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일어 형용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어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며,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변화는 관사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강변화, 혼합변화, 약변화로 나뉜다. 형용사는 원급, 비교급, 최상급의 형태로 변화하여 사물의 속성을 비교하거나 정도를 나타내며, 비교급은 `-er`을 붙이거나 `mehr`를 사용하고, 최상급은 `am ~sten`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어 문법 - 독일어 동사
    독일어 동사는 어근과 '-en' 접미사로 이루어진 원형 부정사를 가지며, 접두사의 분리 가능 여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다양한 형태와 활용,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독일어 문법 - 독일어 관사
    독일어 관사는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굴절하는 정관사(der, die, das)와 부정관사(ein-)로 나뉘어 특정된 명사 또는 특정되지 않은 명사를 지칭하며, 관사의 굴절은 형용사와 대명사에도 영향을 미친다.
  • 독일어 - ß
    ß(에스체트)는 독일어에서 긴 s와 s 또는 z의 합자에서 유래한 문자로, 특정 조건에서 무성음 /s/를 나타내며, 사용 범위가 축소되었으나 대문자 형태(ẞ)가 추가되어 표준 독일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독일어 - 표준 독일어
    표준 독일어는 여러 지역 작가들이 폭넓게 이해될 수 있도록 발전시킨 문어에서 기원했으며, 마르틴 루터의 성경 번역과 요한 크리스토프 고체트의 문법 교본이 표준화에 기여했고, 현재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에서 국가별 변이 형태로 존재한다.
독일어 형용사
독일어 형용사
3가지 (남성, 여성, 중성)
단수 및 복수
4가지 (주격, 속격, 여격, 대격)
위치명사 앞 (형용사 어미 변화), 명사 뒤 (변화 없음)
형용사 어미 변화 (명사 앞)
남성 (주격)-er
여성 (주격)-e
중성 (주격)-es
복수 (주격)-e
남성 (대격)-en
여성 (대격)-e
중성 (대격)-es
복수 (대격)-e
남성 (여격)-em
여성 (여격)-er
중성 (여격)-em
복수 (여격)-en
모든 성 (속격)-en
참고 사항
강한 어미 변화정관사 (der, die, das)가 없을 때 적용됨
약한 어미 변화정관사 (der, die, das)가 있을 때 적용됨
혼합 어미 변화부정관사 (ein, eine, ein)가 있을 때 적용됨

2. 형용사 변화

독일어 형용사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한정적 용법으로 사용될 때, 다양한 상황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이는 형용사가 수식하는 명사의 성, 수, 격에 대한 문법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특히, 형용사 앞에 오는 관사가 이러한 문법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할 경우, 형용사 어미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형용사 어미 변화는 크게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며, 어떤 유형의 변화를 따를지는 형용사 앞에 오는 관사한정사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자세한 변화 규칙과 유형별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격별 유형

독일어 형용사는 명사를 한정적으로 수식할 때, 즉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를 꾸밀 때 다양한 상황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만약 관사가 성, 수, 격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면, 형용사가 어미 변화를 통해 이러한 문법적 정보를 나타내야 한다.

형용사 어미 변화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강변화(Strong inflection), 혼합변화(Mixed inflection), 약변화(Weak inflection). 어떤 유형의 변화를 따를지는 형용사 앞에 오는 관사나 한정사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아래 표는 각 변화 유형에 따른 형용사 어미를 남성, 여성, 중성, 복수 순서로, 그리고 주격, 대격, 여격, 속격에 따라 보여준다. 표에서 사용된 약자는 특정 어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X e X e"는 부정관사/소유한정사의 주격 어미 변화인 "''ein, ein'''e''', ein, ein'''e'''''"를 의미하며, "m r m n"은 여격 어미 변화인 "''gut'''em''', gut'''er''', gut'''em''', gut'''en'''''"을 나타낸다.

형용사 어미 변화 유형별 요약 (남성, 여성, 중성, 복수 순서)
변화 유형조건주격대격여격속격
강변화
(Strong inflection)
관사 없음, 특정 수량 표현 뒤r e s en e s em r m nn r n r
혼합변화
(Mixed inflection)
부정관사(ein-, kein-), 소유한정사 뒤r e s nn e s nn n n nn n n n
약변화
(Weak inflection)
정관사(der, die, das 등), 특정 지시사 뒤e e e nn e e nn n n nn n n n
참고: 부정관사/소유한정사 자체의 어미
(예: ein-, kein-, mein-)
X e X en e X em r m ns r s r
참고: 정관사 자체의 어미
(예: der, die, das)
r e s en e s em r m ns r s r



다음은 각 변화 유형에 대한 설명과 예시이다.


