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덴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베저강 서쪽 고원에 자리 잡고 있으며, 미텔란트 운하가 도시를 관통한다. 기후는 온대 해양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의 성질이 혼합된 이행 지역에 해당한다. 민덴은 19개의 구역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프로이센의 역사를 간직한 프로이센 박물관, 민덴 역사 문화 연구 및 민속 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과 극장, 카바레가 있다. 종교적으로는 개신교, 로마 가톨릭, 유대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1999년 시장 직선제를 도입했다. 주요 스포츠 클럽으로는 GWD 민덴이 있으며, 다양한 수상 스포츠도 즐길 수 있다. 민덴은 5개의 자매 도시와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도시 - 슈톨베르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슈톨베르크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있는 도시로, 과거 황동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콘터간 생산 문제와 환경 오염, 극우 단체 활동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도시 - 클레베
    클레베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한 도시로, 라인강 근처에 있으며, 과거 클레베 공국의 수도였고, 슈바넨부르크 성을 비롯한 역사적 건축물과 볼거리가 많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고, 현재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이 시의회를 주도한다.
민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민덴의 위치 (민덴-뤼베케 군)
민덴의 위치 (민덴-뤼베케 군)
기본 정보
명칭민덴
유형도시
문장 이미지
위치 좌표52° 17′ 18″ N, 8° 55′ 0″ E
고도42m
면적101.12km2
우편 번호32423, 32425, 32427, 32429
지역 번호0571, 05704, 05734
차량 번호판MI
지방 자치체 코드05 7 70 024
행정 구역19개 구역
설립 연도798년
공식 웹사이트민덴 공식 웹사이트
정치
시장미하엘 예케
임기 시작2020년
소속 정당SPD
추가 정보
방언민넨 (Minn'n)

2. 지리

민덴 지역의 지형


미텔란트 운하가 베저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민덴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북동부에 있는 도시이다. 베저강이 도시를 가로질러 흐르며, 도심은 베저 언덕과 비헨 언덕 사이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협곡에서 북쪽으로 5km 떨어진 강 서쪽 고원에 있다. 베저강은 베저 고지에서 북독일 평원으로 흘러 나간다.

엠스강, 베저강, 엘베강을 잇는 미텔란트 운하는 도시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지른다. 이 수로들은 도시 북쪽 민덴 수로교(Wasserstraßenkreuz Mindende)에서 교차한다.

베저강은 민덴 지역에서 가장 낮은 레텔른 구역(40m)에서 벗어나, 하덴하우젠 구역 비헨 언덕 ''헤버슈테터 산'' 정상(272m)에 이른다. 시청 기준 도시 공식 고도는 42.2m이다.

도시 면적은 101.12km2이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13.1km, 동쪽에서 서쪽으로 14.1km 뻗어 있다.

민덴은 빌레펠트에서 북동쪽으로 40km, 하노버에서 서쪽으로 60km, 브레멘에서 남쪽으로 80km, 오스나브뤼크에서 동쪽으로 60km 떨어져 있다.

2. 1. 위치



민덴의 구역들


오버슈타트와 운터슈타트를 잇는 언덕길


민덴은 독일 연방 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북쪽으로 흐르는 베저강에 의해 가로질러지며, 도시 중심부는 베저 언덕과 비헨 언덕 능선 사이의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협곡에서 북쪽으로 5km 떨어진 강 서쪽 고원에 있다. 베저강은 베저 고지를 떠나 북독일 평원으로 흘러 들어간다.

독일의 자연 지역 틀 내에서 민덴 서쪽 부분은 비헨 언덕, 뤼베케 뢰스랜드, 바스타우 분지, 뒴머 게스트 저지대(남쪽에서 북쪽 순서)에 속한다. 동쪽 부분은 중부 베저 계곡 분지에 있다.

엠스강, 베저강, 엘베강의 강 시스템을 연결하는 미텔란트 운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도시를 관통한다. 이 수로들은 도시 북쪽 지역의 민덴 수로교(Wasserstraßenkreuz Mindende)에서 교차한다.

베저강은 민덴 지역을 레텔른 구역(가장 낮은 부분, 40m)에서 벗어나고, 하덴하우젠 구역의 비헨 언덕 가장자리에 있는 ''헤버슈테터 산'' 정상(가장 높은 부분, 272m)에 이른다. 시청 고도 기준 도시 공식 고도는 42.2m이다.

도시 면적은 101.12km2이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13.1km, 동쪽에서 서쪽으로 14.1km 뻗어 있다.

민덴은 빌레펠트에서 북동쪽으로 40km, 하노버에서 서쪽으로 60km, 브레멘에서 남쪽으로 80km, 오스나브뤼크에서 동쪽으로 60km 떨어져 있다. 민덴의 인접 도시 및 지역 사회는 페터스하겐, 뷔케부르크(샤움부르크군, 니더작센주),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바트 뢰네하우젠, 힐레(북쪽부터 시계 방향)이다.

민덴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북부, 베저강이 베저 산지와 비엔 산지를 뚫고 흘러나오는 출구 북쪽에 있다. 베저강은 여기서 베저 산지를 벗어나 북독일 저지를 향해 흐른다. 이 도시는 남쪽으로 중저산지를 바라보는 베저강 양안 평지에 있지만, 비첸 구와 하덴하우젠 구는 비엔 산맥 능선까지 포함한다. 핵심 구역은 베저강 서안 하안단구에 있으며, 시가지를 오버슈타트(윗 마을)와 운터슈타트(아랫 마을)로 나눌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경계가 되기도 한다.

민덴은 빌레펠트에서 북동쪽으로 40km, 하노버에서 서쪽으로 55km, 오스나브뤼크에서 동쪽으로 6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민데너 란트 지방의 역사적, 정치적 중심지이다.

시내를 미텔란트 운하가 동에서 서로 가로지르고, 베저강이 남에서 북으로 흐른다. 두 강은 도시 북쪽에 있는 수운로 분기점(Wasserstraßenkreuz Minden)에서 교차한다. 민덴 시내에서 바스타우 강이 서쪽에서 베저 강으로 흘러든다.

시내 최저 지점은 뢰테른 구(해발 40.3m)이고, 최고 지점은 하덴하우젠 구(해발 180.6m)이다.[116] 민덴시는 동쪽 마이젠구, 페핑하우젠구가 니더작센주 뷔케부르크와 주 경계를 이룬다. 그 외에 북쪽은 페터스하겐, 서쪽은 힐레, 남쪽은 바트 앤하우젠 및 포르타 베스트팔리카와 경계를 접한다.

2. 2. 지형 및 지질



민덴은 독일 연방 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이 도시는 북쪽으로 흐르는 베저강에 의해 가로지른다. 도시 중심부는 베저 언덕과 비헨 언덕의 능선 사이의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협곡에서 북쪽으로 5km 떨어진 강 서쪽의 고원에 위치해 있으며, 베저강은 베저 고지를 떠나 북독일 평원으로 흘러 들어간다. 작은 바스타우 시내는 도시 중심부 근처에서 서쪽에서 베저강으로 흘러든다. 고원의 가장자리는 중부 베저 계곡에서 뤼베케 뢰스랜드로의 전환을 나타내며, 위쪽 도시와 아래쪽 도시를 구분하고, 두 개의 생태 구역의 경계를 표시한다.

독일의 자연 지역의 틀 내에서 민덴의 서쪽 부분은 일련의 지형 단위(남쪽에서 북쪽으로)에 속한다: 비헨 언덕, 뤼베케 뢰스랜드, 그 안의 바스타우 분지, 그리고 뒴머 게스트 저지대. 동쪽 부분은 중부 베저 계곡 분지에 위치해 있다.

베저 계곡을 가로지르는 것은 한때 중간에 끊어진 여울에 의해 선호되었다; 그곳에서 그 사행은 계곡의 서쪽 가장자리에 닿고, 동쪽 범람원은 보통 범람 초원이어서, 중앙 교두보(Brückenkopfde)는 강 섬이 된다. 오늘날에는 두 개의 다리 시스템이 계곡을 가로지른다.

엠스강, 베저강 및 엘베강의 강 시스템을 연결하는 미텔란트 운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도시를 관통한다. 이 수로들은 도시 북쪽 지역의 민덴 수로교(Wasserstraßenkreuz Mindende)에서 교차한다.

베저강은 민덴 지역을 가장 낮은 부분인 레텔른 구역에서 40m에서 벗어나고, 가장 높은 부분은 하덴하우젠 구역의 비헨 언덕 가장자리에 있는 ''헤버슈테터 산'' 정상으로 272m이다. 시청의 고도를 기준으로 도시의 공식 고도는 42.2m으로 주어진다.

이 도시는 101.12km2의 면적을 차지한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13.1km, 동쪽에서 서쪽으로 14.1km 뻗어 있다.

민덴은 빌레펠트에서 북동쪽으로 40km, 하노버에서 서쪽으로 60km, 브레멘에서 남쪽으로 80km, 오스나브뤼크에서 동쪽으로 60km 떨어져 있다.

2. 3. 기후

민덴에는 기상 관측소가 없으므로 10km 떨어진 인근 뷔케부르크의 데이터를 제공한다.[2]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뷔케부르크의 기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4.65.69.313.918.521.224.023.719.513.88.24.713.9
평균 기온 (°C)2.83.15.810.013.816.919.018.714.910.46.43.510.3
평균 최저 기온 (°C)-0.1-0.12.25.08.911.614.114.011.17.13.40.36.5
강수량 (mm)58.345.246.340.663.259.071.476.160.559.756.456.1716.8
강수 일수 (≥ 0.1 mm)18.216.115.813.613.814.715.515.113.916.017.718.4191.3
일조 시간46.469.8112.2177.0203.3202.1217.6197.4144.9104.949.138.81551.8
상대 습도 (%)82.879.775.870.169.070.269.870.776.681.584.584.676.6
강설 일수 (≥ 1.0 cm)4.14.71.800000001.33.515.6

[3]

베스트팔렌 전체는 쾨펜의 기후 구분 상 온대 해양성 기후(Cfb)에 속한다. 그러나 베스트팔렌 최북동 지역은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의 가장 건조한 지역인데,[5] 이는 서에서 동으로 향하는 저기압과 강우를 가져오는 남서풍 전선 때문이다. 따라서 민덴은 토이토부르크 숲과 비엔 언덕의 풍하측 비그늘에 위치하여, 비엔 언덕 남쪽의 흐린 날씨는 종종 언덕 북쪽의 맑은 하늘과 연결된다.[6]

민덴은 오스트베스트팔렌 전체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해양성 기후이며, 때때로 대륙성 기후의 성질이 섞이는 이행 지역에 해당한다. 이곳에서는 기온과 강수량이 연중 큰 변동이 비교적 적다. 여름은 대륙성 기후의 토지에 비해 약간 시원하고, 겨울은 약간 따뜻하다. 이는 비엔 산지의 북쪽, 바람이 닿지 않는 쪽에 위치한 것도 영향을 미친다. 토이토부르크 숲과 비엔 산지가 대서양에서 비를 몰고 오는 남서풍으로부터 이 도시를 보호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민덴은 다른 오스트베스트팔렌 지방의 도시들에 비해 강수량이 적다. 그 값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과 거의 동일하다. 시 북부의 연간 강수량은 600mm - 650mm이고, 남부에서는 그보다 약간 많은 650mm - 700mm이다. 기온은 북독일 저지대와 베저 계곡의 비교적 낮은 고도에 의해 결정된다. 연평균 기온은 9 - 9.5℃로, 베스트팔렌 분지의 평균값과 같다.[118] 민덴-할렌 지구의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

민덴-할렌 (해발 46m)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합계
강수량 (mm)57.142.652.951.561.280.263.868.158.546.355.863.5701.5

[119]

2. 4. 도시 구성

민덴은 행정적으로 19개의 시구로 구성된다.[117]

구역 이름
베렌캠펜 (Bärenkämpen)
뵘호르스트 (Bölhorst)
당커르젠 (Dankersen)
튇첸 (Dützen)
하덴하우젠 (Haddenhauzen)
헤퍼슈테트 (Häverstädt)
할렌 (Hahlen)
인넨슈타트 (Innenstadt)
쾨니히스토어 (Königstor)
쿠텐하우젠 (Kutenhausen)
레텔른-아밍하우젠 (Leteln-Aminghausen)
마이센 (Meißen)
민더하이데 (Minderheide)
노르트슈타트 (Nordstadt)
페핑하우젠 (Päpinghausen)
레히테스 베저우퍼 (Rechtes Weserufer)
로덴벡 (Rodenbeck)
슈템머 (Stemmer)
토텐하우젠 (Todtenhausen)



19세기까지의 역사적인 도시 지역은 오늘날 시내 구역(Innenstadt)의 일부이다.

2. 5. 토지 이용

비헨 언덕의 임업 활용은 북부 산기슭의 거의 숲이 없는 뢰스 지대와 바스타우 분지 북쪽 지역과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뢰스는 가장 비옥한 토양(루비졸)으로 발달했으며 선사 시대부터 경작지로 사용되었다. 두 지대 모두 주요 교통로이며, 현재는 민덴에서 뤼베케로 이어지는 Bundesstraße 65|분데스슈트라세 65de와 민덴에서 에스펠캄프로 이어지는 지방 도로가 있다. 이렇게 연결된 마을들은 상당한 규모의 정착지로 발전했다.

바스타우 분지는 나무와 주택이 없는 지역으로, 농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지역을 통과하는 도로는 도시의 남서쪽에 위치한 단 하나의 남북 도로뿐이다. 이 지역의 글레이토뿐만 아니라 베저 계곡 분지의 글레이토도 배수 후 농업용으로 사용된다.

4개의 자연 보호 구역이 민덴 영토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확장되어 있다. 그중 가장 북쪽에 있는 곳은 생태 교육을 위한 생물학적 장소(Biologische Station Nordholz|비올로기셰 슈타치온 노르트홀츠de)를 제공한다.

산림의 비율은 다른 유형의 도시보다 적다.

토지 이용 (2019)[8]
정착 및 교통농업산림기타 지역
민덴40.7%49.0%6.1%4.1%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내 동일 유형의 도시
31.9%42.7%22.4%3.0%



자연 보호 구역 ''노르트홀츠''

3. 역사

민덴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여러 국가와 정권의 지배를 받으며 이어진다.

