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규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규식은 1880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로, '예관'이라는 아호로 활동했다. 그는 관립한어학교에서 공화주의를 접하고 만민공동회에서 활동했으며, 대한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군인으로 복무했다. 을사늑약 체결 후 의병 활동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상하이로 망명한 후, 중국 혁명에 참여하여 신해혁명에 기여했다. 1912년 동제사를 조직하여 공화주의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법무총장, 국무총리 대리 등을 역임했다. 그는 임시정부 내 분열에 실망하여 사퇴 후 단식 투쟁을 하다 1922년 사망했으며, 1962년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사회민주주의자 - 안창호
    안창호는 평안남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상가로서, 서양식 교육과 기독교 입교 후 독립협회 활동, 대한국민회 설립 등 해외 독립운동, 신민회 조직, 흥사단 재건 등 국내외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에 헌신하며 민족 개조를 주창하고 이상촌 건설을 추진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옥중에서 병사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육군 중장 - 신익희
    신익희는 해공이라는 호를 가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내무총장과 외무부장을 역임하고 국민대학교를 설립했으며, 국회의장과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육군 중장 - 노백린
    노백린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총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추진하고, 한인 비행사 양성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 공군력 강화에 기여했다.
  • 대한제국의 기업인 - 이승훈 (1864년)
    이승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업인으로,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신민회 활동, 3·1 운동 참여 등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 대한제국의 기업인 - 유길준
    유길준은 조선 후기 개화 사상가이자 정치가, 언론인으로, 서구 문물을 접한 후 갑신정변 연루, 갑오개혁 참여, 아관파천 이후 망명, 애국계몽운동 전개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나, 근대화에 기여했음에도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는 인물이다.
신규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략 1920년경에 촬영된 신규식 선생 (선생은 음독자살 시도 이후 시력장애를 앓았다.)
대략 1920년경에 촬영된 신규식 선생 (선생은 음독자살 시도 이후 시력장애를 앓았다.)
이름신규식
한자申圭植
출생일1880년 2월 22일
출생지조선 충청도 공주부 청주군 청주목 가덕면 미천리
사망일1922년 9월 25일
사망지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
거주지대한제국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인차리 132번지
국적대한민국
본관고령
직업군인 겸 정치인 및 독립운동가
부모신용우(부), 전주 최씨 부인(모)
형제신정식(형)
신건식(아우)
배우자조정완
자녀신명호(딸)
신준호(아들)
친인척신정휴(할아버지)
민필호(사위)
윤완희(며느리)
윤보선(사돈댁)
박찬익(사돈댁)
웹사이트독립유공자
상훈[[파일:건국훈장2대통령장.png|x10px]] (건국훈장 대통령장, 1962)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책법무총장
차관홍진 임정 법무차장
군복무임정 육군 중장 전역
임기1921년 5월 26일 ~ 1922년 3월 30일
대통령이승만 임정 대통령
총리신규식 임정 총리 임시 대행 겸직
경력임정 시대의 법무차장·외무총장·법무총장·임시 국무총리 권한대행 등을 역임.

2. 생애

신규식은 1880년 충청북도 청주 문의면에서 태어나, 1899년 서울로 가서 한성한어학교(漢城漢語學校)에 다녔다.[2] 어린 시절에는 유교 가문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며, 1894년 한성부로 상경하여 일본제국을 배척하는 활동을 했다.[1]

2. 1. 생애 초기

1880년 충청북도 청주 문의면에서 아버지 신용우(申龍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신용우는 중추원 의관(議官)을 지냈다. 어린 시절 신규식은 비교적 여유 있는 유교 가문에서 태어나 한학을 공부했다.[1] 1894년 한성부로 상경하여 일본제국을 배척하고 사악(邪惡)을 배격하기 위해 글을 써서 사람들을 고무·격려하고, 학우들과 가숙(家塾)의 동년군(同年軍)을 조직하여 훈련했다.[1]

