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립파는 17세기 잉글랜드에서 잉글랜드 국교회의 분리파로 시작하여, 청교도 혁명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 세력이었다. 잉글랜드 내전 발발 이후, 독립파는 의회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으며, 올리버 크롬웰을 중심으로 뉴 모델 아미를 장악하여 혁명을 주도했다. 찰스 1세 처형과 잉글랜드 연방 수립에 기여했으나, 왕정복고 이후 탄압을 받았다. 독립파는 종교적 자유와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수가 북미 식민지로 이주하여 그곳의 종교 및 정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독립파 | |
---|---|
독립파 | |
다른 이름 | 회중교회 |
종교적 분류 | 개신교 |
기원 | 16세기 말 잉글랜드 |
창시자 | 로버트 브라운 헨리 배로 존 그린우드 |
신학적 방향 | 칼뱅주의 언약 신학 |
예배 형태 | 비전례적 |
정치 체제 | 회중 정치 |
분포 지역 |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바누아투 투발루 기타 |
분리된 교회 | 침례교 유니테리언주의 유니버설주의 |
역사적 중요 인물 | |
신학자 | 존 오언 코튼 매더 조나단 에드워즈 제임스 데니 |
목사 | 헨리 워드 비처 리먼 비처 찰스 그랜드슨 핀니 데이비드 마틴 로이드존스 |
선교사 | 데이비드 리빙스턴 아도니람 저드슨 |
기타 | 윌리엄 브래드포드 (플리머스 식민지 총독) 존 행콕 (미국 독립 선언 서명자) 새뮤얼 애덤스 (미국 독립 운동가)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분리주의자 회중주의 재세례파 청교도 |
2. 역사적 배경
1642년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하자, 잉글랜드 의회의 대의는 잉글랜드 교회의 전통적인 구성원, 이를 장로교 정치 체제로 개혁하려는 사람들, 그리고 국가 교회의 개념을 거부하는 독립파들 사이의 불안정한 연합에 의해 지지받았다. 존 핌이 이끄는 장로교는 전쟁 전과 초기 몇 년 동안 우세를 보였다. 그러나 1643년 엄숙 동맹 및 언약에 대한 스코틀랜드 코버넌터들과의 협상에서 드러났듯이, 독립파는 장로교가 자신들에게 강요되는 것을 막을 만큼 충분히 강력했다.
독립파는 1645년 뉴 모델 아미가 창설된 후 세력이 커졌는데, 그 구성원들이 많은 주요 직책을 맡았고, 올리버 크롬웰이 가장 유명했다. 그 결과, 덴질 홀리스, 초대 홀리스 남작과 같은 온건한 잉글랜드 장로교와 스코틀랜드 코버넌터들은 그들을 기사당보다 더 위험한 존재로 여기게 되었고, 이들 집단 간의 동맹은 1648년 제2차 잉글랜드 내전으로 이어졌다. 의회파의 승리 후, 1648년 12월 군대 내의 독립파 동조자들은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알려진 사건에서 의회에서 반대파를 제거하는 데 기여했다. 이 행동은 약 50명의 독립파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소위 "잔여 의회"를 만들어 1649년 1월 찰스 1세 처형을 승인하고 잉글랜드 연방을 창설했다. 그들은 1660년 스튜어트 왕정복고 직전까지 잉글랜드 정치를 지배했다.
1661년에 출범한 기사당 의회는 전 기사당과 온건 의회파가 지배했으며, 이들은 클래런던 법전을 시행했다. 이는 심사법과 결합되어 모든 비국교도가 문무관직을 맡는 것을 배제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는 것을 막았다.
