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피드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피드족은 3세기 로마 자료에 처음 등장한 동게르만 민족으로, 훈족의 지배를 받다가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훈족을 격파하고 독립 왕국을 건설했다. 게피드족은 6세기까지 카르파티아 분지에서 세력을 유지하며 번성했지만, 567년 랑고바르드족과 아바르족의 연합 공격으로 멸망했다. 게피드족은 고트족과 언어, 문화를 공유했으며, 훈족 시대에는 아틸라의 군대에 참여하기도 했다. 게피드족의 기원은 스칸디나비아에서 유래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고고학적으로는 루마니아, 헝가리 등지에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만왕국 - 가산족
    가산족은 초기 이슬람 시대 아랍 계보에 따라 아즈드족의 분가로 여겨지며, 레반트 지역에서 비잔티움 제국의 봉신국으로 존재하며 시리아 교회 부흥과 아랍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야만왕국 - 둠노니아
    둠노니아는 켈트족의 역사, 사회, 문화, 언어 등을 다루는 문서이며, 켈트족의 기원, 사회 구조, 경제, 종교, 예술, 언어, 현대 켈트족의 국가와 지역, 문화 부흥 운동 등을 포함한다.
  • 고트인 - 아스파르
    5세기 동로마 제국에서 알란족-고트족 혼혈 출신으로 군사적,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여 세 황제 시대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레오 1세 시대에 암살당한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 고트인 - 동고트족
    동고트족은 3세기부터 로마 기록에 나타난 고트족의 한 분파로, 다뉴브 강 하류와 흑해 북부에서 거주하며 로마와 경쟁하고 용병을 제공하다가, 5세기 말 테오도리크 대왕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에 동고트 왕국을 건설했으나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했고, 그들의 고트어와 문화는 다른 유럽 민족에게 흡수되었다.
  • 민족 대이동 - 알란인
    알란족은 기원후 1세기부터 기록된 이란계 유목 민족으로,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훈족의 침입으로 서쪽으로 이동하여 여러 집단으로 분열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알라니아라는 기독교 왕국을 건설하고 오늘날 오세티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민족 대이동 - 훈족
    훈족은 4세기 말 유럽에 나타나 동로마 제국을 침략하고 서로마 제국과 격전을 벌였으며, 아틸라 사후 쇠퇴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진 중앙아시아 기원의 기마 민족이다.
게피드족
기본 정보
476년 유럽과 근동의 게피드 왕국
476년 서유럽 로마 제국 종말 이후 유럽의 게피드 왕국
국명게피드 왕국
통칭게피드 왕국
정부 형태군주제
공용어동게르만어 (지배층 사이에서 고트어일 가능성 있음)
수도불명
종교게르만족의 이교
아리우스주의 (지배층)
존속 기간454년 ~ 567년
건국아르다리크가 훈족의 네다오 전투 패배 이후 독립적인 게피드 왕국을 세움 (454년)
멸망롬바르드 왕국과 아바르족에 의해 멸망 (567년)
현재 국가루마니아
헝가리
세르비아
통치자
초대 국왕아르다리크 (대략 454년)
마지막 국왕쿠니문트 (대략 560년~567년)
직책국왕
역사
주요 사건아르다리크의 독립적인 게피드 왕국 건설 (454년)
롬바르드족과 아바르족에 의한 왕국 멸망 (567년)
이전
이전 국가훈족 제국
이후
이후 국가판노니아 아바르족
롬바르드 왕국

2. 명칭

게피드족의 명칭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라틴어 표기는 "Gepidae"이며, 모음에 따라 Gepidae, Gipidae, Gipedae, Gipides와 같이 다양하게 표기되었다.[4] 그리스어 기록에는 γηπαιδ-라는 어간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Giped-로 음역된다.[4] 게피드족은 고대 영어의 ''위드시스''와 ''베오울프''에 언급된 ''Gifðasang'' 또는 Gefþasang와 동일시되기도 한다.[4]