1806년까지 민덴 성당 주변 지역은 돔프라이하이트(주교좌 교회의 관할 지역)로, 다른 민덴 시가지와 달리 성계 영주가 통치했다. 1806년 11월 13일, 민덴은 프랑스군에게 점령당하여 1810년 말까지는 베스트팔렌 왕국령, 그 후에는 프랑스의 직접 통치 하에 놓였다.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 1세가 패퇴한 후, 프랑스군은 민데너 란트 지방에서 철수하여 다시 프로이센령이 되었다. 알님 군수 시대(1816년 - 1820년)에 민덴 행정 관구의 감독 하에 민덴의 방위 시설이 재건되었으나, 이는 공업 및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중대한 폐해를 초래했다. 도시와 그 기풍은 시벽 안에 봉쇄되어, 빌레펠트도르트문트와 같은 도시가 융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프로이센 시대는 민덴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도 도시의 시설이나 풍경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1873년까지 프로이센의 요새 도시였던 민덴은, 같은 해 5월 30일 제국 의회의 결정으로 방위 시설이 철폐되면서 경제적으로 부흥했다. 그러나 예전과 같은 정치적·경제적 중요성을 회복하지는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민덴 교외의 베저 산지와 비덴 산지에 U-Verlagerung(지하 공장)이 건설되어 노이엔감메 강제 수용소 수용자들이 강제 노동에 종사했다. 전쟁 후, 공장 기계는 미국군에 의해 해체되었고, 공장 출입은 금지되었다.

슈톨퍼슈타이네 프로젝트에 의해 베저토어 근처의 베커 거리에 매설된 유대인 희생자 플레이트


민덴 수운로 정션에 가까운 빈켈투름 엄폐호에는 국립 조선소와 민덴 수문의 직원이 있었다. 이 엄폐호는 봉쇄되었고, 2010년에 철거되었다. 유대인 시민은 대부분 국외로 추방되거나 구금되었다. 희생된 유대인을 추모하는 슈톨퍼슈타이네 프로젝트가 실행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민덴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중심가와 베저 강을 넘는 운하 시설이 파괴되었다. 1945년 4월 3일 미국군이 바트 앤하우젠 방면에서 침공해 왔고, 4월 4일 캐나다 제1공수 대대가 서쪽에서 시내로 진입하여 4월 5일 완전히 도시를 제압했다.[121] 1945년 4월 9일에는 임시 시 행정 기구가 기능하기 시작했다.

민덴은 영국 관리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46년 3월 11일, 영국 군정부의 영국 관리 지구 경제국이 설치되었고, 이는 바이존 경제국의 전신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민덴은 지역을 넘어 영향력을 발휘하는 행정상의 중요 지점으로서의 지위를 완전히 상실했다. 행정관구 본부 소재지는 1947년에 데트몰트로 이전되었고, 몇몇 관청의 본청 소재지도 이에 따라 이동했다. 구 민덴 행정관구를 관할하는 행정 재판소는 현재도 민덴에 있다.

전후 복구는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1949년에 베저 강을 가로지르는 미텔 운하의 운하교가 재개통되었고, 1955년에 신 시청사가 개관했으며, 1957년에는 민덴 성당이 재건되었다. 시청사와 성당 재건은 건축가 베르너 말히가 담당했다.[122] 1968년, 독일철도는 민덴역의 전철화 업무를 시작했다. 1969년, 베저 강에 바이패스 교량 건설이 시작되었다. 시 북부에는 민데너 링(민덴 환상도로)의 연장부에 해당하는 북교가, 남부에는 계획 중이던 아우토반의 일부인 남교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도로는 비엔 산지를 터널로 지나 바트 앤하우젠에서 아우토반 A30호선에 연결될 계획이었지만, 시민 주도의 반대 운동으로 폐지되었다.

시청사 아케이드에서 성당을 바라본 모습. 근대 건축이 시야를 가리고 있다.


1970년대에는 구 시가지 근대화가 이루어졌다. 베저토어 주변 지역이 정리되고, 오래된 가옥은 넓은 건물로 개축되었다. 공공 교통도 새롭게 정비되어, 인넨슈타트는 자유 교통 지구와 보행자 전용 지구로 교통 분리가 이루어졌다. 노선 버스 중앙 정류장은 시내 중심부에서 남부로 이전되었다. 빈 공간에는 시청 신 청사를 건설할 계획이 세워졌으나, 이로 인해 시청 아케이드에서 민덴 성당 서면으로의 시야가 가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 정비는 민덴의 오래된 목조 건축 일부를 파괴하여, 후에 근대화의 실패 사례로 종종 거론되게 되었다.

1973년 1월 1일, 빌레펠트법에 따른 시정촌 재편으로 여러 촌락이 민덴시에 합병되어, 이전까지 행정상 독립되어 있던 촌락이 민덴의 구역이 되었다.[123] 동시에 구 민덴군과 구 뤼베케군에서 민덴-뤼베케군이 창설되었고, 민덴은 그 군청 소재지가 되었다. 새로운 군청사는 인넨슈타트 남부의 구 병영 부지에 건설되었고, 구 민덴군 청사는 민덴 시립 문서 보관소로 이용되고 있다.

1976년, 민덴의 베저강 제방이 둑 높이 올리기 공사를 거쳐, 피셔슈타트 연안에 산책로가 조성되었다. 1974년에는 철거된 방어 시설 부지에 시민들의 휴식 공간인 "그라시"가 조성되었다. 피셔슈타트 연안의 구 시벽은 1979년부터 복구 공사가 진행되었다. 1994년 영국군의 철수와 독일 연방군 훈련장 신설로 베저강 연안의 파이오니어 훈련장 대부분이 그라시에 병합되어, 이 레크리에이션 지역은 베저강에 둘러싸인 형태가 되었다.

21세기 초까지 인넨슈타트 재개발이 다시 논의되었다. 시는 2009년에 인넨슈타트 개발의 개괄적인 마스터 플랜을 제안하여 6월 시 의회를 통과시켰다.

3. 1. 고대 ~ 중세

민덴 지역은 1세기부터 4세기까지 베저-라인 게르만 발전 영역에 속하는 지역으로, 지속적인 정착 활동이 있었다. 게르마니아 원정 기간 동안 베스트팔렌 지역은 군사 활동의 중심지였다. 민덴 지역이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 (서기 9년)에서 로마군 지휘관 푸블리우스 퀸크틸리우스 바루스가 진군을 시작한 군사 기지였는지는 논쟁 중이다.[10] 이디스타비소 전투와 앙그리바리안 방벽 전투 (서기 16년)의 위치가 민덴 동부 또는 포르타 베스트팔리카인지도 불확실하다.[11] 2024년까지 명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없지만, 2008년 민덴 중심부 남쪽 바르크하우젠에서 로마 군사 기지 유물이 발견되었다.[12]



'민다'라는 이름은 798년 샤를마뉴의 군대 집회를 언급한 왕 프랑크 연대기에 처음 등장한다.[13] 정착지는 오늘날 '피셔슈타트'가 있는 강의 왼쪽 강변으로 추정된다. 프랑크 군대 주둔지와 왕실 영지는 남쪽에서 오는 길이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간극에 의해 묶이고, 비헨과 베저 언덕과 평행한 서-동 방향 길과 베저를 건너는 여울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이 지역은 이미 기독교로 개종되었고, 800년경 민덴에 주교구가 설립되었다. 첫 번째 대성당은 오래된 마을 근처에 세워졌다.[14] 1180년 작센 공국 해체 후 주교는 민덴 대주교령의 군주가 되었고, 신성 로마 제국의 헌법적 영토로서 1648년까지 이 지위를 유지했다. 서임권 투쟁 기간 동안 1080년 교황 지지자와 하인리히 4세 지지자에 의해 두 명의 주교가 동시에 임명되었다.

대성당 구역은 곧 장인과 상인들의 정착지로 둘러싸였다. 상부 시가지 개발은 교회의 수녀원 활동으로 시작되었다. 1000년경 베네딕토회 수녀원이 비헨 언덕에서 마을 북서쪽 가장자리로 옮겨졌다. 1029년에는 성 마르틴의 정규 수도원이, 1042년에는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나타났다. 도미니코회 수녀원인 성 바울은 1236년에 설립되었다.

,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오래된 세속 건물 중 하나이다.


목골조 주택은 거리를 따라 하부 및 상부 시가지 중심부 사이에 위치해 있다.


민덴 대성당 교회


독일 중세 군주들은 이동식 궁정으로 왕국을 통치하며 도시를 순회했다. 독일 루트비히는 852년에 민덴에서 제국 회의를 열었다. 오토 왕조와 잘리어 왕조 황제들은 여러 번 민덴을 방문했다.[15] 1062년 하인리히 4세 방문 때 측근과 시민들 사이 분쟁으로 화재가 발생, 대성당과 마을 일부가 파괴되었다. 카를 4세의 1377년 10월 제국 방문은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멸망까지 마지막이었다.[16]

1168년, 작센 공작 하인리히 사자공은 마틸다(잉글랜드의 헨리 2세의 딸)와 민덴 대성당에서 결혼, 벨프 가문의 지속성을 유지했다.[17]

시장 개최, 주화 주조, 관세 징수 권한은 977년 오토 2세에 의해 부여되었다. 13세기 초까지 주교는 행정관(Wichgrafde)을 임명했다. 민덴 시민과 의회는 1230년경 주교 통치로부터 독립, 1301년에 도시 헌장을 받았다. 시민들의 자신감 증가는 시청 건설로 입증되었다. 그 결과 주교는 1307년 민덴에서 페터스하겐으로 공식 거처를 옮겼다.

민덴의 경제 발전은 항해 가능한 강에 위치한 것과 중세 시대 이후 곡물 거래 성공, 한자 동맹 가입으로 이루어졌다.[18] 최초의 베저 다리 건설 연도는 불명이다. 이전 나무 보행자 다리는 13세기 말 마차 운송에 적합한 다리로 교체되었다. 16세기 초 민덴은 석조 아치교를 얻었다.

3. 2. 종교 개혁 ~ 근대

성 요한 교회, 현재는 이라는 행사 장소로 사용됨


중세 시대 말, 교황 사절인 니콜라우스 쿠사 추기경은 목회와 성직자 행정의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독일 교회 관구들을 방문했다. 그는 1451년 8월 일주일 동안 민덴에 머물면서 여러 칙령에 서명했지만, 전반적으로 이 프로젝트는 의도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19] 루터교 종교 개혁은 존경받지 못했던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프란시스 주교가 사망한 후 공석이 된 1529년에 도입되었으며, 36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부대가 도시 연대로 구성되었다. 마르틴 루터의 원칙에 기초한 새로운 교회 헌장이 1530년 2월 13일 성 마르틴 교회 (Martinikirche|마르티니키르헤de) 설교단에서 발표되었다. 도미니크 수도원은 1529년에 해산되었고, 그 건물은 1530년부터 베스트팔렌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Gymnasium|김나지움de인 새로 설립된 시립 김나지움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1529년 민덴에서는 심각한 대립이 일어났다. 그 결과 시정을 관리하기 위한 36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형성되었다. 1530년 2월 13일, 니콜라우스 클라제는 마르틴 교회의 설교단에서 민덴의 프로테스탄트화를 선언했다.

마녀 재판 시대인 1603년부터 1684년까지 총 128명이 마녀 재판에 회부되었다. 인접한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로 여성이 그 대상이 되었다.

30년 전쟁 중인 1625년부터 1634년까지 제국 가톨릭 군대가 민덴을 점령했다. 프로테스탄트 스웨덴 군대는 민덴을 포위하여 1634년에 점령했다.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은 민덴에게 내외적 문제에 대한 완전한 주권을 부여했다. 가톨릭 점령 기간 동안 주교는 1630년에 그레고리력 도입을 명령했고, 달력은 스웨덴 정권 하에서 1634년에 재설정되었지만, 마침내 1668년에 새로운 양식으로 표준화되었다.[20]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은 민덴 대주교령을 민덴 공국으로 세속화하고 그 영토를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에 할당했으며,[18] 이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으로 명명되었다. 1650년에 스웨덴 군대가 다시 이동했고, 1668년에는 공국 행정부가 페터스하겐에서 민덴으로 복원되었다. 브란덴부르크의 "대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도시의 모든 전통적인 권리를 확인했지만, 그의 후계자인

3. 3. 나폴레옹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1806년까지 민덴 성당 주변 지역은 돔플라이하이트, 즉 주교좌 교회의 관할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다른 민덴 시가지와는 달리 성계 영주가 통치했다. 1806년 11월 13일, 민덴은 프랑스군에게 점령당하여 1810년 말까지는 베스트팔렌 왕국령, 그 후에는 프랑스의 직접 통치 하에 놓였다.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 1세가 패퇴한 후, 프랑스군은 민데너 란트 지방에서 철수하여 다시 프로이센령이 되었다. 알님 군수 시대(1816년 - 1820년)에 민덴 행정 관구의 감독 하에 민덴의 방위 시설이 재건되었다. 이 시벽(市壁)의 재건은 공업 발전·경제 발전을 저해한다는 중대한 폐해를 초래했다. 도시와 그 기풍은 시벽 안에 봉쇄되어 버렸던 것이다. 이를 계기로, 그전까지는 작은 마을에 지나지 않았던 빌레펠트도르트문트와 같은 도시가 융성으로 향해 갔다.

프로이센 시대는 민덴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것은 현재도 도시의 시설이나 풍경에서 볼 수 있다. 이 시대의 많은 건물이 현존하고 있다. 초대 방위 사령관은 에른스트 미하엘 폰 슈비히호우였다. 1873년까지 이 도시는 프로이센의 요새 도시였다. 1873년 5월 30일, 베를린에서의 제국 의회는 민덴, 슈테틴, 에르푸르트, 비텐베르크, 코젤, 그라우덴츠, 콜베르크, 슈트랄준트의 방위 시설 철폐를 결정했다. 이로 인해 비로소 시벽이 철거되고, 도시는 경제적으로 부흥했다. 그러나, 예전과 같은 정치적·경제적으로 중요한 포지션으로 다시 돌아가는 일은 없었다.

