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공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공산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걸쳐 있는 산으로, 신라 시대에는 국가가 숭배하는 영산이었다. 꿩이 많이 살아서 꿩산으로 불리다가 고려 시대에 8명의 장군이 전사한 공산전투 이후 팔공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주요 봉우리로는 비로봉, 동봉, 서봉, 관봉 등이 있으며, 관봉에는 평생 소원 한 가지를 들어준다는 갓바위가 있어 유명하다. 팔공산은 동화사, 은해사 등 많은 사찰과 팔공스카이라인, 캠핑장, 유적지 등 다양한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21년부터 2년 연속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공산 - 칠곡 가산산성
    칠곡 가산산성은 조선 시대에 축조되어 내성, 중성, 외성의 삼중 구조를 갖춘 국방 요충지이며, 가산바위가 위치한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 팔공산 -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좌불상으로, 머리 부분의 갓 모양 때문에 갓바위로 불리며, 기도 효험에 대한 전설과 함께 많은 참배객이 찾는 보물 제431호 불상이다.
  • 대구광역시의 산 - 최정산
    최정산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하며 체육, 위락 시설과 운흥사, 남지장사 등의 사찰이 인근에 있는 산이다.
  • 대구광역시의 산 - 앞산
    앞산은 대구 남구와 달서구 경계에 있는 660.3m 높이의 산으로, 주변 봉우리와 골짜기, 기념 및 체육 시설, 사찰, 방송 송신 시설 등을 포함한다.
  • 경상북도의 공원 - 가야산
    가야산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 걸쳐 있는 1,430m 높이의 산으로,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험준한 산세, 다양한 지형, 풍부한 생태계, 그리고 해인사를 비롯한 문화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공원 - 주왕산
    주왕산은 백악기 말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암 지형으로, 다양한 화산암류와 주왕산 응회암의 지질 명소, 그리고 주왕 관련 전설로 인해 주왕계곡은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팔공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글 이름팔공산
한자 이름八公山
로마자 표기Palgongsan
높이1,193m
면적100
위치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
경상북도 영천시, 칠곡군, 경산시
산맥팔공산맥
목록도립공원
신라의 오악 중 중악
팔공산 관봉에서 내려다 본 경산시
명칭
별칭부악, 중악
유래신라 시대에 중사를 지낸 산으로 알려짐.
지리
특징태백산맥의 보현산에서 서남쪽으로 연결된 산
최고봉비로봉
봉우리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과 서봉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
문화
관련 사찰동화사
사찰 유래심지대사가 중창할 때 오동나무 꽃이 상서롭게 피어 동화사로 고쳐 불렀다.
기타
버스팔공산 벚꽃철 시내 버스 증차 운행

2. 이름의 유래

대구 분지는 과거에 습지와 호수가 대부분이어서 호수처럼 보였다고 한다.[22] 그래서 각종 새가 많이 살았는데, 특히 닭과 물닭 등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대구의 예전 이름이 달구벌이 된 것이다.(아직도 지역 노인들은 병아리를 달구새끼라고 한다.)[23]

팔공산도 예전에 조류인 꿩이 많이 살아서 "꿩산"이라고 했었다. 때문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경덕왕은 팔공산이 감싸고 있는 지형인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를 한자로 "꿩 치(雉)" 자를 써서 치수화라고 부르기도 했었다.[24]

꿩산이 통일신라 말 ~ 고려 초에 전국 지명이 한자어로 바뀌는 과정에서 "공산(公山)"이 되었다.(참고로 충청남도 공주의 공산(公山)은 곰산이 변해서 된 것이다.) 그 후,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왕 견훤과 팔공산 일대에서 전투를 벌이게 된다. 이때 전사한 8명의 고려 장군을 기려, 이름을 다시 팔공산(八公山)으로 바꾸게 된다.[25]

