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1896년 고종의 칙령으로 설립된 대한제국의 군사 교육 기관이다. 갑오개혁 이후 훈련대 무관학교가 해산된 후, 신식 장교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나, 아관파천으로 인해 단기간 운영되었다가 1898년 재설립되었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1909년 폐교되었다. 육군무관학교는 민족주의 장교 양성 기관으로, 많은 졸업생들이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나, 일부는 친일 행적을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학교 - 경복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는 1921년 개교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중등교육기관 중 하나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명문 고등학교이다. - 대한제국의 학교 - 배재학당
미국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1885년에 설립한 배재학당은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등 저명한 동문과 개혁적 교원들을 배출하며 민족의식 고취, 독립운동,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한국의 근대 교육 기관이다. - 1909년 폐지 -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는 1895년 대한제국 고종이 근대적 사법 제도 도입 후 법관 양성을 목적으로 평리원 안에 설치한 국립 교육 기관으로, 법학교, 경성전수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연원이 되었다. - 1909년 폐지 - 복건수사
복건수사는 청나라 말기 복건성을 중심으로 조직된 수군 함대로, 1871년 미야코지마 섬 주민 조난 사건을 계기로 창설되었으나, 청불 전쟁 마장 해전에서 괴멸된 후 1909년 다른 함대와 통합되어 해산되었다. - 1898년 설립 - 서울구치소
서울구치소는 법무부 교정본부 산하의 구치소로 미결수 등을 수용하며, 경성감옥에서 시작하여 명칭과 위치 변경 후 1987년 의왕시로 이전했고, 주요 인사 수감 및 사형 시설 보유로 논란이 있다. - 1898년 설립 - 동래고등학교
1898년에 설립된 동래고등학교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공립 고등학교로,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의 중심지였으며,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명문 고등학교로서 민족 얼 앙양, 민주 정신 함양, 정의 사회 구현, 창조 역군 육성을 교육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 인재를 배출했다.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 |
---|---|
기본 정보 | |
![]() | |
학교 종류 | 군사 학교 |
설립 | 1896년 |
폐교 | 1909년 |
국가 | 대한제국 |
위치 | 한성부 |
교훈 | 충성, 용기 |
별칭 | 무관학교 |
관할 | 대한제국 육군 |
역사 | |
개교 | 1896년 |
폐교 | 1909년 |
인물 | |
주요 인물 | 이범진 권동진 민영환 이건하 |
기타 | |
관련 항목 | 대한제국 육군 보병학교 (대한제국) 기병학교 (대한제국) 포병학교 (대한제국) 공병학교 (대한제국) |
2. 역사
1896년 1월 설치되었으나 아관파천으로 인해 불과 5명의 졸업생만을 배출하고 문을 닫았다가 1898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1907년의 대한제국군 해산 후에도 남아 있다가 1909년 폐교되었다.
2. 1. 설립 배경 (1896년)
갑오개혁으로 훈련대가 만들어진 후, 장교를 키워내기 위해 훈련대 무관학교가 세워졌다. 그러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이후 1895년 9월에 훈련대와 무관학교는 해산되었다. 군사학교가 필요했기 때문에 대한제국 무관학교가 설립되었다.[1] 1896년 1월 11일, 고종은 칙령으로 이 학교를 설립했다.[2]2. 2. 대한제국 시기 (1898년 ~ 1909년)
1898년 신식 장교 양성을 위해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가 다시 설치되었다. 1907년 대한제국군 해산 후에도 존속하다 1909년 폐교되었다.