3. 4. 바이마르 공화국 ~ 제2차 세계 대전

1829년 시메온 광장에 있는 병영(''Defensionskaserne''), 현재 프로이센 박물관 부지이며, 앞에 민덴 행성 길의 시작점


1899년에 지어진 철도 구역의 노동자 주택 단지


1896년 베저 강과 글라시교, 포르타 베스트팔리카와 빌헬름 황제 기념비의 모습


1918년 11월 혁명은 민덴 수비대의 몇몇 병영에서 발생한 작은 소동으로 끝났다. 대부분 사회민주당 당원이나 지지자로 구성된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는 11월 18일 오후에 통제권을 장악했지만, 시의회 및 군, 민간 행정부와 협력하여 상황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했다.[32]

1920년 3월 카프 폭동 동안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는데, 우익 장교들이 정당한 바이마르 공화국 정부를 전복하려 시도했기 때문이다. 시의회 다수는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대통령과 구스타프 바우어 총리에 대한 충성을 선언했고, 이들은 민덴 노동자 평의회의 권위를 확인했다. 1922년 6월 24일 발터 라테나우 외무장관 암살 사건은 민덴에서 심각한 폭동을 초래했다. 6월 27일 시장 광장에서는 정부를 지지하는 15,000명의 시위가 열렸다. 대공황 시기에 여론이 바뀌었고, 1930년 시의회 선거에서 NSDAP는 31석 중 6석을 얻었으며, 마지막 민주적 선거인 1933년 선거에서는 28석 중 16석을 차지하며 과반수를 얻었다.[33] NSDAP는 국회 선거에서 민덴 득표율을 1928년 5월 2.0%에서 1932년 7월 40.1%로 증가시켰다.[34]

독일군은 베르사유 조약의 규정에 의해 상당히 제약을 받았지만, 민덴은 제6 사단의 ''국방군(Reichswehr)'' 주둔 도시로 남아 있었다. 군인들은 공식적으로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익 단체와 점점 더 연관되었다. 군대는 스포츠 시설 건설을 추진했는데, 경기장 (Adolf-Hitler-Kampfbahn|아돌프 히틀러 캄프반de, 현재 Weserstadion|베저슈타디온de), 공공 야외 수영장 (현재 Sommerbad|좀머바트de), 경마장 건설을 추진했다. 발터 폰 브라우히치 (1925년부터 1927년까지 연례 승마 토너먼트를 조직)와 빌헬름 카이텔 (1929년까지 같은 역할을 승계)은 민덴에서 경력의 일부를 보냈다.[35]

1935년 ''국방군''이 ''국방군(Wehrmacht)''으로 전환되면서 육군 부대가 확대되었다. 민덴은 또 다른 공병 대대(제46 대대)를 받았고, 새로운 병영(Mudra-Kaserne|무드라 카제르네de,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클리프턴 병영'')과 베저 강변의 훈련장이 건설되었다. 1922년 마지막 전쟁 포로가 마인더하이드 수용소를 떠난 후, 이 장소는 군사 훈련, 말과 오토바이 스포츠에 다시 사용되었고, 1910년부터 시작된 것처럼 작은 비행기의 착륙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1936년부터 이 지역에 새로운 유형의 비행기를 시험하는 격납고 2개와 수리 및 점검 작업장이 건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의 독일 혁명은 민덴에서는 비교적 온건하게 진행되었다. 1918년 11월 7일과 8일에 민덴 주둔의 여러 병영에서 소규모 충돌이 있었지만, 시의 SPD 대표와 노동조합의 노력으로 진정되었다. 1918년 11월 8일 오후, 노병회가 민덴시의 공적 관할 구역을 장악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1920년의 이른바 카프 폭동에서는 민덴의 입장이 긴장 상태에 놓였다. 시정 위원회의 SPD, DDP, USDP 대표는 대통령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와 구스타프 바우어 내각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지만, 중앙당 대표는 보류 태도를 보였다. 1920년 3월 15일에 노동조합이 시의 행정 기구를 장악했다. 이로 인해 쿠데타 측의 성명을 공표한 신문, 민데너 타게블라트와 민데너 차이퉁은 사전 검열이 부과되었고, 이내 발행 금지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민덴에서는 전례가 없었지만, 1918년 11월 혁명 당시에는 다른 도시에서는 한두 번이 아닌 격렬한 조치가 취해졌다. 1920년 3월 16일, 에베르트 대통령과 바우어 수상은 전보로 노동조합의 전권을 인정했다. "민덴 노동조합은 최고 집행권을 위탁받았다. 조합은 헌법에 근거한 행정 관리와 시책 실행을 위해 모든 조치를 취할 권리를 가진다. 서명 대통령 에베르트 서명 수상 바우어"[120] 카프 폭동 실패 후, 민덴의 주민과 정당은 격렬하게 양극화되었다. 1922년 6월 24일에 외무 장관 발터 라테나우가 살해되자, 그 후 민덴에서도 잔혹한 폭력 사건이 여러 건 있었다. 1922년 6월 27일에 마르크트 광장에서 약 15,000명이 참가한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시위 종료 후, 많은 시위 참가자가 시 당국에 연행되었고, 주거지, 직장, 숙박 호텔은 보수파와 국수주의자에 의해 철저하게 수색되었으며, 많은 황제 흉상과 초상, 흑 - 백 - 적 깃발이 부서지거나 불태워졌다. 민데너 차이퉁은 이 소란을 1922년 7월 1일에 "러시아 봉기"라고 명명하여 보도했다.

3. 5. 전후 ~ 현재

Fort B


1918년 11월 혁명 당시, 민덴 수비대의 일부 병영에서 작은 소동이 발생했다. 대부분 사회민주당 지지자들로 구성된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가 11월 18일에 통제권을 장악했으나, 시의회 및 군, 민간 행정부와 협력하여 상황을 진정시켰다.[32]

1920년 3월 카프 폭동 당시 우익 장교들이 바이마르 공화국 정부를 전복하려 시도하면서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다. 시의회 다수는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대통령과 구스타프 바우어 총리에 대한 충성을 선언했고, 민덴 노동자 평의회의 권위를 확인했다. 1922년 6월 24일 발터 라테나우 외무장관 암살 사건은 민덴에서 심각한 폭동을 초래했다. 6월 27일 시장 광장에서는 정부를 지지하는 15,000명의 시위가 열렸다. 대공황 시기에 여론이 바뀌었고, 1930년 시의회 선거에서 NSDAP는 31석 중 6석을, 1933년 선거에서는 28석 중 16석을 차지하며 과반수를 얻었다.[33] NSDAP는 국회 선거에서 민덴 득표율을 1928년 5월 2.0%에서 1932년 7월 40.1%로 증가시켰다.[34]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군이 제약을 받았지만, 민덴은 제6 사단의 ''국방군(Reichswehr)'' 주둔 도시로 남아 있었다. 군인들은 공식적으로 정치적 중립을 지켰지만, 우익 단체와 점점 더 연관되었다. 발터 폰 브라우히치빌헬름 카이텔은 민덴에서 경력의 일부를 보냈다.[35]

1935년 ''국방군''이 ''국방군(Wehrmacht)''으로 전환되면서 육군 부대가 확대되었다. 민덴은 새로운 병영(Mudra-Kaserne|무드라 카제르네de)과 베저 강변의 훈련장을 건설했다. 1922년 마지막 전쟁 포로가 마인더하이드 수용소를 떠난 후, 이 장소는 군사 훈련, 스포츠, 비행기 착륙 장소로 사용되었다. 1936년부터 이 지역에 격납고 2개와 수리 및 점검 작업장이 건설되었다.

전쟁 후 민덴 지역 철도는 마이센 탄광과 클라이넨브레멘 광산으로 가는 네 번째 노선을 개통했으며, 1924년에는 협궤를 표준궤로 전환하기 시작했다.[36] 민덴 트램은 1920년에 전철화되었고, 1930년까지 3개의 노선이 추가되었다.[30]

1929년 멜리타 회사는 생산 시설을 드레스덴에서 민덴으로 이전했다. 1935년부터 Chemische Werke Minden|헤미셰 베르케 민덴de코데인 등의 제약용 화학 물질을 생산했다.

1934년부터 1940년까지 단독 주택으로 구성된 두 개의 교외 (Siedlung Kuhlenkamp|지들룽 쿨렌캄프de 및 Siedlung Rodenbeck|지들룽 로덴베크de)가 건설되었다. 제3제국 기간 동안 일부 거리나 장소의 이름이 정치적 이유로 변경되었으며, 대부분 1945년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다.[37]

제2차 세계 대전 중, 민덴 교외의 베저 산지나 비덴 산지에 U-Verlagerung(지하 공장)이라고 불리는 지하 공장이 건설되었다. 여기에서는 노이엔감메 강제 수용소의 수용자들이 강제 노동에 종사했다. 전쟁 후, 공장의 기계는 미국군에 의해 해체되었고, 공장 출입은 금지되었다.

민덴 수운로 정션에 가까운 빈켈투름 엄폐호에는 국립 조선소와 민덴 수문의 직원이 있었다. 이 엄폐호는 봉쇄되었고, 2010년에 철거되었다. 유대인 시민은 대부분 국외로 추방되거나 구금되었다. 희생된 유대인을 추모하는 슈톨퍼슈타이네 프로젝트가 실행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폭격으로 민덴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중심가와 베저 강을 넘는 운하 시설이 파괴되었다. 1945년 4월 3일 미국군이 바트 앤하우젠 방면에서 침공해 왔다. 4월 4일, 캐나다 제1공수 대대가 서쪽에서 시내로 진입하여 0시에 마르크트 광장에 도달했다. 4월 5일 2시 30분경, 이 도시는 완전히 제압되었다[121]。1945년 4월 9일에는 임시 시 행정 기구가 기능하기 시작했다.

민덴은 영국 관리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46년 3월 11일, 이 도시에 영국 군정부의 영국 관리 지구 경제국이 설치되었고, 이것이 바이존 경제국의 전신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민덴은 예전의 지역을 넘어 영향력을 발휘하는 행정상의 중요 지점으로서의 지위를 완전히 상실했다. 행정관구의 본부 소재지는 1947년데트몰트로 이전되었다. 몇몇 관청의 본청 소재지도 이에 따라 이동했다. 구 민덴 행정관구를 관할하는 행정 재판소는 현재도 민덴에 있다.

전후 복구는 한 걸음 한 걸음 진행되었다. 1949년에 베저 강을 가로지르는 미텔 운하의 운하교가 재개통되었고, 1955년에 신 시청사가 개관, 1957년에는 민덴 성당이 재건되었다. 시청사와 성당의 재건은 건축가 베르너 말히가 담당했다[122]1968년, 독일철도는 민덴역의 전철화 업무를 시작했다. 1969년, 베저 강에 놓인 바이패스 교량 건설이 시작되었다. 시 북부에서는 민데너 링(민덴 환상도로)의 연장부에 해당하는 북교가 건설되었고, 남부에서는 계획 중이던 아우토반의 일부인 남교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도로는 연장되어 비엔 산지를 터널로 지나, 바트 앤하우젠에서 아우토반 A30호선에 연결될 계획이었지만 시민 주도의 반대 운동으로 이 계획은 폐지되었다.

1970년대가 되자 구 시가지의 근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베저토어 주변 지역은 정리되었고, 오래된 자질구레한 가옥은 넓은 바닥 면적을 가진 건물로 개축되었다. 공공 교통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인넨슈타트는 자유 교통 지구와 보행자 전용 지구로 교통 분리가 이루어졌다. 노선 버스의 중앙 정류장은 시내 중심부에서 남부로 이전되었다. 이로 인해 빈 공간에 시청의 신 청사를 건설할 계획이 세워졌다. 이로 인해 시청의 아케이드에서 민덴 성당 서면으로의 시야는 새로운 건물에 의해 가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 정비는 민덴의 오래된 목조 건축의 일부를 파괴하게 되었고, 후에 근대화의 실패 사례로 종종 거론되게 되었다.

1973년 1월 1일, 빌레펠트법에 따른 시정촌 재편으로 여러 촌락이 민덴시에 합병되었다. 이로 인해 그 전까지 행정상 독립되어 있던 촌락이 민덴의 구역이 되었다[123]。동시에 구 민덴군과 구 뤼베케군에서 민덴-뤼베케군이 창설되었다. 민덴은 그 군청 소재지가 되었다. 새로운 군청사는 인넨슈타트 남부의 구 병영 부지에 건설되었고, 구 민덴군 청사는 민덴 시립 문서 보관소로 이용되고 있다.

1976년, 민덴의 베저강 제방이 둑 높이 올리기 공사를 거쳐, 그 안의 피셔슈타트 연안에 산책로가 조성되었다. 1974년에는 철거된 방어 시설 부지에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중요한 녹지대인 "그라시"가 조성되었다. 피셔슈타트 연안의 구 시벽은 1979년부터 복구 공사가 진행되었다. 1994년 영국군의 철수, 독일 연방군 훈련장의 신설로 인해 베저강 연안의 파이오니어 훈련장의 대부분이 그라시에 병합되어, 이 레크리에이션 지역은 베저강에 둘러싸인 형태가 되었다.

21세기 초까지 인넨슈타트의 재개발이 다시 논의되었다. 시는 2009년에 인넨슈타트 개발의 개괄적인 마스터 플랜을 제안하여 6월 시 의회를 통과시켰다.

4. 종교

민덴 성 마리엔 교회(루터교)


민덴에는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와 유대교 공동체도 존재한다.

1521년부터 1529년까지 민덴에서 종교 개혁이 이루어졌으며, 1530년에는 복음주의 신학자 니콜라우스 클라게에 의해 복음주의 교회 규칙이 작성되어 시의회에서 공포되었다.[4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구 동독 영토에서 온 추방된 사람들과 난민들의 이주로 인해 민덴의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1960년대부터는 지중해 국가 출신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1980년대에는 소련과 그 계승 국가에서 온 러시아계 독일인들이 이주해 왔다. 최근에는 망명 신청자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난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민덴에는 세 개의 모스크를 갖춘 상당한 규모의 무슬림 공동체가 성장했다. 1796년경부터 퀘이커 조직이 존재했으나, 1870년대에 학생 부족으로 학교가 폐쇄되면서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자유 교회(침례교회 등)와 이슬람교 조직, 불교 조직이 있으며, 무종교 주민도 증가하고 있다.

4. 1. 개신교

1521년부터 1529년까지 민덴에서 종교 개혁이 이루어졌다. 1530년 복음주의 신학자 니콜라우스 클라게에 의해 시를 위한 복음주의 교회 규칙이 작성되었고, 민덴 시의회는 같은 해에 이를 모든 시민에게 공포했다.[42]

민덴에 있는 복음주의 교회 공동체는 모두 독일 복음주의 교회(EKD)를 구성하는 연합파 주 교회인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에 속해 있다.[42]

오늘날 민덴에는 6개의 복음주의 교회 공동체가 있다. 루터교 소속 교회 공동체는 성 마리엔 교회 공동체, 성 마르티니 교회 공동체, 성 시메온 교회 공동체, 성 마르쿠스 교회 공동체, 성 야코브 교회 공동체로 5개이다. 이들은 시내를 5개 지역으로 나누어 선교 활동을 하고 있다. 개혁교회 소속인 페트리 교회 공동체는 루터교 지구 교회 조직이 아닌, 시내 전역을 관할한다. 루터교의 성 시메온 교회 공동체는 현재 열린 교회로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성 마리엔 교회 공동체에는 과거 타텐하우젠과 쿠텐하우젠 지역이, 성 마르티니 교회 공동체에는 뒤첸, 벨홀스트, 헤퍼슈테트가 포함된다.[42]

4. 2. 로마 가톨릭

민덴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 조직이 4개 있다. 성 베드로-고르보니우스 주교좌 성당, 성 마우리티우스 교회, 성 바오로 교회, 성 안스가르 교회이다. 이 교회들은 민데너 란트 목회구를 형성하고 있다.

