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볼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볼 조약은 1108년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와 안티오키아 공작 보에몽 1세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다. 제1차 십자군 원정 이후 비잔티움 제국과 십자군 국가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려 했으나, 조약의 내용이 제대로 이행되지 못했다. 조약은 보에몽 1세가 알렉시오스 1세의 봉신이 되고 안티오키아를 비잔티움 제국에 종속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보에몽 1세의 사후 조약이 무효화되었다. 이후 비잔티움 제국은 안티오키아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십자군 국가들의 반발로 인해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데볼 조약
조약 정보
조약 명칭데볼 조약
로마자 표기Syntheke tes Deaboleos
유형조약
위치데볼 (현재 알바니아)
서명일1108년
발효일1108년
관련 전쟁제1차 십자군
교전 세력
교전 1보에몽 1세
교전 2알렉시우스 1세 콤네누스
조약 내용
주요 내용안티오크 공국은 동로마 제국의 봉신국이 됨.
조약 결과
영향안티오크 공국의 황제에 대한 봉신 맹세
안티오크 총대주교 임명에 대한 황제의 권한 인정

2. 배경

중세 미니어처 그림에 나타난 안티오크 포위전


1097년, 십자군 원정대는 유럽 전역에서 동쪽으로 여러 그룹으로 이동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집결했다. 알렉시오스 1세 황제는 셀주크 투르크와 싸우는 데 도움이 될 용병으로 서방 기사단 일부만을 요청했으나, 예상보다 큰 규모의 십자군이 도착하면서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 알렉시오스 1세는 십자군 지도자들에게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과거 제국의 영토였던 땅을 정복할 경우 제국에 반환하겠다는 맹세를 요구했고, 십자군들은 개별적으로 맹세했다. 그 대가로 알렉시오스는 그들에게 안내자와 군사 호위대를 제공했다.[1][2] 그러나 십자군들은 니케아 포위전에서 비잔티움 제국이 셀주크족과 항복을 협상하는 등의 전술에 격분했고, 알렉시오스가 소아시아 서부의 상당 부분을 회복하자 배신감을 느껴 비잔티움의 지원 없이 계속 나아갔다.[3]

1098년, 안티오크가 장기간의 포위 끝에 함락되고 십자군이 그 도시에서 포위되었을 때, 알렉시오스는 지원군을 이끌고 오다가 상황이 절망적이라는 말을 듣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갔다.[4] 예상치 못하게 포위를 견뎌낸 십자군은 알렉시오스가 자신들을 버렸다고 믿었고 비잔티움인들을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겨 맹세가 무효화되었다고 생각했다.[5][6]

1100년까지, 보에몽 1세가 1098년에 건설한 안티오키아 공국을 포함하여 여러 십자군 국가가 있었다. 알렉시오스는 안티오크가 중요한 항구 도시이자 무역 중심지이며, 안티오크 정교회 총대주교가 있는 정교회의 요새이기에 보에몽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안티오크는 예루살렘과 달리, 불과 수십 년 전에 제국으로부터 함락되었을 뿐이었기에, 알렉시오스는 1097년의 맹세에 따라 안티오크 공국이 제국에 반환되어야 한다고 믿고 보에몽을 몰아내려 했다.[7][8]

보에몽은 1100년 발렌스의 베르나르를 라틴 총대주교로 임명하고 그리스 총대주교 요한 옥시테를 축출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도피하게 함으로써 알렉시오스와 정교회 모두에게 더 큰 모욕을 가했다.[9] 얼마 후, 보에몽은 시리아의 다니슈멘드족에게 포로로 잡혀 3년 동안 투옥되었고, 그 동안 안티오크 시민들은 그의 조카인 갈릴리 공 탕크레드를 섭정으로 선택했다.[10] 보에몽이 석방된 후, 1104년 하란 전투에서 셀주크족에게 패배하면서 셀주크족과 비잔티움 양쪽으로부터 안티오크에 대한 압력이 증가했다.[1]

