (철거됨)미네소타주 맨카토1912년 38명 수족 집단 처형 기념. 1971년 미국 인디언 운동(AIM) 등의 요청으로 철거됨.[142][143]4톤 화강암 표지판[142], 현재 위치 불명[144]
화해 공원미네소타주 맨카토1997년 수족-비수족 간 치유 증진 목적. 들소 동상, 추모비(38명 이름 명기, 2012년 공개).[145][143][146]
액턴 주 기념물액턴 타운십 (미네소타주)1909년 최초 충돌(1862.8.17) 장소 표시. 5명의 정착민 추모.[147][148]
구리 엔더슨-로셀랜드 주 기념물미네소타주 윌마 근처 비코르 루터교 묘지공격 생존 후 부상 정착민들을 도운 구리 엔더슨-로셀랜드 기념.[149]
화이트 가족 기념물미네소타주 브라운튼 근처1862년 9월 22일 살해된 화이트 가족 4명 기념.[150]자택 부지 근처
시텍 호수 주립공원 기념물시텍 호수 주립공원1862년 8월 20일 살해된 백인 정착민 15명 기념.[151][152]
리틀 크로 사망 지점 기념물미네소타주 미커 카운티1929년 리틀 크로 추장이 네이선 램슨에게 살해된 지점 근처 기념.[153]
웨스트 레이크 공격 기념물미네소타주 뉴런던 레바논 루터교 묘지1862년 8월 20일 살해된 브로버그/룬드보르그 가족 13명 기념.[49]



매년 9월 맨카토에서는 처형된 38명의 다코타족을 추모하고 백인과 다코타족 사회의 화해를 기원하는 만카토 파우와우(Mankato Pow-wow)가 열린다.[154] 또한, 처형 이후 수년 동안 조상들을 기리기 위한 기념 승마 행사가 열려왔다. 특히 2012년 처형 150주년에는 짐 밀러(다코타족)가 이끄는 다코타 및 라코타족 기념 승마단이 사우스다코타주 브륄에서 출발하여 맨카토까지 말을 타고 행진했다.[38]

다코타 전쟁은 여러 문학 및 영상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로라 잉걸스 와일더의 소설 『초원의 집』(1935)에서는 주인공 로라가 부모에게 미네소타 학살에 대해 묻지만 자세한 이야기를 듣지 못하는 장면이 나온다.[155]
  • 프레더릭 러셀 번햄은 그의 저서 『두 대륙의 정찰』에서 어린 시절 다코타족에 의해 집이 불탔으나 옥수수 껍질 바구니에 숨어 살아남았다고 회고했다.[156]
  • 스웨덴 작가 빌헬름 모베리의 4부작 소설 『이민자들』의 마지막 권인 『마지막 편지』(1959)는 스웨덴 이민자들의 관점에서 다코타 전쟁을 중요하게 다룬다.
  • 이 소설들은 얀 트뢰엘 감독의 스웨덴 영화 『이민자들』(1971)과 『새로운 땅』(1972)으로 각색되었으며, 특히 후자는 다코타 전쟁과 대규모 처형을 묘사하여 "진정한 미국 비극"이라는 평을 받았다.[157]
  • 시인 레이리 롱 솔저는 대규모 처형을 다룬 시 "38"을 발표했고, 이는 그녀의 2017년 시집 『그럼에도』에 수록되었다.[158][159]
  • 미네소타 하원 의원이었던 딘 어르달은 1862년 사건을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 3부작 『봉기』(2007), 『보복』(2009), 『추적』(2011)을 출판했다.[160][161]
  • 2023년 출판된 수잔 위그스의 역사 소설 『잃어버린 아내』는 반란 발발 후 아이들과 함께 도망치는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다.


대규모 처형 150주년을 맞아 여러 작품과 프로그램이 제작되었다.