3. 역사

팔공산은 신라 시대부터 국가적인 숭배를 받아온 영산(靈山)이었다.[32] 고려 시대에는 초조대장경이 부인사에 봉안되었고, 지눌거조사에서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조직하는 등[49] 불교와 관련된 중요한 역사가 많이 일어났다. 조선 시대에는 문정왕후가 은해사를 중창하고,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동화사에서 승병을 지휘하였으며,[50] 숙종이 파계사를 크게 중창하고, 영남제일참선 도량인 성전암을 만들었다.[51] 헌종은 아버지 익종의 능을 관리하기 위하여, 팔공산 수태골에 수릉봉산계 표석(문화재 자료 제33호)을 세워 삼림을 보호했다.[52]

1980년 5월에는 팔공산 일부가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12] 2023년 5월 23일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13]

3. 1. 삼국시대~통일신라

삼국사기》에 따르면 팔공산은 신라 오악 중 부악(父岳) 또는 중악(中岳)으로[31], 국가 차원에서 숭배되어 온 영산(靈山)이었다.[32] 선덕여왕은 팔공산에 부인사를 창건하였고[33], 원효대사는 팔공산 오도암에서 깨달았다.[34] 삼국통일의 주역인 신라의 장군 김유신은 팔공산 불굴사 원효굴에서 수행을 하였다.[35] 신문왕은 방어에 유리한 팔공산을 믿고 대구광역시 위치로 천도하려고 하였으나, 귀족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36] 통일 신라 신문왕 9년(689년) 서라벌에서 달구벌로 천도하려는 시도가 있었을 때, 이 산은 지역의 중심 산으로 사람들에게 숭배받았다.[1]

3. 2. 후삼국시대

고려 태조 왕건이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후백제견훤과 팔공산에서 맞붙어 싸웠다. 팔공산 사찰인 동화사파계사는 백제 법상종 계열인 진표율종(眞表律宗)이어서 견훤의 편이 되어주었다.[37] 이에 왕건은 죽음의 위기에 몰렸고 신숭겸이 왕건의 갑옷과 수레를 타고 전사하는 등, 총 8명의 장수가 전사하여 공산에서 팔공산으로 바꿔 부르게 되었다.[38] 그래서 왕건이 없었다면 팔공산 자락의 지명은 어떻게 다 지었을까? 싶을 정도로 왕건 관련 지명이 많다.

927년, 후삼국 시대후백제견훤신라를 공격하여 경애왕을 사로잡아 죽이고 경순왕을 옹립한 후 고려를 향해 진군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태조는 5,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이 산에서 견훤의 군대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7] 전설에 따르면, 태조와 신숭겸은 갑옷을 바꿔 입어 태조가 전장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태조가 전장에서 벗어나는 동안 신숭겸과 나머지 군대는 후백제군과 용감하게 싸웠다. 그러나 결국 패하여 숲 속에서 신숭겸은 화살을 맞고 적에게 죽임을 당했다.[8] 또 다른 장군인 김낙도 전사하였다.[9] 이 전투를 공산 전투라 한다.[1] 태조는 이 산에서 탈출하여 홀로 앞산으로 도망쳐 앞산 정상의 큰 굴에서 며칠 동안 숨어 지냈다.[10] 태조가 전투에서 물러난 후 앞산으로 간 동안, 그는 대구에 자신의 이름이 붙은 여러 지명을 남겼다.[11]

3. 3. 고려시대

초조대장경이 팔공산 부인사(符仁寺)에 봉안되었다.[49]

동화사 주지인 홍진국사 혜영(弘眞國師 惠永) · 자정국사 자안(慈靜國師 子安)이 오교도승통(五敎都僧統)이 되어 전국의 불교를 관장하게 되었다.[49]

보조국사 지눌이 팔공산 거조사(居組寺)에서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조직했다.[49]

927년, 후삼국 시대후백제견훤신라를 공격하여 경애왕을 사로잡아 죽이고 경순왕을 옹립한 후 고려를 향해 진군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태조는 5,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이 산에서 견훤의 군대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7] 전설에 따르면, 태조와 신숭겸은 갑옷을 바꿔 입어 태조가 전장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태조가 전장에서 벗어나는 동안 신숭겸과 나머지 군대는 후백제군과 용감하게 싸웠으나, 결국 패하여 숲 속에서 신숭겸은 화살을 맞고 적에게 죽임을 당했다.[8] 또 다른 장군인 김낙도 전사하였다.[9] 이 전투를 공산 전투라 한다.[1] 태조는 이 산에서 탈출하여 홀로 앞산(ko)으로 도망쳐 앞산 정상의 큰 굴에서 며칠 동안 숨어 지냈다.[10]

