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학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 학살은 1991년 8월 크로아티아 달 마을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간의 민족 갈등이 격화되면서 일어났다. 세르비아계 민병대와 유고 인민군의 공격으로 크로아티아 경찰, 국가방위군, 민간인 등 다수가 사망했으며, 비세르브계 민간인에 대한 학살과 고문, 강간 등의 전쟁 범죄가 자행되었다. 국제 유고 전범 재판소(ICTY)는 이 사건과 관련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고란 하지치 등에게 전쟁 범죄 혐의를 적용하여 기소했으며, 여러 관련자들에 대한 재판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학살 - 부코바르 학살
부코바르 학살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세르비아계 준군사 조직이 부코바르 함락 직후 최소 260여 명의 민간인과 부상병을 학살한 전쟁 범죄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최악의 집단 학살 중 하나로 기록된다. - 1991년 학살 - 고스피치 학살
고스피치 학살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고스피치 지역에서 크로아티아군 지휘 하에 세르비아계 민간인들이 체포되어 살해된 집단 학살 사건으로, 최소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관련자들은 유죄 판결을 받았다. - 1991년 8월 - 8월 쿠데타
8월 쿠데타는 1991년 소련 부통령 겐나디 야나예프 등 보수파가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개혁에 반발하여 권력 장악을 시도했으나 옐친과 시민들의 저항으로 실패하고 소련 붕괴를 촉진한 사건이다. - 1991년 8월 - 1991년 팬아메리칸 게임
1991년 팬아메리칸 게임은 쿠바 아바나에서 개최된 종합 스포츠 대회로, 아메리카 대륙 39개국이 참가하여 볼링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쿠바의 인권 문제 비판 속에서도 대한민국이 참가하여 스포츠 교류를 시작하고 양궁, 태권도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세르비아의 전쟁 범죄 - 세르비아 의용방위군
세르비아 의용방위군은 1990년 10월에 창설되어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참전하고 인종 청소에 가담했으며, 1996년 4월에 해산되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세르비아의 전쟁 범죄 -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두브로브니크 포위전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몬테네그로군이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를 포위, 공격하여 점령 후 세르비아나 몬테네그로에 병합하려다 실패한 사건으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인 두브로브니크 구시가지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전쟁 범죄 논란을 야기했다.
달 학살 | |
---|---|
개요 | |
위치 | 크로아티아 달 |
대상 | 크로아티아 경찰,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 포로, 크로아트인 민간인 |
종류 | 대량 살인, 인종 청소 |
발생일 | 1991년 8월 1일 ~ 1992년 6월 |
사망자 | 1991년 8월 1일: 56-57명 1992년 6월까지: 최대 135명 이상 |
가해자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지원을 받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 영토방위군, 세르비아 의용방위군 준군사 |
2. 배경
1990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치러진 총선거 결과, 사회주의 정당이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승리하였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 내 크로아트인과 세르브인 사이의 민족 갈등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당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크로아티아의 독립 움직임을 견제하고 저항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O)의 무기를 압수하는 조치를 취했다.
1990년 8월 17일, 고조되던 민족 갈등은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들의 대규모 봉기로 폭발했다. 이 봉기는 세르브인이 다수 거주하던 달마티아 고원 지역의 크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슬라보니아 등지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앞서 1990년 7월, 세르브계는 세르비아 국가의회를 설립하여 크로아티아의 대통령으로 선출된 프라뇨 투지만의 크로아티아의 독립 정책에 공식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크닌 인근 지역의 치과의사 출신인 밀란 바비치가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크닌 경찰서장이었던 밀란 마르티치는 세르브계 준군사 민병대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이 두 사람은 크로아티아 내 세르브인 거주 지역을 통합하여 일방적으로 선포한 자칭 SAO 크라이나 공화국의 정치 및 군사 지도자가 되었다.
1991년 3월부터 세르비아 정부의 지원을 받기 시작한 SAO 크라이나 측은 크로아티아 내 세르브인 거주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을 강화하려 시도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크로아티아 정부와의 충돌로 이어져, 파크라츠에서 무혈 충돌이 발생했으며, 플리트비체 호수 사건에서는 양측 간의 교전으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5월 초에는 슬라보니아 동부 지역에서도 민족 갈등이 격화되어, 달 마을 바로 남쪽에 위치한 보로보셸로에서 보로보셸로 전투가 벌어졌다. 이어 6월 25일과 26일에는 동슬라보니아 지역의 세르브계가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아(SAO SBWS)를 설립하고 자치 정치체임을 선언하며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분리 움직임을 가속화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크로아티아는 자체적인 군사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2. 1. 크로아티아의 군사적 대비
1991년 초, 크로아티아는 자체적인 정규군이 없는 상태였다. 국방력 강화를 위해 경찰력을 약 2만 명으로 두 배 증강했다. 경찰 병력 중 가장 전투력이 높은 부대는 군사 조직 형태를 갖춘 12개 대대, 3천 명 규모의 특수경찰이었다. 또한 9천 명에서 1만 명에 달하는 지역 예비경찰 조직이 있었는데, 이들은 16개 대대와 10개 중대로 편성되었으나 무기가 부족한 상태였다.같은 해 7월,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가 창설되었다. ZNG는 기존 특수경찰 일부를 흡수하여 4개의 근위여단과 4만 명 규모의 예비대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들 예비 부대 역시 모든 병력을 무장시킬 만큼 충분한 소화기나 중화기를 보유하지 못했다.
