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동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동휘는 함경도 단천 출신으로,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신민회, 서북학회 등 개화운동에 참여했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체포되었으며, 105인 사건에도 연루되어 만주와 시베리아로 망명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 사상에 공감하여 한인 사회당을 조직하고,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군무총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다. 소련으로부터의 독립 지원 자금 문제로 임시정부를 떠난 후, 시베리아에서 한인 사회를 통합하다가 1935년 인플루엔자로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건국훈장을 수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광복군정부 - 이동녕
    이동녕은 대한제국 시기 개화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으로, 독립협회, 신민회, 서전의숙, 신흥무관학교, 《대동신문》, 한국독립당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권 회복과 독립 운동에 헌신하며 임시정부를 이끌었다.
  • 대한광복군정부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 하빈 이씨 - 이찬원
    이찬원은 《내일은 미스터트롯》에서 3위를 차지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음반 활동을 하며, 2022년과 2023년 KBS 연예대상에서 수상하고 광고 모델로 활동하며 기부를 실천한다.
  • 하빈 이씨 - 이진주 (만화가)
    대한민국의 만화가 이진주는 《달려라 하니》, 《슈퍼마켓 맹순이》, 《8동 808호 맹순이》 등의 대표작을 냈으며, 특히 《달려라 하니》는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고 《하니야 하늘땅 별땅》으로 한국만화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했다.
  • 한국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참석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한국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참석자 - 김시현 (1883년)
    김시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및 제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이동휘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한글 이름이동휘
한자 이름李東煇
로마자 표기Yi Dong-hwi
출생일1873년 6월 20일
출생지조선 함경도 단천군
사망일1935년 1월 31일
사망지소비에트 연방 프리모르스키 지역 블라디보스토크
국적대한민국
본관하빈
종교유교(성리학)→개신교(감리회)
부모이승교(부)
친인척오영선(사위)
군사 경력
복무대한제국 육군
복무 기간1896년~1907년
계급대한제국 육군 참령
지휘대한제국 육군 작전장교
학력
학력한성부 한성무관학교 졸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졸업
정치 활동
소속 정당무소속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책직책: 국무총리
대수: 2
대통령: 이승만 임정 대통령
임기: 1919년 9월 11일~1921년 3월 16일
직책: 외무총장
임기: 1920년 7월 31일~1920년 9월 27일
총리: 이동휘 국무총리 겸직
대통령: 이승만 임정 대통령
차관: 정인과 외무차장
훈장
서훈건국훈장 대통령장

2. 생애

함경도 단천에서 하급 관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안창호의 계몽사상에 감화되어 신민회, 서북학회 등에 참여하였다. 젊은 시절부터 개화운동에 참여하여 명성을 얻었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에 반발하여 부하들이 봉기하였으나[4],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고 이전부터 반일 집회를 열었던 혐의로 체포되었다. 1911년 105인 사건에도 연루되었고, 이후 만주, 시베리아로 망명하였다. 조선 독립운동의 지도자로 활동하였으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주민 선동죄로 투옥되었다.

러시아 혁명으로 사면된 후 공산주의 사상에 공감하여 노농 러시아와의 연대를 내걸고 1918년 하바롭스크에서 한인 사회당을 조직하였다. 한인 사회당은 1921년 상하이에서 고려공산당(상하이파)[5]로 개편되었다. 1919년 삼일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초대 군무총장, 국무총리, 부통령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922년 코민테른이 워싱턴 군축 회의에 대항하여 개최한 극동 여러 민족 대회에 조선 대표로 참석하여 노농 러시아와 상하이 임시정부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며 외교적 능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소련으로부터의 독립 지원 자금을 둘러싼 보수파와의 갈등 과정에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상하이 임시정부와 관계를 끊은 후에는 시베리아 거주 조선인 사회의 원로로서 민족 집단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였다. 1935년, 인플루엔자블라디보스토크 근교에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건국 후, 대한민국 정부는 이동휘에게 건국훈장을 수여하였다. 현재까지 남북한 양국에서 존경받고 있다.

2. 1. 초년기 및 개화 운동

1873년 함경남도 단천에서 아전 이승교(李承橋)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하빈(河濱). 호는 성재(誠齋)이며 대자유(大自由)라는 이름도 썼다. 1891년경 18세 때 군수의 시중을 드는 통인(通人)으로 있다가 상경하여 이용익의 추천으로 1895년 한성무관학교(漢城武官學校)에 입학·수학한 뒤 육군 참령으로 진급하였다. 1902년 개혁당을 조직하여 개화운동을 했다. 1902년부터는 강화도 진위대장(鎭衛隊長)으로 활동하였다. 1907년 강화 진위대 참령으로 근무하면서 기독교 신자가 되었고, 전등사에서 의병을 일으키려다 실패했다. 그해 안창호 등과 신민회를 조직하여 항일 운동을 하다가 1911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3]

2. 2. 애국계몽운동

1906년 군직을 사임하고 강화도에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하고, 대한자강회 결성에 관여하는 등 민족주의 교육과 애국계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3]

1907년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대한제국이 일본제국의 준식민지화되자, 군 동지였던 연기우, 김동수 등과 함께 강화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투쟁할 것을 모의하였으나, 헤이그 특사 사건에 관련된 혐의로 일경에 체포되어 유배되었다.[4] 이후 미국인 선교사 벙커의 주선으로 그 해 10월 석방되었다.

