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부 (대한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부(軍部)는 1895년 갑오개혁으로 군무아문이 개편되어 설립된 대한제국의 중앙 군사 행정 기관이다. 군부는 군대를 감독하고, 대신관방, 군무국, 포공국, 경리국, 군법국, 의무국, 정리국 등으로 구성되었다. 1907년 한일 신협약 이후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고 군부의 기능이 약화되어 진위부로 변경되었으며, 1909년 폐지되고 친위부로 기능이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행정기관 - 원수부
    대한제국 시기 군사 업무를 총괄한 원수부는 군무국, 검사국, 기록국, 회계국의 4개 부서로 구성되어 군사 기획, 작전, 인사, 징계, 기록 보존, 예산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고종과 순종이 대원수 직을 맡았다.
  • 대한제국의 행정기관 - 대한제국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은 갑오개혁으로 설립되어 의회적 성격을 갖추었으나, 공화정 수립 루머로 황제의 견제를 받았으며, 독립협회 폐지 이후 자문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다가 1907년 기능이 종식되었다.
  • 1909년 폐지 -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는 1895년 대한제국 고종이 근대적 사법 제도 도입 후 법관 양성을 목적으로 평리원 안에 설치한 국립 교육 기관으로, 법학교, 경성전수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연원이 되었다.
  • 1909년 폐지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대한제국의 장교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나 일본의 영향력 확대로 폐교되었고, 졸업생 중 독립운동가와 조선총독부 관리로 나뉜 인물들이 있다.
  • 1895년 설립 -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는 페이비언 협회 회원들이 설립한 영국의 공립 연구 중심 대학으로, 사회과학 분야에 특화되어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등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노벨상 수상자 및 여러 분야의 저명한 인사들을 배출한 명문 교육기관이다.
  • 1895년 설립 - 대구지방법원
    대구지방법원은 1895년 대구재판소로 시작하여 194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일부를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서, 2008년 대한민국 사법 역사상 최초로 국민참여재판을 실시했다.
군부 (대한제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군부(軍部)
로마자 표기Gun-bu
설립일1895년 4월 1일
해체일1909년
관할대한제국 정부
예산1903년: 3,594,911 원
1905년: 4,852,175 원

2. 역사

1894년 갑오개혁 때 8아문제 중 하나로 신설된 군무아문(軍務衙門)은 1895년에 군부로 이름이 바뀌었다.[38] 군부는 군사 부문을 담당하며 군대를 통괄하는 부서였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유명무실해졌다가 1909년 7월 완전히 폐지되었고,[39] 남은 기능은 신설된 친위부로 이관되었다.[39] 원수부 설치 이후 군부의 권한은 축소되어 일반 행정 업무만 남게 되었고,[3] 1907년 한일 신협약 이후 진위부로 변경되었다.[1]


  • 1894년(고종 31년) 6월 28일, 군무아문(軍務衙門) 출범[46]
  • 1895년(고종 32년) 4월 1일, 군부(軍部)로 개편
  • 1909년(순종 3년) 6월 14일, 폐지 (친위부 신설)[47]

2. 1. 갑오개혁과 군부 설립 (1894-1895)

1894년 갑오개혁 당시 조선의 군사 제도를 개혁하면서 8아문제에 따라 '''군무아문'''(軍務衙門)을 신설하였고, 1895년에 관제 개혁으로 군무아문을 군부로 개칭하였다.[38] 군부는 조선의 병조를 중심으로 한 각종 군사 기관의 관장 업무를 담당하고 군대를 통괄하는 부서로, 현대의 대한민국 국방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군부의 수장은 군부대신이 맡았으며, 군부 협판, 군부 참의, 참사관 등을 두었다. 군부 관료에게는 통정대부, 가선대부 등의 동서반 관제 외에도 육군참장, 육군부장, 육군정령 등의 군 계급을 겸임하게 하였다.