  • '''강변화 (Strong inflection)'''

강변화는 관사가 없거나, 명사 앞에 ''etwas''(약간), ''mehr''(더), ''wenig-''(적은), ''viel-''(많은), ''mehrer-''(몇몇), ''einig-''(몇몇) 등 어미가 없는 수량 표현이나 구문(''ein paar'', ''ein bisschen'')이 올 때 사용된다. 또한, 형용사 앞에 다른 일반 형용사가 오는 경우에도 사용된다.[1] 형용사 어미는 정관사의 어미와 유사하지만, 남성 및 중성 속격 단수에서는 ''-en'' 어미를 사용한다.[2]



:: 예시: '''Guter''' Mann (좋은 남자), '''gutes''' Kind (좋은 아이), '''gute''' Frau (좋은 여자), '''gute''' Menschen (좋은 사람들).

  • '''혼합변화 (Mixed inflection)'''

혼합변화는 형용사 앞에 부정관사(''ein-'', ''kein-'') 또는 소유 한정사(''mein-'', ''dein-'', ''sein-'', ''ihr-'' 등)가 올 때 사용된다. 주격과 대격 단수 어미는 강변화와 동일하며(남성 주격, 중성 주격/대격 제외), 나머지 형태는 모두 약변화처럼 ''-en''으로 끝난다. 혼합변화는 종종 약변화의 변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예시: Er ist ein '''guter''' Mann (그는 좋은 남자이다), es ist ein '''gutes''' Kind (그것은 좋은 아이이다), sie ist eine '''gute''' Frau (그녀는 좋은 여자이다), sie sind keine '''guten''' Menschen (그들은 좋은 사람들이 아니다).

  • '''약변화 (Weak inflection)'''

약변화는 형용사 앞에 이미 격, 성, 수 정보를 명확히 나타내는 정관사(der, die, das 등)나 특정 지시사(''dies-'', ''jen-'', ''jed-'', ''manch-'', ''solch-'', ''welch-'', ''derselb-'', ''derjenig-'')가 올 때 사용된다. 이 경우, 형용사 어미는 비교적 단순해진다. 주격 전체와 여성/중성 대격 단수에서는 ''-e'' 어미를 사용하고, 나머지 모든 경우에는 ''-en'' 어미를 사용한다.



:: 예시: Der '''gute''' Mann (그 좋은 남자), das '''gute''' Kind (그 좋은 아이), die '''gute''' Frau (그 좋은 여자), die '''guten''' Menschen (그 좋은 사람들).

  • '''변화 없음'''

형용사가 명사 앞에 오지 않고 서술적으로 사용될 때는 어미 변화를 하지 않는다.

:: 예시: Der Mann ist '''gut''' (그 남자는 좋다), das Kind ist '''gut''' (그 아이는 좋다), die Frau ist '''gut''' (그 여자는 좋다), die Menschen sind '''gut''' (그 사람들은 좋다).

일부 수량 형용사(''nichts'', ''etwas'', ''genug'')는 항상 굴절되지 않는다. ''wenig''와 ''viel''은 단독으로 쓰일 때는 굴절되지 않지만, 복수 명사 앞에서 쓰일 때는 일반적인 형용사처럼 어미 변화를 한다 (예: ''viele Kinder'' - 많은 아이들, ''wenige Kinder'' - 적은 아이들).

2. 1. 1. 주격

독일어 형용사의 격변화에서 주격 어미 변화는 대격 어미 변화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형용사 어미 변화의 세 가지 유형인 강변화, 혼합변화, 약변화 모두에서, '''단수 남성 주격''' 형태는 단수 남성 대격 형태와 다르다. 하지만 나머지 경우, 즉 단수 중성, 단수 여성, 그리고 복수 형태에서는 주격과 대격의 어미 변화가 동일하다. 만약 형용사가 수식하는 명사의 주격 형태와 대격 형태까지 같다면, 형용사구 전체의 모습이 주격과 대격에서 완전히 같아지게 된다.