보에몽은 탕크레드에게 안티오크를 맡기고 서쪽으로 돌아가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순회하며 증원군을 모았다. 그는 교황 파스칼 2세[11]와 그의 딸과 결혼한 프랑스의 필립 1세[8]의 지원을 받았다. 보에몽의 노르만 친척들은 30년 이상 비잔티움 제국과 갈등을 빚어 왔으며, 그의 아버지인 로베르 기스카르는 제국의 가장 강력한 적 중 하나였다. 보에몽이 자리를 비운 동안 알렉시오스는 안티오크와 실리키아의 도시들을 재점령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다. 1107년, 보에몽은 시리아의 무슬림에 대한 새로운 십자군 원정을 계획하는 대신 알렉시오스에 대한 공개적인 전쟁을 시작하여 아드리아 해를 건너 제국의 가장 서쪽 도시인 디라키움을 포위했으나,[12] 알렉시오스는 전투를 피했고, 보에몽의 포위 공격은 전염병으로 인해 실패했다.[13] 보에몽은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바다를 통한 탈출이 차단되었고, 파스칼 2세는 지원을 철회하면서 디라키움 앞에서 고립되었다.[14]

2. 1. 제1차 십자군 원정과 비잔티움 제국

제1차 십자군 원정은 1096년 서유럽의 기독교 세력이 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해 일으킨 원정이다.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셀주크 투르크의 위협에 맞서 서유럽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으나, 예상보다 훨씬 큰 규모의 십자군이 도착하면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알렉시오스 1세는 십자군 지도자들에게 충성 서약을 받고, 십자군이 정복한 영토를 제국에 반환하도록 요구했다.[1] 십자군들은 집단이 아닌 개별적으로 맹세했고, 알렉시오스는 그 대가로 안내자와 군사 호위대를 제공했다.[2] 그러나 십자군들은 비잔티움 제국의 전술에 격분했다. 예를 들어 십자군은 니케아를 포위, 약탈하여 여정 자금을 조달하려 했으나, 비잔티움 제국이 셀주크 족과 협상하여 항복을 받아낸 것이다.[3]

2. 2. 안티오크 공방전과 보에몽 1세

1098년 십자군은 오랜 공방전 끝에 안티오크를 점령했지만, 이후 셀주크 투르크 군대에 의해 다시 포위되었다. 십자군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안티오크를 지켜냈지만, 이 과정에서 알렉시오스 1세가 지원을 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잔티움 제국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16] 보에몽 1세는 알렉시오스 1세의 영토 반환 요구를 거부하고 안티오크 공국을 세워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 했다. 보에몽은 안티오크의 라틴 총대주교를 임명하고,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를 추방하는 등 비잔티움 제국과의 갈등을 심화시켰다.[19][20]

2. 3. 보에몽 1세의 유럽 원정과 비잔티움 제국 침공

안티오크 공국의 지위를 강화하고 추가 지원을 얻기 위해 보에몽 1세는 유럽으로 돌아갔다. 그는 유럽에서 교황과 프랑스 왕의 지지를 얻어 새로운 십자군 원정을 계획했으나, 실제로는 이 병력을 비잔티움 제국 공격에 사용했다. 1107년, 보에몽 1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서쪽 도시인 디라키움을 공격했으나, 알렉시오스 1세의 전략과 전염병으로 인해 실패했다.

3. 데볼 조약의 체결

소아시아와 1140년경의 십자군 국가들


데볼 조약은 알렉시오스 1세에게 유리하게 작성되었으며, 안티오크 공국과 그 영토가 결국 비잔티움 제국에 병합될 것을 규정하였다.[26] 알렉시오스는 보에몽 1세를 안티오크에서 몰아낼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를 비잔티움 통치 체계에 편입시켜 제국의 이익을 위해 활용하려 했다.[27] 보에몽은 황제(알렉시오스 또는 미래의 요한 2세)가 어떤 이유로든 합의를 파기하기로 결정하지 않는 한, 사망할 때까지 "두크스"(doux) 칭호를 유지하며 안티오크를 보유할 수 있었다. 보에몽 사후에는 안티오크 공국이 직접적인 비잔티움 통치로 환원될 예정이었다. 따라서 보에몽은 안티오크에 왕조를 세울 수 없었지만, 에데사 백국과 시리아 내륙에서 획득한 다른 영토들을 상속인에게 물려줄 권리는 보장받았다.[26]