  • 1894년(고종 31년) 6월 28일, 군무아문(軍務衙門) 출범[46]
  • 1895년(고종 32년) 4월 1일, 군부(軍部)로 개편

2. 2. 대한제국 시기 군부의 역할과 변화 (1895-1907)

1894년 갑오개혁 때 8아문 중 하나로 신설된 '''군무아문'''(軍務衙門)은 1895년 관제 개혁으로 '''군부'''로 이름이 바뀌었다.[38] 군부는 조선의 병조를 비롯한 여러 군사 기관을 관리하고 군대를 통솔하는, 현대의 대한민국 국방부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 군부의 최고 책임자는 군부대신이었고, 그 아래에 군부 협판, 군부 참의, 참사관 등을 두었다. 군부 관료들은 통정대부, 가선대부 등 동서반 관제와 더불어 육군참장, 육군부장, 육군정령 등의 군 계급을 함께 가졌다.

군부는 갑오개혁으로 정부 부처가 개편되면서 만들어졌으며, [1] 일반적으로 군대를 감독하는 역할을 했다.[2] 그러나 원수부덕수궁에 설치되면서 군부의 권한은 축소되어 일반 행정 업무만 담당하게 되었다.[3]

2. 3. 군부의 해체와 친위부로의 이관 (1907-1909)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군부는 유명무실해졌고, 1909년 7월에 완전히 폐지되었다.[39]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도 함께 폐지되었다. 군부의 남은 기능은 신설된 친위부로 이관되었고, 초대 친위부장관은 이병무가 맡았다.[39]

3. 조직

대한제국 군부는 1895년 육군부로 설립된 이후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다. 초기에는 대신관방, 군무국, 포공국, 경리국, 군법국, 의무국, 정리국 등의 부서로 구성되었다.[1] 각 국의 국장은 소장 또는 대령이 맡았으며, 군의국을 제외한 모든 국은 1등국이었다.[2][4]

원수부 설치 후 군무국은 육군부에서 제외되었다.[6] 1904년에는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일본의 영향으로 포공국이 폐지되고 해방국이 신설되었으며, 군의국은 1등국으로 승격되었다.[1][10] 또한, 군무국이 육군부에 소속되었고, 참모부와 교육국이 설치되었다.[10]

1907년 8월, 육군부는 군무국과 회계국만 남기고 규모가 축소되었다.[12]

3. 1. 중앙 조직

대한제국 군부의 중앙 조직은 대신관방, 군무국, 포공국(이후 해방국), 경리국, 군법국, 의무국, 정리국 등으로 구성되었다. 군부는 26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군 계급을 가지고 있었다. 육군 대신은 중장, 협판은 소장이었으며, 각 부의 국장은 대령 또는 소장이었다.[1]

1895년 군부에는 대신관방을 포함하여 군무국, 포공국, 회계국, 군법국, 군의국의 5개 산하 기구가 있었다. 각 국의 국장은 소장 또는 대령이었고, 군의국을 제외한 모든 국은 1등국이었다.[2] [4] 1896년에는 육군무관학교가 설립되어 군부에 소속되었다.[5] 1900년에는 군법원이, 1904년에는 소규모 군 공장이 설치되었다.[7]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의 영향으로 군부 조직은 축소 및 개편되었다. 1904년 포공국이 폐지되고 해방국이 신설되었으며, 군의국은 1등국으로 승격되었다. 또한 참모부와 교육국이 설치되었다.[10] 이 개혁은 일본의 영향 아래 이루어졌으며, 대한제국 육군 편집관은 권중현, 민영기, 민영환, 이윤용, 이지용, 구영조, 박제순, 엄준원, 형영운, 이병무, 이희두였다.[11]

1907년 군부는 군무국과 회계국만 남기고 축소되었다.[12] 장관 사무실은 장교 임명과 포상을 관리했다.[1] 군부 소속 의무관은 제1국과 제2국의 지휘를 받았는데, 제1국은 육군 군의관을, 제2국은 군의관 인사 업무를 담당했다.[10]

3. 1. 1. 군무국

군무국 산하에는 군사과, 마정과, 외국과가 있었다. 군사과는 부대의 조직, 전술, 배치, 교육 및 장교 임명을 감독했다. 마정과는 육군의 기병을 감독했다. 외국과는 유학생 파견, 문서 번역 및 문서 관리를 감독했다.[1]

3. 1. 2. 포공국/해방국

1895년 육군부 산하에 설치된 포공국(砲工局)은 포병과 군사 공병을 관리했다. 포병과는 포병 기율과 군사 공병 기율의 지휘를 받았는데, 포병 기율은 포병을, 군사 공병 기율은 군사 공병을 감독했다.[1] 포공국은 1904년 8월에 폐지되었고, 같은 해 9월 27일 해방국(海防局)이 설치되었다.[1]

포병대 부장은 다음과 같다.