2. 1. 2. 대격

주격과 비교했을 때, 독일어 형용사의 대격 어미 변화는 대부분 동일하다. 강변화, 혼합변화, 약변화 세 가지 유형 모두에서 단수 남성 주격단수 남성 대격의 형태만 서로 다를 뿐, 나머지 중성, 여성, 복수의 어미 변화는 주격과 대격이 완전히 같다.[1]

만약 형용사 뒤에 오는 명사의 주격 형태와 대격 형태마저 같다면, 관사나 형용사를 포함한 전체 명사구의 형태는 주격과 대격에서 완전히 동일하게 된다.[1]

2. 2. 굴절 유형별

독일어형용사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한정적 용법으로 사용될 때, 문맥에 따라 다양한 어미를 취하며 굴절한다. 이는 형용사가 수식하는 명사의 성, 수, 에 대한 문법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특히, 형용사 앞에 오는 관사가 이러한 문법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할 경우, 형용사 어미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형용사 굴절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각 유형은 주로 형용사 앞에 어떤 종류의 관사나 한정사가 오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 '''강굴절 (Strong inflection)''':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거나, 성, 수, 격 정보를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 특정 수량 표현 뒤에 올 때 사용된다. 이 경우, 형용사 어미는 정관사 어미와 유사한 형태를 띠며 문법 정보를 명확히 드러낸다.
  • '''혼합굴절 (Mixed inflection)''': 부정관사 (`ein-`, `kein-`) 또는 소유 한정사 (`mein-`, `dein-` 등) 뒤에 형용사가 올 때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약굴절 어미를 따르지만, 부정관사 등이 성, 수, 격 정보를 명확히 나타내지 못하는 일부 경우(주로 남성 주격, 중성 주격/대격)에는 강굴절 어미를 사용하여 정보를 보충한다.
  • '''약굴절 (Weak inflection)''': 정관사 (`der`, `die`, `das` 등)와 같이 성, 수, 격 정보가 명확한 단어 뒤에 형용사가 올 때 사용된다. 정관사 등이 이미 필요한 문법 정보를 제공하므로, 형용사 어미는 `-e` 또는 `-en`의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변화한다.


또한, 형용사가 명사 앞에 오지 않고 서술적으로 사용될 경우(예: "Der Mann ist '''gut'''." - 그 남자는 좋다.), 형용사는 굴절하지 않고 기본 형태를 유지한다. 이를 '''무굴절 (No inflection)'''이라고 한다.

2. 2. 1. 강굴절

독일어 형용사는 명사를 꾸밀 때 문법적 환경에 따라 어미가 변하는데, 이를 굴절이라고 한다. '''강굴절'''(Strong inflection)은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거나, 성, 수, 격 정보를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 특정 수량 표현 뒤에 형용사가 올 때 사용된다. 이 경우 형용사 자체가 명사의 성, 수, 격 정보를 나타내는 어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관사 없이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강굴절 어미가 붙는다.

  • '''Guter''' Mann (좋은 남자, 남성 주격)
  • '''gutes''' Kind (좋은 아이, 중성 주격/대격)
  • '''gute''' Frau (좋은 여자, 여성 주격/대격)
  • '''gute''' Menschen (좋은 사람들, 복수 주격/대격)


강굴절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된다.

  • 명사 앞에 관사가 전혀 없을 때
  • 명사 앞에 다음과 같은 수량 표현이 올 때:
  • * ''etwas'' (약간; 다소), ''mehr'' (더) 와 같이 굴절하지 않는 단어
  • * ''wenig-'' (적은), ''viel-'' (많은), ''mehrer-'' (몇몇; 많은), ''einig-'' (몇몇) 등 어미가 붙을 수 있는 표현 (이 표현들 자체에 어미가 붙지 않을 경우 뒤따르는 형용사가 강굴절한다)
  • * 1보다 큰 수(예: ''zwei, drei'') 뒤. 단, 숫자 앞에 정관사가 없는 경우에 한한다.[1]
  • * 굴절하지 않는 구문 뒤: ''ein paar'' (두세 개; 몇 개), ''ein bisschen'' (약간; 조금)


강굴절 형용사 어미는 정관사의 어미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남성 속격 단수중성 속격 단수에서는 정관사 어미가 '-es'인 반면, 강굴절 형용사 어미는 '-en'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강굴절 형용사 어미''' (예: ''neu'' - 새로운)
남성여성중성복수
주격 (Nominative)euer' (-er)eue' (-e)eues' (-es)eue' (-e)
대격 (Accusative)euen' (-en)eue' (-e)eues' (-es)eue' (-e)
여격 (Dative)euem' (-em)euer' (-er)euem' (-em)euen' (-en)
속격 (Genitive)euen' (-en)euer' (-er)euen' (-en)euer' (-er)



