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격은 문장 내에서 단어의 문법적 기능이나 의미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 인식되었으며, 라틴어 'casus'에서 유래된 'case'라는 영어 단어로도 알려져 있다.

격은 언어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며, 주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처격, 탈격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격은 굴절, 첨가, 어순, 동사, 성조 변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언어는 동사의 작용자와 피동자를 격으로 묶는 방식에 따라 주격-대격, 능격-절대격, 능격-목적격, 능동-수동, 촉발 언어 등으로 분류된다.

한국어에서는 주격, 서술격, 관형격, 목적격, 보격, 부사격, 호격 등의 격이 존재하며, 조사를 통해 표시된다. 격 연구는 언어의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역사

격은 형태와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자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학계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격은 언어별로 다르게 정의되는데, 예를 들어 인구어에서는 주격, 대격, 여격, 탈격, 속격, 호격, 처격, 구격의 8가지 분류가 인구조어로부터 이어져 왔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 이름의 형태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문법적 격은 스토아 학파와 페리파토스 학파 철학자들에 의해 처음 인식되었다.[5][6] 이들의 연구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언어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1][5]

'case'라는 영어 단어는 라틴어 'casus'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그리스어 'πτῶσις'(πτῶσις, '떨어짐')의 번역어이다.[8] 주격을 제외한 다른 격들이 주격에서 '떨어져 나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러시아어로 된 이 표지판은 발라흐나 도시의 기념일을 기념한다. ''Balakhna ()''는 주격이고, ''Balakhne 500 Let''('발라흐나 500주년')에서 ''Balakhne ()''는 여격이다. ''let''은 소유격(복수)이다.


고대 영어에서는 격이 두드러졌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격이 거의 사라지고 전치사와 어순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발트-슬라브어파 언어들(마케도니아어와 불가리아어 제외)[12]은 6~8개의 격을, 아이슬란드어, 독일어, 현대 그리스어는 4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인 인도유럽어의 여덟 가지 격은 다음과 같다.

의미예시 단어예문의문사참고
주격주어우리'우리'는 가게에 갔다.누구 또는 무엇?영어의 주격 대명사에 해당한다.
목적격목적어우리,
우리를 위해,
그 (목적어)
원은 우리'를 기억했다.누구 또는 무엇?영어의 목적격 대명사와 목적어 앞의 전치사 for 구문에 해당하며, 종종 정관사 the로 표시된다. 여격과 함께 현대 영어의 간접 목적격을 형성한다.
여격간접 목적어우리,
우리에게,
그 (목적어)에게
원은 우리'에게 할인을 해주었다.누구에게 또는 무엇에게?영어의 목적격 대명사와 목적어 앞의 전치사 to 구문에 해당하며, 종종 정관사 the로 표시된다. 목적격과 함께 현대 영어의 간접 목적격을 형성한다.
탈격~에서의 이동우리로부터둘기는 우리로부터' 첨탑으로 날아갔다.어디서부터? 어디/누구로부터?
소유격다른 명사의 소유자's,'존의' 책은 테이블 위에 있었다.누구의? 무엇으로부터 또는 무엇의?대략 영어의 소유격 (소유격 관사와 대명사) 및 전치사 of 구문에 해당한다.
호격상대'', 괜찮아?대략 영어에서 "O"의 구어체 사용에 해당한다.
처소격위치, 물리적 또는 시간적일본에서,리는 일본'에 산다.어디 또는 어디에서? 언제?대략 영어의 전치사 in, on, at, by 및 기타 덜 일반적인 전치사에 해당한다.
도구격행위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된 수단 또는 도구 또는 동반자걸레로,리는 걸레로' 바닥을 닦았다.어떻게? 무엇으로 또는 무엇을 사용하여? 무슨 수단으로? 누구와 함께?영어의 전치사 by, with, viausing, by use of, through와 같은 동의어 구문에 해당한다.