4. 3. 유대교

13세기 이후, 민덴 시에는 유대교 조직이 존재해왔다. 19세기에는 신자 수가 400명 가까이 이르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40명의 신자들에 의해 민덴 및 주변 지역의 유대인 문화 조직으로서 새롭게 발족했다. 수정의 밤에 파괴된 민덴의 회당은 1958년에 신축되어 유대인 커뮤니티의 중심이 되고 있다.[38]

4. 4. 기타 종교

오스트베스트팔렌-리페 지역은 데트몰트 행정 구역과 일치하며, 민덴은 빌레펠트, 파더보른, 귀터슬로 다음으로 인구가 네 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덴의 인구는 주로 구 동독 영토에서 온 추방된 사람들과 난민들의 이주로 인해 크게 증가했다. 1960년대부터 인구 증가는 주로 지중해 국가 출신의 외국인 노동자들로 인해 발생했으며, 이들 중 많은 수가 이후 민덴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기로 결정했다.

1980년대에 소련과 그 계승 국가에서 온 민족 독일인의 독일 이주가 시작되었고, 민덴-뤼베케 지역은 그들이 선호하는 지역 중 하나였다. 이후 1989-1990년에는 독일 재통일로 동독 출신의 사람들의 이주가 가능해졌다. 가장 최근의 이주 기간은 주로 망명 신청자로, 근동과 2022년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난민들 때문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민덴에는 세 개의 모스크를 갖춘 상당한 규모의 무슬림 공동체가 성장했다. 1796년경부터 독일에는 몇 안 되는 퀘이커 조직 중 하나가 민덴에 있었다. 그들은 처음에는 의회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나중에는 아이의 취학 의무 문제로 행정부와 여러 차례 충돌했다. 퀘이커 신자들은 아이들을 집에서 교육시키고 학교에 보내지 않는다는 이유로 압박을 받았다. 결국 그들은 퀘이커 신자들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독일에 있었지만, 자금 면에서는 앵글로아메리카와 영국의 퀘이커 신자들에게서 대부분을 지원받았다. 많은 우여곡절 끝에 1858년 민덴 퀘이커 사립학교는 공식적인 운영 허가를 받았다[124]。 그러나 이 학교는 1870년대에 학생 부족으로 인해 폐쇄되었다. 현재 민덴에는 퀘이커 조직이 없다.

이에 더해 민덴에는 수많은 자유 교회(침례교회 등)와 이슬람교도 조직이 있다. 1991년부터는 불교도 조직 Freunde des Westlichen Buddhistischen Ordens(EWBO/WBO, 직역하면 서양 불교도 우호회)가 결성되었다. 또한 무종교 주민도 증가하고 있다.

5. 정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의회(''란트탁'') 및 연방 의회 (''분데스탁'') 선거구는 민덴이 속해 있으며, 대부분 사회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덴 시청


1999년, 민덴시는 북독일 의회 제도에 따라 양두 체제를 폐지하고 전임 시장만 선출하기로 했다. 시장은 시의 대표이며, 시의회 의장이자 행정 지도자이다.

시의회는 법률에 의해 예정 정원 50석과 시장에 따른다고 규정되어 있다.[125] 2009년 선거에서는 비례대표 선거에 따른 초과 의석 추가로 인해 의원 수가 58명이 되었다.

민덴의 문장은 신성 로마 제국의 쌍두 황제 독수리를 오른쪽에 보여주는데, 1627년 페르디난트 2세 황제가 30년 전쟁에서 도시를 지원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수여되었다. 왼쪽 면에는 민덴 대성당의 수호성인인 성 베드로의 교차된 열쇠가 프린스-주교의 문장의 일부로 나타나 있다.[58]

적백색 깃발은 한자 동맹의 색상을 나타낸다. 도시의 모토는 Ius et aequitas civitatum vinculala(법과 정의는 도시의 유대이다).[58]

민덴 시의 문장은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왼쪽은 금색 바탕에 금색 왕관을 쓰고 금색 발톱과 붉은 혀를 드러낸 검은 쌍두 독수리가 그려져 있다. 오른쪽은 붉은색 바탕에 십자형으로 교차된 은색 열쇠 두 개가 그려져 있으며, 열쇠의 이빨은 서로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문장 연구가들은 이 문장이 좌우 반전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지만, 문장 설명에 따르면 이것이 공식적인 것이다.[58]

이 문장은 1853년부터 공식적인 시의 문장으로 사용되었지만, 사용된 디자인은 모두 오래전부터 관습적으로 사용된 의장이다. 문장의 왼쪽 절반에 그려진 쌍두 제국 독수리는 30년 전쟁 이후, 이 전쟁에서 막대한 희생을 치르면서도 황제군을 받아들이고 지원한 도시로서 황제로부터 특별한 보호권을 부여받았음을 나타낸다. 왼쪽 측면에 그려진 두 개의 열쇠는 구 영주인 민덴 주교의 문장에서 따온 것으로 성 베드로의 열쇠를 나타낸다.[126]

같은 시기에 민덴 시의 모토도 정해졌다. "Jus et aequitas civitatum vincula"(법과 정의가 이 도시의 굳건한 유대이다)이다. 시의 색깔은 구 한자 도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흰색과 빨간색으로 정해졌다.[126]

5. 1. 시장

사회민주당(SPD) 소속 미하엘 예케(Michael Jäcke)는 2015년부터 민덴의 시장직을 맡고 있다. 시장은 5년마다 선출되며, 도시의 수장이자 도시 행정의 리더이며 시의회 의장이다. 예케는 2020년 선거에서 54.3%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1]

5. 2. 시의회

민덴 시의회는 시장과 함께 도시를 통치한다. 시의회 선거는 5년마다 치러진다. 2020년 9월 13일에 치러진 가장 최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57] 전국 정당 외에도 민덴 시의회 의원들은 세 개의 지역 무소속 유권자 단체에 소속되어 있다.

정당득표수득표율 (%)증감 (%)의석증감
bgcolor=#FF0000 |사회민주당 (SPD)10,85636.38-4.221-3
bgcolor=#000000 |기독교민주연합 (CDU)8,16427.36-0.615-2
bgcolor=#64A12D |녹색당 (Grüne)4,63615.54+5.59+3
bgcolor=#FFED00 |자유민주당 (FDP)1,0373.74+0.42±0
bgcolor=#BE3075 |좌파당 (Die Linke)9513.19-1.32-1
bgcolor=#009EE0 |독일을 위한 대안 (AfD)1,7145.74+1.43±0
민덴 이니셔티브 (MI)1,0623.56-1.42-1
뷔르거분트니스 민덴 (BBM)7352.46+0.61±0
우리는 민덴을 위해5841.96New1New
합계100.056-4
유권자/투표율47.14+1.5


5. 3. 문장, 깃발, 모토

민덴의 문장은 신성 로마 제국의 쌍두 황제 독수리(Reichsadler)를 오른쪽에 보여주는데, 1627년 페르디난트 2세 황제가 30년 전쟁에서 도시를 지원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수여되었다. 왼쪽 면에는 민덴 대성당의 수호성인인 성 베드로의 교차된 열쇠가 프린스-주교의 문장의 일부로 나타나 있다.[58]

적백색 깃발은 한자 동맹의 색상을 나타낸다. 도시의 모토는 Ius et aequitas civitatum vinculala(법과 정의는 도시의 유대이다).[58]

민덴 시의 문장은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왼쪽은 금색 바탕에 금색 왕관을 쓰고 금색 발톱과 붉은 혀를 드러낸 검은 쌍두 독수리가 그려져 있다. 오른쪽은 붉은색 바탕에 십자형으로 교차된 은색 열쇠 두 개가 그려져 있으며, 열쇠의 이빨은 서로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문장 연구가들은 이 문장이 좌우 반전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지만, 문장 설명에 따르면 이것이 공식적인 것이다.[58]

이 문장은 1853년부터 공식적인 시의 문장으로 사용되었지만, 사용된 디자인은 모두 오래전부터 관습적으로 사용된 의장이다. 문장의 왼쪽 절반에 그려진 쌍두 제국 독수리는 30년 전쟁 이후, 이 전쟁에서 막대한 희생을 치르면서도 황제군을 받아들이고 지원한 도시로서 황제로부터 특별한 보호권을 부여받았음을 나타낸다. 왼쪽 측면에 그려진 두 개의 열쇠는 구 영주인 민덴 주교의 문장에서 따온 것으로 성 베드로의 열쇠를 나타낸다.[126]

같은 시기에 민덴 시의 모토도 정해졌다. "Jus et aequitas civitatum vincula"(법과 정의가 이 도시의 굳건한 유대이다)이다. 시의 색깔은 구 한자 도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흰색과 빨간색으로 정해졌다.[126]

6. 문화 및 관광

민덴에는 다양한 종교 공동체가 있는데, 기독교에는 신사도 교회, 모르몬교, 여호와의 증인 등이 있다.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이주한 많은 독일인들은 침례교 또는 메노나이트 교도 공동체에 속해 있다. 19세기에는 퀘이커 교도 공동체가 존재했지만, 현재는 그들의 묘지만 남아 있다.[59]

시립 박물관 건물 단지 (''Museumszeile Minden'')


베저강 좌안의 선박 제분소


민덴은 민덴 전투와 같은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다양한 기념물을 보유하고 있다. 베저 교두보 옆에는 대선제후 기념비가 서 있고, 글라시스 지역에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전몰자를 위한 기념비가 있다. "체조의 아버지"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얀의 흉상은 민덴의 체조 선수들을 기리고 있다. 민덴 전투 기념비는 토텐하우젠 구역에 있으며, 프로이센 독수리가 올려진 오벨리스크 형태의 기념비는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승리를 기념한다.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설계한 기념관은 요새 사령관 에른스트 미하엘 폰 슈비초우를 기린다. 보행자 구역에 있는 '베저스푸커'(Weser spitter, 베저 침 뱉는 사람)는 강과의 연결을 상징하며, 주기적으로 물을 뿜어낸다. 피라미디온 형태의 미텔란트 운하 기념비는 운하 건설의 선두 수력 기술자인 ''레오 심퍼''를 기리고 있으며, Martinitreppede에는 민덴 출신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의 흉상이 있다.

도심은 글라시스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곳은 요새가 철거된 후 공원처럼 조성된 녹지대이다. 글라시스의 서쪽 부분은 식물원으로, 고목 표본과 테마 정원이 있다.[71] 1904년에는 도심 북쪽에 새로운 대규모 묘지가 조성되었고, 1957년에는 남쪽에 또 다른 묘지가 조성되었다.[71]

민덴의 스포츠는 다양한 종목을 아우르며, 약 25,000명의 시민들이 100개 이상의 스포츠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가장 성공적인 클럽은 핸드볼 클럽 GWD 민덴이다. 민덴은 베저 강과 운하를 끼고 있어 수상 스포츠가 발달했으며, "베저의 블루 리본(Blaues Band der Weser)"이라는 주요 수상 스포츠 축제가 격년으로 열린다.[73]

캄파 홀


2006년 드래곤 컵


민덴 자유 사격 축제de(Mindener Freischießen)는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특별한 대중 축제이다. 1682년부터 의무적인 사격 훈련이 공개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고의 사격 실력을 보여준 사람은 그 해의 세금을 면제받았다. 현재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총리가 명예 수당을 지급하며, 두 명의 우승자가 결정된다. 민덴 메세(Mindener Messe)는 매년 5월과 11월에 열리는 이동식 유원지이다. 할러 크란츠라이텐de(Hahler Kranzreiten)은 매년 여름 할렌(Hahlen) 지역에서 열리는 승마 경기이다.

민덴 자유 사격 축제(Mindener Freischießen, 2010)


할러 크란츠라이텐(Hahler Kranzreiten)


그 외에도 칸디데 상, 민데너 메세, 민데너 프라이시센, 블루에스 반트 데어 베저, 재즈 서머 나이트, 민덴의 여름밤의 꿈, 민덴 리하르트 바그너 협회의 오페라 공연, 민덴 와인 축제, 베저 리더 오픈 에어, 구르메 마일 등 다양한 행사들이 개최된다.

6. 1. 극장 및 카바레

민덴 시립 극장


1908년에 지어진 신 바로크 양식의 시립 극장(Stadttheater Minden)은 전속 극단은 없지만, 외부 극단 공연과 노르트베스트도이체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정기적인 교향악 연주회가 열리는 장소이다. 2002년부터 리하르트 바그너의 모든 오페라를 공연하는 프로젝트(''Der Ring in Minden'')가 진행 중이다.[127]

그 외에도 시민 회관(Bürgerzentrumde) 및 Theater am Weingartende과 같은 장소에서 민간 후원을 통해 연극 및 문화 행사가 열린다. 또한 고정된 공연장을 갖지 않은 극단들도 있다.[128]

민덴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아마추어 카바레 Mindener Stichlingede의 발상지이며, 1966년에 설립되어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현역 카바레이다. 이 도시는 문학 정치 카바레를 지원하기 위해 매 2년마다 Kabarett-Förderpreis Mindener Stichlingde 상을 수여하며, 4000EUR 상금은 멜리타사(Melitta)와 지역 저축 은행의 후원을 받는다.[63]

정기적인 프로그램을 상연하고 있는 무대가 또 하나 있는데, 문화 센터 BÜZ이다. 이곳에서는 젊은이부터 베테랑까지 많은 카바레티스트들이 기량을 선보이고 있다.