(''참고'': 남성 및 중성 속격 단수의 강굴절 형용사 어미는 원래 정관사처럼 "-es"였으나, 17세기에 약변화 어미인 "-en"이 이를 대체하기 시작하여 18세기 중반에는 "-en"이 일반적인 형태로 자리 잡았다.[2])

2. 2. 2. 혼합굴절

'''혼합굴절'''(Mixed inflection)은 형용사 앞에 부정관사(`ein-`, `kein-`) 또는 소유 한정사(`mein-`, `dein-`, `sein-`, `ihr-` 등)가 오는 경우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혼합굴절은 그 자체로 독립적인 굴절이라기보다는, 약굴절에서 남성 주격 및 중성 주격과 대격 어미가 없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일부 어미가 강굴절 형태로 변화한 것으로 간주된다. 즉, 주격 단수(남성 `-er`, 중성 `-es`)와 대격 단수(중성 `-es`) 어미는 강굴절과 동일하며, 다른 모든 형태는 약굴절처럼 어미 `'''-en'''`으로 끝난다.

혼합굴절은 다음과 같은 한정사 뒤에 온다.

  • 부정관사: ''ein-'', ''kein-'', ''eine'', ''keine''
  • 소유 한정사: "mein-", "dein-", "sein-", "ihr-" 등


남성여성중성복수
주격in neuer'ine neue'in neues'eine neuen'
대격inen neuen'ine neue'in neues'eine neuen'
여격inem neuen'iner neuen'inem neuen'einen neuen'
속격ines neuen'iner neuen'ines neuen'einer neuen'



다음은 혼합굴절의 예시이다.

: Er ist ein '''guter''' Mann, es ist ein '''gutes''' Kind, sie ist eine '''gute''' Frau und sie sind keine '''guten''' Menschen.

: ''그는 좋은 남자이고, 그것은 좋은 아이이고, 그녀는 좋은 여자이고, 그들은 좋은 사람들이 아니다.''

2. 2. 3. 약굴절

약굴절(Weak inflection)은 정관사와 같이 명사의 성, 수, 격 정보가 이미 명확하게 드러난 단어 뒤에 형용사가 올 때 적용되는 어미 변화 규칙이다. 정관사 등이 문법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형용사의 어미 변화는 비교적 단순해지는 특징이 있다.

약굴절은 다음과 같은 단어들 뒤에 사용된다.

  • 정관사 (der, die, das 등)
  • ''derselb-'' (the same), ''derjenig-'' (the one)
  • ''dies-'' (this), ''jen-'' (that), ''jeglich-'' (any), ''jed-'' (every) : 이들은 정관사와 비슷하게 굴절한다.
  • ''manch-'' (some), ''solch-'' (such), ''welch-'' (which) : 이들은 정관사와 비슷하게 굴절한다.
  • ''alle'' (all)
  • ''beide'' (both)


약굴절 어미는 주격대격의 일부 경우(남성 주격, 여성 주격/대격, 중성 주격/대격)에는 '''-e'''를 사용하고, 나머지 모든 경우에는 '''-en'''을 사용한다. 이는 모든 비교급(원급, 비교급, 최상급) 형태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래 표는 약굴절 형용사의 성, 수, 격에 따른 어미 변화를 보여준다. ('neu-'는 'new'라는 의미의 형용사)

남성여성중성복수
주격er neue'ie neue'as neue'ie neuen'
대격en neuen'ie neue'as neue'ie neuen'
여격em neuen'er neuen'em neuen'en neuen'
속격es neuen'er neuen'es neuen'er neuen'



예시는 다음과 같다.


  • Der '''gute''' Mann (그 좋은 남자 - 남성 주격)
  • Das '''gute''' Kind (그 좋은 아이 - 중성 주격)
  • Die '''gute''' Frau (그 좋은 여자 - 여성 주격)
  • Die '''guten''' Menschen (그 좋은 사람들 - 복수 주격)

2. 2. 4. 무굴절

일부 수량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항상 굴절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nichts|니히츠deu (nothing)
  • wenig|베니히deu (little, few)
  • etwas|에트바스deu (some, something)
  • viel|필deu (much, many)
  • genug|게누크deu (enough)


다만, wenig|베니히deu와 viel|필deu은 복수 명사 앞에서 사용될 경우, 일반적인 형용사처럼 어미 변화를 하는 경우가 많다.

