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팔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팔균은 대한제국 군인이자 독립운동가로, 188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군 복무를 하다가, 대한제국 군대 해산 후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 활동하며 독립군 양성에 기여했고, 대한통의부 의용군 사령관을 역임하며 무장 투쟁을 이끌었다. 1924년 중국인 마적의 기습으로 사망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로군정서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서로군정서 - 남자현
남자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만주에서 군자금 모집, 독립운동가 지원, 여성 계몽 운동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만주 지역 독립운동의 대모'로 불렸고, 무장 독립운동과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 계획 등에 참여하다 체포 후 순국하여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통의부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통의부 - 양세봉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양세봉은 만주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이끌며 대한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조선혁명군 등에서 활약한 독립군 지휘관으로서, 한중 연합군을 편성하여 융링제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나 일본군 밀정의 계략으로 암살당했고 남북한 모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신팔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이름 | 신팔균 |
한자 이름 | 申八均 |
로마자 표기 | Sin Palgyun |
다른 이름 | 신동천 (申東川), 임수명 |
출생일 | 1882년 5월 19일 |
사망일 | 1924년 7월 2일 |
국적 | 조선 |
직업 | 독립운동가 |
학력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
관련 활동 | 독립운동 |
상훈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2. 생애
신팔균은 1882년 5월 1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조부 신홍주, 조부 신헌, 부친 신석희 모두 고위 무관이었다. 특히 부친 신석희는 강화도 조약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협상한 인물이었다. 신팔균은 대한제국의 군인이 되어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03년 장교가 되었다.[1]
1907년, 한국군은 일본에 의해 해산되었고, 1909년, 신팔균은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한일 병합 조약 이후 만주와 연해주로 망명하여 서간도에 정착했다. 그는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가들을 양성했다. 만주에서 지청천, 김경천을 만나 '천(天)'자를 넣은 이름을 짓고 신동천이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1920년 남만주로 이동하여 독립운동 단체에 참여, 평안북도에서 일본 경찰과 전투를 벌였다. 1924년, 야외 훈련 중 일본군에 고용된 중국인 마적에게 암살당했다.[1]
2. 1. 출생과 가계
한성부에서 대대로 무관 벼슬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났다. 고조부 신홍주, 조부 신헌, 아버지 신석희 모두 고위 무관이었다. 특히 병조판서를 지낸 신헌은 강화도 조약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협상, 체결한 인물이다.[1]신팔균은 1882년 5월 1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부친 신석희는 강화도 조약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협상한 인물로, 신팔균은 자연스럽게 대한제국 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03년 장교가 되었다.[1]
2. 2. 대한제국 군인 시절
1900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교하여 제2기로 졸업하고, 1902년 육군 참위로 임관했다.[1] 1904년 부위, 1907년에 정위로 진급하여 강계진위대(江界鎭衛隊)에 근무하였다. 한성부에서 대대로 무관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고조부 신홍주와 조부 申櫶|신헌중국어, 아버지 신정희 모두 고위 무관이었다. 집안 내력에 따라 자연스럽게 대한제국의 군인이 되었다.[3] 1903년 3월 25일, 시위대 제1연대 3대대 부견습, 9월 20일, 무관학교를 졸업했다. 1907년 4월 30일, 부위로 승진함과 동시에 진위대 황주 보병 제7대대 부관이 되었다.[4]1907년 7월 31일 일본에 의해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된 후, 8월 26일 잔존 부대로 근위 보병 대대 (대대장: 왕유식 부령)가 편성되었으며, 중대 부에 소속되었다.[5] 1909년 7월 30일, 정위가 되었지만[6] 8월에 복무를 그만두고, 보명학교의 교사가 되었다.[7]