고종의 러시아 공사관 피신 이후, 무관학교는 제대로 운영될 수 없었다.[1] 고종이 궁으로 돌아온 후, 1898년 3월 이종건 군부대신은 무관학교 설립을 요청했다.[2] 1896년에 설립된 기존 학교는 1898년 5월 칙령에 의해 해산되었다. 1898년 7월 1일, 무관학교가 정식으로 설립되어 군부에 소속되었다.[1] 200명의 생도가 선발되어 교육이 시작되었다.[2] 1899년 6월 22일, 학교는 원수부에 소속되어 고종의 군대 강화 노력을 도왔다. 1900년 1월, 첫 졸업 시험이 치러져 128명이 소위로 임관했다.[2]
그러나 1904년 한일 의정서 이후 일본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원수부는 해산되었고, 학교는 군부 학무국 부속기관이 되었다. 1904년부터 생도는 유년학교 졸업생으로 제한되었고, 3년제 교육 과정이 도입되었다.[1] 1907년 8월 대한제국 육군 해산 후, 무관학교는 규모가 축소되어 신입 생도 수가 15명으로 줄었다. 학교는 1909년 9월 최종적으로 해산되었고, 남은 생도들은 일본 육군사관학교로 보내졌다.[1]
3. 조직 및 교육 과정
육군무관학교의 교관은 교장 1명(주로 외국 유학파 출신 장교), 부관 1명, 군의관 1명, 주임교관 1명, 교관 3명, 조교 8명으로 구성되었다.[1][2] 생도는 건강하고 현명한 20~30세의 지원자로, 장교의 추천을 받았다.[1] 졸업 후 495명의 생도가 장교로 임관했다. 임관한 495명 중 291명이 진위대 또는 시위대에 배치되었다. 육군무관학교는 민족주의 장교 양성 기관이었지만, 모든 졸업생이 민족주의자는 아니었다. 이는 일부 양반 자제들이 확실한 직업을 얻기 위한 방편으로 이 학교에 입학했기 때문이다. 모든 생도가 민족주의적 열정으로 입학한 것은 아니었지만, 많은 졸업생들이 의병에 참여하여 일본의 식민지배에 저항했다. 이동휘, 박승환, 김좌진, 신팔균, 류동렬, 지청천 등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모두 육군무관학교 졸업생이었다. 일부 졸업생들은 신흥무관학교의 교관이 되기도 했다.
4. 졸업생 및 동문
졸업생은 282명이며, 이 가운데 14명이 한일 병합 조약 체결 당시 조선총독부 관리로 근무하고 있었다.[3] 반면, 1905년에 입학한 김좌진과 같이 이 학교에서 습득한 군사 경험을 토대로 무장 항일 운동을 이끈 인물도 있었다. 졸업 후에는 495명의 생도가 장교로 임관했으며, 이들 중 291명이 진위대 또는 시위대에 배치되었다. 육군무관학교는 민족주의 장교 양성 기관이었지만, 일부 양반 자제들이 확실한 직업을 얻기 위해 입학하기도 하여 모든 졸업생이 민족주의자였던 것은 아니다.
4. 1. 주요 졸업생
- 박승환: 황실근위 시위대 제1연대 대대장 (육군 참령)
- 김좌진: 청산리 대첩 당시 지휘관[3]
- 신규식: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
- 신팔균: 대한통의부 의용군 사령관[3]
- 오영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부장
- 이장녕: 대한독립군단 참모총장
- 이항직: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3]
- 이동휘: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 강화 진위대대 대장 참령
- 지청천: 광복군 총사령관 (재학 중 일본 유학)[3]
- 조철호: 조선소년군 총사령관
졸업생은 282명이며, 이 가운데 14명이 한일 병합 조약 체결 당시 조선총독부 관리로 근무했다.[3] 이동휘, 박승환, 김좌진, 신팔균, 류동렬, 지청천 등 많은 졸업생이 의병에 참여하여 일본의 식민지배에 저항했고, 일부는 신흥무관학교의 교관이 되기도 했다.[3]
4. 2. 친일 행적 논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졸업생 282명 가운데 14명이 한일 병합 조약 체결 당시 조선총독부 관리로 근무하고 있었다.[3] 반면 1905년에 입학한 김좌진과 같이 이 학교에서 습득한 군사 경험을 토대로 무장 항일 운동을 이끈 인물도 있었다.참조
[1]
웹사이트
무관학교(武官學校)
https://encykorea.ak[...]
2023-03-06
[2]
웹사이트
육군무관학교(陸軍武官學校) - sillokwiki
http://dh.aks.ac.kr/[...]
2023-03-06
[3]
서적
한국관료연구
대영문화사
2001-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