게피드족의 이름은 고트어로 "느리고 둔하다"는 뜻의 ''gepanta''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7] 이는 요르다네스가 ''게티카''에서 언급한 내용이다.[7] 요르다네스는 게피드족이 천 년도 더 전에 고트족보다 늦게 이동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설명한다.[7] 반면, "선물을 받은 자"라는 뜻의 게르만어 어근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제시된다.[5] 많은 언어학자들은 게피드족의 이름이 "주다"라는 게르만 동사에서 파생된 *''Gíbidoz''로 재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선물 받은 자", "보상받은 자", 또는 "관대한 자"를 의미한다고 본다.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게피드족 이름의 두 번째 부분을 "발"(라틴어 ''pedes'')로 해석하여, 게피드족이 도보로 전투에 나선 것(''pedestri'')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8] 12세기 비잔틴의 ''에티몰로기쿰 마그넘''은 게피드족을 ''Gētípaides'' (Γητίπαιδες)로 해석하여 "고트족의 아이들"을 의미하게 했다.[8] 이 세 기록은 모두 게피드족을 "고트족의 분파 또는 가까운 친척"으로 보는 전통을 따른다.[8]

4세기 지도인 ''타불라 페우팅게리아나''에는 "피티" 사람들이 포롤리숨 옆에 살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것이 게피드를 잘못 표기한 것인지는 논쟁의 대상이다.[9]

3. 언어

게피드족의 언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거의 없지만, 로마인들이 그들을 언급했던 시기에는 문화적으로 분명히 고트족이었다. 게피드족은 고트족과 같은 언어를 사용했지만, 다른 방언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고트족과 반달족과 정치적으로 긴장된 관계를 유지했다.[3] 6세기의 비잔틴 연대기 작가 프로코피우스는 그의 "유스티니아누스 전쟁"에서 게피드족을 반달족, 서고트족, 고트족과 함께 "고트족"에 포함시켰으며, "같은 언어, 흰 피부, 금발 머리, 아리우스 형태의 기독교를 가지고 있었다."[10]

4. 역사

서기 3세기 로마 사료에 처음 등장한다. 이들은 4세기에 훈 제국에 편입된 주요한 민족 중 하나였다. 아틸라 사후 게피드족은 아르다리크(Ardaric)를 왕으로 세우고 훈 제국에 속해있던 이민족들의 동맹을 이끌어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아틸라의 아들들과 그 동맹을 격파했다.[40] 이후 게피드족과 동맹 민족들은 다뉴브강 중류 일대에 왕국들을 세워 로마 제국과 국경을 접하였는데, 그 중 게피드족의 왕국이 가장 오래 갔고 도성은 시르미움이었다. 그 영토는 로마 제국의 구 다키아 속주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약 100년이 지나 567년랑고바르드족과 아바르족이 쳐들어왔을 때 비잔틴 제국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멸망했으며, 랑고바르드 왕 알보인(Alboin)은 마지막 게피드왕 쿠니문드(Cunimund)를 죽이고 그 딸 로자문드(Rosamund)와 강제로 결혼했다. 이들은 고고학적 흔적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41][42]

게피드족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260년으로, 고트족의 다키아 침략에 참여했고, 역사가 요르다네스가 살았던 6세기 중반에는 그곳에 정착했다. 요르다네스의 『고트족의 역사』에 따르면, 게피드족의 이름은 그들이 스칸디나비아에서 늦게 이동해 온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게피드족은 원래 비스와강 하구 근처에 살았다. 비스와강은 폴란드의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발원하여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요르다네스에 따르면 게피드족은 비스와강 하구의 섬(삼각주)에 살았으며, 그 섬을 Gepedoios(''Gibið-aujos'','게피드의 물의 땅'의 뜻)라고 불렀다. 그 후 남쪽으로 이동해 갔다.

처음 이름을 남긴 왕 파스티다/Fastida영어는 사람들을 전쟁으로 몰아 부르군트족을 압도하여 4세기에는 거의 전멸시켰다. 그리고 그 영토의 일부를 고트족에게 요구했지만, 고트족은 전투에서 그 요구를 거절했다. 고트족과 마찬가지로 게피드족은 아리우스파로 개종했다.