  • 디스 아메리칸 라이프의 에피소드 "초원의 작은 전쟁"(2012년 11월 23일 방영)은 미네소타주 맨카토에서의 갈등과 대규모 처형의 지속적인 유산을 논하며, 이 사건 150주년을 기념했다.[38]
  • 『우리 안에 살아있는 과거: 미국-다코타 갈등』(2013)은 미국 남북 전쟁 중 다코타 전쟁에서 미네소타의 관여를 조사하는 비디오 다큐멘터리로, 역사적 정보와 현대적 이야기를 모두 제공한다.[162]
  • 『다코타 38』(2012)은 실라스 해거티가 제작한 독립 영화로, 짐 밀러(다코타족)가 이끄는 다코타족과 라코타족, 그리고 그들의 지지자들이 조상들을 기리기 위해 매년 장거리 기념 승마 여정을 하는 것을 기록하고 있다. 2008년 이 행사가 사우스다코타주 로워 브룰에서 시작하여 약 531.08km 이상을 달려 대규모 처형 기념일에 미네소타주 맨카토에 도착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 그들은 "치유와 화해를 장려하기 위해" 이 여정과 영화를 제작했다.[163][164][165]

참조

[1] 서적 The Dakota War: The United States Army Versus the Sioux, 1862–1865 McFarland Publishing
[2] 서적 The Dakota War: The United States Army Versus the Sioux, 1862–1865 McFarland Publishing
[3] 문서 Wingerd, p. 400 n 4.
[4] 서적 Outbreak and massacre by the Dakota Indians in Minnesota in 1862 : Marion P. Satterlee's minute account of the outbreak, with exact locations, names of all victims, prisoners at Camp Release, refugees at Fort Ridgely, etc. : complete list of Indians killed in battle and those hanged, and those pardoned at Rock Island, Iowa : interesting items and anecdotes M.P. Satterlee
[5] 서적 The Dakota War: The United States Army Versus the Sioux, 1862–1865 McFarland Publishing
[6] 서적 The Dakota War: The United States Army Versus the Sioux, 1862–1865 McFarland Publishing
[7] 웹사이트 During the War https://www.usdakota[...] 2012-08-22
[8] 문서 Mary Lethert Wingerd, ''North Country: The Making of Minnesota'' (2010) p. 302.
[9] 웹사이트 The Acton Incident https://www.usdakota[...] 2013-02-27
[10] 서적 Through Dakota Eyes: Narrative Accounts of the Minnesota Indian War of 1862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1] 서적 Massacre in Minnesota: The Dakota War of 1862, the Most Violent Ethnic Conflict in American Histo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2] 웹사이트 During the War https://www.usdakota[...] 2012-08-22
[13] 문서 Wingerd, ''North Country'' (2010) p. 400 n 4.
[14] 웹사이트 Ho-Chunk and Blue Earth, 1855–1863 https://www.mnopedia[...] 2021-09-30
[15] 뉴스 Dayton declares remembrance of U.S.–Dakota War https://mndaily.com/[...] MN Daily 2012-08-16
[16] 뉴스 Dayton repudiates Ramsey's call to exterminate Dakota https://www.startrib[...] Star Tribune 2013-05-02
[17] 뉴스 Dakota Governor Walz makes historic apology for 1862 mass hanging in Mankato https://indiancountr[...] Indian Country Today 2020-01-02
[18] 학술지 'We Will Talk of Nothing Else': Dakota Interpretations of the Treaty of 1837 https://digitalcommo[...] 2005
[19] 서적 The Sioux Uprising of 1862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20] 서적 Massacre in Minnesota
[21] 웹사이트 Treaty with the Sioux, 1858 https://treaties.oks[...]
[22] 학술지 Minnesota's Indian War http://collections.m[...] 1962
[23] 학술지 The Time to Speak Is over: The Onset of the Sioux Uprising http://collections.m[...] 1976
[24] 웹사이트 Minnesota Territory, 1857 https://www.usdakota[...] 2012-09-02
[25] 문서 Reminiscences of Little Crow
[26] 서적 Presidents at War: A Survey of United States Warfare History in Presidential Sequence 1775–1980 https://books.google[...]
[27] 웹사이트 Causes of the War https://www.usdakota[...] 2012-08-01
[28] 웹사이트 Report on Indian affairs in Minnesota http://hdl.loc.gov/l[...] 1862-01-01
[29] 웹사이트 Thompson, Clark Wallace https://www.mnopedia[...] 2019-07
[30] 서적 North American Indian Wars Booksales
[31] 웹사이트 10 Myths on the Dakota Uprising http://www.truewestm[...] True West Magazine 2012-11-05
[32] 학술지 Myrick's Insult: A fresh look at Myth and Reality http://collections.m[...]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1983
[33] 문서 Letter from Little Crow to Col. Henry Sibley (September 7, 1862) AG Report, 35–36
[34] 웹사이트 The Dakota Conflict (Sioux Uprsing) Trials of 1862 http://law2.umkc.edu[...]