3. 4. 조선시대


  • 문정왕후은해사를 대대적으로 중창하였다.[50]
  • 임진왜란 때, 동화사에서 사명대사 유정이 도총섭이 되어 승병을 지휘하였다.
  • 숙종파계사를 크게 중창하고, 영남제일참선 도량인 성전암을 만들었다. 파계사에 선대왕의 위패를 봉안하고, 하마비를 세웠다.[51]
  • 헌종이 아버지 익종의 능을 관리하기 위하여, 팔공산 수태골에 수릉봉산계 표석(문화재 자료 제33호)을 세워 삼림을 보호했다.[52]

4. 봉우리


  • 비로봉(毘盧峰): 팔공산 최고봉이다. 군 기지와 안테나가 많아서 2009년부터 개방되었다.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을 복원해 놓았다. 높이는 1192m이다.

  • 동봉(東峯): 팔공산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로, 공식 명칭은 미타봉(彌陀峰)이다.[26] 높이는 1167m이다.[27]

  • 서봉(西峯): 옛날에 세 명의 성인(또는 승려)이 수행을 한 봉우리여서 삼성봉(三聖峰)으로도 불린다. 높이는 1150m이다.

  • 관봉(冠峰): 꼭대기에 평생 1가지 소원은 들어준다는 불상인 팔공산 갓바위가 있어 팔공산에서 제일 유명한 봉우리이다. 높이는 850m이다.

  • 파계봉: 높이는 991.2m이다.

  • 신림봉: 팔공산 케이블카(팔공스카이라인)가 있는 봉우리이다. 높이는 820m이다.

  • 인봉(印峰): 높이는 579m이다. 봉우리가 도장 모양이라 이곳을 오르면 나랏일을 하는 시험에 합격을 할 수도 있다고 한다. 현재 나랏일을 한다면 더 높은 관직에 오른다는 소문이 있다.

  • 노적봉: 봉우리가 곡식을 쌓은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높이는 891m이다.[28]

  • 삿갓봉: 높이는 931m이다.

5. 지질

대구광역시 북부 팔공산을 중심으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은 '''팔공산 화강암'''(Kgr)은 약 240 km2 면적의 타원형 암주상 관입암체로, 불국사 화강암에 속한다. 이 화강암은 주로 등방성의 중립질 흑운모-각섬석 화강암으로 구성되지만, 섬록암, 각섬석 화강암, 석영몬조니암, 화강반암 등도 소량 발견된다. 구성 광물로는 석영, 사장석, 알카리 장석, 흑운모, 각섬석 등이 있다.

팔공산 지역 중력탐사 결과, 화강암은 최대 깊이 7km와 5km에 이르는 두 개의 관입뿌리(feeders zone)를 가지며, 최대 심도의 관입뿌리는 현재 지표상 화강암체 중심에서 남서쪽에 위치한다. 팔공산 화강암의 전암 Sr-Rb 연대는 84±9 Ma (약 8400만 년 전)이며, 흑운모와 알카리 장석의 K-Ar 연대는 각각 71~72 Ma와 43~44 Ma이다.

화강암체 후기 관입활동으로 화강암체 내부와 혼펠스화된 퇴적암 외곽에 열수광맥형 광산들이 분포하며, 칠곡 광산을 비롯한 여러 폐광산들이 존재한다. 팔공산 화강암체는 경상 분지 지층을 관입하며 쇄설성 퇴적암과의 접촉부에 다양한 접촉 변성대를 형성했다.[53]

5. 1. 팔공산 단층

'''팔공산 단층'''(八公山 斷層, Palgongsan Fault)은 대구광역시 북부 팔공산 화강암체를 절단하며 서북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가음 단층계의 일부이다. 단층면은 서북서 방향의 주향에 북으로 고각 경사하는 양상을 보인다. 장기홍 외(1997)는 의성소분지와 밀양소분지의 경계를 이루는 서북서 방향 팔공산 단층의 운동사를 제안하였다. 이들에 의하면 팔공산 북쪽에 분포하는 후평동층, 점곡층과 남쪽에 분포하는 칠곡층, 신라 역암층, 학봉 현무암이 형성될 때 팔공산 단층이 퇴적동시성 단층으로 운동하였으며, 단층 휴지기에 함안층진동층이 퇴적되고 유천층군의 화성활동이 발생한 후에 약 5.5 km 수평변위를 보이는 좌수향 주향이동 운동이 발생하였다.[54]