375년, 게피드족은 동고트족과 함께 훈족에게 정복되어 충실한 신하가 되었다. 왕 알다릭 아래에서 게피드족 전사들은 아틸라의 군단에 합류하여 카탈라우눔 전투 (451년)에 참전했다. 결전 전날 밤, 훈족을 따르는 게피드족과 로마 제국을 따르는 프랑크족이 마주쳐 싸움이 벌어졌다고 한다. 요르다네스에 따르면 15,000명의 전사자가 나왔다.

이러한 종속 관계는 왕과 왕의 개인적인 관계에 의존했고, 453년에 아틸라가 사망하자, 게피드족 등이 훈족에게 반기를 들었다. 알다릭이 이끄는 동맹군은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훈족을 물리쳤다. 이 승리 후 게피드족은 카르파티아 산맥에 정착지를 확보했다. 그러나 네다오 전투 직후 게피드족과 동고트족의 경쟁 관계가 재연되어 504년에 테오도리크에 의해 정착지에서 쫓겨났다.

게피드족은 베오그라드 주변의 비옥한 땅에 정착하여 537년에 세력이 최대가 되었다. 잠시 동안 시르미움을 수도로 하는 게피드 왕국이 성립했고, 그 왕 쿠니문드/Cunimund영어가 독자적인 금화를 주조하기도 했다[41]。546년, 동로마 제국은 랑고바르드족과 손을 잡고 게피드족을 그 땅에서 몰아내려 했다. 552년, 게피드족은 랑고바르드의 알보이노에게 아스펠드 전투/Battle of Asfeld영어에서 대패했고, 567년, 결국 랑고바르드에게 정복당했다. 알보이노는 쿠니문드/Cunimund영어의 두개골로 만든 술잔(해골 잔)을 만들게 했는데, 그 일로 인해 쿠니문드의 딸 가 보낸 암살자에 의해 살해되었다[42]

파울루스 디아코누스에 따르면, 게피드족의 많은 수가 알보이노를 따라 이탈리아로 갔지만, 남아있는 자들도 많다. 630년, 역사가 테오필라크토스 시모카타스가 기록한 바에 따르면, 동로마 제국의 군단은 아바르족의 영토에 들어갔지만 아바르족과 마주치지 못하고, 게피드족과 마주쳐 3만 명의 게피드족을 사로잡았다. 솔노크의 티서강 강변에서의 최근 발굴 조사에서 아바르풍 의상을 입은 당시 게피드족의 귀족이 발견되었다. 부장품에는 게르만풍 의상도 있었다.

4. 1. 전설적 기원

6세기 고트족 역사가 요르다네스는 그의 저서 ''게티카''에서 게피드족의 기원에 대해 상세히 기록했다.[40] 요르다네스에 따르면, 게피드족은 스칸자(스칸디나비아)에서 베리그 왕과 함께 세 척의 배를 타고 고티스칸자로 이동했다.[40] 세 척의 배 중 하나는 다른 배보다 느렸고, 이 때문에 부족의 이름이 '게판타(gepanta)'로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그들의 언어로 "느리다"를 의미한다.[13]

요르다네스는 게피드족이 비스와강 하구의 섬(삼각주)인 "게페도이우스"에 정착했다고 기록했다.[40] 이후, 파스티다 왕의 통치 기간 동안 게피드족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부르군트족을 격파하고 고트족과 갈등을 겪었다.[11] 서고트족의 왕 오스트로고타는 파스티다의 영토 요구를 거절했고, 게피드족은 "아우하 강이 흐르는 갈티스 마을 근처"에서 고트족과 전투를 벌였다.[15] 이 전투는 어둠이 올 때까지 계속되었고, 결국 파스티다와 게피드족은 전장에서 물러났다.[11]

현대 역사가들은 요르다네스 저작의 내용이 고트족의 구전 역사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 쓰여졌는지, 아니면 "비역사적인 날조"였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4. 2. 훈족 이전 시대

하드리아누스 (117–138년 재위) 치하의 로마 제국 지도. 게피드족(게피드)은 당시 폴란드 비스와강 하구 주변에 거주했다.