많은 비국교도들이 나중에 북미 식민지로 이주했다.[2]
2. 1. 발단 (17세기 초)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잉글랜드 국교회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청교도 운동의 흐름 속에서 독립파가 탄생했다.[3][4] 장로회는 국교회 개혁을 추구한 반면, 로버트 브라운 등의 분리파는 국교회로부터의 완전한 분리를 주장했다.[3][4] 분리파의 일파인 회중파는 독립파로 불리게 되었으며, 침례교, 재세례파, 제5왕국파 등 다양한 분파를 낳았다.[3][4]찰스 1세와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로드의 청교도 탄압으로 인해 독립파는 네덜란드와 북아메리카·뉴잉글랜드의 매사추세츠만 식민지로 망명하여 세력을 확장했다.[5] 워릭 백작로버트 리치 등의 귀족과 신흥 상인들의 지원을 받아 뉴잉글랜드로 이주한 독립파 청교도들은 청교도 혁명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5]
케임브리지 대학교출신의 독립파 지도자들은 망명과 귀국을 통해 독립파 형성에 기여했다. 토머스 굿윈/Thomas Goodwin영어, 윌리엄 브리지/William Bridge영어, 제레마이어 버로우스/Jeremiah Burroughs영어, 시드라크 심슨/Sidrach Simpson영어, 필립 나이/Philip Nye영어 등의 인물들은 1644년 "변명의 말"을 통해 독립파 형성에 기여하였다.[6][7] 존 코튼/John Cotton (minister)영어과 같은 인물은 미국 망명중에도 통신을 통해 잉글랜드와 유대를 유지했다.[6][7]
독립파 청교도들은 망명지에서 독립 교회를 통해 포교 활동을 펼치며, 천년 왕국 사상을 바탕으로 혁명의 정당성을 설파하며 새로운 사회에 대한 기대를 확산시켰다.[8]
2. 2. 청교도 혁명 (17세기 중반)
1640년 장기 의회에서 윌리엄 로드가 탄핵되면서, 독립파 청교도들이 잉글랜드로 귀국하여 혁명에 참여했다.[9] 존 핌, 존 햄던, 헨리 베인, 올리버 크롬웰, 헨리 아이어턴 등은 정치적 독립파로, 종교적 독립파와 결합하여 군사 개혁을 통해 군대를 장악하고 혁명을 주도했다.[10][11]1642년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하자, 잉글랜드 의회파는 장로교와 독립파로 분열되어 대립했다.[12] 독립파는 1643년 엄숙 동맹 및 언약에 대한 스코틀랜드 코버넌터들과의 협상에서 장로교가 강요되는 것을 막을 만큼 충분히 강력했다.
독립파는 뉴 모델 군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했다.[12] 1644년 동부 연합 사령관 맨체스터 백작의 태만을 부사령관 크롬웰이 의회에서 비난했고, 의회에서도 장로파와 독립파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1645년 뉴 모델 군 창설, 사퇴 조례 제정 등으로 독립파가 기세를 올리고, 네이스비 전투에서 왕당파를 격파하여 1646년 내전에서 승리하면서 장로파에게 위협을 가했다.[12][13]
1647년 아이어턴 등 독립파가 『건의 요목』을, 평등파가 『인민 협정』을 기안했고, 퍼트니 논쟁에서 양측이 대립했으나, 크롬웰이 평등파 폭동을 진압하고 군을 장악했다. 1648년 프라이드의 숙청을 통해 장로파를 추방하고 럼프 의회를 구성하여 혁명의 주도권을 장악했다.[14][15] 1649년 찰스 1세를 처형하고 잉글랜드 공화국을 수립했다.[14][15]
2. 3. 공화정 시대와 왕정복고 (17세기 후반)
1642년 잉글랜드 내전 발발 이후, 잉글랜드 의회는 잉글랜드 교회의 전통적인 구성원, 장로교 정치 체제로 개혁하려는 사람들, 그리고 국가 교회의 개념을 거부하는 독립파 사이의 불안정한 연합으로 유지되었다.[2] 존 핌이 이끄는 장로파는 전쟁 초기 몇 년 동안 우세했지만, 1643년 엄숙 동맹 및 언약에 대한 스코틀랜드 코버넌터들과의 협상에서 나타났듯이, 독립파는 장로파가 자신들에게 강요되는 것을 막을 만큼 충분히 강력했다.1645년 뉴 모델 아미가 창설된 후, 올리버 크롬웰을 필두로 독립파는 세력을 확장했다. 덴질 홀리스, 초대 홀리스 남작과 같은 온건한 잉글랜드 장로파와 스코틀랜드 코버넌터들은 독립파를 기사당보다 더 위험한 존재로 간주했고, 이들 집단 간의 동맹은 1648년 제2차 잉글랜드 내전으로 이어졌다. 의회파의 승리 이후, 1648년 12월 군대 내 독립파 동조자들은 프라이드의 숙청을 통해 의회에서 반대파를 제거했다. 이로 인해 약 50명의 독립파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잔여 의회가 구성되었고, 1649년 1월 찰스 1세 처형과 잉글랜드 연방 창설을 승인했다.