석방 후 1908년 1월경 서북학회를 창립하는데 참여하고, 이동녕, 안창호, 양기탁, 이갑 등과 함께 비밀결사 신민회를 조직하여 계몽운동과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11년 이른바 105인 사건으로 함경도에서 다시 체포되어 황해도 무의도에 유배되었다.[5]

2. 3. 독립운동 및 사회주의 활동

1912년 가을, 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유배지를 탈출하여 북간도로 망명한 그는 김립, 계봉우 등과 함께 광성학교를 설립하여 민족주의 교육을 실시했다.[3] 또한 구례선 목사의 도움으로 북간도 전역에 기독교 선교사업을 진흥시키기도 하였다.

1913년 연해주로 거점을 옮긴 후, 블라디보스토크의 Shinhanchon|신한촌영어을 중심으로 조직된 권업회에 가담하여 이상설, 이갑, 신채호, 정재관 등과 함께 '독립전쟁론'에 입각한 민족해방투쟁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3]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제와 동맹한 러시아 제국이 재러시아 한국인들의 민족운동을 탄압하였다. 이에 이종호 등과 함께 중국 왕청현 라자우거의 한인촌으로 거점을 옮겨 대전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독립군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듬해 일제의 사주를 받은 중국 관헌의 탄압으로 무관학교는 해체되고, 그 또한 일제 관헌에게 쫓기는 몸이 되어 왕청현 하마탕의 한인촌에 숨어 요양하였다.[3]

1917년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다시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간 그는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활동하다가 독일 제국의 밀정으로 오인되어 케렌스키 임시정부 헌병대에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그러나 1918년 초 이 지역을 장악한 볼셰비키 가운데 한국인 출신으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하바롭스크시 책임비서, 원동소비에트 집행위원회 외교부장이었던 여성혁명가 김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 스탄케비치의 도움으로 풀려나 하바롭스크로 이주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그는 한국민족운동에 사회주의를 접목시키기 시작하였다.[3] 그리하여 1918년 5월 11일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을 조직하고 연해주에서 한인적위군을 편성하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3]

1919년 3·1 운동 직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문창범 등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으로 취임하여 동녕현에 독립군을 지휘할 임시군집부를 설치하고, 일본과 독립전쟁을 전개할 독립군 양성에 강한 추진력을 보였다.[3]

2. 4.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19년 3·1 운동 직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에 취임했다.[5] 같은 해 8월 상하이로 건너가 국무총리에 취임하여,[8] 임시정부 내 사회주의 세력 확산에 주력했다. 9월 11일 임시정부가 다시 개편되자 국무총리에 선임되었다. 그러나 대통령으로 선출된 반공주의이승만과 노선 갈등을 빚었다.

1921년 1월 말, 이동휘는 상해 임시정부의 개혁 여부를 둘러싸고 대통령 이승만이동녕, 이시영, 신규식 등 기호 출신 총장들, 그리고 안창호 등과 대립하여 상해 임시정부를 떠났다.[9] 이후 이동휘는 고려공산당(상하이파) 창당에 나섰다. 이동휘는 임정 탈퇴와 고려공산당 창당을 '민족운동'에서 '사회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이며 "그 방향이 정당하고 필연적으로 최후승리의 경로"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동지들 간에 호상분규가 있었음에도 무심자괴"하다고 스스로 비판했다. 또한 자신이 국무총리로 참여했던 상해 임시정부가 기성국가의 모습을 갖추고 "전 국민을 호령하는 너무도 우활하여, 기실은 지상공문이었다."라고 반성했다.[9]

2. 5. 임정 탈퇴 이후 및 고려공산당 활동

국민대표대회를 개최하여 사회주의 계열의 통합을 추진하였으나, 이동휘 자신이 중심이 되는 상해파와 여운형이 중심이 되는 이르쿠츠크파 간의 주도권 다툼으로 실패하였다.[5] 1921년 레닌이 보낸 독립자금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자금 전달책인 김립이 김구에게 살해되자 국무총리 직을 사임하고 임시정부를 떠났다.[5]

1922년 코민테른이 워싱턴 군축 회의에 대항하여 개최한 극동 여러 민족 대회에 조선 대표 중 한 명으로 참석하는 등, 소련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였다.[5]

2. 6. 최후

1935년, 인플루엔자블라디보스토크 근교에서 사망하였다.[3] 시베리아 거주 한인 사회의 원로로서 민족 집단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였다.

3. 사후

대한민국 정부는 이동휘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의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인정하여 199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3] 현재까지 남북한 양국에서 존경받고 있다.

4. 평가와 비판

최린은 이동휘를 "열렬하고 불같은 성격"의 훌륭한 장부로 평가했다.[10] 블라디미르 레닌은 "마르크스의 이념은 모르지만 훌륭한 혁명가"라고 평가했다.[10] 소련에 의탁하였던 친소적 성향과 자유시 참변에서 그의 측근들이 악영향을 끼쳤다는 부분에서 비판이 있다.

5. 기타

그는 김구에게 국제공산주의 운동을 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김구는 이를 제3국에 의탁하는 것이 아니냐며 그의 청을 거절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이동휘 선생 72주기 추모식 http://news.naver.co[...]
[2] 웹사이트 「李東輝」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22-07-13
[3] 뉴스 민(民) 군(軍)이 한몸이 된 강화도 봉기를 기억하다 http://www.ganghwane[...] 2013-07-02
[4] 웹사이트 신편한국사 근대 43권 국권회복운동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17-10-05
[5] 일반
[6] 일반
[7] 인물
[8] 뉴스 [실록 대한민국임시정부] 망명정부 수립서 환국까지(1919∼1945)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5-01-25
[9] 뉴스
[10] 서적 찢겨진 산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