언어가 진화하면서 격 체계도 변화한다. 초기 고대 그리스어는 6개의 격에서 5개로 줄었지만, 라틴어는 6개를 유지했다. 현대 힌디어는 3개의 격(직격, 간접격, 호격)을 가진다.[39][40]

격 관계 처리 방식의 진화는 순환적일 수 있다.[4] 후치사는 강세가 없어지고 명사의 어간과 합쳐져 새로운 격 표지를 만들 수 있다.

서양의 격 개념은 고대 그리스의 “프토시스”(πτῶσις, ptōsis)에서 유래하며, “넘어짐”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격의 이름도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했는데, 헬레니즘 시대의 문법학자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학파가 그리스어에 다섯 개의 격을 설정했고, 그의 제자 디오뉘시오스 트락스가 『문법의 기술(Τέχνη γραμματική)』에서 명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대 로마의 문법학자 렘미우스 팔레몬이 1세기경 라틴어 격의 이름을 붙였다.

격의 이름
그리스어라틴어영어한국어
ὀρθή (orthē) “곧은”nominativus “이름의”nominative주격
γενική (genikē) “종족의”genetivus “타고난”genitive소유격
δοτική (dotikē) “주는”dativusdative여격
αἰτιατική (aitiatikē) “영향받은”accusativus “고소의”accusative목적격
κλητική (klētikē) “부르는”vocativusvocative호격



기원전 4세기경 파니니의 산스크리트 문법에서는 격에 번호를 매겼다.

산스크리트어의 격 번호
번호देव (deva)「신」의 변화한국어 명칭
1देवः (devaḥ)주격
2देवम् (devam)목적격
3देवेन (devena)도구격
4देवाय (devāya)여격
5देवात् (devāt)탈격
6देवस्य (devasya)소유격
7देवे (deve)처격



파니니는 카라카 이론(कारक kāraka)을 통해 격의 의미 역할을 설명했다. 카라카(कारक kāraka)는 “행위자”라는 의미로, 동사가 나타내는 사건과 관련된 “행위자”의 역할을 나타낸다.

카라카와 그 정의
카라카정의한국어 명칭
अपादान (apādāna)어떤 것이 끌어내어지는 지점출발점
सम्प्रदान (sampradāna)karman을 통해 보이는 것목적지
करण (karaṇa)가장 효과적인 수단도구
अधिकरण (adhikaraṇa)장소장소
कर्मन् (karman)행위자가 원하는 것목적어
कर्तृ (kartṛ)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주어



일본에 전래된 범어학에서는 산스크리트어의 여덟 개의 격을 '''팔전성'''(八転声)이라 불렀다.[54][55] 서양학자인 후지바야시 후산은 네덜란드어의 여섯 개의 격에 주격, 호격 등의 번역어를 붙였다.[56] 국학자인 카쿠호 무신은 네덜란드 학문의 영향 아래 일본어에도 격을 찾아냈다.[56]

2. 1. 한국어 격 연구사

전통적 한국어 연구에서 격은 체언에 붙는 조사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보편적 문법론에서 말하는 의미론적 격 분류와는 범위나 구분이 다를 수 있다.

  • 주격(主格): 주격조사 '-이/가'에 주어로도 사용되는 '-에서/께서'까지 포함한다.
  • 서술격(敍述格): 계사 '-이다'를 반드시 명사와 결합한다는 점에서 서술격 조사라고 부른다.
  • 관형격(冠形格): 속격을 말한다.
  • 목적격(目的格): 대격을 말한다.
  • 보격(補格): 서술어가 '되다' 또는 '아니다'인 경우에 붙는 '-이/-가'는 주격과는 의미상 차이가 발생하므로 보격 조사라고 특별히 부른다.
  • 부사격(副詞格): 체언을 부사어로 만든다.
  • 호격(呼格): 호격을 말한다.

