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스타디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스타디움은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1년 6월 28일에 개장했다. 2002년 3월 대구월드컵경기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8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03년부터 2018년까지 대구 FC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DGB대구은행파크로 이전했다. 육상 경기,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육상 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보조경기장
- 대구광역시의 육상 경기장 - 박주영축구장
박주영축구장은 (주제)의 기원, 역사, 특징, 영향, 논쟁, 전망 등을 다루는 곳이다. - 대구광역시의 축구 경기장 - DGB대구은행파크
DGB대구은행파크는 대구 북구에 위치한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2019년 대구시민운동장 주경기장을 리모델링하여 개장, K리그1 대구 FC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DGB금융그룹이 명명권을 приобретение하여 K리그 최초로 명명권이 적용된 경기장이다. - 대구광역시의 축구 경기장 - 대구강변축구장
- 대한민국의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장 -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고 4만 2,391명을 수용 가능하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는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합죽선, 솟대, 가야금을 모티브로 한 한국 전통 건축 양식 디자인이 특징이다. - 대한민국의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고, IMF 외환 위기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2001년 개장하여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수원 화성 성곽을 모티브로 한 독특한 디자인과 '빅버드 폭포' 현상으로 유명하다.
| 대구스타디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정식 명칭 | 대구스타디움 주경기장 |
| 이전 명칭 | 대구종합경기장 (2001년 ~ 2002년) 대구월드컵경기장 (2002년 ~ 2008년) |
| 별칭 | 블루 아크 (Blue Arc) |
| 위치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유니버시아드로 180 (대흥동 504번지) |
| 건설 정보 | |
| 기공 | 1997년 7월 29일 |
| 건설 기간 | 3년 11개월 |
| 개장 | 2001년 6월 28일 |
| 건설 비용 | 2,836억 대한민국 원 |
| 설계 | 종합건축사사무소 이상 (강철희) |
| 경기장 정보 | |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몬도트랙 (트랙) |
| 규모 | 필드: 109 × 72 미터, 트랙: 400 미터 × 8 레인 |
| 수용 좌석 수 | 66,422석 |
| 수용 인원 | 100,000명 |
| 사용 정보 | |
| 홈 경기장 | 대구 FC (2003년~2018년) 대구 FC B (2022년~현재) |
| 주요 대회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2년 FIFA 월드컵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05년 EAFF E-1 챔피언십 2005년 EAFF 여자 E-1 챔피언십 2007년 피스컵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2년 전국체육대회 FA컵 K리그1 (2003년~2018년) K리그2 (2014년~2016년) K3리그 (2024년) K4리그 (2022년~현재) |
| 운영 정보 | |
| 소유 | 대구광역시청 |
| 운영 | 대구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무소 |
2. 역사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목적으로 건설되었다.[9] 1997년 7월 29일에 착공했으며,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를 앞두고 2001년 5월 30일에 가개장한 후 2001년 6월 28일에 정식 개장했다.[9] 건설 기간과 2001년 6월 28일 개장 당시에는 '대구종합경기장'으로 호칭되었으나, 2002년 3월 20일에 '대구월드컵경기장'으로 명칭을 변경했다.[9] 2008년 3월 5일에 현재의 명칭인 '대구스타디움'으로 바뀌었다.[16]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을 앞두고 성남 일화(현 성남 FC)와 브라질 산투스 팀과의 경기를 치렀다.
대구스타디움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K리그 클래식 대구 FC의 홈 경기장으로 이용했다. 대구 FC는 2019년부터 북구 고성동3가 DGB대구은행파크에서 홈 경기를 진행한다. DGB대구은행파크는 대구시민운동장 주경기장을 철거한 후 축구전용구장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대구시민운동장 주경기장의 종합운동장 기능은 대구스타디움으로 이관됐다.