3. 1991년 8월 달 마을 충돌
1991년 8월 1일 새벽 3시부터 4시 30분 사이, 달, 에르두트, 알마시 세 마을이 포격을 받았다. 크로아티아 측은 이 포격이 세르브계 영토방위군(TO)뿐만 아니라, 다뉴브강 건너편 세르비아 영토에 주둔한 유고 인민군(JNA) 제51기계화여단 예하 부대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반면, JNA는 자신들의 포병이 포격에 가담하지 않았다고 부인했으며, 최초 교전 시각도 오전 4시 10분경으로 더 늦게 기록했다. 하지만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법원(ICTY)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재판 증언은 첫 전투가 새벽 3시경 시작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포격이 멈춘 후, 젤코 라주나토비치(아르칸)가 이끄는 세르비아 의용방위군의 지원을 받는 세르브계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은 보로보셸로 기지에서 출발하여 3개 조로 나뉘어 달을 향해 보병 공격을 시작했다. 첫 번째 조는 달 경찰서를, 두 번째 조는 마을 상수도 시설 근처의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 진지를 공격했으며, 세 번째 조는 예비대로 남았다. 크로아티아 경찰과 ZNG 병력이 방어하던 달 경찰서에서는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오전 6시 20분, 크로아티아 경찰은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자 오시예크 경찰청에 지원을 요청하는 동시에, 영토방위군의 공격을 멈추기 위해 JNA의 개입을 요청했다. JNA는 개입하기로 결정하고 오전 6시 50분경 달 마을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JNA는 보고예보와 달을 잇는 15km 도로를 따라 이동하던 중, 에르두트에 주둔한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 제3경비여단 제1대대 제1중대로부터 공격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ICTY 재판 증언에 따르면, JNA가 먼저 에르두트의 민가를 향해 이유 없이 발포했다고 한다. JNA 부대는 오전 9시 30분경 달 경찰서에 도착했다.
JNA 도착 이후 상황에 대해서는 양측의 주장이 엇갈린다. JNA는 경찰서 방어 병력만이 교전 중단을 거부했다고 주장했으나, 크로아티아 측은 JNA가 크로아티아 경찰과 ZNG 병력에게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고, 이를 거부하자 교전이 재개되었다고 주장한다. 양측 모두 오전 10시경 JNA 전차 3대가 경찰서를 향해 주포를 발사하면서 전투가 다시 시작되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JNA는 생포된 크로아티아 경찰이나 ZNG 병사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경찰서 외곽에 있던 크로아티아군이 교전 중단을 받아들였다는 JNA 자체 보고서 내용과 모순된다. 크로아티아 측은 항복한 병사들이 포로로 잡힌 뒤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전투로 크로아티아 경찰 20명, ZNG 병사 15명, 민방위 대원 4명 등 총 39명이 사망했다.
같은 날 달 마을에서는 비세르브계 민간인에 대한 학살도 발생했다. 이후 크로아티아 정부와의 협상에서 SAO SBWS 측은 8월 1일 달 마을에서 크로아트인 56~57명이 사망했다고 보고했다. 민간인 2명을 포함한 희생자 25명의 시신이 ZNG가 통제하던 오시예크로 옮겨졌으며, 부검 결과 일부는 구타당한 뒤 처형된 것으로 나타났다.