역사학자 말콤 토드는 게피드족을 "이동 시대 주요 게르만족 중에서 가장 불분명한 존재"라고 묘사했다. 타키투스나 프톨레마이오스는 1, 2세기의 "야만족"에 대한 상세한 목록에서 이들을 언급하지 않았다. 게피드족은 3세기 후반에 처음 등장하며, 이때 이미 알려진 역사의 나머지 기간 동안 머물렀던 지역이나 그 근처에 거주하고 있었다.

신뢰할 수 없는 황제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의 ''아우구스타사(Augustan History)'' (VI.2)에 따르면, 게피드족은 황제가 "고티쿠스"라는 칭호를 얻었을 때 정복한 "스키타이" 민족에 속한다.[11][17] 같은 자료에 따르면 276년부터 282년 사이에 통치한 황제 프로부스는 게피드, 반달, 그리고 그레우퉁기 전쟁 포로들을 발칸의 로마 제국에 정착시켰다.[17]

291년 트리어에서 황제 막시미아누스에게 드린 11번째 찬사에서 테르빙기와 타이팔리가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 구절은 제국 밖에서 벌어진 전투를 묘사하며, 게피드족은 반달족 편에 서서 타이팔리와 고트족의 "일부"에게 공격받았다. 고트족의 다른 부분은 알레만니의 지원을 받은 부르군트족을 격파했다.[18][11] 그러나 그들은 "제국의 국경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베로나 목록이나 암미아누스 또는 오로시우스의 역사에 나타나지 않았다."

게피드족의 초기 역사를 기록하는 현대 역사가들은 때때로 요르다네스의 서술과 고고학적 연구 결과를 결합하여 "혼합된 논증"을 적용한다. 역사학자 이슈트반 보나에 따르면 찬사에서 언급된 전투는 290년경 옛 다키아 지방에서 벌어졌으며, 이는 요르다네스가 언급한 파스티다와 관련된 전투와 동일하다고 한다.[11] 그러나 고고학자 쿠르트 호레트는 또한 이를 파스티다와 관련된 전투와 동일시하며, 이 전투가 248년 이후와 270년대 초 로마가 다키아 지방에서 철수하기 전에 카르파티아 산맥 동쪽에서 벌어졌다고 제안했다. 발터 폴은 그 전투가 248년과 291년 사이에 일어났어야 하며, 카르파티아 산맥의 곡선 안 또는 밖에서 일어났을 수 있지만, 그가 보기에 이전 로마의 다키아 지방, 즉 트란실바니아 지역에서 일어났음이 분명하다고 여긴다.

4세기의 게피드족 역사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 기간 동안 그들을 언급하는 기록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로마 자료의 침묵은 그들의 고향이 로마 제국과 접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요르다네스가 게피드족의 땅의 "거친 산"을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역사가들은 3세기 후반에 티서강 또는 드네스트르강의 상류를 따라 카르파티아 산맥 근처에 위치시킨다. 카르파티아 분지에 게피드족이 정착한 정확한 시기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고고학자 이슈트반 보나는 그들이 이미 260년대에 북동부 지역에 존재했다고 말한다.[11] 코리올란 H. 오프레아누에 따르면 그들은 300년경에 도착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자 에스터 이슈트바노비츠와 발레리아 쿨차르는 약 350년 이전의 게피드족 존재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고 기록했다.

4세기의 무덤에서 철제 보스가 있는 칼, 창, 방패가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티서강과 쾨뢰시강 사이(현재의 헝가리 북동부와 루마니아 북서부)의 묘지에서 발굴되었다.[11] 쿠르트 호레트, 이슈트반 보나, 코리올란 H. 오프레아누를 포함한 많은 학자들은 이 무덤들을 게피드 전사들의 것으로 본다.[11] 같은 묘지에서 발견된 여성들의 무덤은 청동 및 은색 버클, 뼈 빗, 그리고 피불라를 포함한 유물을 생산했으며, 이들은 인근의 "체르냐코프 문화"의 묘지에서 발견된 물건과 유사하다.[11] 이슈트반 보나는 이 묘지들의 확산을 통해 게피드족이 4세기 중반에 무레슈강으로 확장하기 전에 이 지역에 이전에 거주했던 게르만족 빅토할리를 정복했음을 보여준다고 기록한다.[11]