대구스타디움은 종합운동장이기 때문에 대구 국제 육상 경기 대회 등 육상 종목의 각종 대회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2007년 대구광역시에서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유치에 성공하여 2011년 대회가 이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육상대회 개최를 앞두고 몬도트랙이 설치됐다. 2015년 7월 18일에는 《슈퍼콘서트 토요일을 즐겨라》가 열렸다. 2022년 5월과 10월에는 대구 스타디움에서 '벡터 페스티벌'이라는 EDM 페스티벌을 개최했다.[17]
1997년 7월에 공사가 시작되어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에 맞춰 2001년 5월에 완공되었으며, 총 공사 비용은 2억 6천 5백만 미국 달러(USD)였다. 지붕은 국제 컨설팅 회사 WS 애킨스가 설계했다. 지붕은 두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28.7m의 높이로 273m를 가로지르는 경사진 트러스 강철 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주변 두 번째 "아치"에서 13개의 보조 아치로 지지된다.[5] 지붕 전체 강철 무게는 4,350t이다. 지붕 피복재는 PTFE 코팅된 유리 섬유 강화 직물 캐노피이다. 인장 지붕의 모델링(형태 찾기) 및 분석은 텐시스(Tensys)에서 수행했다.[6] 지붕의 풍하중을 평가하기 위해 BMT 리미티드에서 풍동 연구를 수행했다.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3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위해 6억 6,500만 달러의 건설 비용을 들여 건설되었다.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K리그 대구 FC의 홈구장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2002년에 열린 월드컵에서는 호스트 스타디움으로서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를 포함하여 총 4경기가 개최되었다. 2005년 8월,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개최지 중 하나가 되었다. 2011년에 개최된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대구)와 2012년에 개최된 전국 체육 대회에서는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가장 가까운 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공원역이며, 약 1.7km 떨어져 있다. 따라서 대구 FC의 경기가 있는 날에는 대공원역에서 경기장까지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었다. 대구 FC는 2019년부터 홈구장을 축구 전용 구장인 DGB대구은행파크 (북구)로 이전했다.
2. 1. 대구 FC 홈 경기장 (2003-2018)
대구스타디움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K리그 클래식 대구 FC의 홈 경기장으로 이용되었다.[9] 대구 FC는 2019년부터 북구 고성동3가 DGB대구은행파크에서 홈 경기를 진행한다.[9] DGB대구은행파크는 대구시민운동장 주경기장을 철거한 후 축구전용구장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대구시민운동장 주경기장의 종합운동장 기능은 대구스타디움으로 이관됐다.[9]가장 가까운 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공원역이며, 약 1.7km 떨어져 있다. 따라서 대구 FC의 경기가 있는 날에는 대공원역에서 경기장까지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었다.
2. 2. 주요 국제 대회 개최
대구스타디움은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목적으로 건설되었다.[9] 2011년 대회도 이 경기장에서 열렸다.[17]2002년 FIFA 월드컵 당시 대구스타디움에서는 다음 경기들이 열렸다.
|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라운드 |
|---|---|---|---|---|
| 2002년 6월 6일 | DEN영어|덴마크 | 1–1 | SEN프랑스어|세네갈 | A조 |
| 2002년 6월 8일 | SVNsl|슬로베니아 | 0–1 | RSA영어|남아프리카 공화국 | B조 |
| 2002년 6월 10일 | KOR한국어|대한민국 | 1–1 | USA영어|미국 | D조 |
| 2002년 6월 29일 | 2–3 | TURtr|튀르키예 | 3위 결정전 |
2. 3. 문화 행사 개최
대구스타디움에서는 스포츠 경기 외에도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되었다. 2015년 7월 18일에는 《슈퍼콘서트 토요일을 즐겨라》가 열렸다.[17] 2022년 5월과 10월에는 EDM 페스티벌인 '벡터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17] 또한, 2011년에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주최한 제8회 아시아 송 페스티벌이 이곳에서 열렸다.[7]3. 경기 기록
3. 1. 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1년 5월 30일에 프랑스가 대한민국을 5-0으로 이겼고, 6월 1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프랑스를 1-0으로 이겼다.|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 2001년 5월 30일 | France프랑스어|5 - 0|대한민국한국어 | A조 | ||