국무회의 의장, 뉴 모델 군 부사령관(후에 사령관)으로서 군과 독립파에서 두각을 나타낸 크롬웰은 평등파의 폭동을 진압했고, 왕당파의 아일랜드・스코틀랜드를 각각의 원정(크롬웰의 아일랜드 침략・제3차 잉글랜드 내전)으로 평정하여, 1651년 우스터 전투에서 내전에 종지부를 찍었다.[16] 그러나 보수파가 주류가 된 럼프 의회는 크롬웰 등 군과 대립하여 1653년 4월에 해산되었고, 7월에 크롬웰은 제5왕국파와 독립 교회 등의 협력으로 베어본즈 의회를 소집했지만, 12월에 해산하고 군의 지원으로 호국경이 된 크롬웰 아래에서 호국경 시대가 시작되었다. 독립파는 존 오웬/John Owen (theologian)영어 등과 함께 호국경 정권에 협력했지만, 종래부터의 의회와 군의 대립은 계속되었다.[16]
독립파는 크롬웰 등과 결합하여 혁명을 지원했다. 종군 목사로서 혁명에 몰두한 피터는 종종 설교에서 뉴 모델 군 병사나 의원들을 고무하고, 장로파 논객과 토론하여 독립파의 입장을 변호하거나, 찰스 1세 처형을 정당화하는 설교를 하여 독립파를 지원했다. 또한 공화국 아래에서 공직에 복귀한 굿윈도 종교 정책에서 크롬웰에게 협력하여,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의 학장으로 임명되어 오웬, 피터와 함께 사보이 선언을 기초하여 독립파의 세력 확장에 진력했다.[17][18]
1658년 크롬웰 사망 이후, 1660년 스튜어트 왕정복고가 이루어지면서 퓨리턴에 대한 반동으로 국교회가 복권되고 퓨리턴에 대한 탄압이 다시 시작되었다. 굿윈과 브리지는 공직에서 추방되었고, 피터는 왕 살해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음에도 찰스 1세 처형 재판을 적극적으로 찬성했다는 이유로 처형되었다. 클래런던 법전 제정으로 독립파는 탄압받고 쇠퇴했다.[19]
3. 주요 인물
3. 1. 종교적 독립파
3. 2. 정치적 독립파
4. 주요 사건
4. 1. 프라이드의 숙청 (1648)
4. 2. 찰스 1세 처형 (1649)
4. 3. 클래런던 법전 (1661)
1660년의 왕정 복고로 퓨리턴에 대한 반동이 일어나, 국교회가 복권되어 다시 퓨리턴에 대한 탄압이 행해졌다.[19] 클래런던 법전 제정으로 독립파는 탄압받아 쇠퇴했다. 심사법(Test Act)과 함께 비국교도가 공직에 진출하거나 대학에서 학위를 받는 것을 금지했다.5. 영향
5. 1. 종교적 자유와 민주주의
5. 2. 북미 식민지 이주
참조
[1]
웹사이트
Independent/Congregationalists
https://welshchapels[...]
Addoldai Cymru
2024-07-21
[2]
웹사이트
Puritans in Colonial Virginia
https://www.encyclop[...]