[35] 웹사이트 Timeline https://www.usdakota[...] 2012-03-12
[36] 서적 North Country: The Making of Minnesot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0
[37] 웹사이트 Taoyateduta Is Not a Coward http://collections.m[...]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1962-09-01
[38] 웹사이트 479: Little War on the Prairie https://www.thisamer[...] 2018-04-15
[39] 서적 A History of Minnesota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40] 문서 Anderson, Little Crow, 130–39; Schultz, ''Over the Earth I Come'', 48–58; Heard, ''History of the Sioux War'', 73; Board of Commissioners, ''Minnesota in the Civil War'', 2:112–114, 166–181.
[41] 서적 Mi' Taku'ye-oyasin : Letters from Wounded Knee : the native American Holocaust 2012
[42] 서적 Dakota War Whoop: Indian Massacres and War in Minnesota, 1862–3 https://archive.org/[...] William J. Moses' Press
[43] 서적 Old Betsey: The Life and Times of a Famous Dakota Woman and Her Family Coyote Books
[44] 서적 A Thrilling Narrative of Indian Captivity: Dispatches from the Dakota War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5] 서적 Scouting on Two Continents Doubleday, Page and Co
[46] 서적 Memories of the Battle of New Ulm Heritage Books 2024
[47] 문서 Soldiers: 3 killed/13 wounded; Lakota: 2 known dead.
[48] 웹사이트 Ft. Rid http://www.isd77.k12[...] Mankato Chamber of Commerce
[49] 웹사이트 The West Lake Attack https://www.usdakota[...] 2013-03-29
[50] 서적 The Dakota War of 1862: Minnesota's Other Civil War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51] 서적 A History of Minnesota https://archive.org/[...]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52] 서적 The Dakota War of 1862: Minnesota's Other Civil War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53] 서적 Minnesota in the civil and Indian wars 1861–1865 Printed for the state by the Pioneer Press Co
[54] 서적 Encyclopedia of Biography of Minnesota https://archive.org/[...] Higginson Book Co.
[55] 서적 Frontier Forts of Iowa: Indians, Traders, and Soldiers, 1682–1862 University of Iowa Press
[56] 서적 The Iowa Northern Border Brigade Office of the State Archaeologist, The University of Iowa
[57] 웹사이트 Battle of Acton Historical Marker https://www.hmdb.org[...]
[58] 웹사이트 The Battle in Hutchinson, Sept. 4, 1862 https://www.crowrive[...] 2016-09-04
[59] 서적 Minnesota in the Civil and Indian Wars, 1861–1865 Printed for the state by the Pioneer Press Co.
[60] 웹사이트 Letter to Dr. Jared W. Daniels http://www2.mnhs.org[...] 1894-08-09
[61] 뉴스 A Sioux Story of the War: Chief Big Eagle's Story of the Sioux Outbreak of 1862 https://en.wikisourc[...] 1894-07-01
[62] 서적 Massacre in Minnesota: The Dakota War of 1862, the Most Violent Ethnic Conflict in American Histo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63] 간행물 Neighbors to the Rescue http://collections.m[...] 1979-12-01
[64] 웹사이트 History – Minnesota Infantry (Part 2) http://www.civilwara[...] The Civil War Archive
[65] 서적 Minnesota in the Civil and Indian Wars, 1861–1865: Two Volume Set with Index https://books.googl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2005
[66] 서적 Minnesota in the Civil and Indian Wars 1861–1865 Printed for the state by the Pioneer Press Co
[67] 서적 The Dakota War of 1862: Minnesota's Other Civil War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68] 웹사이트 Minnesota's State War and the Battle of Wood Lake, September 23, 1862 http://woodlakebattl[...]