고령(산동) 신씨 문중에는 신규식, 신채호, 신백우 등 3인의 인재가 있었으며, 이들을 '산동 3재'라 불렀다. 이들은 모두 훗날 항일 독립운동과 공화주의 혁명에 투신했다.[1] 고령 신씨 문중은 이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으며, 문중에서 약 31인의 애국지사가 나왔다.[1]

1899년 서울로 가서 한성한어학교(漢城漢語學校)에 다녔다.[2]

2. 2. 청년기

1898년 관립한어학교에 입학하여 중국어, 한국사, 지리 등을 배웠다. 만민공동회에서 부장급으로 활동하며 허위, 안창호, 이승만, 이상재, 주시경, 박은식 등과 교류하였고, 이때부터 공화주의자가 되었다. 이 일로 구속되어 한어학교를 졸업하지 못하였다. 1900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들어갔으나, 학교 당국의 부당한 처사와 부패에 맞서 조성환과 함께 동맹휴학을 주도했다. 신병으로 고향에 있던 중 동맹휴학이 실행되어 군법처형은 면했다.

1902년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 보병 참위(參尉)로 임관, 부위(副尉)까지 진급했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지방 진위대와 연계하여 의병을 일으키려다 실패하고 음독자살을 시도했다. 목숨은 건졌으나 오른쪽 눈의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력을 잃었다. 외관상 흘겨보는 듯한 모습 때문에 사람들이 놀리자, '흘겨본다'는 뜻의 '''예관'''(睨觀)을 호로 삼았다. '예관'은 상하이 망명 시 그의 아호이자 가명으로 사용되었다.

을사늑약에 충격을 받은 그는 나라를 구하기 위해 학회를 조직하여 공업계 잡지를 발간하고, 계몽 및 강연 활동을 펼쳤다. 윤치호, 윤효정 등이 조직한 대한자강회대한협회 등 애국계몽단체에도 참여했다.

고령 신씨 문중은 조선시대 명문가였으나, 1880년대 개혁을 통해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1890년대 문중에서는 청주시 지역에 영천학계를 설립, 5개의 신식 사립학교를 세웠는데, 신규식은 영천학계 총무를 맡았다.[1] 신태휴는 경상도 관찰사로 재직하며 경상도 최초의 신식학교인 협동학교를 설립하는 등 개화와 계몽 운동을 이끌었다.[1]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 이후 윤경준 파주군에 투신하여 활동했고, 신창휴 등과 광업회사를 설립, 실업계 소식지 '공업계'를 창간했다.[1] 1901년부터 문동학교, 중동학교, 청동학교 등에서 교육활동을 하고,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등에 참여했다.[1] 1909년 나철이 창시한 대종교에 입교했다.[1] 1910년 경술국치 소식을 접하고 음독을 시도했으나 나철에게 구조되었다.[1]

2. 2. 1. 학창시절

1898년 외국어고등학교인 관립한어학교에 입학하여 중국어, 한국사, 지리 등을 배웠다. 만민공동회에 부장급으로 활동하면서 허위, 안창호, 이승만, 이상재, 주시경, 박은식 등과 친분을 맺었고, 이때부터 공화주의자가 되었다. 이 일로 구속되어 한어학교를 졸업하지 못하였다. 1900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들어갔으나, 학교 당국의 불합리한 처사와 부패에 대항하여 조성환과 함께 동맹휴학을 모의했다. 신병으로 고향에 있던 중 모의가 실행되어 군법처형은 면했다.

2. 2. 2. 군인, 계몽 활동

1902년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 보병 참위(參尉)로 임관되어 부위(副尉)까지 진급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지방 진위대와 연결하여 의병을 일으키려 했으나 실패, 음독자살을 시도했다. 목숨은 건졌지만 오른쪽 눈 시신경이 망가져 시력을 잃었다. 외견상 흘겨보는 모습이 되자 누군가 그를 놀렸고, 이에 신규식은 '흘겨본다'는 뜻의 '''예관'''(睨觀)을 호로 삼았다. '예관'은 상하이 망명 시 그의 아호이자 가명으로도 활용되었다.

