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모음 추이는 15세기 중엽 이후 영어의 장모음 발음이 변화한 현상으로, 영어 철자 고정 이후 발음 변화가 지속되면서 발생했다. 이 현상은 런던을 중심으로 한 인구 이동, 프랑스어 차용어의 유입, 중산층의 과잉 교정, 영불 전쟁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대모음 추이는 중세 영어의 장모음 체계를 변화시켰으며, 주요 변화로는 긴 i, e, a, o 모음의 발음 변화와 이중 모음화 및 모음 상승이 있다. 이로 인해 현대 영어와 중세 영어 단어의 발음 차이가 발생했으며, 1300년경부터 시작되어 수 세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대모음 추이는 잉글랜드 남부 표준 영어 외에도 다른 방언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잉글랜드 북부와 스코트어에서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영어의 역사 - 긴 s 긴 s(ſ)는 과거에 단어의 처음이나 중간에 쓰이던 에스의 한 종류로, 지금은 국제음성기호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기호로 쓰이며, 적분 기호의 기원이 되고 여러 언어의 합자에도 영향을 주었다.
영어의 역사 - 현대 영어 현대 영어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언어이며, 다양한 방언, 변형, 신조어, 줄임말이 나타나고 있고, 영미권과 비영어권에서 교육, 사업, 문화 소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다른 언어와의 혼용이 두드러진다.
비교언어학 - 어족 어족은 공통 조상어에서 파생되어 계통적으로 관련된 언어들의 집합으로, 비교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분류되며, 언어 간섭, 차용, 고립어, 혼합어 등의 복잡성으로 인해 분류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인류 이동과 언어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교언어학 - 고유어 고유어는 특정 언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어휘를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객관주의적 및 주관주의적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양하며, 언어 순화 운동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도 관련되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개념이다.
대모음 추이
개요
영어 장모음의 변화
시기
1350년 ~ 1700년 (중세 영어 후기 ~ 근대 영어 초기)
언어
영어
영향
영어 발음의 큰 변화를 가져옴
변화 내용
/iː/
'/aɪ/로 변화 (예: bite 바이트)'
/uː/
'/aʊ/로 변화 (예: house 하우스)'
/eː/
'/iː/로 변화 (예: meet 미트)'
/aː/
'/eɪ/로 변화 (예: name 네임)'
/ɔː/
'/oʊ/로 변화 (예: boat 보우트)'
/oː/
'/uː/로 변화 (예: boot 부트)'
원인 (설명)
일반적인 설명
혀의 위치가 높아지는 경향, 앞쪽 모음은 더욱 높아지고, 뒤쪽 모음은 입술의 둥근 모양이 줄어듦
15세기 중엽 이후, 활판 인쇄 기술의 발달과 서적 보급의 증가로 영어 철자가 고정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발음은 계속 변화하여 현대 영어에서 많은 낱말의 음가와 철자가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17][19]
영어는 중세 영어 시기에 강세를 받는 장모음의 혀 위치가 한 단계씩 높아졌고, 더 이상 높아질 수 없는 , 는 음운 분열이 일어나 이중 모음화되었다. 이는 영어 단어의 발음과 철자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 방언에 따라 모음 이동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는데, 스코틀랜드 영어가 그 예시 중 하나다.
2. 1. 대모음 추이의 원인
대모음 추이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학계에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6]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인구 이동: 흑사병 이후 잉글랜드 동부 및 중부 미들랜즈에서 잉글랜드 남동부로 인구가 급격하게 이동하면서,[7] 런던 사람들이 다른 지역 이민자들과 자신들의 언어를 구별하기 위해 모음 체계를 바꾸는 방언 충돌이 발생했다는 주장이다.[8] 흑사병으로 지식 계층 사람들이 사망하면서, 하층 계급 사람들이 사용하던 발음이 나타났다는 설도 있다.[20]
프랑스어 차용어: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차용어가 많이 유입되면서 변화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는 주장이다.[9][21]
중산층 과잉 교정: 중산 계급 사이에서 프랑스어 발음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프랑스어 발음을 부정확하게 모방하는 과잉 교정 과정이 시작되어 모음 발음에 변화를 초래했다는 주장이다.[10][22]
프랑스와의 전쟁: 영불 전쟁으로 인한 반프랑스 정서 때문에, 영어를 프랑스어처럼 들리지 않게 하려는 의도적인 과잉 교정이 발생했다는 주장이다.[11][23]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가설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사회경제적 변화와 언어 접촉, 그리고 사회적 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대모음 추이가 발생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주요 변화
대모음 추이는 중세 영어 시기에 강세가 있는 장모음의 발음이 크게 변화한 현상이다. 중세 영어에는 /iː, uː, aː, ɔː, eː, ɛː, oː/의 7개 장모음이 있었다. 대모음 추이 과정에서 /iː, uː/는 이중 모음 /aɪ, aʊ/로 변화했고, /eː, ɛː, oː/는 혀의 위치가 올라가 각각 /iː, uː/로 변화했다.[25]
이러한 변화는 영어 낱말의 음가와 철자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활판 인쇄 기술의 발달로 서적 등의 문서 보급이 늘면서 철자는 고정되었지만, 발음은 계속 변화했기 때문이다.