[69] 서적 Through Dakota Eyes: Narrative Accounts of the Minnesota Indian War of 1862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70] 서적 Through Dakota Eyes: Narrative Accounts of the Minnesota Indian War of 1862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71] 논문 A Sioux Narrative of the Outbreak of 1862, and of Sibley's Expedition of 1863 1905
[72] 서적 Through Dakota Eyes: Narrative Accounts of the Minnesota Indian War of 1862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73] 서적 Indian Outbreaks 1886-09-01
[74] 웹사이트 Report on the Battle of Wood Lake http://www2.mnhs.org[...] Minnesota Commission on the Wood Lake Battlefield 2021-06-20
[75] 서적 Minnesota in the Civil and Indian Wars, 1861–1865 Printed for the state by the Pioneer Press Co
[76] 웹사이트 Camp Release https://www.usdakota[...] 2012-07-13
[77]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ae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of the year: 1862 https://archive.org/[...] D. Appleton & Company
[78] 서적 The Dakota War: The United States Army Versus the Sioux, 1862–1865 McFarland & Company
[79] 서적 Little Crow: Spokesman for the Sioux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80] 뉴스 Little Crow's Legacy https://www.newspape[...] 2022-07-17
[81] 웹사이트 17. Did th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display the remains of Taoyateduta (Little Crow) at the Minnesota State Capitol? https://www.usdakota[...] 2012-05-08
[82]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Dakota War Trials: A Study in Military Injustice https://scholarship.[...] University of Minnesota Law School 2018-12-26
[83] 서적 To John Pope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1862-11-10
[84] 뉴스 History Matters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2008-03-04
[85]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Abraham Lincoln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86] 웹사이트 Message to the Senate Responding to the Resolution Regarding Indian Barbarities in the State of Minnesota https://www.preside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18-12-26
[87] 웹사이트 9th Regiment, Minnesota Infantry, The Civil War – Battle Unit Details, Union Minnesota Volunteers https://www.nps.gov/[...]
[88] 웹사이트 10th Regiment, Minnesota Infantry, The Civil War – Battle Unit Details, Union Minnesota Volunteers https://www.nps.gov/[...]
[89] 웹사이트 Lincoln and the Hanging of 38 Sioux, 1862 https://longstreet.t[...]
[90] 웹사이트 Notice of Inventory Completion for Native American Human Remains from Mankato, MN in the Possession of the Public Museum of Grand Rapids, Grand Rapids, MI http://www.cr.nps.go[...] National Park Service 2007-04-28
[91] 서적 A History of Minnesota https://archive.org/[...]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92] 웹사이트 Civil War Military Units from Minnesota: Hatch's Independent Battalion https://libguides.mn[...] 2022-04-08
[93] 서적 The Civil War Years: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Johns Hopkins Press
[94] 웹사이트 Learn https://www.mnhs.org[...] 2022-12-27
[95] 서적 The Doctors Mayo Mayo Clinic
[96] 웹사이트 In hopes of healing, Mayo created a scholarship as apology for misuse of Dakota leader's body https://www.startrib[...] 2021-01-05
[97] 뉴스 Dakota Wars, Then and Now https://nightfall.bl[...] 2021-01-05
[98] 웹사이트 The Two Sides of Camp McClellan http://www.qcmemory.[...] Davenport Public Library 2012-06-04
[99] 서적 The Dakota prisoner of war letters = Dakota Kaŝkapi Okicize Wowapi https://www.worldcat[...]
[100] 뉴스 Part 2: Letters reveal spectrum of life at Dakota prison camp https://qctimes.com/[...] 2020-11-16
[101] 논문 They Tell Their Story: the Dakota Internment at Camp McClellan in Davenport, 1862–1866 https://pubs.lib.uio[...] 2004-07-01
[102] 논문 "The young folks [want] to go in and see the Indians": Davenport Citizens, Protestant Missionaries, and Dakota Prisoners of War, 1863–1866 https://pubs.lib.uio[...] 2018-04-01
[103] 서적 Dakota Indian Internment at Fort Snelling, 1862–1864 Prairie Smoke Press
[104] 논문 Minnesota Bounties On Dakota Men During The U.S.–Dakota War https://open.mitchel[...] Mitchell Hamline School of Law 2020-12-23
[105] 웹사이트 Where the Water Reflects the Past http://www.saintpaul[...] The Saint Paul Foundation 2006-12-12
[106] 웹사이트 Family History http://www.mnhs.org/[...]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2006-12-12
[107] 웹사이트 Exile https://www.usdakota[...] 2021-02-03
[108] 논문 As Red Men Viewed It: Three Indian Accounts of the Uprising https://www.jstor.or[...] 1962-09
[109] 논문 Review – A Thrilling Narrative of Indian Captivity: Dispatches from the Dakota War https://www.jstor.or[...] 2013
[110] 웹사이트 Anniversary Volume Gives New Voice To Pioneer Accounts of Sioux Uprising http://www.uc.edu/ne[...] University of Cincinnati 2007-06-06
[111] 논문 Histories of the U.S.–Dakota War of 1862 https://www.jstor.or[...] 2012
[112] 논문 Book Reviews – Through Dakota Eyes: Narrative Accounts of the Minnesota Indian War of 1862 https://www.jstor.or[...] 1988
[113] 서적 A history of the great massacre by the Sioux Indians in Minnesota : including the personal narratives of many who escaped O.C. Gibbs
[114] 웹사이트 Siouxland Observer: Exiled: The Northwest Tribes http://siouxlandobse[...] 2021-03-08
[115] 웹사이트 Riverfront Eyewitness https://drive.google[...]