2. 3. 독립운동 투신
1907년 8월 일본에 의해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신팔균은 군 복무를 그만두고 낙향하여 향리인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서 이월청년학교(梨月靑年學校)를 설립하였다.[1] 1909년 안희제, 서상일 등이 조직한 비밀 결사 대동청년당에 가담하면서 독립 운동에 뛰어들었다.[1] 대동청년당은 경남 동래에서 결성되어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윤세복, 김동삼, 이원식(李元植), 김사용(金思容), 윤병호(尹炳浩) 등 80여 명이 참가하여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활동을 하였다.[1]2. 4. 만주 망명과 무장 투쟁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자 만주로 망명했고, 연해주 등 여러 곳을 살펴보다가 국내에서 신민회 회원들이 다수 망명해온 서간도에서 활동하기로 결정했다. 서로군정서와 신흥무관학교 등 서간도의 핵심 독립 운동 기지에 참여하였고, 대한제국 장교 출신의 경험을 살려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 근무하면서 많은 독립 운동가들을 양성했다.[10]이무렵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임관했다가 만주로 탈출해온 지청천, 김경천과 만나게 되었는데, 마음이 통한 세 사람은 '하늘 천(天)'자를 넣어 새 이름을 지었다. 신팔균은 '동천(東川)'이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세 사람을 묶어 '남만삼천(南滿三天)'이라고 불렀다.[11]
1919년 정안립 등 39명의 동지들과 함께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12]
1920년 경신참변 이후 남만주 지역으로 이동한 뒤, 1922년 6월 서로군정서와 대한독립단, 광한단 등 8단9회(八團九會)의 여러 무장독립운동 단체들이 집결하여 군정부 성격인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로 통합되고, 2개월 뒤 다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가 설치되자 대한통의부 의용군의 사령장(司令長)과 군사부 위원장을 맡았다. 대한통의부 의용군은 국내로 진공하여 평안북도 등에서 일본 경찰과 전투를 벌이는 등의 전적을 쌓았다. 내부 이념적 갈등으로 의군부(義軍府)가 분리되고 참의부(參義府)로 이탈하여 세력이 약해진 대한통의부를 현익철, 김창환 등과 힘을 모아 재건,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2. 5. 최후
1924년 7월 2일 독립군의 훈련지인 흥경현 왕청문 이도구(興京縣 旺淸門 二道溝) 밀림 속에서 무관학교 생도와 독립군 합동군사훈련 중, 중국인 마적의 기습 공격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1] 그는 죽는 순간까지도 일제가 아닌 중국인들과 싸우다 전사하는 것을 억울하게 생각했으나, 이들 마적단의 기습은 일제의 사주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1]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훈했다. 남편의 전사 후 자결한 부인 임수명도 건국훈장을 수훈한 독립운동가이다.
3. 사후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4] 남편이 전사한 후 부인 임수명도 자결하였는데,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5]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부인 | 임수명(1894~1924) |
딸 | 신계영(?~1924) |
아들 | 신현충 |
아들 | 신현택 |
아들 | 신현길(?~1923) |
아들 | ? |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2-04-01
[2]
웹사이트
신팔균(申八均)
http://encykorea.aks[...]
2022-08-22
[3]
웹사이트
承政院日記3147冊(脱草本140冊)、高宗39年6月2日庚寅
http://sjw.history.g[...]
国史編纂委員会
2017-10-12
[4]
웹사이트
卿 閔丙奭 未受勅。 丞 尹悳榮 進尹憲燮 進李文求 進趙善九 直李佖柱 進。 郎 許萬弼 進朴海昌 進金鶴秀 直金哲洙 未受勅。承政院日記3206冊(脱草本141冊)、高宗44年3月18日己酉
http://sjw.history.g[...]
国史編纂委員会
2017-10-07
[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3211冊(脱草本141冊)、純宗1年7月18日丁未
http://sjw.history.g[...]
国史編纂委員会
2017-10-12
[6]
웹사이트
承政院日記3234冊(脱草本141冊)、純宗3年6月14日辛卯
http://sjw.history.g[...]
国史編纂委員会
2017-10-12
[7]
뉴스
忠清北道独立運動家列伝 - 申八均
https://www.inews365[...]
忠北日報
2015-11-12
[8]
서적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비평사
[9]
뉴스
다시쓰는 독립운동列伝 Ⅲ 러시아편-5. 시베리아 항일영웅 김경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5-09-05
[10]
서적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비평사
[11]
뉴스
다시쓰는 독립운동列伝 Ⅲ 러시아편-5. 시베리아 항일영웅 김경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5-09-05
[12]
문서
무오독립선언 연서자 명단에는 이름이 빠져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