보에몽의 영토는 성 시메온과 해안, 바그라스(Baghras)와 아르타(Artah) 도시, 그리고 자벨 아스-수막(Jebel as-Summaq)의 라틴인 소유지들을 포함했다. 하지만 라타키아와 키리키아는 직접적인 비잔티움 통치로 환원될 예정이었다. 토마스 아스브리지(Thomas Asbridge)는 황제가 보에몽에게 부여한 영토의 상당 부분(알레포 포함)은 여전히 무슬림의 손에 있었으며(예를 들어, 당시 보에몽이나 알렉시오스는 에데사를 통제하지 못했지만, 탄크레드가 안티오크와 에데사에서 섭정을 맡고 있었다.), 이는 보에몽이 조약으로 큰 이득을 얻었다는 릴리(Lilie)의 평가와 상반된다고 지적했다.[28] 레네 그루세(René Grousset)는 이 조약을 "독재(Diktat)"라고 부르지만, 장 리샤르(Jean Richard)는 보에몽이 복종해야 했던 봉건법 규칙이 "결코 굴욕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강조한다.[21] 존 W. 버켄마이어(John W. Birkenmeier)는 이 조약이 알렉시오스가 새로운 군대와 그것을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전술 교리를 개발한 시점을 나타내지만, 비잔티움의 정치적 성공은 아니었다고 평가하며, "이는 보에몽의 자유를 대가로 효과적일 수 없는 남부 이탈리아의 명목상의 지배권과 결코 실행될 수 없는 안티오크 점령을 얻은 것"이었다고 덧붙였다.[29]

3. 1. 협상 과정

1108년, 알렉시오스 1세보에몽 1세에게 협상을 제안했고, 보에몽은 자신의 불리한 상황을 인지하고 협상에 응했다. 협상은 디아볼리스(데볼)에서 진행되었으며, 비잔티움 측의 니케포로스 브리엔니오스가 협상을 주도했고, 안나 콤네나가 기록을 남겼다.[26]

조약의 조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다. 폴 마달리노(Paul Magdalino)와 랄프-요하네스 릴리(Ralph-Johannes Lilie)는 안나 콤네나가 재현한 조약이 서구 봉건 관습에 대한 놀라운 친숙함을 보여주며, 그리스인이 작성했든, 제국 봉사 중인 라틴인이 작성했든, 동지중해의 현황(status quo)에 대한 서구의 관점을 세심하게 고려하고 있었다고 평가했다.[30] 반면에, 아스브리지는 조약이 그리스와 서구의 선례 모두에서 유래했으며, 알렉시오스가 안티오크를 프로노이아(pronoia) 체제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를 원했다고 주장한다.[28]

3. 2. 조약의 주요 내용

보에몽 1세는 알렉시오스 1세와 그의 후계자인 요한 2세의 봉신이 되기로 맹세했다.[26] 보에몽 1세는 비잔티움 제국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고, 매년 200탈란트의 공물을 바치기로 했다.[26] 그는 안티오크 공작(doux) 지위를 인정받았지만, 안티오크는 비잔티움 제국의 봉토로 간주되었다.[26] 또한 라오디케이아와 킬리키아 지역을 비잔티움 제국에 반환해야 했다.[28]

보에몽의 영토는 성 시메온과 해안, 바그라스(Baghras)와 아르타(Artah) 도시, 그리고 자벨 아스-수막(Jebel as-Summaq)의 라틴인 소유지들을 포함했지만, 라타키아(Latakia)와 키리키아(Cilicia)는 비잔티움의 직접 통치령으로 귀속될 예정이었다.[28]

조약에 따라 안티오크에는 콘스탄티노플 대주교의 제자들 중에서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를 임명해야 했다.[26]

3. 3. 조약의 성격과 해석

데볼 조약은 알렉시오스 1세에게 유리하게 작성되었으며, 안티오크 공국과 그 영토를 비잔티움 제국에 병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26] 알렉시오스 1세는 보에몽 1세를 안티오크에서 몰아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그를 비잔티움 통치 체계에 편입시켜 제국의 이익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였다.[27]