4. 3. 훈족 시대

4세기 후반, 게피드족은 훈족에게 복속되어 아틸라의 서방 원정에 참여했다. 아르다리크 왕은 아틸라의 신임을 받는 유력한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11][22] 요르다네스는 아틸라가 훈족의 지배를 받는 "다른 모든 족장들보다" 게피드족의 왕 아르다리크를 중히 여겼다고 기록했다.[22]

451년, 카탈라우눔 전투에서 게피드족은 훈족의 편에서 프랑크족과 싸웠으며, 이 전투에서 양측 합쳐 15,0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22] 게피드족이 훈족의 로마 제국 원정에 참여하면서 많은 전리품을 얻었고, 이는 부유한 게피드족 귀족의 발전에 기여했다.[21] 5세기의 고립된 귀족 여성의 무덤에서는 두꺼운 은제 브로치, 구슬 목걸이, 은 팔찌, 큰 금 귀걸이, 옷과 허리띠에 은제 버클 등이 발견되어 당시 게피드족 지도자들의 부를 짐작할 수 있다.[21]

453년 아틸라가 사망하자, 게피드족은 훈족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23] 아르다리크 왕은 "매우 많은 민족들이 가장 낮은 신분의 노예처럼 취급받는 것에 분노하여" 훈족에 대항하여 최초로 무기를 들었다고 전해진다.[23]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게피드족은 훈족을 격파하고 독립 왕국을 세웠다.[23] 이 승리로 게피드족은 "1세기 이상 그들의 왕국을 유지해 준 존경의 자본"을 획득했다.[23]

4. 4. 게피드 왕국

454년 네다오 전투 이후 훈 제국이 붕괴되면서 게피드족은 카르파티아 분지의 동부 지역에서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 요르다네스에 따르면, 게피드족은 승리 후 "자신의 힘으로 훈족의 영토를 차지하고 모든 다키아를 정복하여 로마 제국에게 평화와 연례 조공만을 요구했다"고 한다. 황제 마르키아누스는 그들의 제국 동맹 지위를 인정하고 금 100파운드의 연간 보조금을 지급했다. 5세기 말에 아파히다와 소메세니에서 발굴된 보물들은 게피드 통치자들이 그 세기 후반에 막대한 부를 축적했음을 보여준다.

아파히다의 두 번째 군주 무덤에서 발굴된 조각들


게피드족은 판노니아에 정착한 동고트족에 맞서 수에비족, 스키리족, 사르마티아족 및 기타 민족이 형성한 연합에 합류했다. 그러나 동고트족은 469년 볼리아 전투에서 적의 연합군을 격파했다. 473년 동고트족이 판노니아를 떠난 후, 게피드족은 이탈리아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도로에 있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도시인 시르미움 (현재 세르비아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을 점령했다.

489년, 게피드족의 왕 트라우스틸라/Thraustilalt는 테오도릭 대왕의 이탈리아 원정에서 동고트족이 부카강을 건너는 것을 방해하려 했지만, 동고트족은 시르미움 전투에서 트라우스틸라의 군대를 격파했다. 월터 폴에 따르면 게피드족은 시르미움을 동고트족에게 잃었다. 월터 고파르트에 따르면 트라우스틸라의 아들인 트라사릭은 "시르미움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지만, 아마도 동고트족의 종주권 아래 있었을 것"이라고 한다. 테오도릭 대왕은 시르미움을 점령하려 하거나 504년에 테오도릭의 종주권을 벗어나려 했던 게피드족에 대한 원정을 시작하기 위해 콤스 피치아를 파견했다. 콤스 피치아는 저항 없이 게피드 군대를 시르미움에서 몰아냈다.

526년 테오도릭 대왕의 죽음을 틈타 게피드족은 528년 또는 530년에 시르미움 지역을 침략했지만, 비티게스에게 패배했다.

