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게르만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게르만어군은 기원전 1천년기에 원시 게르만어에서 분화된 언어군으로, 현재 폴란드를 포함한 중앙 유럽 북부가 원산지로 추정된다. 고트-노르드 가설에 따르면 스칸디나비아 남부와 독일 북부 해안에서 기원했다. 고트어, 반달어, 부르군트어 등이 포함되나, 현재는 모두 사멸되었다. 고트어는 성서 번역본이 남아 있어 초기 게르만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크림 고트어는 동게르만어군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서게르만어군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게르만어군 - 반달어
    반달어는 동게르만어에 속하며, 과거 반달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언어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고트어 방언이었다는 설 등이 존재하며, 현재는 단편적인 구절을 통해서만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동게르만어군 - 크림 고트어
    크림 고트어는 3세기부터 크림 반도에 거주한 고트족이 사용했던 동게르만어군 언어로, 16세기 기록된 단어와 차용어, 지명을 통해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동서 게르만어 특징을 보이나 18세기 말 사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게르만어군
개요
유형사멸된 인도유럽어족의 게르만어파
지역시대에 따라 다름 (4세기–18세기), 현재 모든 언어는 사멸. 4세기 후반까지: 중앙유럽 및 동유럽 (크림 반도까지). 4세기 후반–10세기 초반: 남부, 서부, 남동부, 동부 유럽 (크림 반도) 및 북아프리카의 대부분. 10세기 초반–18세기 후반: 논쟁의 여지가 있음 (크림 고트어 참조): 동부 유럽 (크림 반도까지)의 고립된 지역
ISO 639-5gme
글롯톨로그east2805
글롯톨로그 참조동게르만어
언어
언어 목록고트어
반달어
부르군트어 † (?)
지도
기원후 1년경 게르만어 방언 분포
기원후 1년경 유럽의 주요 게르만어 분포: 북게르만어 (파란색), 북해 게르만어, 또는 잉바에오닉 (빨간색), 베저-라인 게르만어, 또는 이스트바에오닉 (주황색), 엘베 게르만어, 또는 이르미오닉 (노란색), 동게르만어군 † (녹색)

2. 역사

동게르만어군은 기원전 1천년기에 원시 게르만어에서 분화된 최초의 분파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아마도 현대 폴란드를 포함한 중앙 유럽 북부가 원산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랫동안 게르만어(그리고 동게르만어)의 기원에 대한 가장 논란의 여지가 없는 이론은 고토-노르드 가설이었다. 이 가설은 동게르만어군이 스칸디나비아 남부와 독일 최북단 해안의 북유럽 청동기 시대에서 기원했다는 것이다.[3]

서기 1세기경, 폼포니우스 멜라, 대 플리니우스, 타키투스의 기록은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공통의 조상과 문화를 가진 대규모 집단으로 나뉘었음을 보여준다. (이 분열은 게르만어의 분열에 대한 현대 용어에서 계승되었다.)

요르다네스, 프로코피우스, 바울 디아코누스 등의 기록과 언어학, 지명학, 그리고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동게르만 부족, 즉 북게르만 부족과 관련된 동게르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스칸디나비아에서 엘베강 동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이주했다.[4] 기원전 1300년~1100년경(북유럽 청동기 시대 하위 기간 III)부터 포메라니아와 오늘날 폴란드 북부에 미친 스칸디나비아의 영향은 매우 커서 이 지역은 때때로 북유럽 청동기 시대 문화에 포함되기도 한다.[5]

또한 지명학적, 고고학적 증거는 부르군트족이 덴마크의 보른홀름 섬(Burgundaholmr|부르군다홀름non)에 거주했고, 루기족이 노르웨이의 로갈란 해안(Rygjafylki|뤼갸퓔키non)에 거주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분류

동게르만어군은 현재 모두 사멸한 언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6][7][8][9]


  • 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
  • 크림 고트어 † (분류에 논쟁이 있음)[10]
  • 기타: 바스타르니쉬|Bastarnischde †, 게피디쉬|Gepidischde †, 헤룰리쉬|Herulischde †, 루기쉬|Rugischde †, 스키리쉬|Scirishde

3. 1. 주요 언어


  • 고트어[6][7][8][9]: 동게르만어군 중 가장 잘 알려진 언어이다. 성서 번역본이 남아있어 초기 게르만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반달어: 반달족이 사용한 언어이다.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 부르군트어: 부르군트족이 사용한 언어이다. 반달어와 마찬가지로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 크림 고트어[10]: 18세기까지 크림반도에서 사용된 언어이다. 동게르만어군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서게르만어군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바스타르니쉬de
  • 게피디쉬de
  • 헤룰리쉬de
  • 루기쉬de
  • 스키리쉬de

3. 2. 기타 언어


  • 바스타르니쉬|Bastarnischde
  • 게피디쉬|Gepidischde (게피드족이 사용) †
  • 헤룰리쉬|Herulischde
  • 루기쉬|Rugischde
  • 스키리쉬|Scirishde

참조

[1]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Germanic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Germanische Rest- und Trümmersprachen W. de Gruyter 1989
[3] 간행물 "CELTO-GERMANIC, Later Prehistory and Post-Proto-Indo-European vocabulary in the North and West"
[4] 서적 The Penguin Atlas of World History Penguin Books 1988
[5] 문서 Dabrowski 1989 p. 73
[6] 문서 Mittelhochdeutsche Grammatik Max Niemeyer Verlag, Tübingen 2000
[7] 문서 Deutsche Sprachgeschichte 2021
[8] 문서 Die Indoeuropäer: Herkunft, Sprachen, Kulturen Verlag C.H.Beck, München 2010
[9] 문서 Handbuch der Linguistik und Kommunikationswissenschaft: Band 1: Sprache, Sprachentstehung, Sprachen Akademie-Verlag, Berlin 1979
[10] 문서 Das Krimgotische 1989
[11] 서적 The Penguin atlas of world history Penguin Book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