| 2001년 6월 1일 | Australia영어|1 - 0|France프랑스어|A조 |
3. 2.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었다.|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 2002년 6월 6일 | 덴마크/Denmark영어 | 1 - 1 | 세네갈/Sénégal프랑스어 | A조 2차전 |
| 2002년 6월 8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영어 | 1 - 0 | 슬로베니아/Slovenijasl | B조 2차전 |
| 2002년 6월 10일 | 대한민국 | 1 - 1 | 미국/United States영어 | D조 2차전 |
| 2002년 6월 29일 | 대한민국 | 2 - 3 | 튀르키예/Türkiyetr | 3위 결정전 |
3. 3.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wikitable
3. 4.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8월 6일, 대구스타디움에서는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3차전 두 경기가 열렸다.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대한민국과 일본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3. 5. 2007년 피스컵
wikitable
4. 시설
4. 1. 구조
1997년 7월에 공사가 시작되어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에 맞춰 2001년 5월에 완공되었으며, 총 공사 비용은 2억 6천 5백만 미국 달러(USD)였다.[5] 지붕은 국제 컨설팅 회사 WS 애킨스가 설계했다. 지붕은 두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28.7m의 높이로 273m를 가로지르는 경사진 트러스 강철 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주변 두 번째 "아치"에서 13개의 보조 아치로 지지된다.[5] 지붕 전체 강철 무게는 4,350t이다. 지붕 피복재는 PTFE 코팅된 유리 섬유 강화 직물 캐노피이다. 인장 지붕의 모델링(형태 찾기) 및 분석은 텐시스(Tensys)에서 수행했다.[6] 지붕의 풍하중을 평가하기 위해 BMT 리미티드에서 풍동 연구를 수행했다.4. 2. 교통
2호선 대공원역 5번 출구에서 하차하여 609번, 939번 버스를 탑승하면 대구스타디움앞 정류장에서 하차할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Daegu Stadium
http://www.worldstad[...]
2011-10-12
[2]
웹사이트
22nd SUMMER UNIVERSIADE
http://www.fisu.net/[...]
2011-10-12
[3]
웹사이트
대구 월드컵 경기장, 시민들을 위한 따뜻한 쉼터 – Dream stadium of K-League
http://new.kleaguei.[...]
[4]
웹사이트
Daegu FC official homepage
http://www.daegufc.c[...]
2011-10-12
[5]
뉴스
Korea Ready for Kickoff
http://www.nce.co.uk[...]
New Civil Engineer
2009-10-20
[6]
웹사이트
Building Types Study: Stadiums: Daegu Stadium
http://archrecord.co[...]
Architectural Record
2009-10-20
[7]
뉴스
Asian Singers to Gather in Daegu for Asia's Biggest Pop Concert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1-10-12
[8]
웹사이트
3월 5일부터 시행, 실제기능에 맞고 간결하고 부르기 쉽게 변경
http://www.daegu.go.[...]
[9]
웹인용
대구광역시 체육시설 현황 - 대구스타디움
http://www.daegu.go.[...]
대구광역시청
[10]
백과사전
대구스타디움
http://www.doopedia.[...]
두산
[11]
서적
2022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1년말 기준)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2]
서적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3]
서적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https://www.mcst.go.[...]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4]
서적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https://www.mcst.go.[...]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5]
뉴스
대구스타디움, 국제공인 Class-1 인증 획득
https://news.naver.c[...]
뉴시스
[16]
웹인용
대구월드컵경기장,「대구스타디움」으로 명칭 변경
http://www.daegu.go.[...]
대구광역시청
2008-03-03
[17]
뉴스
"[포토뉴스] 벡터페스티벌 '전국 인싸들 다 모였네'"
https://www.imaeil.c[...]
2022-05-15
[18]
웹인용
대구스타디움 안내 - 찾아오시는 길
https://www.daegu.go[...]
[19]
웹인용
대구광역시 버스정보시스템 - 대구스타디움
https://businfo.dae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