포병대 부장
이름계급시작일종료일
류혁로중령1895년 4월 1일 (음력)[13]1895년 11월 3일 (음력)[14]
이병우소령1896년 1월 4일[15]1896년 3월 31일[16]
이민긍소령1896년 4월 22일[17]1900년 7월 20일[18]
이강하중령1900년 9월 29일[19]1901년 2월 4일[20]
이건영중령1901년 2월 4일[20]1901년 3월 15일[21]
이기도중령1901년 3월 16일[22]?
권총석소령1901년 7월 30일[23]?


3. 1. 3. 교육국

군부는 군사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국을 두었다. 교육국은 육군무관학교를 소속 기관으로 두었다.[10] 1907년 8월 28일, 군부는 교육 규율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군무 부서의 일부가 되었다.[12] 1904년 8월, 군무국이 육군부에 소속되었고 참모부와 교육국이 설치되었다.[10] 1896년에는 육군무관학교가 설립되어 육군부에 소속되어 젊은 장교들을 교육했다.[5]

교육국장
이름계급시작일종료일
백성기소장1905년 3월 1일[24]1905년 6월 17일[25]
김영진소장1905년 6월 22일[26]1905년 7월 27일[27]
이병무소장1905년 7월 29일[28]?
노백린대령1907년 6월 7일[29]1907년 6월 19일[30]


3. 1. 4. 참모부

1904년 9월 창설된 참모부는 군사의 모든 사무를 감독했다. 참모부 장관은 참장(Colonel General) 또는 부장(Lieutenant General)이었다. 참모부에는 두 개의 부서가 있었는데, 제1과는 전술, 기지 위치, 부대 편성 및 전쟁 법규를 감독했고, 제2과는 외교 및 정보 업무를 감독했다. 또한, 참모부는 인사 업무와 참모부 보고를 감독하는 시종무관부를 예속시켰으며, 두 명의 시종무관이 참모부에 포함되었다.[10]

시종무관
이름품계시작일종료일
이윤용부장1904년 9월 28일[31]
윤웅렬부장1904년 9월 30일[32]1905년 1월 1일[33]


3. 2. 산하 관청

4. 역대 군부 대신

역대 군부 대신
이름임명일퇴임일
조희연1895년 4월 1일 (음력)[40]1895년 4월 23일 (음력)[35]
신기선1895년 4월 23일 (음력)1895년 6월 20일 (음력)[41]
안경수1895년 6월 20일 (음력)[41]1895년 8월 25일 (음력)[42]
조희연1895년 8월 25일 (음력)[42]1895년 10월 10일 (음력)[43]
이도재1895년 10월 10일 (음력)[43]?
조희연1896년 1월 29일[44]1896년 2월 11일[45]
이윤용1896년 2월 11일[45]?
민영환1896년?
이종건??
민영기??
심상훈??
민영환??
심상훈??
민병석??
윤웅렬??
민병석??
민영철??
신기선??
이근택??
이봉의??
윤웅렬??
민영철??
이용익??
윤웅렬??
민영기??
이윤용??
이종건??
권중현?1906년 11월 25일[36]
이용익??
심상훈??
권중현??
이근택??
이병무1907년 5월 22일[37]한일 병합