3. 격의 기능

격은 문장 안에서 단어가 하는 문법적인 기능, 즉 주어, 목적어 등을 분명하게 나타낸다.[5][6] 또한, 단어 사이의 의미 관계, 예를 들어 누가 무엇을 했는지(행위자, 피행위자), 누구의 것인지(소유자), 어디에 있는지(장소) 등을 보여준다.[1][5] 격은 정보구조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문장의 화제나 초점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격은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격은 언어별로 다르게 정의되는데, 인구어의 경우 주격, 대격, 여격, 탈격, 속격, 호격, 처격, 구격의 8가지 분류가 일반적이다. 현대 영어의 인칭 대명사는 형태론적 격을 강하게 유지하는 편으로, 주격, 사격, 소유격의 세 가지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he(주격)', 'him(사격)', 'his(소유격)'와 같이 구분된다.

격은 주어, 목적어와 같은 문법 관계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구조의 화제나 주제 역할의 행위자 등과도 다르다.

예를 들어 일본어 문장을 보면 다음과 같다.

문장문법 관계주제 역할
太郎が次郎を殴った。(타로가 지로를 때렸다.)太郎가: 주격
次郎를: 목적격
주어
목적어
행위자
피동자
次郎가太郎に殴られた。(지로는 타로에게 맞았다.)次郎가: 주격
太郎に: 여격
주어
보어
피동자
행위자
太郎には弟がいる。(타로에게는 동생이 있다.)太郎には: 여격
弟が: 주격
주어
목적어
소유자, 화제
소유물


4. 격의 종류

격은 형태와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학계에서는 '격' 대신 '자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며, 사용되는 용어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격은 언어별로 다른 방식과 구분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인구어에서는 주격, 대격, 여격, 탈격, 속격, 호격, 처격, 구격의 8가지 분류가 인구조어로부터 이어져왔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한편, 보편문법이나 의미론에 의거하여 언어들의 격을 일률적이고 보편적으로 구분하려는 시도도 있다.

많은 언어에서 볼 수 있는 격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능격-절대격, 자격격(資格格), 접격(接格), 조격(造格), 종격(終格), 직격(直格)-사격(斜格), 향내격(向內格), 향외격(向外格), 호격(呼格) 등이 있다.

'격'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case'는 라틴어 casusla에서 유래하며, 이는 "떨어지다"라는 의미의 동사에서 파생되었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ḱh₂d-''에서 유래한다.[7] 라틴어 단어는 그리스어 πτῶσιςgrc, (직역: "떨어짐, 추락")의 직역어이다.[8]

프랑스어 cas프랑스어, 이탈리아어 casoit, 독일어 Kasusde와 같이 여러 유럽 언어에서 "격"에 해당하는 단어도 ''casus''에서 유래한다. 러시아어 паде́жru (''padyézh'')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직역어이며, "떨어지다"라는 의미의 어근을 포함하고 있다.

격은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로 분류될 수 있다.[4]

: 주격 또는 절대격 → 목적격 또는 능격 → 소유격 → 여격 → 처소격 또는 전치격 → 탈격 및/또는 도구격 → 기타

유럽 주요 언어의 문법적 격의 수


같은 격이라도 언어에 따라 이름이 다를 수 있다. “타로가 개에게 물을 준다”라는 문장에서 “타로가”는 주격, “개에게”는 여격, “물을”은 목적격으로 불리지만, 각각 “가격”, “에게격”, “을격”으로 불리기도 한다.

격은 기본적인 격(논리적 격)과 장소적인 격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주격, 호격, 여격, 목적격처럼 문장에서의 논리적 관계를 나타낸다. 카프카스어족이나 핀란드어 등에는 많은 격이 존재하지만, 그 대부분은 장소적인 격이다. 예를 들어 아바르어에는 20개 가까운 격이 있지만, 기본적인 격은 4종류뿐이다. 핀란드어는 14개 또는 15개의 격이 있으며, 그중 6개는 장소적인 격이다.[47]

정지기점착점
내부내격출격입격
외부접격탈격향격


4. 1. 한국어의 격

전통적인 한국어 연구에서 '격'은 체언에 붙는 조사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보편적인 문법론에서 말하는 의미론적 격 분류와는 범위나 구분이 다를 수 있다.