[116] 웹사이트 Exiled at Crow Creek http://news.minnesot[...] 2018-03-27
[117] Youtube Let Them Eat Grass https://www.youtube.[...] 2013-02-12
[118] 논문 Minnesota Bounties On Dakota Men During The U.S.–Dakota War http://open.mitchell[...] Mitchell Hamline School of Law 2013
[119] 웹사이트 Bounties https://www.usdakota[...] 2021-06-08
[120] 방송매체 Minnesota's Uncivil War http://news.minnesot[...] KNOW-FM 2002-09-26
[121] 뉴스 After more than 150 years, New Ulm Battery still one-of-a-kind https://www.nujourna[...] 2016-10-23
[122] 뉴스 Gov. Dayton repudiates actions by Gov. Ramsey, 150 years later https://www.mprnews.[...] MPR 2012-08-16
[123] 웹사이트 MNHS Transfers Portion of Lower Sioux Historic Site Back to the Lower Sioux Indian Community https://www.mnhs.org[...]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2021-02-05
[124] 뉴스 Lower Sioux Indian Community To Get Ancestral Land Back From Minnesota, MN Historical Society https://minnesota.cb[...] WCCO-TV 2021-02-04
[125] 웹사이트 In an unprecedented step, Minnesota returns 114 acres to Lower Sioux Indian Community https://www.startrib[...] 2021-02-20
[126] 웹사이트 Camp Release State Monument https://www.hmdb.org[...]
[127] 웹사이트 Wood Lake Battlefield State Monument https://www.hmdb.org[...]
[128] 뉴스 Wood Lake Battlefield https://www.wctrib.c[...] 2012-09-15
[129] 웹사이트 Birch Coulee Battlefield https://www.mnhs.org[...]
[130] 웹사이트 Birch Coulee State Monument https://www.hmdb.org[...]
[131] 뉴스 Groups say Birch Coulee Battle Monuments in Minnesota are worth preserving, but by who? https://www.postbull[...] 2020-09-11
[132] 웹사이트 Fort Ridgely State Monument https://www.hmdb.org[...]
[133] 웹사이트 Henderson Monument https://www.hmdb.org[...]
[134] 웹사이트 Henderson Monument, photo by Jan Klein http://www.dakotavic[...]
[135] 웹사이트 Monuments Depicting Victims of the Dakota Uprising http://www.dakotavic[...]
[136] 웹사이트 Radnor Earle Monument, photo by Curt Dahlin http://www.dakotavic[...]
[137] 웹사이트 Schwandt State Monument https://www.hmdb.org[...] 2016-06-16
[138] 서적 The History of Renville County, Minnesota https://archive.org/[...] H.C. Cooper, Jr. & Co.