6. 2. 박물관

민덴에는 시립 문서 보관소와 두 개의 중요한 박물관이 있다. 하나는 프로이센 박물관(Preußenmuseum Mindende)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에서 프로이센 역사를 다루는 두 개의 박물관 중 하나이다. 이 박물관은 '지메온 광장'(''Simeonsplatz'')의 오래된 병영에 자리 잡고 있다.[64]

프로이센 박물관


다른 하나는 베저 르네상스 양식의 저택(Museumszeilede)에 있는 민덴 역사, 문화 연구 및 민속 박물관(Mindener Museum für Geschichte, Landes- und Volkskundede)이다.[65] 부속된 커피 박물관(''Kaffee-Museum'')은 100년 된 커피 생산업체인 멜리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6. 3. 건축물

민덴 대성당은 원래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입구 파사드를 갖춘 서부 건축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고, 초기의 고딕 건축의 중앙 홀과 측랑은 13세기에 지어졌다. 대성당 주변의 오래된 건물 대부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심하게 파괴되었다. 대성당은 건축가 베르너 마르치에 의해 1957년까지 재건되었다. 근처 시청은 그림 같은 13세기 아케이드가 있으며, 윗층은 전후에 완전히 건설되었다.[67][68]

광장은 19세기 역사주의 양식의 건물들로 둘러싸여 있다. ''플람메/슈미딩'' 가옥의 파사드는 2010년에 하루 두 번 시계가 표시되도록 설치되었다. 여기에는 마지막 독립 색슨족 지도자 공작 비두킨트가 샤를마뉴와 악수하는 인기 있는 기원 신화가 등장한다.[130]

민덴 상업 지구의 주요 보행자 구역은 광장에서 북쪽(''샤른'')으로 뻗어 있으며, 그 다음 제빵사 거리(''베커슈트라세'')에서 직사각형으로 바뀌어 베저 강 동쪽으로 향한다. 현재 건물들은 대부분 19세기 말에 지어졌지만, 일부는 베저 르네상스 양식으로 재건된 파사드를 보여준다. 베커슈트라세 북쪽에는 17~18세기 반 목골조 건물과 세속화된 성 요한 교회가 있으며, 현재는 행사 장소로 Bürgerzentrumde (뷔르거첸트룸)로 사용된다.

보행자 구역은 광장에서 남쪽의 ''오버마르크트슈트라세''(상부 시장 거리)로 이어지며, 상부 시내 중심가로 이어진다. 그 스카이라인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성 시메온, 성 마르틴, 성 마리아의 세 교회가 지배하며, 성 마리아 교회의 탑은 멀리서도 눈에 띈다. 시내 중심가의 남서쪽 부분에는 16~18세기의 많은 주거 건물들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상부 도시는 광장에서 성 마르틴 계단(''마르티니트레페'')을 통해 성 마르틴 교회 묘지(''마르티니키르히호프'')로 이어지는 짧은 길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현재는 성 마르틴 교회, 민덴에서 가장 오래된 세속 석조 건물이며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인 옛 조폐창(''알테 뮌체''), ''슈베덴쉔케''(30년 전쟁 동안 스웨덴 점령을 슬퍼하는 스웨덴 술집), 재건된 시나고그, 곡물 창고(''프로비안트-마가진'', 현재 ''베저-콜레그'' 학교로 사용됨)와 인접한 육군 빵집(''헤레스베케라이'', 현재 성 마르틴 교구 센터로 사용됨)과 같은 19세기 군사 건물로 둘러싸인 주차 공간이다. 마지막 두 건물은 소위 칭켈 건물(''칭켈바우텐'')에 속하며, 시내 남쪽의 시메온 광장 주변의 일부 건물도 유명한 프로이센 건축가 카를 프리드리히 칭켈의 방식과 매우 유사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민덴에서 가장 작은 건물 중 하나는 성 마르틴 근처의 ''빈트록''(바람 구멍)이다.

1880년부터 매우 현대적인 시대까지 빙퇴석 지역에 몇 개의 훌륭한 공공 건물이 배치되었다. 학교 ''라츠김나지움'', ''쿠르트-투홀스키-게잠트슐레'', ''헤르더-김나지움'', ''돔슐레'', 정의 센터, 구 지방 정부 건물(노이에 레기어룽de)과 인근의 구 지구 행정 건물(현재 지방 기록 보관소)은 모두 신르네상스 양식이며, 1977년의 새로운 지구 행정 건물은 남쪽으로 이어진다.

프로이센하노버 왕국 간의 국경 근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민덴역은 1847년부터 강력하게 요새화되었다. 여전히 세 개의 요새를 갖춘 역 요새화의 유물이 남아 있다. 역 건물 자체는 문화 유산 관리로 분류된다.

그림 같은 피셔슈타트de(어부의 마을)는 베저 강을 따라 시내 중심가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옛 도시 요새 벽의 잔해가 재건되었다. 현재 도시 구역인 옛 마을에는 많은 목조 주택들이 남아 있다. 슐로스 하덴하우젠de(하덴하우젠 궁전)은 17세기의 베저 르네상스 양식의 저택으로, 아직 부슈 가문이 소유하고 있으며,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다.

1970년대의 Kampa-Halle는 스포츠 및 기타 행사를 위한 대규모 체육관 단지이다.

베저 르네상스 양식의 파사드를 갖춘 ''하우스 힐''


육군 빵집(왼쪽)과 ''마르티니키르히호프''의 곡물 창고


(1906)


민덴의 마르크트 광장. 정면의 뾰족한 지붕의 건물이 슈미딩 저택



6. 4. 기념물

민덴에는 프로이센의 역사를 되돌아보게 하는 여러 기념물이 있다. 민덴에 있는 유일한 군주 기념물인 대선제후의 기념비는 첫 번째 프로이센 통치자를 기념하기 위해 베저 교두보 옆에 서 있다. 글라시스 지역에는 민덴에 주둔했던 보병 여단과 포병 연대, 공병 대대의 제1차 세계 대전 사망자, 그리고 양차 세계 대전의 사망자를 위한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또 다른 기념비는 "체조의 아버지"인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얀(1778–1852)의 흉상으로, 특히 민덴의 사망한 체조 선수들을 기리고 있다. 민덴 전투 기념비는 도시의 토텐하우젠 구역에 있으며, 이는 대영 제국군과 그 독일 동맹군의 결정적인 승리를 기념한다. 대성당 앞 광장에는 프로이센 독수리가 올려진 오벨리스크 형태의 기념비가 있으며, 이는 1864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과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승리를 기리고 있다.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설계한 사르코파구스 형태의 기념관은 민덴의 요새 사령관인 에른스트 미하엘 폰 슈비초우(1759–1823) 소장을 기리고 있다.

보행자 구역에 있는 ''베저스푸커''(Weser spitter, 베저 침 뱉는 사람)는 강과의 연결을 상징하며, 주기적으로 물을 뿜어낸다. 피라미디온 형태의 미텔란트 운하 기념비는 운하 건설의 선두 수력 기술자인 ''레오 심퍼''(1854–1922)를 기리고 있으며, Martinitreppede에는 민덴 출신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의 흉상이 있다.

예술가 ''빌프리드 하게뵐링''이 제작한 새로운 강철 조각품인 ''Keilstück''(쐐기 조각)은 1987년부터 ''마르티니키르히호프''를 장식해 왔으며, 여론에서 논란이 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 시의회는 조각품을 철거하기로 결정했지만, 예술가와의 법적 소송을 야기했다. 결국 항소 법원은 원래 위치에 조각품을 두도록 확정했다.[69] 2022년 1월에는 ''Pegelschlange''(게이지 뱀) 조각품이 베저 강변의 홍수 지역에 설치되었다.[70]

''육군 빵집''(왼쪽)과 ''곡물 창고'' 앞 ''마르티니키르히호프''의 ''Keilstück''


''Pegelschlange'' (게이지 뱀)

6. 5. 공원

도심은 글라시스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곳은 요새가 철거된 후 공원처럼 조성된 녹지대이다. 글라시스의 서쪽 부분은 1807년에 도심 내부의 옛 묘지에서의 매장이 금지된 후 조성된 오래된 묘지 부지에 위치한 고목 표본과 테마 정원이 있는 식물원으로 넓어진다.[71] 1904년에는 도심 북쪽에 새로운 대규모 묘지가 조성되었고, 1957년에는 남쪽에 또 다른 묘지가 조성되었다.[71]

도심에는 식물원이 있다. 이곳은 한때 묘지였으나 현재는 고목과 테마파크로 알려져 있다. 1904년까지 이곳에서 매장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매장은 북쪽 묘지로 옮겨졌다. 북쪽 묘지는 북쪽 시 경계를 따라 베저강 제방에 인접해 있다.[131] 글라시(원래 의미는 보루의 사면)는 한때 민덴 요새의 일부였다. 1873년 중세 방어 시설이 최종적으로 철거된 후, 나무가 심어진 공원이 "녹색 폐"로서 시의 핵심부를 둘러싸고 있다.[132]

6. 6. 스포츠

민덴의 스포츠는 다양한 종목을 아우르며, 약 25,000명의 시민들이 100개 이상의 스포츠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 클럽들은 시립 스포츠 협회(Stadtsportverbandde)에 소속되어 있다.[72]

가장 성공적인 클럽은 핸드볼 클럽 GWD 민덴이다. 1966년 핸드볼-분데스리가 창설 이후 몇 차례 중단을 겪었지만, 꾸준히 리그에 참여해왔다. GWD 민덴은 현재 캄파-할레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133] 분데스리가 창설 이전에는 베저슈타디온 민덴에서 필드 핸드볼 경기를 치렀으며, 이 곳에서도 여러 차례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현재 베저슈타디온은 육상 경기축구에 사용되고 있으며, 란데스리가 베스트팔렌에서 활동하는 축구 클럽 유니온 민덴의 홈구장이기도 하다.[134]

GWD 민덴의 홈 경기장, 캄파 할레


민덴은 베저 강과 운하를 끼고 있어 수상 스포츠가 발달한 도시이다. 수영, 카누, 카약, 조정 등 다양한 수상 스포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격년으로 열리는 주요 수상 스포츠 축제인 "베저의 블루 리본(Blaues Band der Weser)"에는 많은 단체들이 참여한다.[73] 북독일 지역의 수상 스포츠 중심지로서, 가장 오래되고 큰 클럽은 MTV1860 민덴 e.V.이다. 이 클럽은 체조, 펜싱, 핸드볼, 카누, 유도, 수영, 배드민턴, 배구 등 다양한 종목을 운영하고 있다. 바우스타우 강의 베저 강변에는 보트하우스가 있으며, 상류 쪽에는 KSG 민덴 e.V.의 클럽하우스가 있다. KSG 민덴 e.V.는 드래곤 보트 레이스인 민덴 드래곤 컵을 주최한다. 베저 강 다리 하류 우안에는 카누와 카약 부문을 운영하는 TV 얀 민덴이 있다. 베셀 루더 클럽 e.V.는 베셀 김나지움과 헬더 김나지움의 보트부를 기원으로 하는 보트 클럽으로, 동항에서 매년 독일 최대 규모의 학생 보트 레이스 중 하나인 항내 스프린트 레이스를 개최한다. 이 수상 스포츠 클럽들은 2년에 한 번씩 "블라우에스 반트 데어 베저"라는 수상 스포츠 이벤트를 공동 개최한다.[135]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민덴에서는 민덴 마라톤이 개최되었으나, 자금난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2009년 포르타 마라톤으로 새롭게 부활했다.

1964년 창설된 댄스 스포츠 클럽 TSC 로트 바이스 민덴 e.V.는 포멀 댄스 톱 클래스 연방 챔피언십 토너먼트에서 두 번 우승한 경력이 있다. 약 1300명의 관객 앞에서 대회가 열리며, 클럽의 새로운 연습장은 A&S 스포츠 "호흐하우스 암 링"이다.

민덴 스쿼시 클럽은 스포츠 센터 팔케에서 연습하며, 제1팀은 오스트베스트팔렌 베어반츠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당구 클럽 1.PBC 민덴은 역 근처 카젤렌 거리에 활동 장소를 두고 있으며, 제1팀은 오버리가에서 활동한다.

6. 7. 행사

민덴 자유 사격 축제de(Mindener Freischießen)는 보통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특별한 대중 축제이다. 이 축제는 군대식으로 조직된 민덴 시민 대대de(Mindener Bürgerbatallion)가 시(市) 시장de(Stadtmajor)의 지휘 아래 주최한다. 대대는 6개 중대, 1개 기병대, 1개 북 연대로 나뉘며, 각 부대는 대장이 이끈다.

중세 시대에는 자치권이 스스로를 지켜야 하는 의무와 연결되었고, 이를 위해 시민 대대가 만들어졌다. 1682년부터는 의무적인 사격 훈련이 공개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고의 사격 실력을 보여준 사람은 그 해의 세금을 면제받았다. 축제 이름은 이러한 규칙에서 유래되었다. 1685년 대선제후는 이 규칙을 바꿔 우승자에게 50탈러의 보상을 주도록 했다. 이 규칙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총리가 선제후를 법적으로 승계하여 현재 통화로 명예 수당을 지급하며, 2년에 한 번 열리는 축제 주기에 따라 두 명의 우승자가 결정된다.

이 축제는 보통 6월이나 7월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시내 중심가에서 열린다. 자유 사격 축제de(Freischießen)는 사격 축제와 헷갈리면 안 된다.

민덴 메세(Mindener Messe)는 매년 5월과 11월, 베저강 오른쪽 강변에 있는 넓은 행사 장소인 칸츨러스 바이데de(Kanzlers Weide)에서 열리는 일주일간의 이동식 유원지로, 1526년 주교에 의해 설립되었다.

할러 크란츠라이텐de(Hahler Kranzreiten)은 매년 여름 할렌(Hahlen) 지역에서 열린다. 여러 라운드에 걸쳐 빠르게 달리는 말 위에서 참가자들이 교수대에 걸린 화환을 잡으려는 승마 경기이다. 각 라운드가 진행될 때마다 교수대의 높이가 더 높아진다.[74]

전통적인 사수 축제(''Schützenfest'')는 다른 많은 독일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민덴의 일부 지역에서 사수 클럽(Schützenvereinde)에 의해 개최된다.