대모음 추이는 완전히 일정하게 일어나지는 않았으며, 지역 방언에 따라 모음 이동 정도의 차이가 나타난다. 스코틀랜드 영어가 그 예시 중 하나이다. 대모음 추이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언어학, 문화사상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tomato와 either, neither 등의 단어는 대모음 추이가 일부만 적용된 예이다.
대모음 추이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300년경부터 중세 영어의 장모음 발음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두 개의 고모음은 이중 모음이 되었고(모음 분열), 다른 다섯 개는 혀의 높이가 높아졌다(모음 상승).
이러한 변화는 수세기에 걸쳐 발생했으며, 첫 번째 단계는 고모음와 중고모음에 영향을 미쳤다. 는 로 상승했고, 는 또는 가 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저모음와 중저모음에 영향을 미쳤다. 가 상승하여 대부분 로 바뀌었다.
대모음 추이는 합류 없이 모음을 변화시켰으므로, 대모음 추이 이전의 중세 영어는 대모음 추이 이후의 초기 현대 영어와 동일한 수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었다.
대모음 추이 이후 일부 모음 음소는 합쳐지기 시작했다. 대모음 추이 직후에는 'meet'와 'meat'의 모음이 달랐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합쳐져 두 단어 모두 로 발음된다.[12] 그러나 16세기와 17세기에는 여러 다른 합류가 있었고, 'great'와 같은 개별 현대 영어 단어에서 일부 합류를 볼 수 있다. 이 단어는 'meat'처럼 모음 대신 'mate'에서처럼 모음 로 발음된다.
다음 표는 대표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1400년 후기 중세 영어와 20세기 중반의 표준 발음 사이의 주요 모음 변화를 보여준다. 1700년 이후의 변화는 대모음 추이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단어
모음 발음
late ME
EModE
ModE
1400
1500
1600
by 1900
bite
]]
out
]]
meet
colspan="3" |
]]
boot
colspan="3" |
]]
meat
colspan="2" |
]]
boat
colspan="2" |
]]
mate
]]
순음 자음 앞과 뒤에서는[13] 가 이동하지 않았으며, 는 's'''ou'''p'와 같이 유지된다.
학자들은 중세 영어 근접 모음 가 1500년경에 이중 모음이 되었다는 데 동의하지만, 어떤 이중 모음으로 바뀌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Lass에 따르면, 이중 모음화 이후의 ''bite''와 ''out''은 와 로 발음되었으며, 이는 미국 영어의 ''bait'' 와 ''oat'' 와 유사하다. 이후, 이중 모음 는 로, 다음 로, 최종적으로 현대 영어 로 이동했다.
그러나 , , 와 같은 많은 학자들은 16세기 증언과는 반대로, 모음 가 즉시 중앙화되어 로 낮아졌다고 주장한다.
북부 영어와 스코트어의 증거는 근접 중모음 가 먼저 이동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세 영어 모음 가 로 상승하면서, 원래의 중세 영어 를 제자리에서 밀어내어 로 이중 모음이 되도록 만들었다. 하나의 모음의 발음이 두 번째 모음처럼 발음되도록 이동하고 두 번째 모음이 발음을 변경하도록 강요되는 이러한 유형의 음운 변화를 푸시 체인이라고 한다.
위르겐 한트케 교수에 따르면, 중세 영어 가 현대 영어 로 이동하는 단어에서, 모음 를 가진 단어와 이중 모음 를 가진 단어 사이에 한동안 음성적 분리가 있었다.[14] 예를 들어, ''high''는 모음 로 발음되었고, ''like''와 ''my''는 이중 모음 로 발음되었다. 따라서 근접 모음 가 근접 중모음 이 상승하기 전에 이중 모음화되었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high''는 아마도 ''thee''와 라임을 이루고, ''my''와는 라임을 이루지 못했을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체인을 드래그 체인이라고 한다.
대모음 추이의 두 번째 단계는 중세 영어의 열린 모음 (예: "mate"의 발음)와 중세 영어의 중저 모음 (예: "meat"와 "boat"의 발음)에 영향을 미쳤다. 1550년경, 중세 영어 는 로 높아졌다. 그 후 1600년 이후, 새로운 는 로 높아졌고, 중세 영어의 열린 중모음 는 폐쇄 중모음 로 높아졌다.
대모음 추이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단계 동안, 장모음은 다른 모음과 합쳐지지 않고 이동했지만, 두 번째 단계 이후 여러 모음이 합쳐졌다. 후기 변화는 또한 중세 영어 이중 모음 (예: ''day'')를 포함했으며, 이는 종종 단모음화되어 가 되었고, 중세 영어 (예: ''mate'') 또는 (예: ''meat'')와 합쳐졌다.