을사늑약에 충격을 받은 그는 을사조약 이후 나라를 구하기 위해 학회를 조직하여 공업계 잡지를 발간하고, 계몽, 강연 활동을 했다. 윤치호, 윤효정 등이 조직한 대한자강회대한협회 등 애국계몽단체에도 가담하여 활동했다.

2. 2. 3. 애국계몽운동

고령 신씨 문중은 조선시대 명문가였으나, 1880년대에 개혁을 단행하여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기로 하였다. 1890년대 문중에서는 청주시 지역에 영천학계를 설립하여 5개의 신식 사립학교를 설립했는데, 신규식은 영천학계의 총무를 맡았다.[1] 신태휴는 경상도 관찰사로 재직하며 경상도 최초의 신식학교인 협동학교를 설립하는 등 개화와 계몽 운동을 이끌었다.[1]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 후 윤경준 파주군에 투신하여 활동하였고, 신창휴 등과 광업회사를 발기하고 실업계 소식지 '공업계'를 창간했다.[1] 1901년부터 문동학교, 중동학교, 청동학교 등에서 교육활동을 하고,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등에 참여했다.[1] 1909년 나철이 창종한 대종교에 입교했다.[1] 1910년 경술국치 소식을 듣고 음독을 시도했으나 나철에게 구명되었다.[1]

2. 3. 중국 망명 활동기

1921년 1월 1일 신년하례회. 두 번째 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신규식

2. 3. 1. 중국 망명과 신해혁명 가담

경술국치 이후 이듬해인 1911년 청나라 상하이로 망명했다. 여기서 그는 이름을 '정'(檉)으로 바꾸고, 중국 혁명의 핵심인 민권보에 거금을 쾌척하여 재무를 담당했으며, 쑨원, 천두슈, 천치메이 등 중국의 공화 혁명가들로부터 성공 후 한국의 공화 혁명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신규식은 신해혁명의 성공이 곧 한국의 독립을 가져오리라고 생각했다.[1]

1911년 3월, 쑨원이 이끄는 중국동맹회에 가입하여 천치메이, 황싱, 쑹자오런 등과 친교를 맺었다. 같은 해 1911년 10월 우창 봉기신해혁명에 참여했다. 1911년 11월에는 상하이에서 중국 동맹회 중부총회를 이끌었던 천치메이와 함께 봉기했다. 이는 신해혁명에 참여한 유일한 한국인으로 알려져 있다. 혁명에 성공한 중국의 혁명가들은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을 건국하였고, 쑨원은 대총통으로 취임하였다.[1]

1913년 7월에는 위안스카이의 독재 정치에 반대하기 위해 일어난 제2차 혁명에 천치메이와 함께 봉기에 참가했다.[1]

2. 4. 공화주의 독립운동

1912년 5월, 신규식은 상하이 교민들과 함께 비밀결사단체인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했다. 대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동제사에는 신석우, 박은식, 조성환, 홍명희, 신채호, 조소앙, 문일평, 여운형, 장건상, 김규식 등이 참여했다. 동제사는 상하이 본부 외에도 베이징, 톈진, 만주, 러시아, 미국, 유럽, 일본 등지에 지사를 설치하여 활동했다.[3]

신규식은 중국 국민당 및 중국동맹회의 동지들과 함께 신아동제사(新亞同濟社)를 발기하고, 환구중국학생회(寰球中國學生會)에 가입했다.[3] 1913년에는 박달학원을 설립하여 윤보선, 여운형, 이범석, 정원택, 조소앙 등 독립운동가들을 배출했다. 또한 100여 명의 학생들을 바오딩 군관학교, 난징 해군학교, 톈진 군수학교(天津軍需學校) 등에 입학시켜 군사 교육을 받게 했다.[3]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신규식은 이상설, 유동열, 박은식 등과 협력하여 신한혁명단(新韓革命團)을 조직하고 고종을 수반으로 하는 망명정부를 구상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대동보국단을 조직하여 홍명희, 이회영, 김좌진, 서일, 홍범도 등의 독립운동을 지원했다.[3]