  • 칸디데 상: 민덴 문학 클럽은 2004년부터 매년 칸디데 상을 수여하고 있다. 이 상은 민덴 시지 저술 장려금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 민데너 메세: 매년 5월 초와 11월 초에 레히테스 베저우퍼의 축제 광장 "칸츨라스 바이데"에서 민데너 메세(민덴 박람회)가 개최된다.
  • 민데너 프라이시센: 2년에 한 번 민데너 프라이시센(직역하면 "자유 사격")이 개최된다. 이 행사는 1782년부터 열리고 있다. 이 축제에서는 각 지구 및 직장 그룹에서 "중대"를 편성하고, 계급에 따른 역사 복장(프로이센 시대의 것)을 착용하고 퍼레이드를 한다. 축제의 진행 및 내용은 사격 축제(슈첸페스트)와 매우 흡사하다. 축제가 없는 해에도 "중대"에서의 사교 행사가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다.
  • 블루에스 반트 데어 베저: 2년에 한 번 베저 강에서 스포츠 이벤트 "블루에스 반트 데어 베저"가 개최된다. 레가타를 이용한 레이스, 다양한 수상 스포츠, 대규모 대중 축제를 보기 위해 수천 명의 사람들이 민덴을 방문한다. 이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대규모 불꽃놀이와 베저 강의 보트 퍼레이드이다.
  • 재즈 서머 나이트: 1982년부터 매년 시청 광장에서 재즈 서머 나이트가 개최되고 있다. 국제적인 재즈, 펑크, 소울 뮤직 뮤지션이 참가하는 이 이벤트는 재즈 클럽 민덴이 운영하고 있다.
  • 민덴의 여름밤의 꿈: 민덴에서는 매년 클래식 야외 콘서트가 개최되고 있다. 이 행사는 민덴 마케팅 GmbH가 주최하고 있다.
  • 민덴 리하르트 바그너 협회의 오페라 공연: 민덴 리하르트 바그너 협회는 북서 독일 필하모니 관현악단 및 민덴 시립 극장과 공동으로, 3-4년에 한 번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작품을 공연하고 있다. 2002년은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연출: 홀거 뮐러-브란데스), 2005년은 『탄호이저』(연출: 케이트 워너), 2009년은 『로엔그린』(연출: 존 듀)이었다.
  • 민덴 와인 축제: 민덴의 인넨슈타트에서는 매년 와인 축제가 개최된다.
  • 베저 리더 오픈 에어: 매년 앙피 극장에서 이 지역의 음악 클럽들이 모이는 베저 리더 오픈 에어가 개최된다.
  • 구르메 마일: 매년 여름에 3일간 개최된다.

7. 교통

민덴은 선박 항행에 중요한 교차점이다. 이곳에서 연방 수로로 정비된 베저강과 미텔란트 운하가 교차하며, 독일에서는 드문 Wasserstraßenkreuzde(수운로 정션)라고 불리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샤흐트 갑문은 베저강과 미텔란트 운하를 연결하며, 13m의 고저차를 극복한다. 민덴 수로교 옆에는 정보 센터가 있으며, 이곳에서 운하 시스템과 갑문의 기능을 설명한다.[77]

민덴 수로교

7. 1. 철도 및 버스

민덴 중앙역은 하노버-민덴 철도와 함-민덴 철도의 연결 지점이며, 이 노선들은 라인-루르 지역과 암스테르담베를린과 연결하는 간선 철도의 일부이고, 민덴과 니엔부르크 사이의 부선인 베저-알러 철도의 일부이다. 기차역은 인터시티 익스프레스 및 인터시티와 같은 지역 및 급행 열차의 정차역이다.

지역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경로
RE 6 (라인-베저 익스프레스)뒤셀도르프빌레펠트–민덴
RE 60 (엠스-라인 익스프레스) / RE 70 (베저-라인 익스프레스)빌레펠트/ 라인–민덴–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RE 78 (포르타 익스프레스)빌레펠트–민덴–니엔부르크



민덴은 하노버 S-반의 S 1 노선의 종착역이다. 모든 승객 플랫폼은 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민덴 박물관 철도는 클라이넨브레멘의 방문객 광산 종착역에서 복원된 기관차와 철도 차량을 운행한다.

중앙역은 시내 중심부에 있는 중앙 버스 터미널 (Zentraler Omnibusbahnhof|첸트랄러 옴니부스반호프de)과 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13개의 버스 노선이 매 30분마다 만난다.[75] 지역 버스는 지구의 다른 마을로 가는 지역 버스와 연계되어 있다.

7. 2. 도로

이 도시는 아우토반(Bundesautobahn) A 2 (베를린-루르)와 A 30 (암스테르담)에 가까이 있다. 연방 도로 61번과 65번이 도시를 관통하며, 연방 도로 482번은 민덴을 동쪽 순환 도로로 지나 니엔부르크와 포르타 베스트팔리카의 다음 A 2 분기점으로 연결한다. 복선 도로는 도시를 남쪽의 포르타 베스트팔리카와 바트 욍하우젠으로 연결한다. 두 개의 반원형 4차선 순환 도로가 도시 자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 61번 도로는 도시 우회로를 제공한다. 도시 중심부에는 유료 주차장과 빈 공간 자동 안내 시스템이 있다.

민덴에는 7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3개의 자동차 다리, 보행자 전용 다리, 철도 다리, 2개의 운하 다리이다. 이 도시에서 최초의 베저 강 다리는 13세기에 건설되었다[139]。이 장소에는 지금도 다리가 놓여 있다. 인넨슈타트 지구와 역이 있는 동쪽 기슭의 지구를 연결하며, 오스나브뤼크에서 하노버에 이르는 광역 도로가 통과하는 다리이다. 이 다리는 여러 번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70년대에는 이 다리의 부담을 덜기 위해 2개의 다리가 건설되었다. 당시에는 북쪽 다리, 남쪽 다리(현재 공식 명칭은 각각 구스타프 하이네만 다리와 테오도어 호이스 다리)라고 불렸다. 이 다리들은 4차선 도로이며, 인넨슈타트 지구의 자동차 교통량을 줄이고 있다. 남쪽 다리는 연방 도로 65호선의 일부이며, 인넨슈타트에서 자동차를 유출시키고 있다. 이 다리는 원래 연방 아우토반 A30호선에 사용될 예정이었지만, 이 계획은 기각되었다.

베저 강 철도 다리는 민덴-크라이스반의 부설에 따라 건설되었다. 이 다리는 인넨슈타트의 북쪽에서 베저 강을 건넌다.

미텔란트 운하는 베저 강을 횡단할 필요가 있었다. 그 지점은 민덴의 북쪽으로 정해졌다. 이렇게 건설된 민덴 수로 분기점은 마그데부르크 수로 분기점이 개통될 때까지 독일 최대 규모였다. 1998년에는 5년의 공사 기간을 거쳐 대형 선박용의 두 번째 큰 운하 다리가 설치되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다리는, 인넨슈타트와 대규모 공원 시설로 지정된 칸츨러 바이데를 잇는 보행자 전용 현수교인 글라시 다리이다.

시외에서 베저 강을 건너는 가장 가까운 다리는, 상류 쪽이 포르타 베스트팔리카(약 10km), 하류 쪽이 페터스하겐(약 20km)에 있다. 이들은 모두 자동차 다리이다.

7. 3. 수로 및 항구

항해 가능한 베저강과 미텔란트 운하의 교차점은 내륙 수로 시스템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1914년과 2018년에 건설된 두 개의 갑문은 13m의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강과 운하를 연결한다.[76] 브레멘, 브레머하펜, 함부르크의 해상 항구로의 우수한 수로 연결 덕분에 베저강과 미텔란트 운하 모두에 있는 복합 운송 항구의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미텔란트 운하 항구의 동쪽에 새로운 컨테이너 항구가 건설 중이며, 이른바 "RegioPort OWL"은 니더작센주에 걸쳐 있다. 이는 독일 연방 공화국에서 주를 넘나드는 드문 계획의 예이다.

민덴에는 미텔란트 운하/엘베 측면 운하( Wasserstraßen- und Schifffahrtsamt Mitelllandkanal/ Elbe-Seitenkanalde)의 수로 및 해운 당국 사무소가 위치해 있으며, 이러한 수로의 유지 관리 및 규제를 담당한다.[77] 민덴 수로교 (''Wasserstraßenkreuz Minden'') 옆에는 정보 센터가 있으며, 이곳에서 운하 시스템과 갑문의 기능을 설명한다.

민덴은 선박 항행에 중요한 교차점이다. 이곳에서 연방 수로로 정비된 베저강과 미텔란트 운하가 교차하며, 독일에서는 드문 Wasserstraßenkreuz(수운로 정션)라고 불리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샤흐트 갑문은 베저강과 미텔란트 운하를 연결하며, 13m의 고저차를 극복한다. 이를 대체할 새로운 민덴-베저 갑문이 건설 중이다. 브레머하펜이나 함부르크와 같은 해양 항구와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확폭하고 컨테이너 시설을 강화한 공업 항구의 정비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베저강과 미텔란트 운하에 면한 민덴 항구는 최근 취급량이 증가했다. 미텔란트 운하에 면한 기존 민덴 항구의 동쪽에 새로운 컨테이너 항구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7. 4. 자전거

이 도시는 두 개의 장거리 자전거 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하나는 하노버-뮌덴에서 쿠스하펜까지 베저강 전체를 따라가는 베저 자전거길de이고,[78] 다른 하나는 순환 경로를 따라 43개의 역사적인 풍차를 연결하는 베스트팔렌 풍차 길의 시작점이자 종착점이다. 민덴에서 헤어포드까지 자전거 고속도로 (''Radschnellweg RS 3'')가 건설 중이다.[79]

기차역에는 자전거 스테이션이 있고, 역전에는 서비스 센터도 갖추고 있다. 이 도시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자전거 친화적인 지역 협동조합에 속해 있으며, 자전거 이용률을 2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80] 이 도시는 광역 자전거 도로인 뮐렌 루트 및 베저 자전거 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으며, 웰빙 자전거 루트의 출발점 중 하나이기도 하다. 1995년부터 "민덴 자전거 진흥" 프로그램 팀이 존재하며, 이 그룹은 정기적으로 회합을 열어 행정 당국에 제언을 하고 있다. 1996년 이후, 이 도시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의 자전거 친화적인 시정촌" 작업 공동체의 일원이며, 총 통과 차량 중 자전거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를 초과한다.

8. 경제 및 인프라

오랫동안 민덴의 경제 발전은 요새로 인한 제약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1873년 요새가 해체되면서 도시와 경제는 경계를 넘어 확장될 수 있었다. 오늘날 민덴에는 약 3,600개의 기업이 있다.[83] 농업은 여전히 행정 구역의 50%를 차지하며, 이는 주 평균보다 약간 높고, 주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보다 훨씬 높다.[84]

민덴의 평균 소득은 민덴-뤼베케 지역 및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보다 약간 낮다.[85] 따라서 민덴은 구매력 측면에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의 396개 지방 자치 단체 중 309위를 차지한다.[86]

시내 동쪽의 산업 단지 전경


멜리타(Melitta) 본사


마리오 보타(Mario Botta)가 설계한 하팅(Harting) 행정 빌딩


민덴은 이 지역과 인접한 니더작센주(Lower Saxony)의 경제 중심지이며, 헤르포르트, 빌레펠트, 튀터슬로를 거쳐 루르(Ruhr) 지역까지 A2 아우토반(Autobahn)을 따라 뻗어 있는 집합 도시 회랑의 일부이다. 철도, 고속도로, 연방 도로 및 수로를 통한 교통 연결은 2020년 기준 3,300개 이상의 기업과 40,000명의 고용 인력을 가진 산업과 무역의 성장에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했다.[87] 화학, 금속 가공, 전자, 종이, 세라믹 및 목공 분야가 주로 도시의 서부 및 동부 지역의 산업 지역에 위치해 있다.

세 부문 모델(three-sector model)에 따르면, 민덴의 고용 인력은 제1차 산업(primary sector) (농업, 임업)에서 0.1%, 제2차 산업(secondary sector) (산업 생산)에서 27.6%, 제3차 산업(tertiary sector) (주로 서비스 및 행정)에서 72.4%를 차지하며, 이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과 거의 일치한다. 약 28,000명의 일일 통근자(commuter) 수는 도시 경계 밖에서 일하는 17,000명의 민덴 시민 수를 초과한다.[87] 1인당 가처분 소득(disposable income)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보다 약간 낮다.[88]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일부 대규모 소매 지역이 도시 외곽의 중심부에서 떨어져 개발되었다. 1973년 지방 정부 재조직 결과, 대부분의 주변 교외 지역이 행정적으로 도시에 병합되었지만, 바르크하우젠과 네센의 남부 교외 지역은 민덴 경계 바로 옆에 대규모 상업 단지("포르타 마르크트")를 개발한 포르타 베스트팔리카(Porta Westfalica)의 일부가 되었다. 이 쇼핑 상권은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지역에 있지만, 민덴 시내 중심까지의 거리는 3km에 불과하며, 연방 도로 65번을 통해 힐레(Hille) 서부 지역 사회와 뷔케부르크(Bückeburg) 동부 도시의 일부도 등시선 지도(Isochrone map) 상으로 15분 반경 내에 있다.[89]

민덴은 지배적인 산업 분야 없이 여러 중소기업이 위치한 곳이다. 동 베스트팔렌 경제의 특징처럼,[90] 대부분의 민덴 기업은 중소기업이며, 종종 창업자 가족이 소유하고 있다. 민덴의 어떤 기업도 독일의 프리미엄 주가지수 DAX와 MDAX에, 소규모 기업 지수 SDAX나 기술 기업을 위한 TecDAX에도 상장되어 있지 않다.

민덴에 본사를 둔 멜리타(Melitta)는 커피 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호밀 증류주인 "Strothmann" 옥수수 브랜디는 현재 "Berentzen" 그룹의 일부인 "Wilhelm Strothmann 증류소"에서 생산된다.[91] ''Siegfried PharmaChemikalien Minden''(구 ''Knoll AG'', BASF의 일부, 현재 스위스 ''Siegfried AG''의 자회사)는 에페드린, 카페인테오필린과 같은 약품 화학 물질을 생산한다.[92] ''Follmann''은 특수 염료 및 접착제를 생산한다.[93] ''Ornamin Kunststoffwerke''는 1955년부터 식기류 및 "To Go" 용기와 같은 혁신적인 플라스틱 식기를 설계하고 생산한다.[94]

1945년에 설립된 전자 회사인 ''Harting Technology Group''은 과거 프로이센 병영 지역 근처의 Glacis 벨트에 행정 센터를 건설했다. 주요 생산 시설은 1950년부터 인근 도시인 에스펠캄프와 라덴으로 이전되었다.[95] WAGO Kontakttechnik은 시내 북쪽에 주요 위치를 두고 있으며 전기 및 전자 산업용 커넥터 제품을 생산한다. ''Schoppe und Faeser''는 ABB 그룹에 인수된 전자 제품 생산업체였다. Phoenix Mecano의 자회사인 ''Rose & Krieger''는 기술 부품을 생산한다. 100년 이상 된 Altendorf GmbH는 세계 최고의 원형 트리밍 톱을 포함한 공작 기계를 생산한다.

독일 소매 식품 협동조합(Edeka)인 에데카(Edeka)는 민덴에 지역 사무소 및 유통 센터(''Edeka Minden-Hannover'')를 두고 있다. 이 사무소는 북해에서 독일 북동부까지, 100% 자회사인 저가 슈퍼마켓 ''NP-Markt''의 지역 지점과 소매업체 WEZ(25% 소유)의 일부 기능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담당한다.