3. 1. 학살과 민간인 피해
1991년 8월 1일 사건 이후 인종적으로 혼합된 마을이었던 달에서 크로아티아인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자, 위협을 느낀 크로아티아인들은 마을을 떠나기 시작했다. -- 피난민 대부분은 인근 알마시 마을로 이동한 뒤, 드라바강을 따라 보트나 바지선을 이용해 오시예크로 향했다.세르비아군이 달을 점령한 직후, 달을 포함한 주변 마을에서는 비세르비아계 주민들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이 박해에는 구타, 임의 체포, 전시 성폭력 등이 포함되었다. 영토방위군(TO) 부대는 여러 크로아티아인 민간인을 체포하여 달에 수감했다. 1991년 9월 21일, 포로로 잡혀 있던 11명이 라주나토비치가 이끄는 영토방위군 병사들에게 학살당했으며, 이들의 시신은 첼리예 마을의 집단 매장지에 묻혔다. 같은 해 10월 4일에는 달 수용소에 구금되어 있던 민간인 28명이 영토방위군 병사와 라주나토비치에게 고문을 당한 뒤 학살되었다. 희생자들의 시신은 도나우강에 버려졌다. 1992년 5월까지 이 지역에서 최소 135명의 크로아티아인과 기타 비세르비아계 민간인이 살해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한 사례로, 1992년 6월 3일에는 세르비아 의용군과 세르비아 국가 안보 요원들이 Marija Senaši|마리야 세나시hr라는 여성을 구타하고 살해하는 사건도 발생했다.[1]
한편, 1991년 11월 20일 부코바르 전투 끝에 유고 인민군이 부코바르를 점령한 후, 도시 주민 다수가 달의 수용소로 강제 이송되었다. 이는 당시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SAO SBWS)의 정치 지도자였던 고란 하지치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전투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은 사람들은 수용소에서 심문을 받으며 고문을 당했고, 이 과정에서 최소 35명이 처형되었다.
4. 여파
1991년 8월 1일 사건으로 인종적으로 혼합된 달 마을에서 크로아트인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자, 크로아트인들은 위협을 느끼고 마을을 떠나기 시작했다. 난민 대부분은 알마시로 이동한 뒤 드라바강을 따라 보트나 바지선을 타고 오시예크까지 피난했다.
세르비아계 군대가 점령한 직후, 달을 비롯한 인근 마을에서는 세르브계가 아닌 주민들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박해에는 구타, 임의 체포, 전시 성폭력 등이 포함되었다. 영토방위군(TO) 부대는 여러 크로아트인 민간인을 체포하여 달 마을에 감금했다. 1991년 9월 21일, 감금되었던 포로 11명이 라주나토비치가 이끄는 영토방위군 병사들에게 학살당해 첼리예 마을의 집단무덤에 묻혔다. 같은 해 10월 4일에는 달 수용소에 구금되어 있던 민간인 28명이 영토방위군 병사와 라주나토비치에게 고문을 당한 뒤 학살당했으며, 이들의 시신은 도나우강에 버려졌다. 1992년 5월까지 이 지역에서 최소 135명의 크로아트인과 비세르브계 민간인이 학살된 것으로 파악된다. 1992년 6월 3일에는 세르비아 의용군과 세르비아 국가 안보 요원들이 마리야 세나시를 구타하고 살해하는 사건도 발생했다.[1]
1991년 11월 20일 부코바르 전투에서 유고 인민군이 부코바르를 점령한 후, 도시 주민 다수가 달 수용소로 강제 이송되었다. 이 조치는 당시 SAO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SAO SBWS)의 정치 지도자였던 고란 하지치의 요청으로 이루어졌다. 수용소로 끌려온 이들 중 전투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은 사람들은 심문 과정에서 고문을 당했으며, 최소 35명이 처형되었다.
한편, SAO 크라이나는 1991년 12월 19일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SAO SBWS는 1992년 2월 26일 공식적으로 RSK에 편입되었다. 1991년 9월부터 SAO SBWS의 대통령이었던 고란 하지치는 합병 이후 RSK의 대통령직을 맡게 되었다.
1991년 8월 1일 달에서 일어난 사건은 당시 독일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어 학살에 대한 대중적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독일은 추가적인 폭력 사태를 막기 위해 크로아티아를 국제적으로 신속히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1991년 말까지 유럽 경제 공동체(EEC) 회원국들을 상대로 크로아티아 인정을 공식 정책으로 추진하도록 외교적 노력을 펼쳤다. 그 결과 1991년 12월 19일, 독일 정부는 EEC 회원국 중 최초로 크로아티아를 정식 국가로 인정했다.
2013년, 달 경찰서는 크로아티아 정부로부터 영웅적인 행동을 기리는 니콜라 4세 즈린스키 훈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학살 22주년을 맞아 1991년 8월 1일 달에서 학살된 경찰관,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 병사, 민방위원 39명을 추모하는 기념비가 경찰서에 세워졌다. 같은 해 11월 26일에는 학살로 희생된 민간인들을 기리는 추모비도 달에 건립되었다.