  • 예: ''viele Kinder'' (많은 아이들), ''wenige Kinder'' (적은 아이들)

2. 2. 5. 요점

독일어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용법으로 사용될 때, 앞에 오는 관사의 종류나 유무에 따라 어미가 변한다. 이는 문장에서 성, 수, 에 대한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만약 관사가 이러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면, 형용사가 그 역할을 대신해야 한다.

형용사 어미 변화는 크게 강변화, 혼합변화, 약변화 세 가지로 나뉜다. 어떤 변화를 따를지는 형용사 앞에 오는 관사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 강변화(Strong inflection): 관사가 없거나, 수량을 나타내는 형용사 뒤에 올 때 사용된다. 형용사 어미가 정관사 어미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띤다 (단, 남성/중성 단수 속격은 -en).
  • 혼합변화(Mixed inflection): 부정관사(ein, kein 등)나 소유한정사(mein, dein 등) 뒤에 올 때 사용된다. 약변화와 유사하지만, 일부 격에서 강변화 어미를 따른다.
  • 약변화(Weak inflection): 정관사(der, das, die 등) 뒤에 올 때 사용된다. 정관사가 이미 성, 수, 격 정보를 명확히 나타내므로 형용사 어미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e 또는 -en)를 띤다.


아래 표는 각 변화 유형에 따른 형용사 어미를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순서로 보여준다. 각 칸의 문자는 해당 격과 성/수에 맞는 어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주격 강변화 어미 "r s e e"는 남성 주격 -er, 중성 주격 -es, 여성 주격 -e, 복수 주격 -e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여격 강변화 어미 "m m r n"은 남성 여격 -em, 중성 여격 -em, 여성 여격 -er, 복수 여격 -en을 의미한다.

형용사 어미 변화 요약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순)
변화 유형주격대격여격속격
강변화
(관사 없을 때)
r s e en s e em m r nn n r r
(정관사 어미는 s s r r)
혼합변화
(부정관사/소유한정사 뒤)
r s e nn s e nn n n nn n n n
약변화
(정관사 뒤)
e e e nn e e nn n n nn n n n
부정관사/소유한정사 어미
(참고: ein, kein, mein 등)
X X e e
(X는 어미 없음을 의미)
n X e em m r ns s r r
정관사 어미
(참고: der, das, die, den 등)
r s e en s e em m r ns s r r



독일어 학습자들이 형용사 변화에서 혼동하기 쉬운 부분은 특정 성과 격에서 어미 형태가 비슷하거나 같아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남성과 중성, 여성과 복수 간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몇 가지 요점은 다음과 같다.

1. 강변화 어미: 기본적으로 정관사 어미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단, 남성 단수 속격중성 단수 속격에서는 정관사 어미 -es 대신 형용사 어미 -en을 사용한다.

2. 약변화 어미: 앞에 항상 정관사가 오므로, 정관사를 통해 성, 수, 격을 파악할 수 있다. 약변화 어미 자체는 비교적 단순하다.


  • 원칙: 주격과 대격은 -e, 여격과 속격은 -n 이 기본 형태이다.
  • 예외 및 구분:
  • 남성 단수 주격: `der '''-e''' Mann` (표준 문법에서는 -e 사용)
  • 여성/복수 구분 (die): `die '''-e''' Frau` (여성 단수 주격/대격), `die '''-en''' Leute` (복수 주격/대격)
  • 남성/복수 구분 (den): `den '''-en''' Mann` (남성 단수 대격), `den '''-en''' Leuten` (복수 여격). 두 경우 형용사 어미는 -en으로 같지만, 뒤따르는 명사의 형태(복수 여격은 보통 명사 끝에 -n/-en 추가)로 구분 가능하다.

3. 혼합변화 어미: 부정관사나 소유한정사 뒤에 온다. 이들은 정관사만큼 성, 수, 격 정보를 명확히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형용사가 그 정보를 보충해야 한다.

  • 기본적으로 약변화 어미(-e 또는 -en)를 따르지만, 정관사 어미가 필요한 자리(주로 남성 주격 -er, 중성 주격/대격 -es, 여성 주격/대격 -e)에서는 강변화 어미와 같은 형태를 취한다.
  • 남성 단수 주격(-er)중성 단수 주격/대격(-es): 부정관사/소유한정사 자체에 어미가 없으므로(`ein`, `mein` 등), 형용사가 각각 `-er`, `-es` 어미를 취하여 구분한다. (예: `ein '''-er''' Mann`, `ein '''-es''' Kind`)
  • 여성 단수 주격/대격(-e): 한정사 자체에 이미 `-e` 어미가 있으므로(`eine`, `meine` 등), 형용사는 약변화처럼 `-e`를 사용한다. (예: `eine '''-e''' Frau`)
  • 복수 주격/대격(-en): 한정사 자체에 `-e` 어미가 있지만(`keine`, `meine` 등), 복수임을 나타내기 위해 형용사는 `-en`을 사용한다. (예: `keine '''-en''' Leute`)


이러한 규칙들을 이해하고 구분하는 연습을 통해 독일어 형용사 변화에 익숙해질 수 있다.