여러 백악기 화성암체들이 팔공산 단층의 연장을 따라 분포하고 있어, 이들이 팔공산 단층을 분출통로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팔공산 단층은 하산동층이 최대 5.5 km의 변위를 보이는 곳에서 가장 잘 관찰되며 동쪽으로는 경산시 하양읍에서 첨멸되나 서쪽의 첨멸 지점은 아직 불명이다.[54]

불국사 화강암류에 속하는 팔공산 화강암에 대해 최초로 얻어진 K-Ar 장석연령치는 73 Ma였고[55] 이후 측정된 Rb-Sr 전암 연령은 백악기 후기 상파뉴절에 해당하는 82 Ma이다. 팔공산 주향이동 단층의 운동이 팔공산 화강암 관입 직후에 끝났고 팔공산 화강암이 고결(固結)된 시기를 82 Ma로 본다면 캄파니아 전기에 팔공산 단층의 활동은 끝났다고 보게 되므로 팔공산 단층 발달사의 기간은 백악기 알비절(Albian) 초에서 상파뉴절(Campanian) 전기까지 30 Ma이다.[18]

6. 산세

팔공산은 봉황이 날개를 펼치고 있는 형상이다. 팔공산의 중앙부는 산세가 좋은 편이며, 동화사가 있는 자리는 따뜻하고 바람을 막아준다.

동화사라는 이름 자체가 한 겨울 눈 속에서도 오동나무 꽃이 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절의 위치가 봉황의 아기궁이라 하여 입구에 알 모양 조각이 있다.

반면 기도처인 팔공산 갓바위로 유명한 관봉은 날개 부분이라 경사가 심한 편이며, 중앙부에서 능선을 타고 외곽인 관봉까지 갈 경우 밧줄로 암벽을 타고 오는 등산로가 있을 정도로 험하다.

7. 관광

팔공산은 대구광역시의 주요 관광지이며, 2021년부터 2022년까지 2년 연속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되었다.[29] 대형 카페가 많고 산채비빔밥, 팔공산 미나리삼겹살 등 다양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봄꽃을 즐길 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도 유명하다.[29]

'''팔공산 올레길'''은 팔공산 기슭의 평광사과 과수원을 따라 이어진다. 전체 약 3시간 정도 소요되며, 평광동 입구 효자나무 강순항에서 시작하여 평광지, 신숭겸 장군 비석이 있는 모영재, 효자 우효정과 선비 우명식의 영혼을 위해 지은 첨백당을 지난다. 봄(4월~5월) 사과꽃과 가을 사과 수확 시기에 방문하기 좋다.[14]

코스: 평광동 입구 - 평광초등학교 - 평광지 - 모영재 - 재바우 농장 - 첨백당 - 평광역 (왕복 7.4km, 2시간 30분. 난이도: 쉬움)[14]

7. 1. 사찰


  • 동화사: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사찰로 통일대불이 유명하다.
  • 은해사: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제10교구 본사이다.
  • 선본사(갓바위): 평생에 1가지 소원은 꼭 들어준다는 갓바위를 소유한 사찰이다.
  • 송림사: 오층전탑으로 유명하다.
  • 부인사: 신라 선덕여왕을 기리는 사찰로 숭모재가 열린다. 초조대장경을 소장했었다.
  • 파계사: 조선 영조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은 사찰이다.
  • 거조사: 오백나한과 영산전이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사찰이다.
  • 북지장사: 삼국시대 기록에도 자주 나오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 관암사: 대구쪽에서 갓바위를 갈 때, 오르는 1365계단의 입구에 위치한 사찰이다.
  • 관음사: 한국불교대학(구. 영남불교대학)의 회주인 우학스님이 개원한 사찰이다.
  • 삼존석굴사(군위 석굴암 또는 제2석굴암): 경주 석굴암보다 100년 먼저 만들어졌고, 경주 석굴암 조성에 영향을 주었으나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7. 2. 위락시설

동화사집단시설지구, 파계사집단시설지구, 갓바위집단시설지구와 팔공스카이라인, 동화사 자동차극장 등이 있다.