''도이치반(DB) 시스템기술''(독일 철도 시스템 기술)은 철도 차량 및 철도 시스템 장비 개발을 다룬다.[96] 지역 저축은행(Sparkasse)인 ''Sparkasse Minden-Lübbecke''는 민덴에 주요 행정 시설을 두고 있다.[97]

8. 1. 경제

오랫동안 민덴의 경제 발전은 요새의 제약으로 인해 방해받았다. 1873년 요새가 해체되면서 도시와 그 경제가 경계를 넘어 확장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이 도시에는 약 3,600개의 기업이 있다.[83] 농업은 여전히 행정 구역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주 평균보다 약간 높고, 주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보다 훨씬 높다.[84]

민덴의 평균 소득은 민덴-뤼베케 지역 및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보다 약간 낮다.[85] 따라서 민덴은 구매력 측면에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의 396개 지방 자치 단체 중 309위를 차지한다.[86]

민덴은 이 지역과 인접한 니더작센주(Lower Saxony)의 경제 중심지이다. 민덴에서 헤르포르트, 빌레펠트, 튀터슬로를 거쳐 루르(Ruhr) 지역까지 A2 아우토반(Autobahn)을 따라 뻗어 있는 집합 도시 회랑의 일부이다. 철도, 고속도로, 연방 도로 및 수로를 통한 교통 연결은 3,300개 이상의 기업과 40,000명의 고용 인력(2020년 기준)을 가진 산업과 무역의 성장에 유리한 요인이다.[87] 다수의 경제 분야에는 화학, 금속 가공, 전자, 종이, 세라믹 및 목공 분야가 포함되며, 이는 주로 도시의 서부 및 동부 지역의 산업 지역에 위치해 있다.

세 부문 모델(three-sector model)에 따르면, 민덴의 고용 인력은 제1차 산업(primary sector) (농업, 임업)에서 0.1%, 제2차 산업(secondary sector) (산업 생산)에서 27.6%, 제3차 산업(tertiary sector) (주로 서비스 및 행정)에서 72.4%를 차지하며, 이 수치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과 거의 일치한다. 약 28,000명의 일일 통근자(commuter) 수는 도시 경계 밖에서 일하는 17,000명의 민덴 시민 수를 초과한다.[87] 1인당 가처분 소득(disposable income)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보다 약간 낮다.[88]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일부 대규모 소매 지역이 도시 외곽의 중심부에서 떨어져 개발되었다. 민덴의 매우 특별한 문제는 1973년 지방 정부 재조직의 결과로 발생했는데, 이때 대부분의 주변 교외 지역이 행정적으로 도시에 병합되었다. 그러나 바르크하우젠과 네센의 남부 교외 지역은 이후 민덴 경계 바로 옆에 대규모 상업 단지("포르타 마르크트")를 개발한 신설 도시 포르타 베스트팔리카(Porta Westfalica)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 설립된 쇼핑 상권은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지역에 극히 근접해 있지만, 민덴 시내 중심까지의 거리는 3km에 불과하며, 연방 도로 65번을 통해 힐레(Hille) 서부 지역 사회와 뷔케부르크(Bückeburg) 동부 도시의 일부도 등시선 지도(Isochrone map) 상으로 15분 반경 내에 있다.[89]

민덴은 지배적인 산업 분야 없이 여러 중소기업이 위치한 곳이다. 동 베스트팔렌 경제의 특징처럼,[90] 대부분의 민덴 기업은 중소기업이며, 종종 창업자 가족이 소유하고 있다. 민덴의 어떤 기업도 독일의 프리미엄 주가지수 DAX와 MDAX에, 소규모 기업 지수 SDAX나 기술 기업을 위한 TecDAX에도 상장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의 대기업은 유한회사(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또는 합자회사(Kommanditgesellschaft)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민덴에 본사를 둔 멜리타(Melitta)는 커피 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호밀 증류주인 "Strothmann" 옥수수 브랜디는 현재 "Berentzen" 그룹의 일부인 "Wilhelm Strothmann 증류소"에서 생산된다.[91]

''Siegfried PharmaChemikalien Minden''(구 ''Knoll AG''이며 나중에 BASF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 스위스의 ''Siegfried AG''의 자회사)는 에페드린, 카페인테오필린과 같은 약품 화학 물질을 생산한다.[92]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기업은 특수 염료 및 접착제를 생산하는 ''Follmann''이다.[93] ''Ornamin Kunststoffwerke''는 1955년부터 민덴에 위치해 있으며 식기류 및 "To Go" 용기와 같은 혁신적인 플라스틱 식기를 설계하고 생산한다.[94]

원래 1945년에 설립된 전자 회사인 ''Harting Technology Group''은 과거 프로이센 병영 지역 근처의 Glacis 벨트에 행정 센터를 건설했다. 주요 생산 시설은 1950년부터 인근 도시인 에스펠캄프와 라덴으로 이전되었다.[95] WAGO Kontakttechnik은 시내 북쪽에 주요 위치를 두고 있으며 전기 및 전자 산업용 커넥터 제품을 생산한다. ''Schoppe und Faeser''는 ABB 그룹에 인수된 전자 제품 생산업체였다. Phoenix Mecano의 자회사인 ''Rose & Krieger''는 기술 부품을 생산한다. 100년 이상 된 Altendorf GmbH는 세계 최고의 원형 트리밍 톱을 포함한 공작 기계를 생산한다.

독일 소매 식품 협동조합(Edeka)인 에데카(Edeka)는 민덴에 지역 사무소 및 유통 센터(''Edeka Minden-Hannover'')를 두고 있다. 이 사무소는 북해에서 독일 북동부까지, 100% 자회사인 저가 슈퍼마켓 ''NP-Markt''의 지역 지점과 소매업체 WEZ(25% 소유)의 일부 기능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담당한다.

''도이치반(DB) 시스템기술''(독일 철도 시스템 기술)은 철도 차량 및 철도 시스템 장비 개발을 다룬다.[96]

지역 저축은행(Sparkasse)인 ''Sparkasse Minden-Lübbecke''는 민덴에 주요 행정 시설을 두고 있다.[97]

8. 2. 미디어

민덴 지역의 유일한 일간 신문은 《민데너 타게블라트(Mindener Tageblatt)》이다. WDR(서독 방송) 빌레펠트 스튜디오는 동 베스트팔렌-리페 지역을 지원하며 라디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TV 송신은 민덴 근처 야콥스베르크에 지역 안테나가 있다. 민간 라디오 방송국 《라디오 베스트팔리카(Radio Westfalica)》는 《라디오-NRW》 그룹의 일부이며 민덴-뤼베케 지역에 초점을 맞춘 지역 프로그램을 민덴에서 송출한다.

자보이 & 시네마 암 슈반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민덴에 수많은 영화관이 있었지만, 2010년 현재 2관이 남아있다. 관객석 300석의 홀을 갖춘 "디 빌케"와 슈반타이히 근처에 2개의 홀을 가진 자보이 & 시네마 암 슈반이다.

마르크트 남쪽에 있던 우니바르줌은 처음으로 폐관한 영화관이다. 이 건물의 파사드는 지금도 볼 수 있다. 아폴로, 센트럴, 에디슨 시어터, 링 시어터, 우퍼 LS도 영업을 중단했다[138]。 마리아 교회 아래에 있던 레기나(1953년 건립)는 폐관 후 몇 년 지나 마켓 홀로 개축되었다. 최초의 컨셉은 실패로 끝났지만, 2007년 8월 10일에 재개점했다. 버스 정류장과 마르크트 사이에 있던 스칼라는 1980년대에 폐쇄되었다. 그 영화 홀은 일부가 개축되어 빅토리아 호텔의 일부가 되었고, 행사 홀로 이용되고 있다. 영국 점령군의 영화관 글로브는 마리엔발과 다이히호프의 모퉁이에 있었지만, 영국 관계자만 입장할 수 있었다. 1990년대 영국군 철수와 함께 이 영화관도 사라졌다. 피셔슈타트의 프로그램 영화관 스테라는 90년대에 폐관을 할 수밖에 없었다. 스테라 건물에는 그 후 작은 영화관 소라리스가 있었지만, 2003년 3월에 그 건물도 철거되었다. 스테라 이전, 헤르만 거리에는 영화관 콜로세움이 있었다.

민덴 지역의 일간지로는 민데너 타게블라트가 있다. 공영 방송은 서부 독일 방송 협회(WDR)가 운영하며, 오스트베스트팔렌-리페 지역 방송을 위한 스튜디오는 빌레펠트에 있다. 이곳에서 라디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제작되어 방송된다. TV 프로그램은 2006년에 DVB-T 방식의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으며, 야콥스베르크의 방송탑에서 송신된다. 민간 방송인 라디오 베스트팔리카(라디오 NRW 그룹)는 민덴-뤼베케 군을 위한 지역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8. 3. 공공 서비스

민덴-뤼베케 지역의 행정 사무소는 데트몰트의 수도 시설과 가까운 크라이스하우스de(구청)에 있다.

민덴 시와 하멜른 시가 소유한 회사인 '민덴 홀딩'(Minden Holding)은 자회사인 '민덴 시립 기업'(Mindener Stadtwerke)[98]와 '민덴 바서'(Mindener Wasser)를 통해 가스, 전기 및 수도 공급을 관리하며, 폐기물 처리는 '시립 기업 민덴' (시립 기업)에서 담당한다.[99] 864병상 규모의 요하네스-베슬링-클리니쿰 병원은 민덴-뤼베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뮐렌크라이스클리니켄" 병원 단지의 4개 부지 중 하나이다. 새로운 병원 건물은 2008년에 완공되었으며 민덴-헤버슈테트의 남쪽 지역에 있다.[100]

법원 입구


민덴의 법원에는 데트몰트 행정 구역 전체를 관할하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7개 독립적인 행정 법원[101], 민덴-뤼베케 지역의 고용주-피고용인 관계의 분쟁을 다루는 노동 법원 (Arbeitsgerichtde), 그리고 민덴-뤼베케 지역의 형사 및 민사 사건을 담당하는 3개의 지방법원 (Amtsgerichtde) 중 하나가 있다.[103]

민덴은 서쪽 도시 경계에 있는 헤르초크-폰-브라운슈바이크-카제르네de(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사령부)에 위치한 독일-영국 공병 대대 (''Deutsch/Britisches Pionierbrückenbataillon 130'')의 기지이다. 민덴-뤼베케 군의 군청, 독일 연방군 주둔지, 대형 병원(요하네스 베슬링 병원)이 있다. 2008년 3월, 시의 남쪽 경계 근처의 헤퍼슈테트 구역에 병원의 새로운 건물이 완공되었다. 2005년까지 민덴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주립 은행의 지점이 있었다. 과거 민덴에 본부를 두었던 행정 관구는, 전후에 창설된 데트몰트 행정 관구에 편입되었지만, 주 내에 7개밖에 없는 행정 재판소 중 하나가 현재도 민덴에 있으며, 민덴 구 재판소, 민덴 노동 재판소가 있다. 이 도시에는 현재의 DB 시스템 테크니크의 전신인 연방 철도 중앙국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민덴-뤼베케 군을 관할하는 민덴 소방서의 출동 사령 센터가 있으며, 군 독립 도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연방 소방국이 있는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빌레펠트 응용과학대학교 민덴 캠퍼스

9. 교육



민덴 시는 모든 종류의 일반 교육 학교를 제공한다. 2024년 현재 11개의 초등학교(6세~10세),[104] 4개의 중등학교(10세~16세)와 5개의 고등 교육 과정이 있는 중등학교(10세~19세, 아비투어 시험으로 종료)가 있다.[105] 이 중 2개는 종합학교이고 나머지 3개는 김나지움 형태이다. 자유 발도르프 학교(6세~18세)와 2개의 직업 전문 학교도 있다.[106] ''베저-콜레크''는 이미 실무 교육을 받은 성인들에게 대학 입학 자격을 제공하는 ''아비투어''를 취득할 수 있는 "두 번째 교육 방식"을 제공한다.[107]

민덴에는 빌레펠트 응용과학 및 예술 대학교의 분교가 있으며, 건축, 건설 공학, 기술, 공학 및 수학, 사회학, 비즈니스 및 보건을 전문으로 한다. 이 분교는 Wehrmacht의 이전 포병 병영 지역인 ''캠퍼스 민덴''에 위치해 있다.[108] ''Medizin Campus OWL''은 루르 보훔 대학교 병원의 연구 사이트 중 하나로, 의대생을 위한 분산 캠퍼스인 요하네스-베슬링-클리니쿰에 인접해 있다.[109] 2022년에는 철도 시스템 교육 및 연구를 위해 여러 대학, 기업 및 독일 철도의 클러스터인 RailCampus OWL이 건설되었다.[110]

민덴은 국민학교(Volkshochschulede)를 제공하며, 힐레, 페터스하겐, 포르타 베스트팔리카, 바트 오인하우젠에도 서비스를 제공한다.[111] 시립 음악 학교도 있다.[112]