보에몽 1세는 황제가 합의를 파기하지 않는 한, 사망할 때까지 "두크스"(doux) 칭호를 유지하며 안티오크를 보유할 수 있었다. 보에몽 1세 사후에는 안티오크 공국이 직접적인 비잔티움 통치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따라서 보에몽 1세는 안티오크에 왕조를 세울 수 없었지만, 에데사 백국과 시리아 내륙에서 획득한 다른 영토들을 상속인에게 물려줄 권리는 보장받았다.[26]

보에몽 1세의 영토는 성 시메온과 해안, 바그라스(Baghras)와 아르타(Artah) 도시, 그리고 자벨 아스-수막(Jebel as-Summaq)의 라틴인 소유지들을 포함했다. 하지만 라타키아킬리키아는 직접적인 비잔티움 통치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토마스 아스브리지(Thomas Asbridge)는 황제가 보에몽 1세에게 부여한 영토의 상당 부분(알레포 포함)은 여전히 무슬림의 손에 있었으며, 이는 보에몽 1세가 조약으로 큰 이득을 얻었다는 릴리(Lilie)의 평가와 상반된다고 지적했다.[28] 레네 그루세(René Grousset)는 이 조약을 "독재(Diktat)"라고 불렀지만, 장 리샤르(Jean Richard)는 보에몽 1세가 복종해야 했던 봉건법 규칙이 "결코 굴욕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강조한다.[21] 존 W. 버켄마이어(John W. Birkenmeier)는 이 조약이 알렉시오스 1세가 새로운 군대와 그것을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전술 교리를 개발한 시점을 나타내지만, 비잔티움의 정치적 성공은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는 보에몽의 자유를 대가로 효과적일 수 없는 남부 이탈리아의 명목상의 지배권과 결코 실행될 수 없는 안티오크 점령을 얻은 것"이라고 평가했다.[29]

조약의 조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다. 폴 마달리노(Paul Magdalino)와 랄프-요하네스 릴리(Ralph-Johannes Lilie)는 "안나 콤네나가 재현한 조약은 서구 봉건 관습에 대한 놀라운 친숙함을 보여준다. 그리스인이 작성했든, 제국 봉사 중인 라틴인이 작성했든, 그것은 동지중해의 현황(status quo)에 대한 서구의 관점을 세심하게 고려하고 있었다."라고 평가했다.[30] 알렉시오스 1세가 탄크레드에게 조약을 강요하기 위해 취한 외교적 노력(예: 1110-1111년 피사와 체결한 조약, 1112년 파스칼 2세와의 교회 연합 협상)도 마찬가지였다.[31] 반면에, 아스브리지는 최근 조약이 그리스와 서구의 선례 모두에서 유래했으며, 알렉시오스 1세는 안티오크를 프로노이아 체제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를 원했다고 주장한다.[28]

4. 조약의 결과와 영향

보에몽 1세시칠리아로 가서 1111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결국 데볼 조약은 이행되지 않았다.[32] 보에몽의 조카인 탕크레드는 조약을 준수하기를 거부했다.[33] 십자군은 알렉시오스 1세가 교활하고 신뢰할 수 없다고 믿었으며, 조약의 내용은 탕크레드를 안티오키아의 불법 점유자로 명시했고, 알렉시오스는 보에몽이 그를 통제하기를 기대했다. 탕크레드는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가 도시에 들어오는 것 또한 허용하지 않았다.

이후 안티오키아와 인접한 킬리키아 도시들의 지위 문제는 수년간 비잔티움 제국을 괴롭혔다. 비록 데볼 조약은 효력을 잃었지만, 이후 30년간 십자군과의 협상에서 비잔티움 제국의 요한 2세와 마누엘 1세는 이 조약을 근거로 안티오키아에 대한 제국의 주장을 펼쳤다.[34]

발칸 국경에서는 데볼 조약으로 알렉시오스 통치 기간과 그 이후 아드리아 해 남부 연안에 대한 노르만족의 위협이 종식되었다. 국경 방어의 효율성은 12세기 대부분 동안 디라키움을 통한 추가 침략을 막는 데 기여했다.[43]