7. 2. 1. 팔공스카이라인

동화사 집단시설지구, 파계사 집단시설지구, 갓바위 집단시설지구와 함께 팔공스카이라인이 있다. 동화사 자동차극장도 이곳에 있다.

팔공산 케이블카


정식 명칭은 대구 팔공산 케이블카로 1985년 10월 18일에 개통했으며 길이는 1192m이다.[1] 2013년 이용객 수는 28만 8천명이었다.[1]

7. 3. 숙박시설

팔공산온천관광호텔, 제2석굴암온천호텔, 힐사이드관광호텔이 있다.

7. 4. 야영장 및 청소년시설

팔공산에는 다음과 같은 야영장 및 청소년 시설이 있다.

  • 팔공산 캠핑장: 동화사 탑골 야영장, 파계사 야영장, 도학동 야영장이 있다.
  • 가산산성야영장
  • 성덕수련원
  • 팔공학생야영장

7. 5. 체육시설

팔공컨트리클럽이 있다.

7. 6. 유적지 및 명소

신숭겸 장군 유적지, 가산산성, 노태우 대통령 생가, 비로봉 제천단, 한티순교성지, 치산관광지 등이 있다.[1]

통일 신라 신문왕 9년(689년) 서라벌에서 달구벌로 천도하려는 시도가 있었을 때, 이 산은 지역의 중심 산으로 사람들에게 숭배받았다.[1]

927년, 후삼국 시대후백제견훤신라를 공격하여 경애왕을 사로잡아 죽이고 경순왕을 옹립한 후 고려를 향해 진군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태조는 5,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이 산에서 견훤의 군대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으나, 공산전투에서 크게 패하였다. 이때 신숭겸과 김낙 등이 전사하였다.[7][8][9] 태조는 홀로 앞산(ko)으로 도망쳐 며칠 동안 숨어 지냈다.[10][11]

이 산의 일부는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12] 2023년 5월 23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13]

'''팔공산 올레길:''' 팔공산 기슭 평광사과 과수원을 따라 이어지는 길이다. 전체 약 3시간 정도 소요되며, 평광동 입구 효자나무 강순항에서 시작하여 평광지, 신숭겸 장군 비석이 있는 모영재, 효자 우효정과 선비 우명식의 영혼을 위해 지은 첨백당을 지난다. 봄(4월~5월) 사과꽃과 가을 사과 수확 시기에 방문하기 좋다.[14]

코스: 평광동 입구 - 평광초등학교 - 평광지 - 모영재 - 재바우 농장 - 첨백당 - 평광역 (왕복 7.4km, 2시간 30분. 난이도: 쉬움)[14]

7. 6. 1. 신숭겸 장군 유적지

고려 태조 왕건을 대신하여 팔공산에서 목숨을 잃은 신숭겸 장군의 유적지이다.[1]

표충단 좌측면

7. 6. 2. 노태우 대통령 생가



노태우 대통령 생가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노태우의 생가이다.

7. 7. 전시관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는 2.18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진 안전 체험 교육 시설이며, 방짜유기박물관과 함께 팔공산에 있는 전시관이다.[30]

7. 7. 1.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2.18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졌으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체험 교육을 할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체험 교육이 인기다.[30]

  • 1관: 지하철 안전 체험, 교통 안전 체험, 미래 소방관 체험
  • 2관: 위기 대응 체험, 응급 처치 체험


7. 8. 드라이브 코스

팔공산 순환도로가 있다.

7. 9. 기념비

6.25월남 참전 유공자 기념비가 있다.