  • 주격(主格): 주격조사 '-이/가'에 주어로도 사용되는 '-에서/께서'를 포함한다.
  • 서술격(敍述格): 계사 '-이다'가 반드시 명사와 결합한다는 점에서 서술격 조사라고 한다.
  • 관형격(冠形格): 속격을 가리킨다.
  • 목적격(目的格): 대격을 가리킨다.
  • 보격(補格): 서술어가 '되다' 또는 '아니다'인 경우에 붙는 '-이/-가'는 주격과는 의미상 차이가 있으므로 보격 조사라고 특별히 부른다.
  • 부사격(副詞格): 체언을 부사어로 만든다.
  • 호격(呼格): 호격을 가리킨다.

4. 2. 다른 언어의 격 (예시)

핀란드어는 15개의 격(내격, 출격, 입격, 접격, 탈격, 향격 등)을 가지고 있다.[42] 헝가리어는 18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44][45] 러시아어는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조격, 전치격의 6개 격을 가진다.[32] 독일어는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의 4개 격을 가지며,[12] 라틴어는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탈격, 호격의 6개 격을 가진다.[7] 일본어는 조사(격조사)를 통해 격을 나타낸다.

5. 격 표시 방법

굴절(어형 변화)을 통해 격을 표시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라틴어, 독일어, 러시아어가 있다. 이들 언어에서는 명사, 형용사, 대명사 등의 어미가 변화하여 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라틴어의 경우 'homo'(사람)는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탈격, 호격에 따라 각각 다르게 변화한다.[50]

''homo''(호모)「사람」의 격 변화
단수복수
주격homo(호모)homin-es(호미네스)
소유격homin-is(호미니스)homin-um(호미눔)
여격homin-i(호미니)homin-ibus(호미니부스)
목적격homin-em(호미넴)homin-es(호미네스)
탈격homin-e(호미네)homin-ibus(호미니부스)
호격homo(호모)homin-es(호미네스)



인도유럽어족의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와 형용사의 어형 변화(곡용)에 의해 격을 표시하며, 인도유럽조어에는 8개의 격이 있었다고 여겨진다.[50]

첨가(교착)를 통해 격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예로는 한국어, 일본어, 터키어가 있다. 이들 언어에서는 조사(접사 또는 접속사)를 통해 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는 '가', '에게', '을' 등의 조사를 사용하여 주격, 여격, 목적격 등을 나타낸다. 일본어와 바스크어의 격 표시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와 바스크어의 격 표시 예시
일본어바스크어
주격타로Jon=ek
여격하나코에게Miren=i
목적격liburu=a
설명타로 하나코에게 주었다.Jon=ek Miren=i liburu=a eman dio (용이 미렌에게 책을 주었다)



현대 터키어는 여섯 개의 문법적 격을 가지고 있다(터키어로 ''İsmin Hâlleri'').

현대 터키어의 격
주격
무엇? 누구?
목적격
무엇? 누구?
여격
누구에게?
위치격
어디에? 누구에게?
탈격
어디에서? 누구로부터? 왜?
소유격
누구의? 무슨 문제?
단수çiçek / 꽃(주격)çiçeği / 꽃(목적격)çiçeğe / 꽃에게çiçekte / 꽃에서çiçekten / 꽃으로부터çiçeğin / 꽃의
복수çiçekler / 꽃들(주격)çiçekleri / 꽃들(목적격)çiçeklere / 꽃들에게çiçeklerde / 꽃들에서çiçeklerden / 꽃들로부터çiçeklerin / 꽃들의



어순을 통해 격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예로는 영어, 중국어가 있다. 이들 언어에서는 문장 내 단어의 순서를 통해 격을 나타낸다.

일부 언어에서는 동사에 격 표지가 포함되어 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드물지만 성조어간의 변화로 격을 나타내는 언어도 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일부 언어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49] 난디어에서는 성조 변화를 통해 격을 표시한다.