1917년, 신규식은 박은식, 조소앙 등과 함께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하여 민주공화제 정부 수립을 천명했다. 이는 최초의 독립선언문으로, 3·1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3] 같은 해 8월 31일, 스웨덴 스톡홀름 만국사회당대회에 조선사회당(朝鮮社會黨) 명의로 조선독립요구서를 제출해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3]

2. 4. 1. 임시 정부 결성 노력

신한청년당파리 강화 회의에 제출한 13개조.


1918년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민족자결주의를 발표한 후, 신규식은 만주와 각지의 독립운동가들과 연락하여 지린에서 독립의군부를 조직하게 하고, 대동보국단을 독립의군부로 개편하여 무오독립선언을 하게 했다. 여운형을 지도하여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게 하고, 2·8 독립 선언3·1 운동을 이끌었다. 파리 강화 회의김규식을 파견했다. 선우혁, 곽경 등 동제사 요원들을 이승훈, 손병희 등에게 파견하여 종교인들의 3.1 운동 참여를 요청했다. 장덕수, 이광수, 조소앙 등을 동경에 파견하여 2.8 독립 선언을 주도하게 했다.

2. 5. 대한민국 임시 정부 활동기

1919년 4월 여운형, 선우혁(鮮于赫) 등과 함께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며, 제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부의장이 되었다. 그러나 내부에서 주도권을 놓고 암투가 벌어지자 임시정부에 대한 실망감에 빠져 의원직마저 사퇴했다.[4] 같은 해 9월 각지에서 만들어진 정부를 통합한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법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21년 상하이에 도착한 이승만 대통령 환영식
(오른쪽 두 번째 선글라스를 낀 이가 신규식, 세 번째는 안창호, 가운데는 대통령 이승만)


1921년 이승만 대통령이 정부개편 문제를 둘러싸고 제안된 국민대표회의안을 수습하지 못하고 태평양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으로 가자, 5월부터 국무총리 대리와 외무총장직을 겸임했다. 10월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광둥 중화민국 정부의 북벌서사식(北伐誓詞式)에 특사로서 박찬익과 함께 참가했다. 이때 신해혁명의 동지인 쑨원을 만나 국서를 봉정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가적 승인을 얻어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22년 태평양회의가 결말 없이 끝나고 국민대표회운동이 다시 전개되자 신규식 내각은 외교적인 실패 등의 이유로 총사퇴했다. 이승만에 대한 불신임안이 통과된 뒤 임정 내의 분열 상태를 비관해 25일 동안 단식하다가 '한국의 독립을 기원'하는 유언을 남기고 9월 25일 사망했다.

3. 사후

그는 상하이 훙차오로[虹橋路] 만국공묘(萬國公墓)에 안장되었다.[5] 상하이 만국공묘 중 쑹칭링 능원에 안장되었었다.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안치리(현, 청주시 가덕면 안치리)에는 그의 부인 한양 조씨의 묘소가 조성되면서 그의 가묘가 같이 합장 형태로 조성되었다. 비문은 대한민국 전 임시정부 국무총리 예관 신규식 선생지묘 배 국부인 한양 조씨 부좌로 되어 있다.

신규식의 사위인 석린 민필호는 백범 김구의 측근이었고, 이승만과의 인연으로 한때 초대 주 중화민국 대사로 내정되기도 했다. 신규식의 조카 신형호(申衡浩)는 이승만의 측근이었다.[6] 또 다른 조카 신준호는 신규식의 제자이기도 했던 윤보선의 차녀 윤완희와 결혼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62년 3월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훈 2등)을 추서하였다.