8. 주요 문화재

팔공산에는 국보 2점, 보물 7점, 사적 1점, 유형문화재 1점, 문화재자료 1점 등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8. 0. 1. 국보

8. 0. 2. 보물


8. 0. 3. 사적, 유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



9. 등산로

팔공산 올레길은 팔공산 기슭의 평광사과 과수원을 따라 이어지는 길로, 전체적으로 약 3시간 정도 소요된다. 평광동 입구 효자나무 강순항에서 시작하여 평광지 소규모 저수지를 지나 신숭겸 장군의 비석이 있는 모영재에 도착한다. 이 길을 방문하기에 좋은 시기는 봄(4월~5월) 사과꽃을 볼 수 있을 때와 가을 사과를 수확할 수 있을 때이다. 계곡을 따라 과수원을 따라가다 보면 효자 우효정과 선비 우명식의 영혼을 위해 지은 집인 첨백당을 발견하게 된다.[14]

코스는 다음과 같다.[14]

코스거리소요 시간난이도
평광동 입구 - 평광초등학교 - 평광지 - 모영재 - 재바우 농장 - 첨백당 - 평광역 (왕복)7.4km2시간 30분쉬움


10. 방송 송신 시설

디지털TV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6-1TBC DTVHLDE-DTV15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7-1KBS대구 2TV 디지털HLQH-DTV16
9-1KBS대구 1TV 디지털HLKG-DTV14
10-1EBS 1TVHLQL-DTV18
10-2EBS 2TV
11-1대구MBC DTVHLCT-DTV17
UHDTV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6-1TBC UHD TVHLDE-DTV53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7-1KBS대구 UHDTV2HLQH-DTV56
9-1KBS대구 DTV1HLKG-DTV52
11-1대구MBC DTVHLCT-DTV55
FM라디오
주파수방송국명호출부호출력가시청권
89.7MHzKBS대구 음악FMHLKG-FM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93.1MHzCPBC대구가톨릭평화방송HLDK-FM3kW
94.5MHzBBS대구불교방송HLDI-FM3kW
95.3MHz대구MBC FM4UHLCT-FM5kW
96.5MHz대구MBC 라디오HLCT-SFM5kW
97.1MHz대구CBS 음악FMHLKT-FM1kW
99.3MHzTBC Dream FMHLDE-FM5kW
101.3MHzKBS대구 제1라디오HLKG-SFM5kW
102.3MHzKBS대구 제2라디오(HappyFM)HLQH-SFM3kW
103.1MHz대구CBS 라디오HLKT-SFM5kW
103.9MHzTBN대구교통방송HLDU-FM3kW
105.1MHzEBS FMHLQL-FM3kW
지상파DMB
방송국명채널목록호출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myMBC (경북권)myMBC TVHLAW-TDMBCH 7-A
(175.280MHz)
2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U-KBSKBS STARHLKG-TDMBCH 7B
(177.008MHz)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TBCTBC uHLDG-TDMBCH 7C
(178.736MHz)
mYTN


11. 미디어

디지털TV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CH 6-1TBC DTVHLDE-DTVCH 15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7-1KBS대구 2TV 디지털HLQH-DTVCH 16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9-1KBS대구 1TV 디지털HLKG-DTVCH 14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10-1EBS 1TVHLQL-DTVCH 18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10-2EBS 2TVHLQL-DTVCH 18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11-1대구MBC DTVHLCT-DTVCH 17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UHDTV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CH 6-1TBC UHD TVHLDE-DTVCH 53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7-1KBS대구 UHDTV2HLQH-DTVCH 56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9-1KBS대구 DTV1HLKG-DTVCH 52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CH 11-1대구MBC DTVHLCT-DTVCH 55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FM라디오
주파수방송국명호출부호출력가시청권
89.7MHzKBS대구 음악FMHLKG-FM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93.1MHzCPBC대구가톨릭평화방송HLDK-FM3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94.5MHzBBS대구불교방송HLDI-FM3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95.3MHz대구MBC FM4UHLCT-FM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96.5MHz대구MBC 라디오HLCT-SFM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97.1MHz대구CBS 음악FMHLKT-FM1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99.3MHzTBC Dream FMHLDE-FM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101.3MHzKBS대구 제1라디오HLKG-SFM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102.3MHzKBS대구 제2라디오(HappyFM)HLQH-SFM3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103.1MHz대구CBS 라디오HLKT-SFM5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103.9MHzTBN대구교통방송HLDU-FM3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105.1MHzEBS FMHLQL-FM3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지상파DMB
방송국명채널목록호출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myMBC (경북권)myMBC TVHLAW-TDMBCH 7-A
(175.280MHz)
2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U-KBSKBS STARHLKG-TDMBCH 7B
(177.008MHz)
2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TBCTBC uHLDG-TDMBCH 7C
(178.736MHz)
2kW대구 일원, 경북 중남부
mYTN