성조의 변화에 의한 격 표시의 예(난디어)
ab
동사kè̘ːr-é̘j (보다)kè̘ːr-é̘j (보다)
주어kí̘pe̘ːt (키베트)kí̘pro̘ːno̘ (키프로노)
목적어la̙ːkwé̙ːt (아이)kpe̘ːt (키베트)
설명키베트가 아이를 보고 있다 (어순은 VSO)키프로노가 키베트를 보고 있다 (어순은 VOS)


6. 격과 관련된 다른 개념

격은 문장 내에서 단어가 가지는 문법적 기능이나 의미 역할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자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며, 학계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차이가 있다.[23]

격은 언어마다 다르게 정의되고 분류된다. 예를 들어, 인구어에서는 주격, 대격, 여격, 탈격, 속격, 호격, 처격, 구격의 8가지 격 분류가 인구조어에서 유래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보편 문법이나 의미론을 바탕으로 모든 언어의 격을 통일하여 분류하려는 시도도 있다.



격은 주어, 목적어와 같은 문법적 관계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24] 또한, 정보구조( 화제 등)나 주제 역할( 행위자 등)과도 구분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 문장 "太郎가次郎를殴った"에서 "太郎가"는 주격, 주어, 행위자 역할을 모두 나타내지만, "次郎가太郎に殴られた"에서는 "次郎가"는 주격, 주어이지만 피동자 역할을 나타낸다.

언어는 동사의 작용자와 피동자를 격으로 표시하는 방식(통사적 일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주격-목적격: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가 같은 격(주격)을 가지며, 타동사의 목적어는 목적격을 가진다.
  • 능격-절대격: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가 같은 격(절대격)을 가지며,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을 가진다.
  • 능격-목적격: 자동사의 주어는 자동사격이라는 고유한 격을 가지며,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 목적어는 목적격을 가진다.
  • 능동-수동: 자동사의 주어는 의미에 따라 작용격 또는 피동격을 가진다.
  • 촉발: 문장의 한 명사가 촉발격을 가지며, 동사의 접사 등을 통해 그 명사의 역할(작용자, 피동자 등)이 표시된다.


언어들은 격을 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 자리매김: 명사의 어미 변화 없이 문장에서의 위치로 격을 나타낸다.
  • 조사: 명사에 격을 표시하는 단어를 붙여 격을 나타낸다.

7. 격 연구의 의의 (결론)

격은 언어의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격 연구는 언어 유형론, 통사론, 의미론 등 다양한 언어학 분야에 기여한다. 격 체계는 언어 사용자들의 사고방식과 세계관을 반영할 수 있다.[4]

최근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실험은 언어 사용자 집단에서 격 체계가 어떻게 나타나고 진화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41] 이 실험은 언어 사용자가 의미 해석에 필요한 인지적 노력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격 표지자를 도입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따라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한다.

힌디어에서는 격이 세 가지(직격, 간접격, 호격)로 줄었다.[39][40] 영어에서는 대명사를 제외하고는 명사의 소유격/비소유격 구분을 제외하고는 격이 완전히 사라졌다.

몇몇 언어들은 매우 복잡한 격 체계를 가지고 있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다양한 언어의 격 체계 연구는 언어 간의 차이와 보편성을 이해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 격 체계 연구는 한국 사회의 소통 방식과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더 나은 의사소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조