게피드족은 537년 이후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싱기두눔 (오늘날의 베오그라드) 주변의 풍요로운 지역에 정착했다. 잠시 동안 시르미움 (현재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시는 게피드 국가의 중심지였으며, 왕 쿠니문드는 그곳에서 금화를 주조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그들의 확장에 분노하여 알보인 왕 아래의 롬바르드족과 동맹을 맺었고, 552년에 게피드족에게 치명적인 패배를 안겨주었다. 아스펠트 전투 이후 알보인은 쿠니문드의 두개골로 술잔을 만들었다.

539년, 대부분의 비잔틴 제국군이 페르시아에 있었기 때문에 게피드족과 헤룰리족은 모에시아를 약탈하여 ''마기스터 밀리툼'' 칼루크를 살해했고, 프랑크 왕 테오데베르트 1세는 북부 이탈리아를 습격했다. 요르다네스에 따르면, 이 충돌은 아틸라 이후 가장 피비린내 나는 것이었으며, 로마인은 막대한 세금을 지불하고 새로운 게피드 점령 구역을 인정해야 했다. 게피디아의 새로운 왕 투리신드는 판노니아에서 롬바르드족을 몰아내려 했고, 양측 모두 비잔틴 제국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게피드족에 대항하여 군대를 보냈지만, 도중에 헤룰리족에게 패배했고 양측은 2년 휴전 협정을 맺었다. 배신감을 느낀 투리신드는 쿠트리구르족과 동맹을 맺어 휴전이 끝나기 전에 모에시아를 황폐화시켰다. 랑고바르드족과 로마군은 함께 551년에 게피드족을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아우도인의 아들 알보인은 투리신드의 아들 투리스모드를 죽였다.

4. 5. 멸망과 이후

567년, 게피드족은 롬바르드-게피드 전쟁에서 랑고바르드족과 아바르족의 연합 공격을 받아 멸망했다.[31] 파울루스 디아코누스에 따르면, 많은 게피드족이 568년 알보인을 따라 이탈리아로 이동했으나, 상당수는 옛 왕국의 영토에 남아 카르파티아 분지에서 아바르족의 지배를 받았다.[31]

630년, 테오필락트 시모카타는 비잔틴군이 아바르족의 영토에 진입하여 게피드족의 잔치를 공격해 3만 명의 게피드족을 포로로 잡았다고 기록했다. 이들은 아바르족과 마주치지 않았다. 티서 강 유역의 솔노크에서 최근 발굴된 유물에 따르면 아바르 시대 무덤에서 게르만족 전통 의복과 함께 투르크-아바르 양식의 유물을 착용한 게피드족 귀족이 발견되었다.

8세기, 파울루스 디아코누스는 이탈리아에 게피드족, 불가리아족, 사르마티아족, 판노니아족, 수아비족, 그리고 노리쿰족의 마을을 언급했지만, 파울루스가 자신의 시대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오래된 자료에서 인용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31]

5. 고고학적 유물

아파히다에서 발견된 "Omharus"라는 비문이 새겨진 금반지


게피드족과 관련된 수많은 고고학 유적지가 루마니아, 헝가리 등지에서 발견되었다.[32] 1906년과 1907년 반드에서 이슈트반 코바치에 의해 최초의 과학적 발굴이 이루어졌다.[32] 그러나 이 시대의 고고학적 발견물에 정확한 민족을 귀속시키는 것은 어렵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방법이다.[33]

묘지 분석 결과, 귀중한 유물을 소장한 상류층 매장은 초기에는 북서부 트란실바니아에 집중되어 있으며(5세기 중후반으로 추정), 6세기에는 주로 헝가리 평원에서 나타난다. 게피드 사회의 상류층은 특히 여성 매장에서 나타나듯이 튀링겐식 브로치, 호박 구슬, 스칸디나비아식 벨트 버클에 접근할 수 있었으며, 이는 스칸디나비아, 튀링겐, 크림 반도, 발트해 연안과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34]

