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광역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기는 대구광역시를 상징하는 공식 깃발이다. 현재는 초록색 바탕에 대구광역시 로고와 "대구광역시" 글자가 흰색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과거에는 파란색 바탕에 한자 휘장 로고를 사용하거나, 파란색 바탕에 금색 로고와 "TAEGU" 표기를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상징 - 목련
    목련은 동아시아 온대·난대 지역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이른 봄 흰색의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가을에 붉은 씨앗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약재 및 여러 용도로 활용된다.
  • 대구광역시의 상징 - 전나무
    전나무는 키가 20~40m에 달하는 침엽수로, 잿빛 암갈색 껍질과 흰색 기공선이 있는 잎을 가지며 목재, 크리스마스 트리 등으로 이용되고 잎은 약재로 쓰이며 일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 - 경상북도기
    경상북도기는 녹색 바탕에 경상북도의 영문 이니셜과 태양, 백색 곡선 등을 조합하여 도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나타내는 깃발이며, 2001년 1월 1일에 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 - 대전광역시기
    대전광역시기는 무궁화와 '대'자를 형상화한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쾌적한 삶, 과학기술 도시, 역동적인 도약을 염원하는 시민의 꿈을 담고 초록색, 금색, 하얀색을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기 -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태극 문양과 건곤감리 4괘로 구성되어 음양의 조화와 하늘, 땅, 물, 불을 상징하며, 1882년 처음 사용되어 1948년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고, 국기법에 따라 제작 및 게양되며 훼손 시 처벌받는다.
  • 대한민국의 기 - 국기에 대한 맹세
    대한민국 국기에 대한 맹세는 국기에 대한 경례 시 행하는 맹세로, 시대 변화에 따라 내용이 수정되어 왔으나, 맹세 강요에 대한 양심의 자유 침해 논란도 있다.
대구광역시기
기본 정보
대구광역시기
비율2:3
채택일1996년 10월 10일 (최초 제정)
2001년 12월 29일 (현재 버전)
요소초록색 바탕 가운데에 하얀색을 띤 대구광역시의 공식 로고가 그려져 있고 로고 하단에 "대구광역시"라는 하얀색 글자가 쓰여져 있는 디자인

2. 디자인

현재 사용되는 대구광역시기의 공식 로고는 삼각형 3개와 타원을 기본으로 하여 디자인되었다. 이는 대구광역시를 에워싸고 있는 팔공산낙동강을 상징한다.[1] 로고 하단에는 "대구광역시"라는 글자와 함께 대구광역시를 뜻하는 "DAEGU"라는 로마자가 표기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미래를 지향하는 진취성과 세계를 지향하는 개방성을 추구하며 활기찬 대구광역시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1]

2. 1. 색상

대구광역시기는 초록색 바탕하얀색 로고와 "대구광역시"라는 글씨로 구성된다.[1]

대구광역시기에 사용된 색상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색상초록하양
CMYK88–0–65–360–0–0–0
RGB20–163–57255–255–255
웹 색상#13A439#FFFFFF


3. 과거의 기

대구광역시는 현재 사용 중인 기 이전에 여러 형태의 기를 사용하였다. 주요하게는 1977년부터 1996년까지 사용된 제1대 기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된 제2대 기가 있다. 제1대 기는 일제강점기에 제정된 "大邱" 한자를 형상화한 로고를 사용하였으며[3], 제2대 기는 1996년 새로운 공식 로고 제정과 2001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에 따른 로마자 표기 변경('Taegu'에서 'Daegu'로)을 반영하여 디자인이 일부 수정되었다. 각 기는 당시의 대구광역시 로고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3. 1. 제1대 기 (1977년 ~ 1996년)

대구광역시기 (1977년 ~ 1996년 10월 9일)


1977년부터 1996년 10월 9일까지 사용된 대구광역시기는 파란색 바탕 가운데에 하얀색을 띤 대구광역시의 로고가 그려져 있는 기이다. 이 로고는 대구광역시가 일제강점기경상북도 대구부로 있던 1926년에 제정되었는데 "大邱"(대구)라는 한자를 휘장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로고 가운데에는 태양을 뜻하는 점이 그려져 있다.[3]

색상파랑하양
CMYK80–52–0–440–0–0–0
RGB28–69–143255–255–255
웹 색상#1C458F#FFFFFF


3. 2. 제2대 기 (1996년 ~ 2001년)

대구광역시기 (1996년 10월 10일 ~ 2001년 3월 9일)


대구광역시기 (2001년 3월 10일 ~ 2001년 12월 28일)


1996년 10월 10일에 대구광역시의 공식 로고가 제정되면서 새로운 시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대구광역시기는 현재 사용되는 기와 디자인은 유사하지만, 바탕색이 파란색이고 로고와 글자의 색이 금색인 점이 특징이다. 또한 대구광역시를 뜻하는 로마자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라 "TAEGU"로 표기되어 있었다.

2000년 7월 7일, 대한민국 문화관광부(현재의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개정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고시함에 따라 대구광역시의 로마자 표기가 'Taegu'에서 'Daegu'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대구광역시의 로고와 기도 2001년 3월 10일부터 수정된 로마자 표기를 반영하여 변경되었다.

색상파랑금색
CMYK100–39–0–290–23–64–16
RGB0–111–181214–165–77
웹 색상#006FB5#D7A54D


참조

[1] 웹인용 심벌 및 로고 {{!}} 대구광역시 https://www.daegu.go[...] 2024-12-09
[2] 웹인용 대구광역시기 등에 관한 조례 https://www.elis.go.[...] 2024-12-09
[3] 서적 내고장상징물총람 https://memory.libra[...] 경기도청 1987-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