4. 1. 조약의 이행 실패

보에몽 1세는 안티오키아로 돌아가지 않고 시칠리아에서 1111년에 사망했다. 신중하게 작성된 조약의 조항들은 결코 이행되지 않았다.[32] 보에몽의 조카인 탕크레드는 조약을 준수하기를 거부했다.[33] 탕크레드는 정복권에 의해 안티오키아가 자신의 것이며, 십자군에 참여하지도 않은 사람에게 도시를 넘겨줄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십자군은 알렉시오스가 보에몽을 속여 안티오키아를 넘겨받았다고 생각했고, 알렉시오스를 교활하고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겼다. 조약은 탕크레드를 안티오키아의 불법 점유자로 언급했고, 알렉시오스는 보에몽이 탕크레드를 축출하거나 통제하기를 기대했다. 탕크레드는 또한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가 안티오키아에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대신 콘스탄티노플에 그리스 총대주교들이 임명되어 명목상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데볼 조약이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지만, 이 조약은 이후 30년 동안 십자군과의 비잔티움 제국 협상과 요한 2세, 마누엘 1세 통치 기간 동안 안티오키아에 대한 제국의 주장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했다.[34] 1137년 요한 2세는 군대를 이끌고 안티오키아를 포위하여 자신의 권위를 행사하려 했다.[35] 안티오키아 시민들은 협상을 시도했지만, 요한 2세는 도시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36] 예루살렘 왕 풀크의 허락을 받은 후, 안티오키아의 왕자 레이몽은 요한 2세에게 도시를 항복하는 데 동의했다.[36] 레이몽이 요한에게 충성을 맹세한 이 협정은 명시적으로 데볼 조약에 근거했지만, 그 이상이었다. 레이몽은 황제에게 안티오키아로의 자유로운 입장을 약속했고, 알레포, 샤이자르, 홈스, 하마를 무슬림으로부터 정복하는 대로 이들 도시를 넘겨주는 대가로 이들 도시의 투자를 약속했다. 그러면 레이몽은 새로 정복한 지역과 안티오키아를 다스릴 것이고, 안티오키아는 직접적인 제국 통치로 회귀할 것이었다.[37] 그러나 이 원정은 에데사 백작 조셀랭 2세가 제대로 협력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실패했다. 요한이 안티오키아를 점령하려고 하자, 두 왕자는 폭동을 조직했다.[38] 요한은 1138년 콘스탄티노플로 소환되어 떠나야 했다.[39] 요한은 1142년에 작전을 반복했지만 예상치 못하게 사망했고, 비잔틴 군대는 철수했다.[39]

1158년이 되어서야 마누엘 1세가 왕자 샤티용의 레날드에게 비잔틴 키프로스 공격에 대한 처벌로 충성을 맹세하게 한 후에야 안티오키아가 진정으로 제국의 봉신이 되었다.[41] 그리스 총대주교가 복귀되었고, 라틴 총대주교와 동시에 통치했다.[42]

4. 2. 비잔티움 제국의 지속적인 노력

보에몽은 안티오키아로 돌아오지 않았고, 1111년 시칠리아에서 사망하면서 데볼 조약의 조항들은 이행되지 않았다.[32] 보에몽의 조카 탕크레드는 조약을 거부했다.[33] 탕크레드는 안티오키아가 정복권에 의해 자신의 것이며, 십자군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던 사람에게 넘겨줄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안티오키아와 인접한 킬리키아 도시들의 지위 문제는 이후 제국을 괴롭혔다. 데볼 조약은 효력을 잃었지만, 이후 30년 동안 십자군과의 비잔티움 제국 협상, 요한 2세와 마누엘 1세 통치 기간 동안 안티오키아에 대한 제국의 주장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했다.[34]

요한 2세는 1137년 군대를 이끌고 안티오키아로 가서 도시를 포위하고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35] 예루살렘 왕 풀크의 허락을 받은 안티오키아의 왕자 레이몽은 요한에게 도시를 항복하고 충성을 맹세했다.[36] 이 협정은 데볼 조약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며, 레이몽은 안티오키아에 대한 제국 봉신으로 인정받았다. 레이몽은 황제에게 안티오키아 자유 입장, 알레포, 샤이자르, 호므스, 하마를 정복하면 넘겨주는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 원정은 조셀랭 2세의 비협조와 반란으로 실패했고, 요한은 1138년 콘스탄티노플로 돌아갔다.[38] 요한은 1142년 다시 원정을 시도했지만 사망하여 비잔티움 군대는 철수했다.[39]