블라, 클루지 주, 루마니아에서는 2004년 8월에 서기 6세기에 해당하는 200개 이상의 무덤이 있는 묘지가 발견되었다.[35] 발견된 무덤의 85%는 같은 시대에 도굴되었다. 남은 유물은 도자기, 청동 제품, 무기류이다. 루마니아의 미에르쿠레아 시비울루이에도 풍부한 유물이 있는 또 다른 묘지가 있다. 루마니아의 다른 묘지로는 모레슈티, 노슐라크, 브라테이유, 셰이카 미커, 티미쇼아라 프라이도르프 유적지, 아파히다 묘지,[36] 투르다 등이 있다. 투르다에는 루마니아에서 발견된 가장 부유한 게르만족 무덤인 "프란치스카" 무덤이 있으며, 서기 5세기로 추정된다. 게피드족의 보물은 소메세니와 심레우 실바니에이에서도 발견되었다.

6. 게피드족의 왕


  • 파스티다, 대략 250년 경 활동
  • 아르다릭, 대략 454년 경 활동
  • 기에스무스/Giesmus프랑스어, 480년대 초 활동
  • , 488년 활동
  • 트라사리크/Thrasaric프랑스어, 505년 활동
  • 문두스, 536년 사망[30]
  • 엘레문드, ?–548
  • 투리신드, 548년–대략 560년
  • 쿠니문드, 대략 560년–567년

참조

[1] 웹사이트 CNG Coins https://www.cngcoins[...]
[2] 문서 "Getica" https://www.ucalgary[...] Jordanes
[3] 웹사이트 A gepidák rövid története https://gepida.hu/ge[...]
[4] 간행물 The Gepids in Beowulf
[5] harvnb
[6] 문서 Auctarium Prosperi Havniense https://www.dmgh.de/[...] Continuatio Prosperi Havniensis
[7] 웹사이트 Goths http://www.harbornet[...] Harbour net 2008-03-03
[8] harvtxt See Harvtxt
[9] 서적 Die Gebiden https://books.google[...] Sevin 1955
[10] 문서 Goffart 2009, s. 199–200
[11] 서적 History of Transylvania Hungarian Research Institute of Canada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12]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13]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14]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15]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16] 서적 A gepidák Kárpát-medencei története http://doktori.bibl.[...]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
[17] 웹사이트 Historia Augusta: The Life of Claudius (6.2.)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on LacusCurtius) 2014-02-11
[18] citation Harvtxt and Citation
[19]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20]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21] 서적 History of Transylvania Hungarian Research Institute of Canada (Distribut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22]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23]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24]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25] 서적 A gepida királyság (454-567)
[26] 웹사이트 Civitas Sancti Demetrii http://www.dekanski.[...]
[27] 문서 Which occasioned his death later in Italy, at the hands of an assassin sent by Rosamund, Cunimund's daughter; as told in Procopius, in Paulus Diaconus and in Andreas Agnellus
[28] 서적 A gepida királyság (454-567)
[29] 서적 History of Transylvania https://mek.oszk.hu/[...]
[30] 문서 Son of Giesmus. He does not appear to have actually ruled, but he is called a king by George Kedrenos.
[31] 서적 Siege Warfare and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Successor States (400-800 AD): Byzantium, the West and Islam https://books.google[...] BRILL
[32] 간행물 The Reihengräberfelder in Transylvania after 100 Years of Archaeological Research https://www.academia[...]
[33] 서적 Transilvania la sfârșitul antichității și în perioada migrațiilor Nereamia Napocae
[34] 간행물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https://doi.org/10.1[...] 2023-08-26
[35] 서적 Kollaps – Neuordnung – Kontinuität. Gepiden nach dem Untergang des Hunnenreiches. Tagungsakten der Internationalen Konferenz an der Eötvös Loránd Universität, Budapest, 14. – 15. Dezember 2015 https://www.research[...] Institut für Archäologiewissenschaften, Eötvös Loránd Universität, Budapest
[36] 서적
[37] 논문 Maternal Lineages of Gepids from Transylvania https://www.academia[...]
[38] 웹사이트 Jordanes in Latin and English http://www.harbornet[...] 2008-03-03
[39] 문서 Getica
[40] 웹사이트 Jordane's Origins and Deeds of the Goths http://www.northvegr[...] Northvegr 2007-01-01
[41] 웹사이트 http://www.dekanski.[...]
[4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