10. 자매 도시



민덴은 이들 도시와 학생, 합창단, 동아리 등의 상호 방문 및 교환 유학을 장려하고 있다. 또한, 민덴은 새로운 한자 동맹에 가입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ahlergebnisse in NRW Kommunalwahlen 2020 https://www.wahlerge[...] 2021-06-21
[2] 웹사이트 Meteorological Stations in Germany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DWD)
[3] 웹사이트 Bückeburg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16
[4] 학술지 Die Klimaentwicklung in NRW http://www.lanuv.nrw[...] 2020-03-07
[5] 서적 Jahresbericht 2021 (''Annual Report'') https://www.lanuv.nr[...] Landesamt für Natur, Umwelt und Verbraucherschutz Nordrhein-Westfalen 2021
[6] 학술지 Lokales Wettergeschehen https://www.petersha[...] 2019-09-24
[7] 웹사이트 Paleo Profile: The Monster of Minden https://blogs.scient[...] 2024-02-07
[8] 웹사이트 Kommunalprofil Minden https://www.it.nrw/s[...] 2022-01-20
[9] Q
[10] 뉴스 Archäologen finden das Lager des Römer-Feldherren https://www.spiegel.[...] 2008-08-07
[11] 학술지 Die Römer an der Weser https://sammlungen.u[...] 1981
[12] 학술지 Augusteische Marschlager in Porta Westfalica-Barkhausen https://journals.ub.[...]
[13] 웹사이트 Annales Regni Francorum https://www.thelatin[...] 2021-11-28
[14] 학술지 Karl der Große in Minden https://sammlungen.u[...] 1997
[15] 웹사이트 Minden – Bischofssitz https://www.uni-muen[...] University of Münster 2021-11-28
[16] 학술지 Karl IV. und das Bistum Minden https://sammlungen.u[...] 1978
[17] 웹사이트 Die Hochzeit Heinrichs des Löwen mit Mathilde von England im Dom zu Minden 1168 https://amtage.de/wp[...] 2022-01-26
[18] EB1911
[19] 학술지 Nikolaus von Kues in Minden https://sammlungen.u[...] 2001
[20] 학술지 Vom Fürstbistum zum Fürstentum Minden https://www.lwl.org/[...] 1990
[21] 웹사이트 Macht auf Lebenszeit von Preußenkönigs Gnaden http://www.minden.de[...] 2021-12-20
[22] conference Minden und die Weserschiffahrt 1999
[23] 웹사이트 Schifffahrt auf der Weser bei Minden http://www.minden.de[...] 2022-01-16
[24] conference Das Ende des Mindener Stapels 1977
[25] conference Rückständigkeit in einer industriellen Pionierregion? Die Wirtschaft der Festung Minden 1815 bis 1873 1999
[26] conference Die 'Tabakkammer der Nation': Die Handelskammer zu Minden 1949 bis 1932 1999
[27] 학술지 Zweihundert Jahre Auswanderung aus dem Mindener Land https://sammlungen.u[...] 1992
[28] 웹사이트 Promenieren im Grünen und Wohnen in Villen http://www.minden.de[...] 2021-12-16
[29] 웹사이트 Das Kaiser-Wilhelm-Denkmal https://www.lwl.org/[...] 2014-03-25
[30] 서적 Minden und seine Straßenbahn Uhle und Kleimann 1986
[31] 서적 Die Mindener Kreisbahnen Uhle und Kleimann 1989
[32] 학술지 Die Anfänge der Reichswehr in Minden https://sammlungen.u[...] 1998
[33] 학술지 Von der Reichswehr zur Wehrmacht https://sammlungen.u[...] 1999
[34] 서적 '"Fest wie ein Felsen im wilden Meer ..." – Die Mindener Sozialdemokratie in den letzten Jahren der Weimarer Republik.' 1994
[35] 학술지 Von der Reichswehr zur Wehrmacht https://sammlungen.u[...] 1999
[36] 서적 Die Mindener Kreisbahnen Uhle und Kleimann 1989
[37] 웹사이트 Die Straßenbenennungspraxis in Westfalen und Lippe während des Nationalsozialismus. Minden https://www.lwl.org/[...] Landschaftsverband Westfalen-Lippe 2021-12-17
[38] 웹사이트 "Stumbling Stones" – Stones – Lest We Forget "The Path of Remembrance in Minden" https://en.stolperst[...] 2022-02-14
[39] 웹사이트 Luftangriff Minden 1945 https://amtage.de/st[...] 2022-03-08
[40] 간행물 Minden im Jahre 1945 https://sammlungen.u[...] 2022-02-22
[41] 간행물 Minden im Jahre 1945 https://sammlungen.u[...] 2022-02-22
[42] 웹사이트 Minden https://www.baor-loc[...] 2022-02-13
[43] 간행물 Viktor Agartz und das "Zentralamt für Wirtschaft" in Minden https://sammlungen.u[...] 2022-02-17
[44] 서적 Preußen im Westen Aschendorff 2008
[45] conference Stadterneuerung in Minden 1970–1979 1979
[46] 간행물 Minden – die Rückkehr zum Kontext https://www.bauwelt.[...] 2012
[47] 웹사이트 Rathaussanierung https://www.minden.d[...] 2022-12-18
[48] 문서 Barbara Groß: Hexerei in Minden. Zur sozialen Logik von Hexereiverdächtigungen und Hexenprozessen (1584–1684). (Westfalen in der Vormoderne. Studien zur mittelalterlichen und frühneuzeitlichen Landesgeschichte, Bd. 2), Münster 2009, Aschendorff Verlag, p. 119–147
[49] 웹사이트 Minden Liste der Opfer der Hexenprozesse http://www.anton-pra[...] 2022-01-26
[50] 간행물 Der "Märtyrer von Minden". Die Haft des Kölner Erzbischofs Droste zu Vischering in Minden 1837–1839 https://sammlungen.u[...] 2022-05-09
[51] 간행물 Das Kriegsgefangenenlager Minderheide. Ein Beitrag zur Militärgeschichte Mindens https://sammlungen.u[...] 2022-05-08
[52] 웹사이트 Nuncial report no. 482 http://www.pacelli-e[...] 2022-07-17
[53] 웹사이트 Rudolf Höss https://ww2db.com/pe[...] 2022-05-09
[54] 간행물 Thomas Harding: 10 minutes alone with the butcher of Auschwitz https://nationalpost[...] 2022-05-09
[55] 웹사이트 Minden wächst weiter https://www.minden.d[...] Stadt Minden 2022-12-18
[56] 문서 Landschaftsverband Westfalen-Lippe (Ed.): "Bau- und Kunstdenkmäler von Westfalen, Band 50" Teil 1. "Bevölkerungsentwicklung", Essen 2003, p. 220–222 (1740–1930).
[57] 웹사이트 Gemeinden https://www.kkminden[...] 2022-03-12
[58] 웹사이트 Pastoralverbund Mindener Land http://www.pv-minden[...] 2022-03-12
[59] 간행물 Die Geschichte der Quäkergemeinde Minden. Teil 2: Von der Mitte des 19. Jahrhunderts bis zu ihrer Selbstauflösung 1898 2011
[60] 웹사이트 Aus der Geschichte der jüdischen Gemeinden im deutschen Sprachraum: Minden https://www.jüdische[...] 2022-03-12
[61] 웹사이트 Jüdische Gemeine Minden und Umgebung https://www.zentralr[...] 2022-03-12
[62] 웹사이트 Die Kogge https://www.diekogge[...] 2022-03-13
[63] 웹사이트 Kabarett Mindener Stichlinge https://www.kabarett[...] 2022-12-18
[64] 웹사이트 LWL – Prussian museum https://www.minden-e[...] 2022-03-08
[65] 웹사이트 Minden museum https://www.minden-e[...] 2022-03-08
[66] 웹사이트 Minden's neighbourhood (inside view of the ship mill) https://www.minden-e[...] 2022-12-18
[67] 간행물 Minda oder 'min unde din' – Die Gründungslegende Mindens im historischen Kontext https://sammlungen.u[...] 1996
[68] 웹사이트 Minden's history https://www.minden-e[...] 2022-03-08
[69] 뉴스 Mindener "Keilstück" vor der Schrottpresse gerettet. http://www.kunstmark[...] kunstmarkt.com 2012-12
[70] 웹사이트 Pegelschlange https://www.plenge-p[...] 2023-10-08
[71] 웹사이트 Historie der städtischen Friedhöfe https://www.minden.d[...] 2022-12-18
[72] 웹사이트 Sport treiben https://www.minden.d[...] 2022-12-18
[73] 웹사이트 '"Blue Ribbon" of the Weser' https://www.minden-e[...] 2022-01-25
[74] 웹사이트 Kranzreiten was ist das? https://www.kranzrei[...] 2022-01-25
[75] 웹사이트 Teutoburger Wald Verkehr – Minden-Lübbecke https://www.twv-bus.[...] 2022-05-10
[76] 웹사이트 "Neue Weserschleuse'' (Old and new lock)" https://amtage.de/mi[...] 2022-03-08
[77] 웹사이트 WSA MLK / ESK Dienstort Minden https://www.wsa-mitt[...]
[78] 웹사이트 Weser-Radweg: Hauptroute gesamt https://www.weserrad[...] 2022-02-18
[79] 웹사이트 (Routes in planning) https://www.vm.nrw.d[...] 2022-02-18
[80] 웹사이트 Arbeitsgemeinschaft fußgänger- und fahrradfreundlicher Städte, Gemeinden und Kreise in NRW: Mitglieder (Members) https://www.agfs-nrw[...] 2022-02-18
[81] 웹사이트 Sigwardsweg (Sigward's path) https://hiking.wayma[...] 2022-02-19
[82] 웹사이트 Minden planet path https://www.minden-e[...] 2022-03-01
[83] 웹사이트 Zahlen, Daten, Fakten zum Standort https://www.minden.d[...] 2024-02-08
[84] 웹사이트 Strukturdaten für Minden, Stadt http://www.it.nrw.de[...] Landesdatenbank NRW 2010-11-26
[85] 웹사이트 'NRW: Verfügbares Einkommen je Einwohner im Schnitt bei 21.336 Euro.' https://www.it.nrw/n[...] 2018-07-13
[86] 웹사이트 Primäreinkommen und verfügbares Einkommen der privaten Haushalte in NRW https://www.it.nrw/s[...] Information und Technik Nordrhein-Westfalen – Pressestelle – 2016-09-13
[87] 웹사이트 Zahlen, Daten, Fakten zum Standort https://www.minden.d[...] 2022-12-18
[88] 웹사이트 Kommunalprofil Minden https://www.it.nrw/s[...] 2022-01-20
[89] 웹사이트 Auswirkungs- und Verträglichkeitsanalyse für den Porta Markt (''Report on consequences and acceptability of the Porta Markt'') https://www.portawes[...] 2023-10-08
[90] 웹사이트 it's owl https://www.its-owl.[...] 2022-06-16
[91] 웹사이트 Berentzen Group locations https://www.berentze[...] 2022-01-27
[92] 웹사이트 Siegfried Minden. Locations https://www.siegfrie[...] 2022-12-18
[93] 웹사이트 Follmann http://www.follmann-[...] 2022-12-18
[94] 웹사이트 Ornamin. Corporate https://www.ornamin.[...] 2022-12-18
[95] 웹사이트 Harting https://www.harting.[...] 2022-12-18
[96] 웹사이트 DB Systemtechnik https://www.db-syste[...] 2022-12-18
[97] 웹사이트 Sparkasse Minden-Lübbecke https://www.sparkass[...] 2022-12-18
[98] 웹사이트 Mindener Stadtwerke – Gesellschafter https://www.mindener[...] 2022-12-18
[99] 웹사이트 SBM – Städtische Betriebe Minden https://www.minden.d[...] 2022-12-18
[100] 웹사이트 Johannes Wesling Klinikum https://www.muehlenk[...] 2022-01-25
[101] 웹사이트 Verwaltungsgericht Minden https://www.vg-minde[...] 2022-01-25
[102] 웹사이트 Arbeitsgericht Minden https://www.arbg-min[...] 2022-01-25
[103] 웹사이트 Amtsgericht Minden https://www.ag-minde[...] 2022-01-25
[104] 웹사이트 Grundschulen https://www.minden.d[...] 2023-10-08
[105] 웹사이트 Weiterführende Schulen https://www.minden.d[...] 2023-10-08
[106] 웹사이트 Berufs- und Fachschulen https://www.minden.d[...] 2023-10-08
[107] 웹사이트 Weser-Kolleg Minden https://www.minden.d[...] 2023-10-08
[108] 웹사이트 Faculty of Minden Campus https://www.fh-biele[...]
[109] 웹사이트 Medizin Campus OWL https://www.muehlenk[...] 2022-01-25
[110] 웹사이트 RailCampus OWL https://railcampus-o[...] 2022-12-18
[111] 웹사이트 Volkshochschule Minden / Bad Oeynhausen https://www.vhs-mind[...] 2022-12-18
[112] 웹사이트 Musik Minden https://www.musikmin[...] 2022-12-18
[113] 간행물 Die Ehrenbürger der Stadt Minden https://sammlungen.u[...] 2022-03-10
[114]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minden.d[...] Minden 2021-02-26
[115]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16] 문서 ミンデンのホームページ http://www.minden.de[...]
[117] 문서 ミンデンの人口 2009年1月時点 http://www.minden.de[...]
[118] 문서 デトモルト市の気候表 http://p1458.typo3se[...]
[119] 문서 ドイツ気象庁月別降水量(1961年 - 1990年) http://www.dwd.de/bv[...]
[120] 문서 Meynert, Bender-Wittmann, p.126 より引用
[121] 문서 ミンデナー・ターゲブラット 2005年4月4日付け http://www.hiergebli[...]
[122] 문서 ミンデンの年代記 http://www.alt-minde[...]
[123] 문서 Minden, Zeugen und Zeugnisse seiner städtebaulichen Entwicklung 1979
[124] 문서 Paedagogica Quakeriana 2009
[125] 문서 ノルトライン=ヴェストファーレン州市町村法 http://www.jura.uni-[...]
[126] 문서 ミンデン市の紋章に関するページ http://www.minden.de[...]
[127] 문서 ミンデン市立劇場のホームページ http://www.stadtthea[...]
[128] 문서 ミンデンの演劇サークル http://www.lwl.org/k[...]
[129] 문서 ミンデンの博物館に関するウェブサイト http://www.museen-mi[...]
[130] 문서 ミンデナー・ターゲブラット 2010年1月11日付 http://www.mt-online[...]
[131] 문서 ヴェストファーレン=リッペ景観連盟 (LWL) のウェブサイト http://www.lwl.org/P[...]
[132] 문서 ヴェストファーレン=リッペ景観連盟 (LWL) のウェブサイト http://www.lwl.org/P[...]
[133] 문서 GWDミンデンのホームページ http://www.gwd-minde[...]
[134] 문서 ウニオン・ミンデンのホームページ http://www.union-min[...]
[135] 문서 ブラウエス・バント・デア・ヴェーザーのホームページ http://www.blaues-ba[...]
[136] 문서 ヴェーザーリーダーのホームページ http://www.weserlied[...]
[137] 문서 ミンデン・マーケティングのホームページ http://www.mindenmar[...]
[138] 문서 映画館一覧 — ノルトライン=ヴェストファーレン州 http://www.allekinos[...]
[139] 문서 ヴェーザープロムナード http://www.weserfreu[...]
[140] 문서 ミンデナー・ターゲブラット150周年記念特別付録 2006年7月 http://www.mindenert[...]
[141] 서적 Zeit Lexikon, Band 9 Hamburg 2005
[142] 웹사이트 ノルトライン=ヴェストファーレン州データバンクのミンデン市のショートプロファイル http://www.it.nrw.de[...]
[143] 서적 100 Jahre Melitta, die Geschichte eines Markenunternehmens Köln 2008
[144] 웹사이트 Drabert社のホームページ http://www.drabert.d[...]
[145] 웹사이트 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賞 2009 http://www.ud-german[...]
[146] 웹사이트 アルテンドルフのサイト http://www.altendor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