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복합스포츠타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복합스포츠타운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스포츠 시설 단지이다. 1948년 대구운동장으로 시작하여, 1962년 대구종합경기장으로 확장되었으며, 1976년 대구시민운동장으로 개칭되었다. 2017년 리모델링을 거쳐 2019년 축구 전용구장인 DGB대구은행파크를 개장했다. 현재 DGB대구은행파크, 야구장, 보조경기장, 시민체육관, 실내빙상장, 테니스장, 씨름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은 1948년 개장하여 건물형 경기장으로 변모하고 프로 야구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2016년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개장 후 리모델링을 거쳐 사회인/아마추어용 야구장으로 재개장했다. - 대구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는 대구 수성구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홈 구장이며, 팔각형 다이아몬드 형태와 다양한 편의시설, 대중교통의 용이성을 갖춘 2016년 개장한 야구장이다. - 대한민국의 스포츠 시설 단지 - 서울종합운동장
서울종합운동장은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개최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종합 스포츠 시설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제 행사들을 개최해왔으나, 시설 노후화 및 재개발 논의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스포츠 시설 단지 - 강릉올림픽파크
강릉올림픽파크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위해 강릉시에 조성된 공원으로, 올림픽 기간 동안 경기 및 지원 시설이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문화 및 체육 시설을 갖춘 시민 공간으로 활용된다. - 1948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은 1948년 개장하여 건물형 경기장으로 변모하고 프로 야구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2016년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개장 후 리모델링을 거쳐 사회인/아마추어용 야구장으로 재개장했다. - 1948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라시드 스타디움
라시드 스타디움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2019년 AFC 아시안컵 경기를 포함한 여러 축구 경기가 개최되었다.
대구복합스포츠타운 - [공원]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대구복합스포츠타운 |
원어 표기 | Daegu Sports Town |
유형 | 스포츠 시설 단지 |
위치 정보 | |
나라 | 대한민국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고성로 191 (고성동3가 2번지) |
소유 및 운영 | |
소유 | 대구광역시청 |
운영 | 대구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무소 |
2. 연혁
- 1948년 4월 대구운동장 건립[2](현재와 같은 스탠드를 비롯한 건물형 경기장이 아니고 학교 운동장형 경기장으로 추정)[3]
- 1962년 3월 대구종합경기장 확충 보수 공사 시작(본부석 건물 및 스탠드 등 건물형 운동장으로 변모)[4]
- 1962년 10월 22일 준공, 대구종합경기장으로 개칭[5]
- 1962년 10월 24일 제43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 1967년 수영장 증설
- 1975년 전면 개보수 공사 실시[6]
- 1975년 10월 1일 주경기장(축구장) 1종 경기장 공인
- 1975년 10월 7일 제56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 1976년 1월 1일 대구시민운동장으로 개칭
- 1978년 보조경기장 준공
- 1981년 테니스장 준공
- 1981년 제11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예선
- 1981년 주경기장 전천후 포장
- 1992년 9월 25일 시민체육관 건립
- 1995년 1월 27일 실내빙상장 건립
- 1996년 씨름장 건립
- 2002년 6월 야구장 인조잔디, 전광판, 관람석 개체
- 2017년 리모델링 공사 시작과 함께 주경기장 철거
- 2018년 사회인 야구장 개장
- 2019년 DGB대구은행파크 개장
2. 1. 초기 (1948년 ~ 1975년)
1948년 4월 대구운동장이 건립되었다.[2] 당시에는 현재와 같은 건물형 경기장이 아닌 학교 운동장 형태였다.[3] 1962년 3월 대구종합경기장 확충 보수 공사가 시작되어 본부석 건물 및 스탠드 등을 갖춘 건물형 운동장으로 변모하였다.[4] 1962년 10월 22일 준공과 함께 대구종합경기장으로 개칭되었으며,[5] 이틀 뒤인 10월 24일 제43회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 1967년에는 수영장이 증설되었다.1975년 전면 개보수 공사가 실시되었고,[6] 1975년 10월 1일 주경기장(축구장)이 1종 경기장으로 공인되었다.
2. 2. 대구시민운동장 시대 (1976년 ~ 2016년)
1975년 10월 7일 제56회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였으며,[6] 1976년 1월 1일 대구시민운동장으로 개칭되었다.[5] 1978년 보조경기장이 준공되었고, 1981년에는 테니스장이 준공되었다. 같은 해 제11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예선이 열렸으며, 주경기장은 전천후 포장되었다. 1992년 9월 25일 시민체육관이 건립되었고, 1995년 1월 27일에는 실내빙상장이 건립되었다. 1996년에는 씨름장이 건립되었다.[4] 2002년 6월에는 야구장의 인조잔디, 전광판, 관람석이 교체되었다.[5]2. 3. 리모델링 및 DGB대구은행파크 시대 (2017년 ~ 현재)
2017년 리모델링 공사가 시작되면서 주경기장이 철거되었고,[2] 2018년에는 사회인 야구장이 개장되었다. 2019년에는 대구 FC의 홈구장인 DGB대구은행파크가 개장되었다.[2]3. 시설
3. 1. DGB대구은행파크 (구 주경기장)
DGB대구은행파크는 2019년에 개장한 축구 전용 구장으로, K리그 대구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를 개최하였으며, 1987년에는 포항제철 아톰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대구스타디움이 2003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 주경기장으로 사용되면서 2003년 후반기에 대구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고,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대비 트랙 공사로 인해 2010 시즌부터 2011 시즌까지 다시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일 년에 몇 차례 대구 FC의 제2구장으로 사용되다가, 대구시민운동장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축구 전용구장으로 재탄생하여 2019 시즌부터 대구 FC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3. 2. 야구장
과거 삼성 라이온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사회인 야구 및 아마추어 야구 경기에 활용되고 있다.3. 3. 기타 시설
대구복합스포츠타운 보조경기장 외에도 시민체육관 (농구장), 실내빙상장, 테니스장, 씨름장 등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참조
[1]
뉴스
대구시민운동장 ‘시민생활체육시설’ 탈바꿈
http://www.hidomin.c[...]
경북도민일보
[2]
뉴스
대구공설운동장
https://news.naver.c[...]
[3]
뉴스
補修費(보수비)로難關(난관)에逢着(봉착)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62-03-14
[4]
뉴스
競技場擴充(경기장확충)계획
https://newslibrary.[...]
[5]
뉴스
43回國體(회국체) 競技場(경기장)준공
https://newslibrary.[...]
[6]
뉴스
體典(체전)준비 急(급)피치
https://news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