비잔틴 보호하의 안티오키아(1159-1180)


1158년, 마누엘 1세는 안티오키아 공국의 왕자 샤티용의 레이날드에게 키프로스 공격에 대한 처벌로 충성을 맹세하게 하여 안티오키아는 제국의 봉신이 되었다.[41] 그리스 총대주교가 복귀되었고, 라틴 총대주교와 동시에 통치했다.[42] 1180년 마누엘 1세가 사망할 때까지 안티오키아 공국은 비잔티움 제국의 봉신국으로 남아있었다.

5. 역사적 의의

데볼 조약은 중세 시대 비잔티움 제국과 서유럽 십자군 국가들 간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이 조약은 비잔티움 제국이 십자군 국가들을 제국의 영향력 아래 두려고 시도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관점에서는, 이 조약이 서구 중심의 역사에서 벗어나 다양한 세력 간의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중세 시대의 외교와 권력 투쟁이 현대 국제 관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Latin Church of the Early Crusades
[2] 서적 The Alexiad http://www.fordham.e[...]
[3] 서적 The First Crusade
[4] 서적 The First Crusade
[5] 서적 The First Crusade
[6] 서적 The Alexiad http://www.fordham.e[...]
[7] 문서 Raymond of Aguilers reports that Raymond de St.-Gilles opposed Bohemond's retention of Antioch
[8] 서적 The Byzantine Empire, 1025–1118
[9] 웹사이트 Byzantine Perceptions of Latin Religious "Errors" http://www.doaks.org[...] 2008-10-01
[10] 서적 The First Crusade
[11] 웹사이트 Paschal II and Tancred and Bohemond http://www.leeds.ac.[...] 2009-03-26
[12] 서적 The Alexiad, The Byzantine Empire, 1025–1118,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http://www.fordham.e[...]
[13] 서적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14] 서적 The Byzantine Empire, 1025–1118, The First Crusade
[15] 서적 The Alexiad,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http://www.fordham.e[...]
[16] 서적 The Alexiad http://www.fordham.e[...]
[17] 서적 The Alexiad http://www.fordham.e[...]
[18] 서적 The Alexiad,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http://www.fordham.e[...]
[19] 서적 The Crusades, c.1071 – c.1291
[20] 서적 The Alexiad,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http://www.fordham.e[...]
[21] 서적 The Crusades, c.1071 – c.1291
[22] 서적 The Alexiad http://www.fordham.e[...]
[23] 서적 The Alexiad http://www.fordham.e[...]
[24] 웹사이트 Latins and Franks in Byzantium http://www.doaks.org[...] 2008-10-01
[25] 웹사이트 Expedition to Jerusalem http://gallica.bnf.f[...]
[26] 서적 The Empire of Manuel I Komnenos
[27] 서적 Crusading and the Crusader States, The Empire of Manuel I Komnenos
[28] 서적 Crusading and the Crusader States
[29]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Komnenian Army
[30] 서적 The Empire of Manuel I Komnenos, Crusading and the Crusader States
[31] 서적 The Empire of Manuel I Komnenos
[32] 서적 The First Crusade, Byzantium's Balkan Frontier
[33] 서적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34]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Komnenian Army, The Crusades and Byzantium
[35] 서적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36] 서적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37] 서적 Crusading and the Crusader States
[37] 서적 The Empire of Manuel I Komnenos
[38] 서적 The Crusades, c.1071 – c.1291
[39] 서적 The Crusades, c.1071 – c.1291
[40]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Komnenian Army
[40] 서적 The Empire of Manuel I Komnenos
[40] 웹사이트 John II Comnenus (A.D. 1118–1143) http://www.roman-emp[...]
[41] 서적 William of Tyre and the Byzantine Empire
[41] 서적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41] 웹사이트 Historia XVIII http://thelatinlibra[...]
[42] 서적 Byzantium:The Decline and Fall
[43] 서적 Byzantium's Balkan Front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