[139] 서적 Sketches, historical and descriptive, of the monuments and tablets, erected by the Minnesota Valley historical society in Renville and Redwood counties, Minnesota https://catalog.hath[...] Minnesota Valley Historical Society
[140] 논문 The Problem of Historic Markers and Monuments in Minnesota https://archive.org/[...] 1930-03
[141] 웹사이트 Defenders State Monument https://www.hmdb.org[...] 2022-03-17
[142] 웹사이트 Mankato's Hanging Monument Excluded Indigenous Perspectives when it was Erected and when it was Removed https://historynewsn[...] 2022-04-06
[143] 서적 The State We're In: Reflections on Minnesota History https://books.googl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44] 웹사이트 Students search for missing monument https://www.mankatof[...] 2022-04-06
[145] 웹사이트 Reconciliation Park https://www.mankatol[...] 2022-04-06
[146] 뉴스 Memorial to 38 hanged Dakota warriors unveiled in Mankato https://www.newspape[...] 2022-04-06
[147] 웹사이트 Acton State Monument https://www.hmdb.org[...] 2022-04-08
[148] 웹사이트 The Acton Incident https://www.hmdb.org[...] 2022-04-08
[149] 웹사이트 Guri Endresen-Rosseland Historical Marker https://www.hmdb.org[...] 2023-05-07
[150] 웹사이트 White Family Massacre Historical Marker https://www.hmdb.org[...] 2023-05-07
[151] 웹사이트 The U.S.–Dakota War of 1862 https://web.archive.[...] 2023-05-07
[152] 웹사이트 Murray County, MN https://murraycounty[...] 2023-05-07
[153] 웹사이트 Little Crow (Taoyateduta) http://www.co.meeker[...] Meeker County 2021-06-30
[154] 웹사이트 Reconciliation – Healing and Remembering https://web.archive.[...] 2011-09-06
[155] 서적 Little house on the prairie https://www.worldcat[...] 1953
[156] 서적 Scouting on two continents https://www.worldcat[...] Books of Rhodesia 1975
[157] 뉴스 Movies https://www.nytimes.[...] 2016-11-28
[158] 웹사이트 One Poem By Layli Long Soldier https://web.archive.[...] 2018-08-07
[159] 뉴스 A Native American Poet Excavates the Language of Occupation https://www.nytimes.[...] 2018-08-07
[160] 웹사이트 A Minnesota politician and writer shares his insights on 'The Dakota War, a Clash of Cultures' https://www.minnpost[...] 2012-05-21
[161] 웹사이트 Healing Minnesota's Deepest Wound: Pardoning a Dakota Warrior https://web.archive.[...] 2012-05-09
[162] 동영상 The Past Is Alive Within Us: The U.S.–Dakota Conflict https://www.tpt.org/[...] 2013-12-26
[163] 웹사이트 Dakota 38 http://www.smoothfea[...] 2020-12-31
[164] 뉴스 Watch Dakota 38 Documentary, Remember Those Lost 150 Years Ago https://indiancountr[...] 2020-12-31
[165] 웹사이트 'Dakota 38' film to be shown at ND Heritage Center https://www.minotdai[...] 2020-12-31
[166] 문서 24 soldiers killed.
[167] 서적 Scouting on Two Continents Doubleday, Page and Co 1926
[168] 문서 당시릿지리 砦에 주둔하고 있던 제5미네소타 자원보병 연대의 2개 중대를 포함
[169] 문서 Soldiers: 3 killed/13 wounded; Lakota: 2 known dead.
[170] 웹사이트 Ft. Rid http://www.isd77.k12[...] Mankato Chamber of Commerce 2007-04-06
[171] 문서 현재의 매니토바주 위니펙에 있던
[172] 문서 현재의 노스다코타주 파고의 남쪽 약 40km의 레드강 굴곡부에 있던
[173] 웹사이트 Anniversary Volume Gives New Voice To Pioneer Accounts of Sioux Uprising http://www.uc.edu/ne[...] University of Cincinnati 2002-08-21
[174] 문서 Schultz, p249.
[175] 서적 Lincoln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76] 뉴스 History Matters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2008-03-01
[177] 서적 Schultz
[178] 서적 The Sioux Uprising of 1862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179] 웹사이트 Human Remains from Mankato, MN in the Possession of the Public Museum of Grand Rapids, Grand Rapids, MI http://www.cr.nps.go[...] National Park Service 2000-04-08
[180] 서적 Clapesattle
[181] 서적 Clapesattle
[182] 문서 Records of the Mayo Clinic
[183] 서적 Dakota Indian Internment at Fort Snelling, 1862–1864 Prairie Smoke Press 2005-10-10
[184] 웹사이트 Where the Water Reflects the Past http://www.saintpaul[...] The Saint Paul Foundation 2005-10-31
[185] 웹사이트 family History http://www.mnhs.org/[...]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2006-01-01 # 날짜가 정확하지 않아 임의로 2006-01-01로 설정
[186] 서적 Bryant
[187] 서적 Bryant
[188] 뉴스 Minnesota's Uncivil War http://news.minnes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