16세기와 17세기 동안, ''meet'', ''meat'', ''mate'', ''day''와 같은 단어에 대해 인구의 여러 지역에서 여러 다른 발음 변형이 존재했다. 각 발음 변형에서 단어의 서로 다른 쌍 또는 삼중 조합이 발음으로 합쳐졌다. 현대 영어는 일반적으로 ''meet''–''meat'' 합병을 가지고 있다.
4. 북부 영어와 스코트어
대모음 추이는 잉글랜드 남부의 표준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방언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그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대모음 추이가 장모음 중 후설 모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그 이전에 다른 모음 이동이 일어났기 때문이다.[15] 이와 유사하게, 스코틀랜드 방언은 대모음 추이 이전에 다른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초기 스코트어에서 가 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대모음 추이에 해당하는 스코트어의 경우, 긴 모음 , 및 는 중세 스코트어 시대에 , 및 로 이동했고, 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16]
잉글랜드 북부와 남부의 대모음 추이 첫 번째 단계는 아래 표와 같다. 중세 영어 및 의 잉글랜드 북부 발달은 잉글랜드 남부와 달랐다. 특히 잉글랜드 북부 모음 는 'bite', 는 'feet', 는 'boot'에서 이동한 반면, 'house'의 모음 는 이동하지 않았다.
단어
모음
중세 영어
현대 영어
스코트어/ 북부 (older)
북부 (younger)
남부
bite
feet
house
boot
대모음 추이 직전 잉글랜드 북부와 남부 중세 영어의 모음 체계는 한 가지 면에서 달랐다. 잉글랜드 북부 중세 영어에서 'boot'의 후설 중고 모음 는 이미 전설 로 이동했다(이는 전설 모음화로 알려진 음운 변화이다).
{|
|
잉글랜드 남부 중세 영어 모음 체계
전설
후설
고모음
중고 모음
저모음
개모음
—
|
잉글랜드 북부 중세 영어 모음 체계
전설
후설
고모음
중고 모음
—
저모음
개모음
—
|}
잉글랜드 북부와 남부에서 대모음 추이의 첫 번째 단계는 중고 모음을 고모음으로 높이는 것이었다. 잉글랜드 북부 중세 영어에는 'feet'의 와 'boot'의 두 개의 중고 모음이 있었는데, 이는 와 로 높아졌다. 잉글랜드 남부 중세 영어에는 'feet'의 와 'boot'의 두 개의 중고 모음이 있었는데, 이는 와 로 높아졌다.
잉글랜드 남부에서 'bite'의 고모음 와 'house'의 는 이중 모음으로 이동했지만,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bite'의 는 이동했지만 'house'의 는 이동하지 않았다.
대모음 추이 당시의 모음 체계가 잉글랜드 북부와 남부의 모음 이동의 차이를 야기했다면, 는 잉글랜드 북부에 후설 중모음 가 없었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았다. 잉글랜드 남부에서는 가 로 이동하면서 원래의 가 이중 모음화되었을 수 있지만, 잉글랜드 북부에는 이동할 후설 중고 모음 가 없었기 때문에 후설 고모음 는 이중 모음화되지 않았다.
5. 관련 연구
대모음 추이는 언어학, 특히 음운론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이 현상을 처음 연구한 학자는 덴마크의 언어학자 오토 예스페르센이다.[1] 한국에서는 이진아(2003)의 석사학위논문 "대모음 추이에 관한 연구" 등에서 대모음 추이에 대한 연구를 찾아볼 수 있다.[1]
참조
[1]
서적
Accents of English: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A Millennial Perspective
Mouton de Gruyter
2015-07-21
[3]
서적
A Short History of English
[4]
서적
Linguistics for Everyon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5]
서적
Principles of Linguistic Change
Blackwell Publishing
[6]
서적
Neutraliz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16
[7]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1-29
[8]
서적
Ways of Reading: Advanced Reading Skills for Students of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2-14
[9]
서적
A Biograph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Wadsworth Publishing
[1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Englis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Great Vowel Shift — part 3
http://www.languages[...]
2010-08-03
[12]
웹사이트
Middle English consonant sounds
http://web.cn.edu/kw[...] [13]
서적
The Atlas of North American English
https://books.google[...]
Mouton-de Gruyter
2006
[14]
Youtube
PHY117 – The Great Vowel Shift
https://www.youtube.[...]
The Virtual Linguistics Campus
2012-12-07
[15]
서적
Northern English: a cultural and soci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16]
간행물
A History of Scots to 1700
http://www.dsl.ac.uk[...] [17]
서적
英語の歴史 過去から未来への物語
中央公論新社
[18]
서적
現代英語学辞典
成美堂
[19]
서적
現代英語学辞典
成美堂
[20]
뉴스
英語のつづりと発音が違う意外な「歴史的事情」
https://toyokeizai.n[...] [21]
서적
A Biograph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Wadsworth Publishing
[2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Englis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Great Vowel Shift — part 3
http://www.languages[...]
2021-01-03
[24]
문서
Wyld, H. C. (1957) [1914]. A Short History of English.
[25]
문서
/eː, ɛː/가 하나의 발음 /iː/으로 합류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