3. 형용사 비교형

독일어 형용사는 비교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형태가 변한다. 기본적인 형태인 원급(positive)을 기준으로, 더 높은 정도를 나타내는 비교급(comparative)과 가장 높은 정도를 나타내는 최상급(superlative)이 있다.


  • 원급: 형용사의 기본 형태로, 예를 들어 schön|deu(아름다운)과 같이 사용된다.
  • 비교급: 일반적으로 형용사 어간에 접미사 '-er'을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schön'''er'''|deu(더 아름다운) 형태가 된다.
  • 최상급: 가장 높은 정도를 나타낸다. 서술적으로 사용될 때는 주로 am ... -(e)sten|deu 형태(예: am schön'''sten'''|deu)를 사용하고, 한정적으로 사용될 때는 형용사 어미와 함께 '-(e)st' 접미사를 붙인다(예: der schön'''ste''' ...|deu).


이러한 비교 형태들은 문장 내에서 명사를 수식하거나 서술하는 역할에 따라 적절한 어미 변화를 거치게 된다. 각 비교 형태의 자세한 형성 규칙과 용법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3. 1. 원급

형용사의 기본 형태는 긍정형 또는 원급형(positive)이라고 부른다. 이는 형용사 어간에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미를 붙여 사용한다.

  • `schön` (기본 원급 형태)
  • `das schöne Lied` ("아름다운 노래")
  • 이 경우, 정관사 `das`가 앞에 오고 중성 명사 `Lied`가 뒤에 위치하므로, 형용사 원형 `schön`에 약변화(schwache Deklination) 규칙에 따라 중성 단수 주격 어미인 `-e`를 붙여 `schöne`가 된다.

3. 2. 비교급

비교급 형태는 형용사 어간에 접미사 '-er'을 붙여 만든다. 문장에서 쓰일 때는 형용사 어미가 추가로 붙는다.

  • ''schön'' → ''schön'''er''''' (기본 비교급 형태)
  • ''das schön'''ere''' Lied'' ("더 아름다운 노래"): 정관사(das)와 명사(Lied, 중성) 사이에서 형용사가 쓰일 때, 비교급 형태(''schöner'')에 추가적인 어미(-e)가 붙는 예시이다.

3. 3. 최상급

독일어 형용사의 최상급은 서술적으로 사용될 때와 한정적으로 사용될 때 형태가 다르다.

=== 서술형 최상급 ===

서술형 최상급은 'am + 어근 + -sten'의 형태를 가지며, 실제로는 전치사구이다.

  • schön|deu (아름다운) → '''am''' schön'''sten'''|deu (가장 아름다운)
  • 예문: Ich finde dieses Haus '''am schönsten'''.|deu (나는 이 집이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 한정형 최상급 ===

한정형 최상급은 형용사 어근에 '-st'를 붙이고, 그 뒤에 오는 명사의 성, 수, 격 및 앞에 오는 관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형용사 어미를 붙인다.

  • schön|deu (아름다운) → das schön'''ste''' Lied|deu (가장 아름다운 노래)
  • 이 경우, 정관사 'das'가 앞에 오고 중성 명사 'Lied'가 뒤에 왔으므로, 최상급 어미 '-st'에 약변화 중성 단수 주격/목적격 어미 '-e'가 붙는다.


한정형 최상급 형태는 적절한 형용사 어미와 함께 서술어 위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 예문: Dieses Haus ist '''das schönste'''.|deu (이 집이 가장 아름답다.)

참조

[1] 문서 If there is a definite article, one uses the weak inflection, as in "der Lobgesang der drei jungen Männer".
[2] 서적 Historical German Grammar Oxford Univ. Press 1907
[3] 문서 정관사가 있다면, 약굴절을 사용한다(예 : der Lobgesang der drei jungen Männer.)
[4] 서적 Historical German Grammar Oxford Univ. Press 1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