5. 전범 재판
1991년 당시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이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대통령 고란 하지치는 달 지역에서 민병대를 동원하여 비세르브계 주민에 대한 살인, 몰살, 추방, 고문 등을 명령한 전쟁 범죄 혐의로 ICTY에 기소되었다.[1][2] 밀로셰비치는 ICTY 재판이 시작된 지 4년 만인 2006년, 판결이 내려지기 전에 사망하였다.[3] 고란 하지치의 재판은 2012년에 시작되었으나,[4] 2014년 말기 뇌암 진단을 받아 재판이 중단되었고, 2016년 7월 12일 사망하였다.[5][6]
ICTY는 세르비아 내무부 산하 국가보안청 청장 요비차 스타니시치와 국가보안청 지휘 하의 특수작전부대 사령관 프란코 시마토비치 역시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하였다. 이들의 혐의에는 1991년 11월 11일 달에서 체포된 비세르브계 민간인 7명(이 중 2명은 달에서 체포)에 대한 고문에 가담한 혐의가 포함되었다. 체포된 민간인 중 5명은 에르두트에서 세르비아 의용방위군 병사들에게 살해되어 첼리예 마을의 집단무덤에 매장되었다.[7] 스타니시치와 시마토비치는 세르비아 의용방위군을 지휘하고 훈련시킨 혐의도 받았다. 2008년 시작된 ICTY 재판은 2013년 5월 30일 두 사람 모두에게 무죄를 선고하며 끝났다. ICTY 검사는 판결에 항소하였고, 2015년 12월 15일 항소심에서 원심 판결이 뒤집혔다. 이후 재판은 유엔 MICT로 이관되어 진행되었으며, 2023년 MICT는 스타니시치와 시마토비치가 1992년 6월 달스카 플라니나에서의 살인 및 인도에 반한 박해를 방조한 혐의,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저지른 다른 범죄에도 연루되어 공동 범죄 기업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인정하여 각각 15년 형을 선고했다.[2][3]
5. 1. 크로아티아의 추가 기소
2010년, 유고 인민군(JNA) 제51 기갑여단 지휘관이었던 에네스 타소는 1991년 8월부터 12월까지 달 지역에서 저지른 전쟁 범죄와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타소는 달 경찰서 공격으로 인한 경찰관 2명의 사망, 달에서 체포된 전쟁 포로 9명 살해, 부코바르에서 체포된 11명 살해, 그리고 비세르비아계 민간인 90명 살해에 대한 책임을 물어 기소되었다.2012년 5월, 크로아티아 오시예크의 사법 당국은 크로아티아 민간인에 대한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된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 두 명에 대한 재판을 시작했다. 이들의 혐의에는 20세 여성을 집단 강간하고, 피해자의 부모와 형제자매에게 강간 장면을 강제로 지켜보게 한 잔혹한 행위가 포함되었다. 두 피고인은 2013년 9월 유죄 판결을 받고 각각 12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2013년, 크로아티아 재향군인부 장관은 크로아티아 당국이 달 학살 사건 및 전쟁 기간 중 달 지역에서 자행된 여러 전쟁 범죄와 관련하여 총 150건의 기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크로아티아 정부가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6. 추모 사업
2013년, 달 학살 당시 영웅적 활동을 기려 달지 경찰서에 니콜라 슈비치 즈린스키 훈장이 수여되었다. 같은 해, 사건 발생 22주년을 맞아 1991년 8월 1일 달지에서 사망한 경찰관, ZNG 군인, 시민 방위군 대원 39명을 기리는 기념비가 경찰서에서 공개되었다. 또한 2013년 11월 26일에는 학살 과정에서 희생된 민간인들을 추모하기 위한 기념비가 달지에 세워졌다. 이는 크로아티아 정부와 사회가 달 학살의 비극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rosecutor vs. Jovica Stanišić & Franko Simatović — Judgement In the Appeals Chamber
https://www.irmct.or[...]
International Residual Mechanism for Criminal Tribunals
2023-05-31
[2]
뉴스
UN commends Criminal Tribunal for former Yugoslavia, as final judgement is delivered
https://news.un.org/[...]
2023-05-31
[3]
웹사이트
STANIŠIĆ and SIMATOVIĆ (MICT-15-96-A)
https://www.irmct.or[...]
International Residual Mechanism for Criminal Tribunals
2023-05-31
[4]
뉴스
Croatian Serb rebel Hadzic in Belgrade on release for cancer treatment
https://au.news.yaho[...]
[5]
웹인용
Goran Hadžić dead.
http://www.klix.ba/v[...]
[6]
뉴스
Hague Court orders retrial for 2 aides of Milosević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5-12-16
[7]
웹인용
STANIŠIĆ AND SIMATOVIĆ (MICT-15-96)
http://www.unmic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