위 표는 대한제국 시기 군부 대신과 군부대신의 명단과 임명일, 퇴임일을 정리한 것이다. 초기에는 조희연이 여러 차례 임명되었고, 이윤용, 민영환 등도 군부 대신을 역임하였다. 이후 권중현, 이병무 등이 군부대신을 맡았으며, 이병무는 한일 병합 시기까지 재직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군부(軍部) http://encykorea.aks[...] 2022-06-27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6-27
[3] 웹사이트 (2) 원수부를 통한 황제권 강화 https://db.history.g[...]
[4] 웹사이트 軍部官制 http://db.history.go[...] 2022-06-27
[5]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2-06-27
[6] 웹사이트 詔曰軍部官制中改正件如左 https://db.history.g[...]
[7]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2-06-27
[8] 웹사이트 군기창(軍器廠) http://encykorea.aks[...] 2022-06-28
[9] 웹사이트 다. 한국 정부군의 견제 https://db.history.g[...]
[10] 웹사이트 詔曰國不可無兵兵不可無制現行元帥府軍部官制與諸般規程 https://db.history.g[...]
[11] 웹사이트 다. 한국 정부군의 견제 https://db.history.g[...]
[12] 웹사이트 軍部官制 https://db.history.g[...]
[13] 웹사이트 4月1日 https://db.history.g[...]
[14] 웹사이트 11月1日, 11月3日 https://db.history.g[...]
[15] 웹사이트 11月11日, 1月4日, 1月6日, 1月7日 https://db.history.g[...]
[16] 웹사이트 3月30日, 3月31日 https://db.history.g[...]
[17] 웹사이트 4月21日, 4月22日 https://db.history.g[...]
[18] 웹사이트 7月19日, 7月20日, 7月21日, 7月22日, 7月23日, 7月7日 https://db.history.g[...]
[19] 웹사이트 9月25日, 9月26日, 9月27日, 9月28日 https://db.history.g[...]
[20] 웹사이트 2月4日, 2月6日 https://db.history.g[...]
[21] 웹사이트 3月15日, 3月16日, 3月17日, 3月18日 https://db.history.g[...]
[22] 웹사이트 3月16日, 3月17日, 3月18日 https://db.history.g[...]
[23] 웹사이트 7月30日, 7月31日, 8月1日 https://db.history.g[...]
[24] 웹사이트 2月22日, 2月27日, 2月28日, 3月1日, 3月2日, 3月3日 https://db.history.g[...]
[25] 웹사이트 6月17日 https://db.history.g[...]
[26] 웹사이트 詔曰命陸軍參將嚴柱益爲軍部協辦 https://db.history.g[...]
[27] 웹사이트 禮式院掌禮卿南廷哲辭職疏 https://db.history.g[...]
[28] 웹사이트 受勅及受牒 https://db.history.g[...]
[29] 웹사이트 6月6日, 6月7日 https://db.history.g[...]
[30] 웹사이트 5月10日, 6月14日, 6月16日, 6月17日, 6月18日, 6月19日, 6月1日 https://db.history.g[...]
[31] 웹사이트 詔曰命陸軍副將閔泳綺爲軍部大臣陸軍參將嚴柱益爲軍部協辦陸軍參將金昇圭爲軍務局長 https://db.history.g[...]
[32] 웹사이트 9月30日 https://db.history.g[...]
[33] 웹사이트 參謀部副長尹雄烈辭職疏 https://db.history.g[...]
[34] 웹사이트 4月1日 https://db.history.g[...]
[35] 웹사이트 4月23日 https://db.history.g[...]
[36] 웹사이트 11月25日 https://db.history.g[...]
[37] 웹사이트 5月22日 https://db.history.g[...]
[38]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2 - 개화기편, 개신교 입국에서 을미사변까지 인물과사상사 2007-11-19
[39] 서적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96-03-01
[40] 웹인용 4月1日 https://db.history.g[...] 2022-07-18
[41] 웹인용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2-07-18
[42] 웹인용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2-07-18
[43] 웹인용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2-07-18
[44] 웹인용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2-07-18
[45] 웹인용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2-07-18
[46] 문서 기존 병조(兵曹) 관청의 기능을 계승하였다.
[47] 문서 《승정원일기》 3234책 순종 3년 6월 14일 (양력 7월 30일) 신묘일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