1993년 8월 10일 중국 상해 훙차오로 만국공묘 쑹칭링 능원에 있던 그의 유해를 이장, 국립서울현충원 임시정부요인 묘역 8호에 안치했다. 그가 처음 묻혔던 만국공묘 쑹칭링 능원에는 작은 돌표석이 세워졌다.

4. 저서


  • 《한국혼(韓國魂)》: 동제사 결성 때 연설한 내용을 정리
  • 《아목루(兒目淚)》: 유고 시집

5. 가족

집안 자체가 독립운동에 참여했는데, 동생인 신건식도 임시정부에 참가한 독립 운동가이다. 독립운동가 박찬익은 그의 동생 신건식의 사돈이었다.[7][8] 막내동생 신동식은 임시정부의 연통제에서 활동하였으며, 그의 장남 신준호를 신건식과 윤보선에 의하여 1938년 예관 신규식의 아들로 입양하여 대를 잇게 했다.[9][10] 신규식의 제자였던 대한민국 4대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에 의하여 둘째딸 윤완희와 신준호가 1940년 결혼하여 윤보선 일가와 사돈간이 된다.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버지신용우(申龍雨)1845년1918년
어머니전주 최씨
신정식(申廷植)1868년?
조카신형호(申衡浩)1891년1960년
조카신필호(申弼浩)1893년1952년
조카신웅호(申雄浩)1907년1981년
조카신영호(申英浩)1911년?
조카신우호(申羽浩)1915년1986년
부인조정완
신명호(申明浩)1904년?
사위민필호(閔弼鎬)1898년 2월 7일1963년 4월 14일
외손녀민영주(閔泳珠)1921년
외손녀사위김준엽
외손녀민영애(閔泳愛)1927년
외손녀민영의(閔泳懿)1929년
외손녀민영화(閔泳華)1932년
외손녀민씨
외손녀사위이윤철임시정부 국무위원 이광의 아들
외손자민영수
외손자민수영(閔樹榮)1942년
아들신준호(申俊浩)1916년1971년?
며느리윤완희(尹完姬)1918년2020년화가, 윤보선의 둘째 딸
장손녀신경수(申瓊秀)1943년?
장손신중수(申中秀)1945년독일 거주
장손부이의균1947년
차손신흥수(申興秀)1947년
차손부양향숙1954년
동생신건식(申健植)1889년1963년 12월 8일다른 이름은 신원(申垣) 또는 신환(申桓), 신두흥(申斗興)
제수오건해(吳健海)1894년1963년 12월 25일
조카신순호(申順浩)1922년2009년 7월 30일
조카사위박영준1915년 11월 1일2000년 3월 27일독립운동가 박찬익의 아들
동생신동식(申東植)1898년?
장인조종만(趙鐘萬)조선시대 말기에 군수를 지냄
사돈윤보선1897년 8월 26일1990년 7월 18일대통령, 호는 해위(海葦),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사돈박찬익독립혁명가, 호는 남파


참조

[1] 논문 신규식(申圭植)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교활동 http://kiss.kstudy.c[...] 2009
[2] 달력 음력 1월 13일
[3] 서적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 한길사 2004
[4] 서적 인물로 읽는 한국사 시리즈-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리니
[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arasarang.mp[...] 2018-10-30
[6] 뉴스 임정 대통령에서 탄핵된 이승만에게 조소앙이 '쿠데타' 건의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02-21
[7] 웹인용 신건식·오건해 https://terms.naver.[...] 네이버캐스트-독립운동가 2021-03-27
[8] 웹인용 신건식(申建植)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3-07-21
[9] 웹인용 고령신씨세보 https://www.familyse[...] 1927-10-25
[10] 웹인용 해평윤씨대동보 https://www.familyse[...] 가승미디어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