2020-01-01
[3]
문서
松村、P352
[4]
문서
岩井(1995)、P109、清水、P9、P29。岩井(2015)、P90
[5]
문서
清水、P10 - P12、岩井(2015)、P11 - P12、P74 - P77、P87 - P91
[6]
문서
初めは信仰心が揺らいでいた者もおり、グッドウィンは一時[[アルミニウス主義]]へ接近、それを振り切ってピューリタンになった後も公職に就いて国教会に忠実だった。しかしロード派によるピューリタン弾圧に引っ掛かり、国教会への忠誠を拒否して公職を去ってからは他の独立派牧師と共に亡命と布教生活を送り、コットンの説得で独立派に傾倒、ロードが議会に排除されてから独立派で台頭していった。ナイも後にコットンによって独立派に改宗した。岩井(2015)、P93 - P94、P114 - P115
[7]
문서
岩井(1995)、P92 - P95、P108 - P110、岩井(2015)、P91 - P95、P98 - P100、P220 - P221
[8]
문서
岩井(1995)、P79、P110 - P112、岩井(2015)、P118、P130 - P133
[9]
문서
岩井(1995)、P83、P104 - P107、岩井(2015)、P100 - P103、P133 - P135
[10]
문서
ただし、宗教的独立派と政治的独立派が一致するかどうかについては現在も論争が続いている。また、ピムが死亡するとそれまでの議会多数派だった中間派が解体、この時から長老派と独立派の対立が始まるため、独立教会主義者が独立派とも限らない。今井、P204、岩井(2015)、P141 - P142
[11]
문서
松村、P352 - P353、清水、P12、P44 - P45、P73 - P74、岩井(2015)、P113
[12]
문서
松村、P353
[13]
문서
今井、P204 - P209、川北、P194 - P195、松村、P352 - P353、清水、P60、P74、P80 - P97
[14]
문서
しかし、平等派を始め独立派とは別の分離派(バプテスト、[[アナバプテスト]]、[[真正水平派]])は共和国に反対、[[クエーカー]]も共和国に抵抗して弾圧された。一時共和国と協力した第五王国派も反対派に加わり、国内に常に不満分子を抱え、オランダなど外国からの反発もあり、共和国は孤立し当初から危機に立たされていた。今井、P221 - P222、川北、P198、清水、P161 - P163
[15]
문서
今井、P209 - P215、川北、P196 - P198、清水、P101 - P103、P105 - P108、P110 - P120、P124 - P125、P136、P151 - P153
[16]
문서
今井、P217 - P221、P224 - P228、清水、P158 - P163、P170 - P176、P184 - P186、P204 - P206、P213
[17]
문서
グッドウィンは王党派の牙城だった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の再建に関わり、イングランド各地で独立教会を設立し、ピーターは亡命体験と協力者の新興商人グループの活動を通し、アメリカとオランダをモデルにした宗教と経済政策を提言、著作で実現を訴えた。また両者は聖職者の資格を審査する権限を与えられ、サヴォイ宣言など共和国の宗教政策に深く関与した。オウエンとナイもグッドウィンやクロムウェルと共和国の宗教について協議、[[1654年]]3月に聖職者を資格審査する[[審査委員会]]が設置、8月には審査で不適格とされた聖職者を追放する追放委員会が設置された。この政策は宗教における寛容に基づいた国民的和合を実現させることが目的で、内戦の最中である1646年に廃止を宣言された監督制(国教会)に代わり新たな教会制度に長老派・独立派・バプテストを中心にした国家教会を確立、その周りは国家から存続を許された他の宗教を並立させるという二重体制を実現させるべく尽力したが、保護から外れたカトリックと国教会、およびアナバプテスト・クエーカー・第五王国派の反対に遭い、クロムウェルの死亡と共に挫折、国家教会は実現しなかった。松村、P760、清水、P192 - P193、P244 - P246、岩井(2015)、P102、P116、P223 - P239
[18]
문서
岩井(2015)、P115 - P116、P221 - P223、P227
[19]
문서
清水、P265 - P267、岩井(2015)、P116 - P117、P158、P223、P2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