참조

[1] 웹사이트 Daegu https://www.daegu.go[...] Daeg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2018-03-03
[2] 웹사이트 Destinations by Region: Palgongsan Natural Park (Gatbawi District) (팔공산자연공원(갓바위지구)) https://english.visi[...] Visit Korea 2023-06-02
[3] 뉴스 [조용섭의 산으路] 팔공산(1193m 대구의 진산) https://n.news.naver[...] Seoul Shinmun 2005-12-15
[4] 웹사이트 Grotto of Amitabha Buddha Triad, Gunwi - Heritage Search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3-06-02
[5] 웹사이트 DaeguTour - Palgongsan Mt. Healing https://tour.daegu.g[...] Daegu Tourist Information 2023-06-02
[6] 뉴스 팔공산 벚꽃철 시내 버스 증차 운행 https://www.nocutnew[...] No Cut News 2023-03-30
[7]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8] 뉴스 섬진강과 보성강의 수려한 물길이, 서로 도와 빚은 풍광 https://www.pressian[...] Pressian 2023-05-24
[9] 뉴스 공산전투에서 뜻밖의 패배... 도망자 왕건이 몰랐던 그곳 https://www.hankooki[...] Hankook Ilbo 2020-10-28
[10]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Jarak-gil https://nam.daegu.kr[...] Daegu Metropolitan City Namgu Cultural Tourism 2023-06-02
[11] 뉴스 [굿모닝 내셔널]대구 곳곳 남아 있는 '왕건 탈출로'...지금은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2017-12-02
[12] 뉴스 (83)대구 팔공산 https://www.khan.co.[...] Kyunghyang Shinmun 2008-12-18
[13] 뉴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확정...국내 23번째 국립공원 https://www.breaknew[...] Break News 2023-05-23
[14] 웹사이트 Hidden trails that highlight Korean beauty http://koreajoongang[...] 2018-05-25
[15] 비디오 [꿀드] [태조왕건 모음.Zip] ※감동※ 왕건을 대신해 죽음을 택한 고려의 개국공신 신숭겸⭐️ | KBS방송 https://www.youtube.[...] KBS Drama Classic 2020-10-01
[16] 비디오 왕건 대신 왕의 옷을 입고 죽은 신숭겸의 정체는?!|천일야사 73회 다시보기 https://www.youtube.[...] KBS Drama Classic 2018-05-14
[17] 뉴스 안컴퍼니, 메타버스 창작뮤지컬 '태조 왕건' 오는 28일 개막 https://www.breaknew[...] Break News 2022-11-15
[18] 웹인용 팔공산 (八公山)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20
[19] 웹인용 [신년특집- 한국 오악순례<5> - 중악 팔공산] 중악은 ‘토체의 산’에 황색 상징하지만… http://san.chosun.co[...] (주)조선뉴스프레스 2018-01-22
[20] 웹인용 팔공산 (八公山)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20
[21] 웹인용 절/유적지 > 동화사(전통사찰 제6호) https://m.dong.daegu[...] 대구광역시 동구 2022-08-10
[22] 웹인용 호수만 그냥 두었으면 세계적 관광지가 되었을 텐데 https://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9-06-08
[23] 웹인용 달구벌과 서라벌 http://www.hidomin.c[...] 경북도민일보 2015-04-03
[24] 웹인용 팔공산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25
[25] 웹인용 팔공산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25
[26] 웹인용 팔공산 동봉, ‘미타봉’ 옛이름 되찾는다 http://www.hyunbulne[...] 현대불교신문사 2003-07-31
[27] 웹인용 팔공산 동봉 12m 더 높다…1천167m https://news.imaeil.[...] 매일신문 2004-11-13
[28] 웹인용 [최원식의 산] 팔공산 노적봉 891m(대구 동구·경북 경산)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20-07-03