[1] 논문 The Stoic Notion of a Grammatical Case 1994
[2] 웹사이트 Whosever {{!}} Definition of Whosever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2021-02-22
[3]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4] 서적 C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5] 웹사이트 Linguaggio nell'Enciclopedia Treccani http://www.treccani.[...]
[6] 서적 English Grammatical Categories: And the Tradition to 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10
[7] 문서 OEtymD|case
[8] 문서 case
[9] 웹사이트 Whaddaya Tawki’na’bowt? Intro to Sanskrit Noun Use https://easysanskrit[...] 2016-12-19
[10] 웹사이트 भुज् https://en.wiktionar[...]
[11] 웹사이트 वि- https://en.wiktionar[...]
[12] 웹사이트 Slavic Languages https://web.archive.[...] 2009-11-21
[13] 서적 Morphosyntactic Categories and the Expression of Possess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3
[14] 서적 Morphosyntactic Categories and the Expression of Possess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3
[15] 서적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Longman
[16] 서적 The Oxford English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Longman
[18] 서적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grammar of Dionysios Thrax https://archive.org/[...] Studley
[20] 웹사이트 Step by Step Sanskrit Learning Programme https://archive.org/[...] Chitrapur Math
[21] 논문 "Quirky" case: rare phenomena in case-marking and their implications for a theory of typological distributions https://books.google[...] 2010
[22] 서적 Learning Greek with Plato Bristol Phoenix Press 2007
[23] 논문 A Grammar of Wanyjirra, a language of Northern Australia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5
[24] 논문 Multiple case-marking in Australian languages 1988-06-01
[25] 서적 Aspects of the Theory of Clitics http://www.oxfords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6] 서적 A grammar of Bardi De Gruyter Mouton 2013
[27] 논문 Case Suffixes as Special Clitics in Wangkatja 2019
[28] 서적 Wangkatja dictionary 2008 Wangka Maya Pilbara Aboriginal Language Centre 2008
[29] 서적 Case and Grammatical Relations: Studies in honor of Bernard Comrie https://books.google[...] J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0] 논문 CASE IN HINDI https://www.research[...] 2005
[31] 서적 Clause Structure in South Asian Languages 2004
[32] 서적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India. A history of Sanskrit grammatical literature in Tibet, Volume 2 https://books.google[...] BRILL 2001
[33] 웹사이트 W.D. Whitney, Sanskrit Grammar s:Sanskrit Grammar/C[...]
[34] 웹사이트 The Tamil Case System https://web.archive.[...] Ccat.sas.upenn.edu 2014-11-20
[35] 논문 Dravidian Case-Suffixes: Attempt at a Reconstruction
[36] 서적 A Progressive Grammar of the Tamil Languag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37] 논문 Standardization or restandardization: The case for "Standard" Spoken Tamil 1998-06-01
[38] 웹사이트 2. accusative affix -mayı 3. dative affix -maya http://turkilan.read[...]
[39] 서적 Outline of Hindi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Case in Hindi https://web.stanford[...]
[41] 서적 The Evolution of Case Systems for Marking Event Structure http://www.remivantr[...] John Benjamins
[42] 웹사이트 Finnish Grammar – Adverbial cases http://users.jyu.fi/[...] Users.jyu.fi 2014-09-15
[43] 웹사이트 A Philosophical Grammar of Ithkuil, a Constructed Language – Chapter 4: Case Morphology http://www.ithkuil.n[...] Ithkuil.net 2014-09-15
[44] 웹사이트 Chapter 4 http://ithkuil.net/i[...] 2014-09-15
[45] 웹사이트 A Grammar of the Ithkuil Language – Chapter 4: Case Morphology http://ithkuil.net/0[...] Ithkuil.net 2014-09-15
[46] 서적 C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서적 言語学大辞典〈第6巻〉術語編 三省堂
[48] 웹사이트 Order of Subject, Object and Verb (WALS 정보)
[49] 서적 A Grammar of Nandi Helmut Buske Verlag
[50] 서적 Theories of C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서적 北の言語 : 類型と歴史 三省堂
[52] 웹사이트 WALS Online - Chapter Alignment of Case Marking of Full Noun Phrases https://wals.info/ch[...] 2022-12-24
[53] 서적 A History of Sanskrit Grammatical Literature in Tibet, Volume 2 Assimilation into Indigenous Scholarship BRILL
[54] 논문 慈雲『南海寄帰内法伝解纜鈔』の現代的意義 -「動詞語根からの古典古代学」に向けて-
[55] 웹사이트 漢語八囀聲學則 カンゴ ハッテンジョウ ガクソク https://ci.nii.ac.jp[...]
[56] 논문 江戸期蘭語学における日本語の格理解 日本語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