[29] 뉴스 대구 팔공산 명산 ‘인정’ 2회 연속 한국관광100선 https://n.news.naver[...] 2022-01-31
[30] 웹인용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개관 3년 만에 세계적인 명소로 https://www.newswire[...] 뉴스와이어 2011-12-28
[31] 웹사이트 《삼국사기》권제32 〈잡지〉제1 제사(祭祀) - 중사로 지내는 5악 http://db.history.go[...]
[32] 웹사이트 농업/축산/산림 > 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 팔공산소개 > 팔공산유래 http://www.gb.go.kr/[...]
[33] 웹인용 부인사 선덕여왕 숭모재 "축제 승화된 호국불교 정신" http://news.bbsi.co.[...] BBS불교방송(재) 2019-04-19
[34] 웹인용 원효 구도의 길을 가다 (상) http://www.seniormae[...] 시니어매일일 2021-06-07
[35] 웹인용 [팔공산을 걷다] 17. 우뚝 선 장군바위, 김유신 장군의 단검이라 불려 https://www.kyongbuk[...] 경북일보 2020-09-10
[36] 웹인용 달구벌천도계획 (達句伐遷都計劃)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 2023-05-20
[37] 웹인용 팔공산과 태조 왕건 (상) http://www.1gan.co.k[...] 일간경기 2016-09-05
[38] 웹인용 [광장] 왜 팔공산인가? https://news.imaeil.[...] 매일신문 2019-03-23
[39] 웹인용 [기고] 군위에는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도깨비 강'이 있다 https://m.hankookilb[...] 한국일 2022-08-06
[40] 웹인용 팔공산과 태조 왕건 (상) http://www.1gan.co.k[...] 일간경기 2016-09-05
[41] 웹인용 팔공산과 태조 왕건 (상) http://www.1gan.co.k[...] 일간경기 2016-09-05
[42] 웹인용 [굿모닝 내셔널] 살내·반야월·파군재 … 대구 곳곳 왕건의 흔적 따라가보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2-08
[43] 웹인용 [굿모닝 내셔널] 살내·반야월·파군재 … 대구 곳곳 왕건의 흔적 따라가보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2-08
[44] 웹인용 공산전투에서 뜻밖의 패배... 도망자 왕건이 몰랐던 그곳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10-28
[45] 웹인용 공산전투에서 뜻밖의 패배... 도망자 왕건이 몰랐던 그곳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10-28
[46] 웹인용 공산전투에서 뜻밖의 패배... 도망자 왕건이 몰랐던 그곳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10-28
[47] 웹인용 공산전투에서 뜻밖의 패배... 도망자 왕건이 몰랐던 그곳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10-28
[48] 웹인용 [굿모닝 내셔널] 살내·반야월·파군재 … 대구 곳곳 왕건의 흔적 따라가보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2-08
[49] 백과사전 지눌 https://terms.naver.[...]
[50] 웹인용 ⑨ 은해사(銀海寺)-은빛 바닷속에 자리한 절집 http://www.seniormae[...] 시니어매 2020-05-01
[51] 웹인용 <가고싶은 절> 억불에서도 발전한 '파계사' https://www.btnnews.[...] 불교텔레비전(주) 2010-07-21
[52] 웹인용 수릉봉산계표석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
[53] 웹인용 팔공산 화강암의 구조특성과 지구조적 의의 http://www.riss.kr/s[...] 2013
[54] 논문 경상분지 중앙부의 구조발달사와 화산활동사 (Aspects of Tectonics and Volcanism Recorded in Cretaceous Medial Kyongsang Basin, SE Korea) https://www.kseeg.or[...] 1997
[55] 논문 남한(南韓)의 신기화강암류(新期花崗岩類)의 관입시기(貫入時期)와 지각변동(地殼變動) (Study on the Intrusion Epochs of Younger Granites and their Bearing to Orogenies in South Korea) https://scienceon.ki[...] 1971
[56] 간행물 팔공산 도립공원의 국립공원 승격 결정 2023-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